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438U -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438U
KR19990011438U KR2019970024792U KR19970024792U KR19990011438U KR 19990011438 U KR19990011438 U KR 19990011438U KR 2019970024792 U KR2019970024792 U KR 2019970024792U KR 19970024792 U KR19970024792 U KR 19970024792U KR 19990011438 U KR19990011438 U KR 199900114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wire
wiper blade
windshield glas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7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창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47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438U/ko
Publication of KR199900114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438U/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항상 적합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5)가 와이퍼 암(4)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윈드실드 글래스에 접촉되는 구조로 된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6)의 일측선단에 연결되어 와이퍼 암(4)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21)와; 상기 와이퍼 암(4)을 동작시키는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2)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21)를 당김동작 하여 와이어(21)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6)의 탄성력을 변화시키는 텐션조절 수단(20)과; 윈드실드 글래스의 청결 상태를 관측하는 오염감지 센서(30)와; 상기 오염감지 센서(30)를 통해 감지되는 글래스의 청결 상태에 따라 상기 텐션조절 수단(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을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항상 적합한 압력으로 접촉 되어지게 됨으로써, 윈드실드 글래스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어 운전자의 시계가 안정적으로 확보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본 고안은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항상 적합한 압력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Adjusting Device for Squeezed Pressure the Wiper blade)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와이퍼는 비나 눈이 내릴때 또는 글래스에 이물질이 묻었을 경우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이같은 종래의 와이퍼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기능 스위치(도시하지 않음)의 조작에 따라 구동하는 와이퍼 모터(1)와, 상기 와이퍼 모터(1)에 연결되는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2)와, 상기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2)에 체결되는 와이퍼 암 헤드 캡(3)과, 상기 와이퍼 암 헤드 캡(3)과 힌지축(7)에 의해 결합되면서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2)의 회전동작과 동시에 연동하는 와이퍼 암(4)과, 상기 와이퍼 암(4)의 선단에 부착되어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를 닦아주는 와이퍼 블레이드(5)와, 힌지축(7)과 와이퍼 블레이드(5)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되면서 와이퍼 암(4)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5)를 차량의 윈드실드 글래스면에 접촉시키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6)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와이퍼는 스프링(6)의 양측이 와이퍼 블레이드(5)의 일측 끝단부와 힌지축(7)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으므로, 와이퍼를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6)이 이완되어 탄성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5)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적합한 압력으로 접촉되지 않아 와이퍼가 작동하여도 윈드실드 글래스가 깨끗이 닦여지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윈드실드 글래스가 깨끗이 닦여지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는 시야가 불량한 상태로 운행하게 되어 심리적 불안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며, 조그마한 손상에도 불구하고 와이퍼를 빈번히 교체 하여야 하는 비 경제적인 폐단이 지적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윈드실드 글래스의 청결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항상 적합한 압력으로 접촉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와이퍼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와이퍼 모터, 2: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 3: 와이퍼 암 헤드 캡, 4: 와이퍼 암, 5: 와이퍼 블레이드, 6: 스프링, 7: 힌지축, 10: 삽입홈, 20: 텐션조절 수단, 21: 와이어, 22: 풀리, 23: 텐션조절 모터, 24: 출력축, 30: 오염감지 센서, 40: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윈드실드 글래스에 접촉되는 구조로 된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측선단에 연결되어 와이퍼 암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퍼 암을 동작시키는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당김동작 하여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변화시키는 텐션조절 수단과; 윈드실드 글래스의 청결 상태를 관측하는 오염감지 센서와; 상기 오염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글래스의 청결 상태에 따라 상기 텐션조절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는 와이퍼 암(4)의 내측에 설치되어 일측 끝단이 와이퍼 블레이드(5)에 고정되는 스프링(6)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6)의 타측 끝단에는 와이어(21)가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21)를 당김동작 하는 텐션조절 수단(20)이 구비되며, 상기 텐션조절 수단(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윈드실드 글래스의 청결 상태를 관측하는 오염감지 센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6)은 와이퍼 암(4)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은 와이퍼 블레이드(5)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임의의 힘이 가해질 경우 탄성력이 변화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1)는 상기 스프링(6)의 고정되지 않은측 끝단에 연결되며 와이퍼 암(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0)을 통해 와이퍼 암(4)의 외측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텐션조절 수단(20)은 상기 와이퍼 암(4)을 동작시키는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2)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텐션조절 모터(23)와 풀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풀리(22)는 상기 텐션조절 모터(23)의 출력축(24)에 연결되어 회동하는 것으로, 상기 풀리(22)에는 상기 와이퍼 암(4)의 외측으로 인출된 와이어(21)가 권취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텐션조절 모터(23)의 구동에 의해 상기 풀리(22)가 회동하면서 상기 와이어(21)를 권취하여 상기 스프링(6)의 탄성력이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윈드실드 글래스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한 오염감지 센서(30)가 룸 미러의 후면부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시야와 동일한 각도에서 윈드실드 글래스의 청결 상태를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염감지 센서(3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텐션조절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가 구비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우천시 또는 윈드실드 글래스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기능 스위치를 온(ON)시키면, 상기 다기능 스위치의 온(ON)동작에 따라 와이퍼 모터(1)가 구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오염감지 센서(30)는 윈드실드 글래스의 청결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오염감지 센서(30)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입력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40)에 윈드실드 글래스가 오염되어 있다는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텐션조절 모터(23)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텐션조절 모터(23)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텐션조절 모터(23)의 출력축(24)에 연결되어 있는 풀리(22)가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풀리(22)에 일부가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21)가 상기 풀리(22)의 회동에 의해 더 많이 권취되게 된다. 상기 와이어(21)가 권취되면서 상기 와이어(2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6)은 상기 와이어(21)의 권취동작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상기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는 와이퍼 블레이드(5)는 상기 스프링(6)의 탄성력 증가에 의해 윈드실드 글래스에 밀착하게 되어 윈드실드 글래스가 깨끗하게 닦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가 윈드실드 글래스에 항상 적합한 압력으로 접촉 되어지게 됨으로써, 윈드실드 글래스가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어 운전자의 시계가 안정적으로 확보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효과로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모터에 의하여 조절 함으로써, 오랜 기간 사용으로 인한 스프링의 빈번한 교체가 방지되는 것이다.

Claims (3)

  1.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윈드실드 글래스에 접촉되는 구조로 된 와이퍼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일측선단에 연결되어 와이퍼 암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퍼 암을 동작시키는 와이퍼 모터 링크 로드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를 당김동작 하여 와이어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변화시키는 텐션조절 수단과; 윈드실드 글래스의 청결 상태를 관측하는 오염감지 센서와; 상기 오염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글래스의 청결 상태에 따라 상기 텐션조절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조절 수단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기 위해 회동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를 회동시키는 동력 발생부인 텐션조절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와이퍼 암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홈을 통해 와이퍼 암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KR2019970024792U 1997-08-30 1997-08-30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KR199900114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92U KR19990011438U (ko) 1997-08-30 1997-08-30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792U KR19990011438U (ko) 1997-08-30 1997-08-30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438U true KR19990011438U (ko) 1999-03-25

Family

ID=6967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792U KR19990011438U (ko) 1997-08-30 1997-08-30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43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301B1 (ko) * 2001-07-03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와이퍼의 부상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301B1 (ko) * 2001-07-03 200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와이퍼의 부상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1438U (ko)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조절장치
KR19980058687U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KR200160524Y1 (ko) 차속 감응형 와이퍼 장치
KR100680542B1 (ko) 와이퍼 장치
KR102241265B1 (ko) 이물질 제거 브러쉬가 구비된 차량용 와이퍼
KR100427382B1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12624B1 (ko) 자동 간헐식 와이퍼
KR0159334B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용 와이퍼 장치
KR200166687Y1 (ko) 와이퍼 암 장착 장치
KR19980034240U (ko) 시동 오프시 와이퍼 위치자동 조절장치
KR19980060974A (ko) 와이퍼 누름압 조절장치
KR100610959B1 (ko) 자동차 와이퍼 장치의 누름압 조절 시스템
KR19990021530A (ko) 와이퍼 블레이드 누름압 가변장치
KR980007730U (ko) 차량용 와이퍼 가변장치
KR19980064362U (ko) 자동 속도 조절 윈드 시일드 와이퍼
KR970005990A (ko) 와이퍼 통합 제어 장치
KR19980041256A (ko) 자동차의 전방도아유리 와이퍼장치
KR19990016223U (ko) 와이퍼 누름압 가변 조절장치
KR19980049761A (ko) 자동차의 와이퍼 압력 가변 시스템
KR19980037674A (ko) 자동차의 와이퍼
KR20000043120A (ko) 차량에 장착되는 와이퍼 블래이드
JP2002187530A (ja) 車外バックミラー用ワイパー装置
JPS6164562A (ja) 自動車のワイパ−装置
KR19980055276A (ko) 자동차의 와이퍼 속도 가변장치
KR19980030960U (ko) 사이드 미러의 빗물 제거용 와이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