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533A -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533A
KR19990012533A KR1019970035948A KR19970035948A KR19990012533A KR 19990012533 A KR19990012533 A KR 19990012533A KR 1019970035948 A KR1019970035948 A KR 1019970035948A KR 19970035948 A KR19970035948 A KR 19970035948A KR 19990012533 A KR19990012533 A KR 19990012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witching
hair dryer
uni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종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5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533A/ko
Publication of KR1999001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533A/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부하를 갖는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는 부하에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와 상기 부하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에 의한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부하에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보조스위칭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고자할 경우에만 소정의 동작부가 작동하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전력소모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을 발산하는 히터(50)와, 바람을 일으키는 송풍모터(40)를 구비하고, 송풍모터(40)와 히터(50)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전원부(10)와 히터(50) 및 송풍모터(40) 사이에 개재되어 전원부(10)의 전원공급을 개폐시키는 전원스위치(20)로 구성된다. 전원부(10)의 상용전원은 60Hz의 주파수를 갖는 220V 또는 110V의 교류전압을 말한다. 전원스위치(20)는 헤어 드라이어의 손잡이부분에 위치하고 상,하 또는 좌,우등으로 움직여 스위칭접점을 절환할 수 있고, 스위칭접점을 절단하면 전원스위치(20)는 상용전원을 차단하는 소호능력을 가진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은 먼저,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스위치(20)를 절환하여 헤어 드라이어에 상용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상용전원은 전원스위치(20)의 접점을 거쳐 히터(50)와 송풍모터(40)에 공급된다. 이때, 히터(50)는 상용전원에 해당하는 열을 발산하여 공기의 온도가 따뜻하게 열교환되도록 하고, 송풍모터(40)는 일정한 회전력으로 송풍팬을 구동시켜 열교환된 더운공기를 토출시킨다.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어를 여러방향으로 움직여 더운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여 원하는 머리카락에 대한 건조동작을 행한 후, 순간적으로 요구되는 다른 행위 예를들어, 머리카락 건조행위에 필요한 도구등을 사용하기 위해 헤어 드라이어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그 다른 행위가 이루어지면 다시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기 위해 전원스위치(20)를 움직여 머리카락을 건조시키는 동작을 한다. 이때, 사용자는 행위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마다 전원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로 절환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절환하지 않고 헤어 드라이 이외의 다른 행위를 할 경우에도 헤어 드라이어에 전원이 계속 공급되고 있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할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한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실시예의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낸 결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위칭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 블록도,
도 5는 터치감지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부를 나타낸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난드게이트 2 ; 제2난드게이트
10 ; 전원부 20 ; 전원스위치
30 ; 보조 전원스위칭부 31 ; 터치부
32 ; 터치감지부 33 ; 스위칭부
34 ; 트랜지스터 35 ; 포토커플러
36 ; 트라이악 40 ; 송풍모터
50 ; 히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를 갖는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스위치와, 상기 전원스위치와 상기 부하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에 의한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부하에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보조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헤어 드라이어에 의해 달성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를 갖는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에의 전원공급을 제1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부하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2스위칭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에 따른 공급전원에 의해 상기 부하가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및 그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헤어 드라이어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스위칭부를 상세하게 나타낸 상세 블록도이고, 도 5는 터치감지부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부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드라이어는 도 2도와 같은 모양을 갖는 헤어 드라이어로써, 도 3와 같이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전원부(10)의 상용전원을 공급하고 차단하는 전원스위치(20)와, 전원스위치(20)로 부터 공급된 전원을 단속하여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명령하는 보조 스위칭부(30)와, 보조 스위칭부(30)의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는 히터(50)와 송풍모터(40)로 구성된다.
보조 스위칭부(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능을 선택하는 접촉버튼인 터치부(31)와, 접촉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32)와, 감지된신호를 해석하여 제어명령을 내보내는 스위칭부(33)로 구성된다. 터치부(31)는 도전성을 갖으며 헤어 드라이어의 손잡이 일측부분에서 손과 접촉가능한 위치에 있고, 손(인체)과 접촉될 경우 정전유도 현상을 일으켜 소정의 전기성 전하를 발생시킨다. 또한, 터치부(31)는 헤어 드라이어의 시스템 난이도에 따라서 여러개 일 수도 있다. 그리고 터치감지부(32)는 터치부(31)에서 발생된 소정의 전기성 전하를 감지하여 일연의 논리동작으로 터치감지신호를 출력시킨다. 스위칭부(33)는 터치감지신호를 받으면 선택된 기능을 동작시키도록 제어명령을 발생시키고 시스템의 기능적인 난이도에 따라서 다소 추가적인 구성이 포함된다.
터치감지부(3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전원으로 인가된 논리값과 인체등에서 발생하는 정전유도 현상에 의해 대전된 논리값을 부정의 논리곱으로 연산하는 제1난드게이트(NAND GATE)(1)와, 제1난드게이트(1)의 입, 출력을 연결한 제1저항(R1)과, 제1난드게이트(1)의 주파수성분을 제거하는 제1콘덴서(C1)와, 제1콘덴서(C1)의 출력라인과 연결되고 그라운드를 잇는 제1다이오드(D1)와, 제1콘덴서(C1)의 출력을 전송하는 제2다이오드(D2)와, 제2다이오드(D2)에 연결되고 그라운드를 잇는 제2콘덴서(C2)와, 제2다이오드(D2)의 출력과 동작전원으로 인가된 논리값을 부정의 논리곱으로 연산하여 시스템의 제어부(30)에 출력하는 제2난드게이트(NAND GATE)(2)와, 제2다이오드(D2)와 연결되고 그라운드를 잇는 제2저항(R2)으로 이루어진다. 제1,2저항(R1,R2)은 신호가 정해진 루트로 유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위칭부(3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치감지신호에 의해 소정의 제어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34)와, 히터(50) 및 송풍모터(40)가 격리되도록 도전성절연을 하고 상기 제어전압에 의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35)와,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히터(50) 또는 송풍모터(40)를 동작시키는 트라이악(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를 동작시키기 위해 드라이어의 손잡이의 소정 일측부분에 위치한 전원스위치(20)의 접점을 연결시켜 전원부(1)의 상용전원이 공급된 운전준비상태의 운전모드를 만든다(S10). 이때, 헤어 드라이어는 정지상태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하기 위해 잡으면 사용자의 손과 터치부(31)가 서로 접촉되어 그 부위에서 정전유도 현상에 의한 소정의 전기성 전하가 발생되고(S20), 항상 감지상태에 있는 터치감지부(32)는 그 전하가 감지될 때까지 검출을 계속한다.
터치감지부(32)에 상기와 같은 전하가 감지되면 그 전하는 하나의 신호로서 인식되어 논리적인 처리과정을 거치고, 결국 그 전하는 전기적인 터치감지신호로 출력된다. 스위칭부(30)에서는 상기 터치감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관찰하다가 터치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히터(50)와 송풍모터(40)를 구동하는 명령을 만들어 보낸다(S40).
여기서, 상기 터치감지부(32)의 회로적 동작을 성세하게 설명하면 도 4와 같이, 동작전원(Vcc)이 인가되어 시스템의 동작을 일으키도록 한 운전모드에서 손(인체)과 상기 도전성 터치부(10)로 부터 발생하는 정전유도 현상에 의해 전하가 대전된 하이(HIGH)신호가 제1난드게이트(1)에 인가되면 그 난드게이트(1)는 상기 동작전원과 부정 논리곱으로 연산하여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그 로우신호는 제1콘덴서(C1)에 입력되어 주파수 성분이 제거되고, 다시 제2다이오드(D2)에서 신호의 진행방향이 결정된다. 이렇게 전달된 상기 로우신호는 제2난드게이트(2)에 입력된 후 상기 동작전원과 부정 논리곱으로 연산되어 하이신호로 출력된다. 이 하이신호를 소위 터치감지신호라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33)의 회로적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와 같다. 상기 터치감지신호인 하이신호가 입력되면 트랜지스터(34)가 도통이 되어 소정의 제어전압을 포토 커플러(35)에 공급한다. 그러면 포토 커플러(35)는 발광소자에서 빛을 발산하고 그 빛을 수광소자에서 받는 동작을 하는데, 수광소자가 빛을 받으면 특정의 높은 전압인 구동명령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발광과 수광소자 사이에는 전기적인 절연이 되어 있다. 이 구동명령은 양방향 스위칭소자인 트라이악(36)을 동작시켜 상기 상용전원을 히터(50) 및 송풍모터(40)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히터(50)는 온도가 상승하고, 그에 의해 더워진 공기를 송풍모터(40)에서 바람으로 만들고 이를 사용자의 머리카락 건조에 쓴다(S50).
한편 상기 스위칭부(33)는 시스템의 난이도에 따라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기도 한다. 그 제어부는 상기 터치감지신호를 받아 해당 기능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명령을 스위칭부(33)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스위칭부(33)는 도 4와 같이 상용전원을 히터(50) 및 송풍모터(40)에 제공되도록 제어명령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헤어 드라이어를 사용할려고 손잡이부분을 잡으면 터치부와 손의 접촉에 의해 곧 바로 히터와 송풍모터가 동작되어 원하는 더운 바람을 쉽게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리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가가 있다.

Claims (8)

  1. 다수개의 부하를 갖는 헤어 드라이어에 있어서;
    상기 부하의 전원공급을 개폐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와 상기 부하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자에 의한 접촉여부에 따라 상기 부하에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보조스위칭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위칭수단은
    인체와 도전성 접촉물을 갖는 터치부;
    상기 터치부로 부터의 전기성 전하를 감지하여 터치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터치감지부;
    상기 터치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터치감지신호에 의해 소정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
    상기 부하가 격리되도록 도전성절연을 하고, 상기 전압에 의해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포토 커플러;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부하의 전압공급을 스위칭하는 트라이악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터치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부하에 해당기능의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는 상기 부하의 동작기능에 상응하는 갯수만큼 각각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부하의 갯수만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하를 갖는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어 드라이어에의 전원공급을 제1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부하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2스위칭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에 따른 공급전원에 의해 상기 부하가 동작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헤어 드라이어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2스위칭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접촉하는 단계;
    상기 접촉에 대한 터치감지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감지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기 부하를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신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상기 부하를 스위칭하는 단계에 상기 부하들을 상기 터치감지신호로 부터 절연하는 단계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드라이어 제어방법.
KR1019970035948A 1997-07-29 1997-07-29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2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948A KR19990012533A (ko) 1997-07-29 1997-07-29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948A KR19990012533A (ko) 1997-07-29 1997-07-29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533A true KR19990012533A (ko) 1999-02-25

Family

ID=6604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948A KR19990012533A (ko) 1997-07-29 1997-07-29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83B1 (ko) * 2008-04-18 2010-10-07 (주)언일전자 헤어 드라이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283B1 (ko) * 2008-04-18 2010-10-07 (주)언일전자 헤어 드라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2449B2 (en) Dryer/blower appliance with efficient waste heat dissipation
JPH05235733A (ja) 容量性オン/オフスイッチを有するパーソナルケア装置
US5434946A (en) Hair dryer with continuously variable heat intensity and air flow speed
TWI527373B (zh) 具過載保護與節能機制的電源傳輸裝置
JP2004500681A5 (ko)
TWI270910B (en) Electronic switching device using non-interrupt voltage modulation switch
TWI580183B (zh) 開關裝置及具有該裝置之負載控制系統
EP0524708B1 (en) Personal-care apparatus comprising a capacitive on/off switch
US20050109752A1 (en) Heating device with flexible heating body
JPH0433602A (ja) ドライヤ
US6397003B1 (en) Hot air-blower off-state residual heat preventive control circuit
KR19990012533A (ko) 헤어 드라이어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2232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KR200236565Y1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전원콘센트
KR200305221Y1 (ko) 온열 장치의 온도 조절기
KR940005033Y1 (ko) 에어콘의 히터 보호회로
JP3150873B2 (ja) 電圧監視装置
KR102356168B1 (ko) 일체형 에어컨 제품의 대기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US20220381852A1 (en) Load control device having miswire detection
KR0138449Y1 (ko) 모발 건조기의 안정화 회로
KR100211164B1 (ko) 가습기의 전력 제어 회로
JPH0728661Y2 (ja) リレー駆動回路
JP3055363B2 (ja) コードレスアイロン
KR920003471B1 (ko) 더블 전자렌지 구동회로
JP2000188537A (ja) 電子的タッチ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