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430A -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된 다목적 밭갈이기 - Google Patents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된 다목적 밭갈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430A
KR19990014430A KR1019980047736A KR19980047736A KR19990014430A KR 19990014430 A KR19990014430 A KR 19990014430A KR 1019980047736 A KR1019980047736 A KR 1019980047736A KR 19980047736 A KR19980047736 A KR 19980047736A KR 19990014430 A KR19990014430 A KR 199900144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hain
screw
chain cas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777B1 (ko
Inventor
조복성
김일진
Original Assignee
김일진
조복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진, 조복성 filed Critical 김일진
Priority to KR1019980047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777B1/ko
Publication of KR19990014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777B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경운기에 장착하고 경운기의 동력을 사용하여 로타리 작업과 두둑형성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밭갈이기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
종래에는 로타리작업시 능률이 저조하였고 구석진 곳의 작업은 불가능하였으며 두둑형성작업을 수작업으로 하여야 하므로 밭농사가 매우 힘들 수 밖에 없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고정브라켓(11)과 전달축(15)등을 구성하고 체인케이스(20)를 이용하여 하단부로 동력을 전달하여 체인케이스 하단에 로타리바퀴(50) 또는 후립바퀴(60)를 장착하여 사용토록 하며, 스크류(14)를 이용하여 체인케이스(20)를 좌우 이동가능토록 구성하였음.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로타리 작업과 두둑형성작업도 경운기를 이용하여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이 매우 뛰어나며 구석진 곳의 작업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됨.

Description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본 발명은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석진 곳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로타리 작업 및 후립에 의한 두둑형성작업도 할 수 있게 끔 개발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밭농사를 지을때는 파종을 하기전 굳은 땅을 일구어 부드럽게 해주는 로타리 작업을 해야 하고 또한 부드럽게 된 흙을형으로 모아주는 두둑형성 작업도 하는 것이다.
종래에도 로타리 작업을 하는 것으로 '관리기' 가 있었으나 이는 자체적으로 소형엔진을 장착한 것이어서 속도가 늦으면서 땅을 깊게 일구는 작업할 수 없었고 1회 작업시의 작업폭도 좁은등 작업능률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트렉터를 이용해 밭갈이 작업을 할 수도 있지만 트렉터는 고가이기 때문에 소규모 농가에서는 구매하기가 어렵고 특히 구석진 장소, 즉 나무 아래쪽이나 비닐하우스 내측 벽면쪽 등에는 작업 할 수가 없었기 때문에 힘들게 수작업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경운기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강력한 경운기 동력을 이용하여 빠르고 깊은 작업이 가능하게 끔하며, 특히 장착되는 밭갈이기가 핸들조작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구석진 곳의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아울러 부분장치의 간단한 교환으로 인해 로타리 작업과 두둑형성작업도 같이 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에서 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B - B'선 확대단면도
도 4는 도 3의 C - C'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타리 바퀴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후립바퀴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두둑형성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D - D'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분할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도시한 분할판의 설치상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밭갈이기 (10) 지지부 (11) 고정브라켓
(12) 지지관 (13)(13') 측판 (14) 스크류
(15) 전달축 (16) 가이드봉 (17) 구동축
(18)(18') 체인휠 (19) 체인 (20) 체인케이스
(21) 6각 관체 (22) 체인휠 (23) 6각축
(24) 체인휠 (25) 체인 (26) 스크류관
(27) 가이드관 (30) 후미지지부 (31) 지지프레임
(32) 사각관체 (33) 덮개판 (34)(34') 개방커버
(35) 경첩 (41) 핸들 (42)(42') 유니버설조인트
(43) 연결축 (44)(44') 베벨기어 (50) 로타리퀴
(51) 6각관부 (52) 로타리날 (55) 지지휠
(56) 포스트 (56') 나사구멍 (57) 나사축
(58) 핸들 (60) 후립바퀴 (61) 6각관부
(62) 후립날 (70) 두둑형성장치 (71) 포스트
(71') 나사구멍 (72) 나사축 (73) 지지휠
(74) 횡파이프 (75) 설치판 (76) 이동관체
(77) 핸들 (78) 고정판 (79) 성형판
(80)가이드관 (81) 지지봉 (82) 핸들
(83) 핸들 (90) 분할판 (91) 고정브라켓
(100) 경운기 (101) 적재함연결 브라켓 (102) 변속기몸체
(103) 예비동력축 (104) 핸들
본 발명의 밭갈이기(1)는 경운기(100)의 구동자체 후단 즉, 뒤쪽의 적재함이 연결되는 적재함 연결 브라켓(101)에 연결하여 사용되는데, 크게 구분하며 적재함 연결브라켓(101)에 고정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부(10)와 상기 지지부(10)에 결합되면서 동력을 전달받아 밭갈이가 이루어지는 체인케이스(20)와 밭갈이기(1)의 후단을 지지하는 후미지지부(30)로 구분된다.
먼저 지지부(10)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선단에는 경운기(100)의 적재함 연결 브라켓(101)에 맞대어 볼트로 고정 가능토록 고정브라켓(11)을 형성하였고 고정브라켓(10)의 하단에는 지지관(12)을 고정시켜 양단에 측판(13)(13')을 구성하였다.
상기 양쪽 측판(13)(13')을 이용하여 스크류(14)와 6각형으로 된 전달축(15) 및 가이드봉(16)을 설치하되 스크류(14)와 전달축(15)은 회전가능토록 양단을 베어링으로 설치하고 전달축(15)은 고정되게 하였으며, 일측 측판(13)에는 구동축(17)을 설치하여 경운기(100)의 변속기몸체(102) 측면으로 돌출된 예비동력축(103)(분무기나 탈곡기 등을 설치하여 사용시 동력을 전달토록 조금 돌출시켜 놓은 축)에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구동축(17)은 측판(13)의 외측으로 돌출시킨후 같은쪽에 돌출시키는 전달축(15)의 끝단과 구동축(17)의 끝단에 각각 체인휠(18)(18')의 설치하여 체인(19)을 연결함으로써 경운기(100)의 동력이 예비동력축(103)으로부터 구동축(17)을 통해 전달축(15)에 전달 되게 하였다.
상기 지지부(10)의 중간위치, 즉 전달축(15)의 중간에 체인케이스(20)가 설치되는데, 체인케이스(20)는 내부 상단에 6각관체(21)를 돌출시킨 체인휠(22)을 설치하여 전달축(15)이 삽입되도록 하였고 내부 하단에는 6각축(23)이 양측으로 돌출된 체인휠(24)을 설치하여 상기 체인휠(22)과 체인(25)을 연결시켰다.
체인케이스(20)의 상부 일측에는 스크류관(26)을 고정시켜 스크류(14)와 결합시켰고 측면에는 가이드관(27)을 고정시켜 상기 가이드봉(16)에 삽입시켜 상기 스크류(14)가 회전하면 체인케이스(20)가 좌우로 이동가능케 하였다.
체인케이스(20)의 상부 후면쪽에는 지지프레임(31)으로 연결한 후미지지부(30)가 구성되는데, 끝단하부에 사각관체(32)를 세워 고정시켰고 지지프레임(31)의 옆으로는 덮개판(33)을 설치하며, 덮개판(33)의 끝에는 개방커버(34)(34')를 경첩(35)으로 설치하였다.
지지프레임(31) 바로 옆의 덮개판(33)에는 핸들(41)을 설치한후 핸들 끝에는 양단에 유니버설조인트(42)(42')는 설치한 연결축(43)을 경사지게 설치하고, 반대쪽 유니버설조인트(42') 끝에는 베벨기어(44)를 설치하며, 바로앞의 스크류(14)에도 베벨기어(44')를 설치하여 상기 베벨기어(43)와 맞물리게 하였다.
상기한 체인케이스(20) 하단의 6각축(23) 양측에는 로타리바퀴(50)를 장착하여 사용하는데 로타리바퀴(50)는 6각축에 연결합되도록 6각관부(51)가 일측에 형성되고 4개소 정도에 각기 다른 4방향 방사상으로형으로 된 로타리날(52)을 고정시켜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로타리바퀴(50)를 장착하여 사용할 때 후방을 지지토록 지지휠(55)을 장치하는데, 지지휠(55)의 상부에는 내부에 나사구멍(56')을 형성한후 나사축(57)을 체결한 4각체의 포스트(56)가 결합되어 있어서 포스트(56)를 상기 지지프레임(31)의 사각관체(32)에 삽입한후 지지프레임(31)의 상부에서 핸들(48)을 나사축(57)에 결합시킴으로써, 핸들(58)을 회전시키면 나사가 풀어지거나 잠겨지면서 포스트(56)와 지지휠(55)이 승강토록 구성하였다.
로타리작업을 한후에는 두둑형성작업을 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로타리바퀴(50)를 제거한후 후립바퀴(60)를 장착하고 또한 지지휠(55) 제거한후 두둑형성장치(70)를 설치한다.
후립바퀴(60)도 역시 6각관부(61)가 형성되어 있고 3개소 정도에 각기 다른 2방향에 대칭되는형으로 된 후립날(62)을 장착하였는데, 상기 후립날(62)은 끝부분이 중앙쪽(체인케이스쪽)으로 휘어지게 하고 후림날(62) 자체를형으로 형성하여 흙을 중앙부로 모으면서 뒤쪽으로 밀어 내도록 구성하였다.
후립바퀴(60)를 장착할때는 뒤쪽에 두둑형성장치(70)를 설치하는데 두둑형성장치(70) 역시 중앙 상부에 지지휠(55)의 포스트(56)와 같이 내부에 나사구멍(71')을 형성한후 나사축(72)을 체결한 포스트(71)를 형성하고 핸들(83)을 나사축(72)에 결합토록 하며, 하단에는 양측에 지지휠(73)을 설치하였는데, 포스트(71) 하단에 4각 단면형의 횡파이프(74)를 고정시키고 횡파이프(74) 양쪽에 설치판(75)이 고정된 이동관체(76)를 삽입시켜 핸들(77)로 고정 및 이동 가능케 하며, 설치판(75)에는형으로 된 성형판(79)을 고정시키되 성형판(79)은 앞쪽보다 뒤쪽이 좀더 낮게 고정시킨다.
또한 설치판(75)에는 가이드관(8)을 고정시켜 그내부로 끝단에 지지휠(73)이 설치된 지지봉(81)을 삽입시켜 핸들(82)로 고정시켰다.
그리고 두둑형성시 그 폭을 절반크기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분할판(90)을 형성하였는데,형태로 되면서 뒤쪽에 고정브라켓(91)이 돌출형성 되도록 구성하여 필요시 체인케이스(20)의 하단에 부착 사용할 수 있게 끔 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5는 경운기 바퀴, 106은 경운기 엔진, 107, 107'를 흙받이, 108은 개방커버를 개방시 고정시키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로타리 작업을 실시할때의 작용을 설명하면, 체인케이스(20) 하단의 6각축(23)에 로타리바퀴(50)를 장착하고 지지프레임(31) 끝의 사각관체(32)에는 지지휠(55)의 포스트(56)를 장착하는 것이다.
최초 경운기(100)의 엔진을 구동시키면서 예비동력축(103)에도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면 예비동력축(103)과 연결시킨 구동축(17)이 회전하고 따라서 체인(19)으로 연결된 전달축(15)이 회전하면 체인케이스(20) 내부에서 체인(25)에 의해 연결된 6각축(23)이 회전하여 로타리바퀴(50)가 회전하는 것이다.
로타리바퀴(50)는 기존의 다른 농기계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것으로 단단하게 굳은 땅을 일구어 부수면서 부드러운 상태로 만들어 주고 이때 지지휠의 높이를 조절하면 로타리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핸들(58)을 회전시키면 나사축(57)이 회전하여 나사구멍(56')이 형성된 포스트(56)가 사각관체(32)로부터 빠져나오거나 더 깊이 삽입되면서 깊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로타리 작업을 하여 땅을 부드럽게 만들어 준 다음에는 농작물을 파종하기 위한 두둑형성작업을 하는데, 이때는 로타리바퀴(50)를 6각축(23)으로부터 제거한 다음 같은 방법으로 후립바퀴(60)를 삽입설치하고, 지지프레임(31)의 사각관체(32)에는 지지휠(55)을 제거한후 두둑형성장치(70)을 설치한다.
로타리작업을 할 때 같은 구동으로 후립바퀴(60)가 회전하면 부드럽게 흙을 중앙부로 모아주면서 뒤쪽으로 밀어내는데 그것은 후립날(62)이 전체적으로 휘어지면서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그 뒤쪽에 형성된 두둑형성장치(70)에는 지지휠(73)이 양쪽에 설치되면서 중앙에는형으로 된 성형판(79)이 있어서 성형판(79)의 모양과 같이 두둑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도 역시 두둑의 형성 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는데, 핸들(83)을 회전시키면 전기한 로타리작업시의 지지휠(55)의 경우와 같이 두둑형성장치(70) 전체가 승강을 하는 것이며, 두둑의 폭도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한데 이때는 횡파이프(74)에 이동관체(76)로 결합된 설치판(75)을 좌·우로 움직이면형 또는형으로 두둑의 형태를 변경할 수도 있다.
두둑의 형태를 절반으로 즉형이 아닌형태로 할때는 체인케이스(20)의 앞쪽 하단에 분할판(90)을 결합시키면 되는데, 이는 분할판(90)이 형으로 되어 있어서 후립바퀴(60)의 작용과 동시에 흙을 좌·우로 밀어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중요한 작용중의 하나인 체인케이스(20)의 좌·우이동 작용이 필요한 것은 로타리 또는 두둑작업을 해야할 위치의 바로 옆에형과 같이 나무가 있거나형태의 비닐하우스 내부 구석진 곳을 작업할때는 경운기의 양측 핸들(104)이 나무 또는 비닐하우스에 닿기 때문에 장애물에 근접해서 작업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때는 후단 덮개판(33)위에 설치된 핸들(41)을 회전시키면 회전이 유니버설조인트(42)(42')와 연결축(43) 및 베벨기어(43)를 통해 전달되고 다시 이와 맞물린 베벨기어(44)를 통해 스크류(14)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스크류(14)와 나사 결합된 스크류관(26)이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스크류관(26)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된 체인케이스(20)와 로타리바퀴(50) 또는 후립바퀴(60) 전체가 핸들(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크류 길이의 절반정도 거리를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작용시 가이드봉(16)에 삽입된 가이드관(27)이 원활한 이송을 가이드한다.
작업을 완료한 후에는 고정브라켓(11)을 경운기(100)의 적재함 연결브라켓(101)과 분리시키고 구동축(17)을 예비동력축(103)과 분리시키면 전체가 분리되므로 밭갈이기(1)를 별도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경운기의 동력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작업속도를 매우 빠르게 하면서 땅을 깊이 일구어주는 작업이 가능하고 로타리작업은 물론, 바퀴의 간단한 교체로 두둑형성작업도 동시에 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장치의 좌·우이송이 가능함에 따라 구석진 부분까지 완벽한 작업이 가능한등 밭농사에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어서 능률향상과 소득증대로 직결되는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경운기(100)의 적재함 연결브라켓(101)에 연결가능한 고정브라켓(11)을 형성하고 그 아래 지지관(12)을 고정시켜 양단에 측판(13)(13')을 설치하며, 상기 측판(13)(13')을 이용해 예비동력축(103)의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축(17)과 전달축(15)을 설치하여 체인(19)으로 연결시키며, 내부 상·하부에 체인휠(22)(24)이 내장되어 체인(25)으로 연결되는 체인케이스(20)를 구성하여 전달축(15) 상부의 체인휠(22)을 삽입시키며, 하부 체인휠(24)에는 로타리바퀴(50)을 또는 후립바퀴(60)를 장착하고 체인케이스(20) 뒤쪽으로 지지프레임(31)을 연결설치한후 끝단에 4각관체(32)를 형성하여 지지휠(55) 또는 두둑형성장치(70)를 삽탈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2. 제 1항에 있어서,
    체인케이스(20) 하부의 체인휠(24) 양측에 6각축(23)을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되는 로타리바퀴(50)는 6각축(23)에 결합토록 6각관부(51)를 형성하며 지지프레임(31) 후단의 4각관체(32)에 장착되는 지지휠(55)에는 상부에 나사구멍(56')이 있는 포스트(56)를 형성하여 내부에는 나사축(57)을 삽입시키며 나사축(57)에는 핸들(58)을 결합하여 높낮이 조절가능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3. 제 1항에 있어서,
    측판(13)(13') 사이에 스크류(14)를 설치하고 체인케이스(20)의 상부 일측에 스크류관(26)을 고정시켜 스크류(14)와 결합시키고 전달축(15)을 6각으로 형성하고 체인케이스(20)의 상부체인휠(22)에 6각관체(21)를 형성하여 전달축(15)이 삽입되게 하며, 체인케이스(20) 측면에 가이드관(27)을 고성시키고 측판(13)(13') 사이에 가이드봉(16)을 설치하여 가이드관(27)에 삽입되도록 하며, 밭갈이기(1) 후단에 핸들(41)을 설치한후 유니버설조인트(42)(42')와 연결축(43)을 이용하여 스크류(14)의 일측까지 연결시키고 스크류(14) 일측과 유니버설조인트(42') 끝에 베벨기어(43)(44)를 설치하여 맞물리게 구성함으로써 핸들(41)의 회전에 의해 체인케이스(20)가 이동 가능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체인케이스(20) 하부의 체인휠(24) 양측에 6각축(23)을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사용토록 하는 후립바퀴(60)는 6각관부(61)가 형성되고형으로 형성된 후립날(62)을 다수개 설치하며, 후립바퀴(60) 사용시 설치되는 두둑형성장치(70)는 상부에 지지프레임(31)의 4각관체(32)에 삽입토록 포스트(71)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양측에 2개의 지지휠(73)을 설치한후 중앙에형으로 된 성형판(79)을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브라켓(91)이 후단에 형성되고형태로 된 분할판(90)을 구성하여 필요시 체인케이스(20) 하단에 결합하여 두둑을형으로 형성할 때 사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KR1019980047736A 1998-11-06 1998-11-06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KR10028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36A KR100283777B1 (ko) 1998-11-06 1998-11-06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736A KR100283777B1 (ko) 1998-11-06 1998-11-06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430A true KR19990014430A (ko) 1999-02-25
KR100283777B1 KR100283777B1 (ko) 2001-03-02

Family

ID=65948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736A KR100283777B1 (ko) 1998-11-06 1998-11-06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 된 다목적 밭갈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7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017B1 (ko) * 2013-08-13 2013-11-18 황인수 배토두둑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017B1 (ko) * 2013-08-13 2013-11-18 황인수 배토두둑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777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630B1 (ko) 프론트 로타리 작업기구를 가지는 작업기계
KR19990014430A (ko) 경운기에 장착하여 사용토록된 다목적 밭갈이기
KR102205203B1 (ko) 경반층을 없애주는 쟁기-로터리 장치
CN201430751Y (zh) 耕整机侧驱前置多功能作业机
JP3266892B1 (ja) 多用途農作業機及びそれに用いる回転方向変換装置
US4423786A (en) Soil cultivating machines
JPH0622603A (ja) 作業の進行方向に対して斜めに延びたロータを有する土地を耕す農業機械
JP4116154B2 (ja) 管理作業機
CN215529815U (zh) 一种高效耕地耙耱工具
CN216873769U (zh) 一种土壤深松机械
US4436161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CN211607317U (zh) 一种园林种植用挖坑装置
CN218649161U (zh) 一种便捷式手推旋耕犁
CN215269379U (zh) 一种适合矮砧密植果园的覆土机具
CN212413743U (zh) 一种农机开沟施肥机构
KR200280347Y1 (ko) 인삼밭 전용 로타리
CN214177966U (zh) 一种用于耕地、起垄覆膜的农耕设备
CN210641300U (zh) 一种双排旋耕机
CN2291773Y (zh) 单履带微型农用耕作机
GB2090712A (en) Soil cultivating equipment
JPS591442Y2 (ja) 障害物除去作業機
JP2552757Y2 (ja) ロータリ耕耘装置
CN116368976A (zh) 一种农业机械用车体结构及农业机械
CN117204150A (zh) 玉米中耕除草施肥机
GB2147784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