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405U - 보조 소음기 - Google Patents

보조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405U
KR19990012405U KR2019970025504U KR19970025504U KR19990012405U KR 19990012405 U KR19990012405 U KR 19990012405U KR 2019970025504 U KR2019970025504 U KR 2019970025504U KR 19970025504 U KR19970025504 U KR 19970025504U KR 19990012405 U KR19990012405 U KR 19990012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xhaust pipe
casing member
noise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휘년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5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405U/ko
Publication of KR19990012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405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고/저주파수 영역대에서 효과적으로 소음을 방음시킬 수 있도록 된 소음기에 대해 개시한다. 이 보조소음기(50)는 밀폐공간을 가지며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가이드하는 배기파이프(60)가 관통설치되는 케이싱부재(55)와, 케이싱부재의 내부와 접하는 배기파이프의 내벽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70)를 구비하여서,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되면서 배기파이프의 통로를 확장/축소시키도록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케이싱부재의 내부와 접하는 배기파이프에는 복수의 관통공(61)이 형성되어 있고, 케이싱부재의 밀폐공간에는 관통공을 통해 밀폐공간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경감시키도록 글래스울(51)이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조소음기(50)는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영역이 고/저주파영역으로 분포됨에도 불구하고, 케이싱부재(55) 내의 글래스울(51)로 인해 소음이 저감되고,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70)가 탄성변형되면서 배기파이프(60)의 통로를 개폐시키므로써 고/저주파영역에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Description

보조 소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되는 배기량에 따라 저주파영역 및 고주파영역에서 선택적으로 효과적으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보조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장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다기관(10)과 연결되는 보조소음기(20)와 메인소음기(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소음기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고 음파반사나 공명(共鳴)현상을 이용하여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도록 작동된다.
보조소음기는 통상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의 케이싱부재(25)에 배기파이프(40)가 관통되고, 케이싱부재(25)내부에 접하는 배기파이프(40)에 복수의 관통공(41)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보조소음기(20)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배기가스는 배기파이프(40)를 통과하면서 관통공(41)을 통해 케이싱부재(25)의 팽창공간으로 배기되어 압력 및 소음이 저감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보조 소음기(20)는 배기량 차이 예컨대,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 따라 방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특히 배기파이프(40)는 일정한 직경으로 됨으로써 공회전과 같이 배기량이 적을 때 저주파영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저주파영역 또는 고주파영역에서 선택적으로 대응하여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된 보조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배기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2는 종래 보조소음기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소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고안 보조소음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보조 소음기51 : 글래스울(glass wool)
55 : 케이싱부재60 : 배기파이프
61 : 관통공70 : 탄성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보조소음기는 밀폐공간을 가지며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가이드하는 배기파이프가 관통설치되는 케이싱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부와 접하는 배기파이프의 내벽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되면서 배기파이프의 통로를 확장/축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부와 접하는 배기파이프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부재의 밀폐공간에는 관통공을 통해 밀폐공간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경감시키도록 글래스울이 충전되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보조 소음기는 배기파이프의 통로내에 압력변화에 따라 통로를 개폐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공회전과 같은 저속에서 발생하는 저주파영역의 소음은 탄성부재의 축관효과에 의해서 저감되게 되고, 고압의 배기가스가 토출되는 고속회전시의 고주파영역의 소음은 탄성부재에 의해서 통로가 개방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소음기(50)를 나타낸 도3을 참조하면, 이는 통형의 케이싱부재(55)에 엔진의 배기다기관(도1참조)과 연결되는 배기파이프(60)가 관통되고, 케이싱부재(55)의 내부에 접하는 배기파이프(60)에 복수의 관통공(61)이 형성되며, 케이싱부재(55) 내부에는 글래스울(glass wool;51)이 충전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부재(55)의 내부와 접하는 배기파이프(60)의 내벽에는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탄성변형가능한 탄성부재(70)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보조소음기(50)에 있어서,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고압의 배기가스는 배기파이프(60)를 통과하면서 관통공(61)을 통해 케이싱부재(55)의 공간으로 배기되어 압력이 일차적으로 저하되고 글래스울(51)에 의해 소음이 저감된다.
한편, 고속주행시 예컨대 엔진의 회전수가 클 때 배기가스의 압력이 커지게 되지만, 이때 배기가스의 압력으로 탄성부재(7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점선부분) 탄성변형되면서 통로를 개방하여 글래스울(51)과 함께 고주파영역의 소음을 저감시킨다.
또한, 저속주행시 예컨대 공회전시에서와 같이 엔진의 회전수가 작을 때 배기가스의 압력이 작아지게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실선) 탄성부재(70)가 배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저주파영역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소음기(50)는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영역이 고/저주파영역으로 분포됨에도 불구하고, 케이싱부재(55) 내의 글래스울(51)로 인해 소음이 저감되고,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70)가 탄성변형되면서 배기파이프(60)의 통로를 개폐시키므로써 고/저주파영역에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킨다.

Claims (3)

  1. 밀폐공간을 가지며 엔진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가이드하는 배기파이프가 관통설치되는 케이싱부재와,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부와 접하는 배기파이프의 내벽에 일단이 고정설치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서,
    상기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변형되면서 배기파이프의 통로를 확장/축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의 내부와 접하는 배기파이프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소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부재의 밀폐공간에 관통공을 통해 밀폐공간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을 경감시키도록 글래스울이 충전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소음기.
KR2019970025504U 1997-09-09 1997-09-09 보조 소음기 KR199900124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504U KR19990012405U (ko) 1997-09-09 1997-09-09 보조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504U KR19990012405U (ko) 1997-09-09 1997-09-09 보조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405U true KR19990012405U (ko) 1999-04-06

Family

ID=6968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504U KR19990012405U (ko) 1997-09-09 1997-09-09 보조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40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668B1 (ko) * 2000-10-23 2003-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파이프 구조
KR20040035347A (ko) * 2002-10-22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파이프의 축확관장치
KR20190118299A (ko) 2018-04-10 2019-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촉매 일체형 소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668B1 (ko) * 2000-10-23 2003-0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파이프 구조
KR20040035347A (ko) * 2002-10-22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파이프의 축확관장치
KR20190118299A (ko) 2018-04-10 2019-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촉매 일체형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237B1 (ko) 자동차용 배기 소음 억제 장치
KR100367668B1 (ko) 배기파이프 구조
KR19990012405U (ko) 보조 소음기
KR19990083561A (ko) 리프팅피스톤의내연기관
KR100242084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KR100321361B1 (ko) 자동차의 배기음 저감장치
CN109519253B (zh) 一种消音器
KR20040050272A (ko) 소음 감쇄 주파수 가변용 전치 소음 장치
KR19990021477A (ko) 차량용 머플러
KR20040037922A (ko) 머플러의 충격파 소음 감쇄장치
KR100501450B1 (ko) 가변 배기 파이프의 구조
KR200216155Y1 (ko) 머플러의 가변형 배기밸브장치
KR100325741B1 (ko) 차량용 배기가스 흐름조절용 공명소음기
KR100868206B1 (ko) 차량용 가변 머플러
KR200142455Y1 (ko) 자동차의 부소음기 구조
KR20030008064A (ko) 저소음 튜닝머플러
KR19990013873U (ko) 소음기
KR200149120Y1 (ko) 자동차배기장치의주소음기
KR100999057B1 (ko) 차량용 배기 소음 장치
KR100372106B1 (ko) 내연기관용 머플러의 밸브
KR100293787B1 (ko) 자동차 소음기의 구조
KR100197338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SU1346829A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глушитель шума
KR20000003461U (ko) 소음기의 배압저감장치
KR200146418Y1 (ko) 외부 소음 저감형 소음기 언더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