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873U - 소음기 - Google Patents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873U
KR19990013873U KR2019970027187U KR19970027187U KR19990013873U KR 19990013873 U KR19990013873 U KR 19990013873U KR 2019970027187 U KR2019970027187 U KR 2019970027187U KR 19970027187 U KR19970027187 U KR 19970027187U KR 19990013873 U KR19990013873 U KR 19990013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pipe
expansion space
fixed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석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7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873U/ko
Publication of KR19990013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873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고/저주파수 영역대에서 효과적으로 소음을 방음시킬 수 있도록 된 소음기에 대해 개시한다. 이 소음기는 밀폐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격벽(41)(42)으로 적어도 3개의 팽창공간(45, 46, 47)을 형성하는 케이싱부재(40)와, 엔진의 배기다기관과 연결되고 케이싱부재의 일측면(43) 및 제 1, 2 격벽(41, 42)에 고정지지되어 배기가스를 제 1 팽창공간(45)에 공급하는 메인파이프(50)와, 제 1, 2 격벽에 고정지지되고 제 1 팽창공간의 배기가스를 제 3 팽창공간(47)으로 가이드하는 연결파이프(60)와, 제 1, 2 격벽 및 케이싱부재의 타측면(44)에 고정지지되어 제 3 팽창공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가이드하는 테일 파이프(70)와, 제 3 팽창공간에 마련되고 테일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파이프(80)와, 이동파이프에 고정되며 연결파이프로부터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작동플레이트(81)와, 작동플레이트를 제 1 격벽에 탄지시키는 스프링부재(82)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소음기(40)는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영역이 고/저주파영역으로 분포됨에도 불구하고,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이동파이프(80)의 길이가 가변되므로 고/저주파영역에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시킨다.

Description

소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되는 배기량에 따라 저주파영역 및 고주파영역에서 선택적으로 효과적으로 방음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장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다기관(10)과 연결되는 보조소음기(20)와 메인소음기(3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소음기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고 음파반사나 공명(共鳴)현상을 이용하여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도록 작동된다.
소음기는 통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의 케이싱부재(36)에 복수의 격벽(31)(32)이 설치되고 각 격벽(31)(32) 사이에 복수의 팽창공간(37, 38, 39)이 형성되며, 엔진의 배기가스를 제 1 팽창공간(39)에 공급하는 메인 파이프(33)와, 제 1 팽창공간(39)에 공급된 배기가스를 제 2 팽창공간(37)으로 가이드하는 연결파이프(34)와, 제 2 팽창공간(37)에서 팽창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테일파이프(tail pipe; 35)를 구비한다. 또한, 각 팽창공간에는 흡음을 위한 글라스울(glass wool; 미도시)이 충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소음기는 각 파이프(33, 34, 35)가 각 격벽(31)(32)에 고정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배기량 차이에 따라 방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한다. 예컨대, 파이프의 길이가 저주파영역에 유리하게 설치된 경우 고주파영역의 소음은 효과적으로 감쇠시키지 못하게 된다. 또한, 파이프의 길이가 고주파영역에 유리하게 설치된 경우 저주파영역의 소음은 효과적으로 감쇠시키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저주파영역 또는 고주파영역에서 선택적으로 대응하여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도록 된 소음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기장치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소음기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 소음기의 채용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케이싱부재41, 42 : 제 1, 2 격벽
50 : 메인파이프60 : 연결파이프
70 : 테일파이프80 : 이동파이프
81 : 작동플레이트82 : 스프링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소음기는 밀폐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격벽으로 적어도 3개의 팽창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재와,
엔진의 배기다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부재의 일측면 및 제 1, 2 격벽에 고정지지되어 배기가스를 제 1 팽창공간에 공급하는 메인파이프와,
상기 제 1, 2 격벽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제 1 팽창공간의 배기가스를 제 3 팽창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제 1, 2 격벽 및 상기 케이싱부재의 타측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제 3 팽창공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가이드하는 테일 파이프와,
상기 제 3 팽창공간의 배기가스 압력에 따라 상기 테일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제 3 팽창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테일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파이프와, 상기 이동파이프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파이프로부터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상기 제 1 격벽에 탄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소음기는 테일 파이프에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탄력적으로 이동되는 이동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저주파영역 및 고주파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40)를 나타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밀폐공간을 가지며 제 1, 2 격벽(41)(42)으로 제 1, 2, 3 팽창공간(45, 46, 47)을 형성하는 케이싱부재(40)와, 엔진의 배기다기관(미도시)과 연결되고 케이싱부재(40)의 일측면(43) 및 제 1, 2 격벽(41, 42)에 고정지지되어 배기가스를 제 1 팽창공간(45)에 공급하는 메인파이프(50)와, 제 1, 2 격벽(41, 42)에 고정지지되고 제 1 팽창공간(45)의 배기가스를 제 3 팽창공간(47)으로 가이드하는 연결파이프(60)와, 제 1, 2 격벽(41, 42) 및 케이싱부재(40)의 타측면(44)에 고정지지되어 제 3 팽창공간(47)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가이드하는 테일 파이프(70)와, 제 3 팽창공간(47)의 배기가스 압력에 따라 테일파이프(70)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가변수단은 제 3 팽창공간(47)에 마련되고 테일파이프(7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파이프(80)와, 이 이동파이프(80)에 고정되며 연결파이프(60)로부터 제 3 팽창공간(47)으로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작동플레이트(81)와, 이 작동플레이트(81)를 제 1 격벽(41)에 탄지시키는 스프링부재(82)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음기(4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엔진으로 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메인파이프(50)를 통해 제 1 팽창공간(45)으로 공급되어 1차적으로 압력이 떨어지게 되고, 연결파이프(60)를 통해 제 3 팽창공간(47)으로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작동플레이트(81)에 작용하여 이동파이프(80)를 테일 파이프(70)내에서 이동시킨다.
이때 제 3 팽창공간(47)으로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크면 이동파이프(80)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테일파이프(70)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게 되며, 압력이 작으면 이동파이프(80)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테일파이프(70)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여기서 고속주행시 예컨대 엔진의 회전수가 클 때 배기가스의 압력이 커지게 되지만, 이때 배기가스의 충격을 스프링부재(82)로 완충시키면서 이동파이프(80)의 이동거리가 길어져 테일파이프(70)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짧아지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선(100)에서와 같이 고주파영역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시킨다.
또한, 저속주행시 예컨대 엔진의 회전수가 작을 때 배기가스의 압력이 작아지게 되면 이동파이프(80)의 이동거리가 짧아져 테일파이프(70)로부터 돌출된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선(110)에서와 같이 저주파영역대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기(40)는 고속주행 및 저속주행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소음영역이 고/저주파영역으로 분포됨에도 불구하고, 배기가스의 압력에 따라 이동파이프(80)의 길이가 가변되므로 고/저주파영역에서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음시킨다.

Claims (2)

  1. 밀폐공간을 가지며 적어도 2개의 격벽으로 적어도 3개의 팽창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부재와,
    엔진의 배기다기관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부재의 일측면 및 제 1, 2 격벽에 고정지지되어 배기가스를 제 1 팽창공간에 공급하는 메인파이프와,
    상기 제 1, 2 격벽에 고정지지되고 상기 제 1 팽창공간의 배기가스를 제 3 팽창공간으로 가이드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제 1, 2 격벽 및 상기 케이싱부재의 타측면에 고정지지되어 상기 제 3 팽창공간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가이드하는 테일 파이프와,
    상기 제 3 팽창공간의 배기가스 압력에 따라 상기 테일파이프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가변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제 3 팽창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테일파이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파이프와, 상기 이동파이프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파이프로부터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작동플레이트와, 상기 작동플레이트를 상기 제 1 격벽에 탄지시키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KR2019970027187U 1997-09-30 1997-09-30 소음기 KR199900138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187U KR19990013873U (ko) 1997-09-30 1997-09-30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187U KR19990013873U (ko) 1997-09-30 1997-09-30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873U true KR19990013873U (ko) 1999-04-26

Family

ID=6969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187U KR19990013873U (ko) 1997-09-30 1997-09-30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87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6850A1 (en) Exhaust muffling device
JP2007205275A (ja) 消音器
KR19980049083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9990013873U (ko) 소음기
KR19990083561A (ko) 리프팅피스톤의내연기관
KR100242084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KR2003079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488570B1 (ko) 가변 공명실을 가진 머플러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146418Y1 (ko) 외부 소음 저감형 소음기 언더 커버
KR19990012405U (ko) 보조 소음기
JPS62291413A (ja) 排気消音器
KR100360911B1 (ko) 사이드 브랜치가 형성된 머플러의 배기소음 저감장치
KR200142455Y1 (ko) 자동차의 부소음기 구조
KR100288234B1 (ko) 내연기관의 소음기
KR20180117789A (ko) 자동차용 소음기
JPS6337467Y2 (ko)
KR100868206B1 (ko) 차량용 가변 머플러
RU2117777C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пуск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9990024936A (ko) 소음기
KR20000060181A (ko) 내연기관의 소음기
KR100362416B1 (ko) 자동차용 배기 시스템의 소음기
KR19990021478A (ko) 차량용 머플러
KR19980046082A (ko) 갑섭과 팽창을 동시 이용한 소음기구조
KR100340104B1 (ko) 엔진의 아이들 구동시의 저주파 부밍소음 저감을 위한머플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