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364A - 원판체의 상승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원판체의 상승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364A
KR19990013364A KR1019980016317A KR19980016317A KR19990013364A KR 19990013364 A KR19990013364 A KR 19990013364A KR 1019980016317 A KR1019980016317 A KR 1019980016317A KR 19980016317 A KR19980016317 A KR 19980016317A KR 19990013364 A KR19990013364 A KR 19990013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isc
shaft
present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415B1 (ko
Inventor
아베히로시
후루카와데츠오
Original Assignee
아베히로시
아사히세이코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7934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516007B2/ja
Application filed by 아베히로시, 아사히세이코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베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9001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3/00Sorting a mixed bulk of coins into denominations
    • G07D3/12Sorting coins by means of stepped deflectors
    • G07D3/128Rotary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상승이송되는 코인의 크기를 변경하여도 방출부재를 구성하는 롤러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도록하는 목적에서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100엔 경화를 상승이송장치의 롤러위치를 변경하지않고도 직경이 작은 50엔 경화에도 적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직경이 큰 10엔 경화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에서 개발된 것이다.
(해결수단)
본 발명은 적어도 복수개의 원판체를 한 개씩 띠판형으로 정렬하여 이들의 원판체를 가압상승 시키기 위한 통로수단과, 이 통로수단의 중심축선의 상방에 상승자재로 배설됨과 동시에 기어부를 갖는 샤프트수단과, 이 기어부와 맞물리는 래치수단과, 상기 샤프트수단에 외장되어 상기 원판체와 접촉자재로 되어있음과 동시에 일방향 클러치기능을 가진 롤러수단과, 상기 샤프트수단과 상기 통로수단의 방향으로 인장하기위한 탄성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원판체의 상승이송장치이다.

Description

원판체의 상승이송 장치
본 발명은 복수개의 원판체를 상방향으로 승강시켜 보내기위한 원판체의 상승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통화인 원판형의 코인 또는 게임 등에 사용되는 원판형의 메달 등의 원판체를 연속적으로 상방향으로 송출하기위한 원판체 상승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메달대출기를 포함하는 자동판매기, 통화의 교환기, 메달을 이용하는 게임기 등에 사용되는 원판체상승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제 까지의 원판체의 상승이송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 4,518,001호의 명세서에 기재된 코인처리장치가 있다.
상기 미국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이 장치는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호퍼에 의해 코인의 지불 어셈블리를 포함함과 동시에 전후 패널 및 제1과 제2의 에지 패널을 가진 긴 덕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하방의 개구단과 상방의 출구단과의 사이에 단일의 에지로부터 에지로의 열로 배열된 코인을 받아드리기위한 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채널의 입구단이 상기 호퍼의 지불슈트와 연통하고 상기 출구단의 제1의 에지패널에 단일의 출구슬롯을 포함한다.
그리고 또한 코인처리장치가 코인의 방출어셈블리를 구비하고 그리고 이 어셈블리는 상기 출구슬롯을 통하여 코인을 강제적으로 방출하기위한 방출부재를 포함한다.
이 방출부재는 상기 출구단 부근의 상기 채널에 돌출하여 상기 전후패널에 거의 직각인 축 주위로 회전가능이고 또한 상기 제1의 에지패널보다도 상기 제2의 에지패널의 부근에서 상기 채널의 폭에 관하여 상기 출구슬롯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중심편위하여 있는 제1의 위치와 제1의 위치보다도 상기 출구슬롯으로부터 떨어진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수있는 롤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1의 위치에 상기방출부재를 강제하기위한 패널수단을 구비하고 이에의해 상기 방출수단이 상기 코인을 상기 방출슬롯방향으로 강제하고 이것을 통하여 이들을 강제적으로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의 처리장치는 코인을 강제적으로 방출하기위한 방출부재가 제1의 에지 패널보다도 제2의 에지패널의 부근에서 채널의 폭에 관하여 출구슬롯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중심편위하여 있는 제1의 위치와 이 제1의 위치보다도 상기 출구슬롯으로부터 떨어진 제2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한 롤러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환언하면, 상술의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방출부재를 구성하는 롤러의 위치가 코인 방출구의 위치에 대하여 가압상승되는 코인의 반경보다도 항상 멀리있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방출부재를 구성하는 롤러의 위치가 가압상승되는 코인의 반경에 관계하지 않도록 하는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환언하면, 본 발명은 상승이송 코인의 크기를 변경하여도 방출부재를 구성하는 롤러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100엔 경화를 상승이송하는 장치의 롤러위치를 변경하지않아도 직경이 작은 50엔 경화에도 적용할수 있음과 동시에 직경이 큰 10엔 경화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하는 목적으로부터 개발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1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
도 4는 도 1을 정면에서 본 설명도,
도 5는 도 1을 정면에서 본 설명도,
도 6은 도 1을 정면에서 본 설명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설명도.
(도면에 대한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 : 원판체 10 : 10엔 경화
50 : 50엔 경화
[통로수단]
11: 배판 12 : 통로
13 : 에지판 15 : 스페이스판
[샤프트수단]
19,20 : 긴 원형 구멍 21 : 샤프트
22 : 기어부
[래치수단]
17 : 부착판 18 : 칼라
24 : 래치체
[롤러수단]
23 : 롤러
[탄성수단]
27,29 : 스프링
본 발명은 적어도 복수개의 원판체를 1개씩 띠판형으로 정렬하여 이들의 원판체를 가압상승시키기위한 통로수단과, 이 통로수단의 중심축선의 상방으로 승강자재로 배설됨과 동시에 기어부를 갖는 샤프트수단과, 이 기어부와 맞물리는 랙수단과, 상기 샤프트수단에 외장되어서 상기원판체와 접촉자재로 됨과 동시에 일방향 래치기능을 가진 롤러, 상기 샤프트수단을 상기 통로수단의 방향으로 인장하기위한 탄성수단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한 원판체의 상승이송장치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대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3은 도1을 좌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을 정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를 정면에서 본 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길고 큰 장방형판은 배판(11)이고 원판체의 통로(1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통로(12)는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방으로부터 동일자세로 일렬로 정렬하여 가압상승되는 동형의 원판체(1,2,3)를 통과시킨다. 배판(11)에 나란하게 형성되어있는 한쌍의 띠판은 에지판(13)이고 원판체의 통로(1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배판(11)과 에지판(13)과의 사이에 가늘고 긴 스페이스판(15)이 배설되어 있어 통로(12)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배판(11)과 에지판(13)과의 간극은 원판체(1내지3)중 한 개의 두께와 거의 상응한다. 또한 한쌍의 스페이스판(15)의 간극은 원판체(1내지3)중 한 개의 직경과 거의 상응한다. 또한 스페이스판(15)의 상부에지는 에지판(13)보다도 약간 낮게 형성되고 한쌍의 에지판(13)의 중앙에는 가늘고 긴 구멍(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판(11)은 도시한바와 같이 에지판(13)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배판(11), 한쌍의 에지판(13), 한쌍의 스페이스판(15)은 원판체(1내지3)를 상방으로 통과시키기위한 통로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2에 도시되어 있는 짧고 큰 장방형판은 부착판(17)이고 이 부착판(17)의 하방부는 굽혀져서 굴곡부(16)가 형성하고 있다. 또한 부착판(17)은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판(11)의 상부 이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상부에지부는 한쌍의 칼라(18)를 개재함과 동시에 하부에지부는 굴곡부(16)를 개재하여 고정되어 있다.
배판(11)상부의 거의 중앙에는 긴원형구멍(20)이 형성되고 같은 모양으로 부착판(17)의 거의 중앙에도 대향하여 긴원형구멍(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긴원형구멍(19,20)의 길이방향은 원판체(1,2,...)의 통로(12)의 중심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일렬로된 원판체(1,2,...)의 각각의 중심점을 이은 선상에 긴원형구멍(19,20)의 횡축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긴원형구멍(19,20)내에 샤프트(21)가 승강 슬라이드 자재로 관통되어 있다.
또한 샤프트(21)의 거의 중앙에는 직경이 큰 기어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판(11)을 관통하여 나오는 샤프트(21)의 돌출축에는 약간 큰 롤러(23)가 빠지지 않도록 외장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롤러(23)내에는 도시를 생략한 일방향 클러치가 내장되어 있다. 도2의 중앙에 도시된 각주형의 것은 래치체(24)이고 기어부(22)와 맞물리도록 부착판(17)에 고정되어 있다. 도1의 하방에 도시된 횡판(25)은 한쌍의 에지판(13)의 상부에 걸쳐 고정되고 이들 횡판(25)의 중앙에는 스터드(26)가 심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터드(26)와 샤프트(21)의 돌출축과에는 원통형의 스프링(27)이 걸쳐있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부착판(17)의 외측하부 거의 중앙에도 스터드(28)가 심어설치되어 있다. 이 스터드(28)와 샤프트(21)의 돌출축과에는 동일한 형태의원통형의 스프링(29)이 걸쳐있다. 또한 이들의 한쌍의 스프링(27,29)은 샤프트(21)를 안정하게 한쌍의 스터드(26,28)측으로 인장하기위한 것이다.
(실시예)
상기구성으로된 본 실시예는 잘 공지되어있는 메탈의 호퍼장치와 같은 원판체의 송출장치(도시생략)에 의해 원판체(1,2,3,4,...)가 통로(12)내로 가압상승된다. 따라서 최상위치에 있는 원판체(1)의 상부에지가 도1 및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롤러(23)에 접촉한다. 더욱이 원판체(1)가 가압상승되면 한쌍의 스프링(27,29)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롤러(23)가 상승된다.
동시에 샤프트(21)가 상승되기 때문에 기어부(22)가 래치체(24)와 맞물림하여 상승된다. 환언하면, 샤프트(21)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으로 된다. 즉 일방향 클러치인 롤러(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승하는 것으로 되고 결과로서 원판체(1)는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의 좌측에 탄성적으로 송출되는 것으로 된다.
원판체(1)가 탄성적으로 좌측에 송출되면 한쌍의 스프링(27,29)의 탄성력이 순간적으로 작용하여 샤프트(21)가 하강하는 것으로 된다. 하강하는 샤프트(21)는 래치체(24)와 기어부(22)와의 맞물림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된다(도6을 참조). 이때 하강하는 롤러(23)가 원판체(1)에 접촉하여도 일방향 클러치의 기능이 작용하기 때문에 롤러(2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되어 원판체(1)의 송출을 저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원판체(1)의 송출이 스무스하게 행하여 진다. 또한 도7에는 원판체(1,2,3,...)를 도면의 우측으로 송출하는 경우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래치체(24)를 긴원형구멍(20)의 좌측에 고정함과 동시에 일방향 클러치 부착 롤러(23)의 외장을 역으로 할 필요가 있다. 즉 롤러(23)가 상승될 때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23)가 하강할 때에는 일방향 클러치 기구가 작용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일방향 클러치인 롤러(23)는 상승할 때에 회전되는 것으로 되어 결과로서 원판체(1)를 강제적으로 사이드에 송출시키는 것으로 된다. 또한 롤러(23)가 상승할 때에는 일방향 클러치의 기능이 작용하기 때문에 원판체(1)에 접촉하여도 롤러(23)는 회전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원판체(1)의 송출이 저지되지 않아 스무스하게 행하는 것으로 된다.
환언하면, 도4의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롤러(23)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원판체(1)의 크기를 변경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된다. 가령 원판체(1)를 100엔 경화로서 하면, 롤러(23)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아도 직경이 작은 50엔 경화에도 적용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직경이 큰 10엔 경화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실험으로 명백해 졌다.
상기한 바와같이 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을 추가하는 것에 의해 방출부재를 구성하는 롤러의 위치가 가압상승되는 코인의 반경에 관계없다라고 하는 큰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발명은 100엔 경화를 상승이송장치의 롤러위치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직경이 작은 50엔 경화에도 적용됨과 동시에 직경이 큰 10엔 경화에도 적용될 수가 있다라고 하는 큰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복수개의 원판체를 한 개씩 띠판형으로 정렬하여 이들의 원형체를 가압상승시키기 위한 통로수단,
    이 통로수단의 중심축선의 상방에 상승자재로 배설됨과 동시에 기어부를 갖는 샤프트수단,
    이 기어부와 맞물리는 래치수단,
    상기 샤프트수단에 외장되어 상기 원판체와 접촉자재로 되어있음과 동시에 일방향 래치 기능을 가진 롤러수단,
    상기 샤프트수단을 상기 통로수단의 방향으로 인장하기위한 탄성수단,
    으로 적어도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판체의 상승이송장치.
KR10-1998-0016317A 1997-07-09 1998-05-07 원판체의상승이송장치 KR1004654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17934 1997-07-09
JP21793497A JP3516007B2 (ja) 1997-07-09 1997-07-09 円板体の送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364A true KR19990013364A (ko) 1999-02-25
KR100465415B1 KR100465415B1 (ko) 2005-05-16

Family

ID=5793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317A KR100465415B1 (ko) 1997-07-09 1998-05-07 원판체의상승이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65415B1 (ko)
TW (1) TW349207B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15B1 (ko) 2005-05-16
TW349207B (en) 199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6007B2 (ja) 円板体の送出装置
EP1764750B1 (en) Coin hopper device
US4592377A (en) Coin escalator
KR100512053B1 (ko) 코인배분장치
GB2386734A (en) A 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coins
US5061222A (en) Coin hopper and dispenser
KR101070563B1 (ko) 푸쉬업 통로를 가진 코인 호퍼
AU640248B2 (en) Coin conveyor for successively transporting coins
CN1509459B (zh) 硬币检查装置
US5170874A (en) Coin conveyor for successively transporting coins
KR19980018077A (ko) 디스크 몸체를 푸싱하는 장치
US5181881A (en) Outlet device for coin payout hoppers
KR19990013364A (ko) 원판체의 상승이송 장치
JPH0637497Y2 (ja) 硬貨振分け装置
JP5838432B2 (ja) コイン搬送装置およびコイン払出装置
US4047538A (en) Change dispensing apparatus
JP4370675B2 (ja) 硬貨投入口及びそれを有する自動取引装置
JP6700527B2 (ja) 円板状体払出装置
EP0991030B1 (en) Coin dispenser arrangement
AU691624B2 (en) Coin escalator for gaming devices
JP5002130B2 (ja) 硬貨回収処理装置
JP3216043B2 (ja) 円板体の揚送装置
JP3216042B2 (ja) 円板体の揚送装置
JPH0435973Y2 (ko)
KR200269884Y1 (ko) 주화 카운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