KR19990014565A -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565A
KR19990014565A KR1019980050210A KR19980050210A KR19990014565A KR 19990014565 A KR19990014565 A KR 19990014565A KR 1019980050210 A KR1019980050210 A KR 1019980050210A KR 19980050210 A KR19980050210 A KR 19980050210A KR 19990014565 A KR19990014565 A KR 1999001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hydraulic
wagon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491B1 (ko
Inventor
이원창
Original Assignee
이원창
정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창, 정종원 filed Critical 이원창
Priority to KR1019980050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8491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4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1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for wagons or 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9/00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 B61D19/003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 B61D19/004Door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door swin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2Mechanical layou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nverting the movement of the fluid-actuated element into movement of the finally-operat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railway cars or mass transit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을 이용하여 도어를 확실하게 개폐시키고, 차량의 자중을 종래의 장치에 비해 현저하게 경감시키며, 만차 동하중 시에도 어떠한 변형도 발생되지 않도록 4단링크에 의해 완벽하게 록킹되도록 한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차(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압 펌프(20)와, 상기 유압 펌프(20)의 작동시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30)와, 상기 유압 실린더(30)의 작동 시에 상기 화차도어(10)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수단(40)과, 상기 유압 펌프(20)와 유압 실린더(30)를 연결하는 유압 배관(50)으로 구성되고, 도어 개폐수단(40)은 화차(1)에 고정된 브라켓(41)에 일측이 연결된 제1링크(42)와 상기 제1링크(42)에 연결된 제2링크(43)와, 상기 제2링크(43)에 연결된 제3링크(44) 및 상기 제3링크(4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화차도어(10)에 연결되며 대략 중앙부에 브라켓(45)이 연결된 제4링크(4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
본 발명은 철도차량 특히 화차의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화차의 도어를 확실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시멘트와 같은 화물을 수송하는 철도차량의 화차에 있어서,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해서 종래에는 워엄 기어와 축 및 레버로 구성된 구동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바, 이는 만차(滿車)시의 하중에 의하여 도어에 전달되는 하중이 축으로 100% 전달되므로 축은 이러한 하중을 견디어 낼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지니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또한 차량의 하부 프레임은 만차 하중의 조건에서도 축에 영향이 없도록 설계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하측 프레임이 공차(空車) 시에는 다소간의 역캠버가 적용되어 있으나 만차 동하중(動荷重)의 상태에서는 하측 프레임의 변형은 피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축을 지지하는 3개소에 집중 하중이 걸려 지지소의 볼트 파쇄, 축의 휨 및 집중 하중에 따르는 마찰 등으로 인하여 워엄 기어가 고착되어 화물의 하역 불능 상태가 자주 발생되며, 도어의 단단한 결속을 위해서 예비적으로 도어의 고리를 철사로서 감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차량의 하측 프레임을 견고히 하여 만차 동하중 시에도 어떠한 변형이 없게 하는 것이나, 이 경우 차량의 자중을 무리하게 증가시켜 운용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작 단가가 상승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화물 운반 중에 도어 닫힘의 결속이 완벽하지 못할 경우 화차의 이탈 등 치명적인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압을 이용하여 링크에 의해 도어를 확실하게 개폐시키고, 차량의 자중을 종래의 장치에 비해 현저하게 경감시키며, 만차 동하중 시에도 어떠한 변형도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링크에 의해 도어 닫힘 시 결속이 완벽하도록 한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3은 도어가 닫혔을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
도4는 도어가 열렸을 경우를 도시한 측면도;
도5는 도어의 닫힘 시에 제1및 제2링크의 유지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화차 10 : 도어
20 : 유압펌프 21 : 개방용펌프
22 : 닫음용펌프 23 : 유압유탱크
30 : 유압실린더 40 : 도어개폐수단
41,45 : 브라켓 42,43,44,46 : 링크
47 : 링크고정구 50 : 유압배관
60 : 펌프 작동핸들 70 : 하역 가이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는 철도차량의 화차에 장착된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상기 화차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압 펌프와, 이 유압 펌프의 작동 시에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와, 이 유압 실린더의 작동 시 상기 화차 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수단과, 상기 유압 펌프와 유압 실린더를 연결하는 유압 배관으로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압 펌프는 도어 개방용 펌프와 도어 닫음용 펌프가 1조로 형성되어 조작자가 핸들(바아)를 끼워서 상, 하로 작동할 경우 유압을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개폐수단은 화차에 고정된 브라켓에 일측이 연결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된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된 제3링크 및 상기 제3링크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화차 도어에 연결되며 대략 중앙부에 브라켓이 연결된 제4링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및 제2링크는 도어의 닫음시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소정의 텐션을 갖도록 제1 및 제2링크의 하부에는 스토퍼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개폐장치가 설치된 화차(1)의 평면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바, 본 발명은 화차(1)의 양측에 하화를 위한 전개문을 8개 설치하고 2개의 도어를 동시에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4개의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1개의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실린더를 적절하게 배열하여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집중식 펌프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링크를 4단으로 구성하여 닫음시 록킹이 완벽하고 유압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하였으며, 4단 링크의 최대 하중은 4.2톤에서도 문제가 없도록 설계되었다.
도2를 참조하면, 유압 펌프(20)는 화차(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며, 이 유압 펌프(20)에는 유압유 탱크(23)가 연결되어 동절기에도 아무런 이상 없이 항상 유압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유압 실린더(30)는 유압 펌프(20)의 작동 시에 신장 및 수축되는바, 유압 실린더(30)의 작동시 도어 개폐수단(40)은 화차 도어(10)를 개폐시키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펌프(20)는 도어 개방용 펌프(21)와 도어 닫음용 펌프(22)가 1조로 형성되어 잭 부분에 핸들(바아)(60)를 삽입하여 피스톤에 의해 조작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한편 도어 개폐수단(40)은 화차(1)에 고정된 브라켓(41)에 일측이 연결된 제1링크(42)와, 이 제1링크(42)에 연결된 제2링크(43)와, 이 제2링크(43)에 연결된 제3링크(44)와, 이 제3링크(4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화차도어(10)에 연결되며 대략 중앙부에 브라켓(45)이 연결된 제4링크(46)및 링크 고정구(47)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링크(42)(43)는 도어의 닫음 시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소정의 텐션을 갖도록 제1 및 제2링크(42)(43)의 하부에는 스토퍼(47)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소정의 텐션이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및 제2링크(42),(43)가 이루는 각도가 일직선이 아닌 둔각을 형성하여 실린더(30)가 도3에서와 같이 팽창되었을 경우 도어(10)를 확실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한 장력을 유지하는 것을 일컫는다. 따라서 제1및 제2링크(42),(43)가 이루는 각도는 180도 보다 약간 적은 각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0은 유압 펌프(20)와 유압 실린더(30)를 연결하는 유압 배관을 나타내고, 70은 화물의 하역 시에 이를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더이며, 80은 3개의 실린더(30)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유압 배관(50)의 규격이 다를 경우 실린더의 작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밸브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화차 도어(10)를 개방하는 상태를 설명하면, 도3에서와 같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핸들(60)을 유압 펌프(21)에 끼워 상하로 작동시키면 유압이 유압배관(50)을 통해 실린더(30)에 공급되어 실린더 로드를 도4에서와 같이 수축시킨다.
실린더(30)의 실린더 로드가 수축될 경우 제1링크(42)는 브라켓(41)에 대해 회동되어 제2링크(43)를 잡아당긴다. 이때 제3링크(44)는 브라켓(45)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됨으로써 도4에서와 같이 도어(10)가 개방되고 화차(1)내에 실려 있던 화물은 가이더(70)를 따라 지상으로 내려오게 된다.
한편 도4와 같이 도어(10)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도어(10)를 닫고자 할 경우 핸들(60)을 유압 펌프(22)에 삽입하여 조작하게 되면 이번에는 유압 실린더(30)의 실린더 로드가 신장되는바, 이때에는 전술한 바와 달리 제1링크(4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제3링크(44)가 브라켓(45)에 대해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도3과 같이 도어(10)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를 유압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개폐시키고, 차량의 자중을 종래의 장치에 비해 현저하게 경감시키며, 만차 동하중 시에도 어떠한 변형도 발생되지 않게 되며 도어 닫힘 시에 완벽한 록킹과 조작시 2인 1조의 작업을 1인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철도차량의 화차(1)에 장착된 도어(10)를 개폐함에 있어서, 상기 화차(1)의 일측에 설치되어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유압 펌프(20); 상기 유압 펌프(20)의 작동시 신장 및 수축되는 유압 실린더(30); 상기 유압 실린더(30)의 작동시 상기 화차 도어(10)를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 개폐수단(40); 상기 유압 펌프(20)와 유압 실린더(30)를 연결하는 유압 배관(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20)는 도어 개방용 펌프(21)와 도어 닫음용 펌프(22)가 1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수단(40)은 화차(1)에 고정된 브라켓(41)에 일측이 연결된 제1링크(42)와 상기 제1링크(42)에 연결된 제2링크(43)와, 상기 제2링크(43)에 연결된 제3링크(44) 및 상기 제3링크(44)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화차도어(10)에 연결되며 대략 중앙부에 브라켓(45)이 연결된 제4링크(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 및 제2링크(42)(43)는 도어의 닫음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여 소정의 텐션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용 도어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링크(42)(43)의 하부에는 스토퍼(47)를 장착하여 상기 제1및 제2링크(42)(43)가 텐션을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을 이용한 철도차량화차용 도어개폐장치.
KR1019980050210A 1998-11-23 1998-11-23 유압을이용한철도차량화차용도어개폐장치 KR100328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10A KR100328491B1 (ko) 1998-11-23 1998-11-23 유압을이용한철도차량화차용도어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10A KR100328491B1 (ko) 1998-11-23 1998-11-23 유압을이용한철도차량화차용도어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65A true KR19990014565A (ko) 1999-02-25
KR100328491B1 KR100328491B1 (ko) 2002-07-03

Family

ID=3747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210A KR100328491B1 (ko) 1998-11-23 1998-11-23 유압을이용한철도차량화차용도어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84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92B1 (ko) * 2006-10-23 2007-09-28 주식회사 로템 전동차용 전두부 비상도어 개폐 메커니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318B1 (ko) * 2007-01-18 2013-01-3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차량 문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492B1 (ko) * 2006-10-23 2007-09-28 주식회사 로템 전동차용 전두부 비상도어 개폐 메커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8491B1 (ko) 200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446A (en) Railway hopper car gate valve and operating assembly
CN104125914B (zh) 引导锚链并在浮动平台的底板上设置锚定设备的导缆器
US5513943A (en) Load elevator with columnar power assemblies
US20100078136A1 (en) Loc-N-Load Mechanism
RU2408526C2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удержания и натяжения стального проволочного троса в кранах
AU2024202514A1 (en) Winch drum tension isolation system
CN111038535B (zh) 锁闭装置以及漏斗车
KR100328491B1 (ko) 유압을이용한철도차량화차용도어개폐장치
EP1714828B1 (en) Tipping body structure for goods transportation vehicles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US7331295B1 (en) Railcar door operating mechanism with piston lock
CN111038533B (zh) 底门辅助开启装置以及漏斗车
KR200380856Y1 (ko) 트레일러에 장착되는 슬라이드 적재프레임의 구조
CN111038534B (zh) 底门开闭机构以及漏斗车
US6286696B1 (en) Hoist system anti-drift device
CN206784331U (zh) 一种由液压油缸驱动的摆臂式平板闸门锁定机构
US20210023974A1 (en) Rotatable tailgate
CN106930244A (zh) 一种由液压油缸驱动的摆臂式平板闸门锁定机构
CN206067583U (zh) 一种自卸车型后门锁紧机构
KR200373441Y1 (ko) 화물차의 윙 바디장치 구동용 유압장치
US3714735A (en) Hydraulically operated railroad car door
CN111038536B (zh) 单开压杆式底门开闭机构以及漏斗车
US4252359A (en) Force limiter
US2575355A (en) Closing mechanism for bottom-dump wagons
EP0344667B1 (en) A detachable rigid joi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