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013A -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013A
KR19990011013A KR1019970033946A KR19970033946A KR19990011013A KR 19990011013 A KR19990011013 A KR 19990011013A KR 1019970033946 A KR1019970033946 A KR 1019970033946A KR 19970033946 A KR19970033946 A KR 19970033946A KR 19990011013 A KR19990011013 A KR 19990011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power supply
engine
power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정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1019970033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013A/ko
Publication of KR19990011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013A/ko

Links

Landscapes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을 가동중단시킨 상태에서 조명용 램프를 계속 온시키더라도 일정시간 경과하면 밧데리의 소모를 차단하여 밧데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전원보호를 위한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명부의 스위치를 온시킨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을 끄더라도 전원부의 전원소모에 따른 전원부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은 조명부에 공급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의 온, 오프상태를 제 1 감지부에 의해 감지하고, 엔진부의 가동여부를 제 1 감지부에 의해 감지하여 이들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전원보호용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엔진부의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부의 전원이 조명부로 계속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을 가동중단시킨 상태에서 조명용 램프를 계속 온시키더라도 일정시간 경과하면 밧데리의 소모를 차단하여 밧데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전원보호장치 빛 그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의 운전자가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전조등이나 안개등과 같은 램프를 온시키고 또한 각종 계기판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램프를 온시킨 상태에서 운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명시스템은 조명용 램프를 갖는 조명부(11)와, 조명부(11)에 공급되는 전원부(13)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2)와, 스위칭부(12)의 온, 오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14)와, 감지부(14)의 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부(12)의 온, 오프상태를 표시부(16)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명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운전할 때에는 조명부(11)의 전조등 또는 각종 표시용 램프(도시 안됨)를 온시켜 전방부 또는 계기판을 조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램프에 해당하는 스위치부(12)의 스위치를 온시킨다.
이에 따라, 전원부(13)의 전원이 스위칭부(12)의 온상태인 스위치(도시 안됨)를 거쳐 조명부(11)의 해당 램프에 공급되고, 해당 램프, 즉 전조등이 전방을 조명하거나 방향지시등이 원하는 방향을 알리기 위해 깜박이거나 각종 계기판의 표시가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감지부(14)가 해당 스위치의 온상태를 감지하고 제어부(15)가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공급받아 표시부(16)에 해당 스위치의 온상태를 표시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여 주차하고 나면, 엔진을 끄고 또한 스위칭부(12)의 각종 스위치를 오프시켜 밧테리와 같은 전원부(13)의 전원이 더 이상 소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자가 스위칭부(12)의 해당 스위치를 온시켜 놓은 상태에서 엔진을 끄고 자동차 밖으로 나와 다른 용무를 장시간 처리하는 경우, 운전자가 스위치의 온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는 한 전원부(13)의 전원이 온상태인 스위치를 거쳐 조명부(11)의 해당 램프를 계속 온시킨다.
이로 인해, 전원부(13)의 전원이 장시간 전부 소모되고 나서 운전자가 다시 운전을 개시하기 위해 시동을 걸게 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아 자동차를 즉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명부의 스위치를 온시킨상태에서 자동차의 시동을 끄더라도 전원부의 전원소모에 따른 전원부 손상을 방지하도록 한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의 조명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호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조명부 12: 스위칭부 13: 전원부
14: 감지부 15: 제어부 16: 표시부
21: 조명부 22: 스위칭부 23: 전원부
24: 제 1 감지부 25: 엔진부 26: 제 2 감지부
27: 제어부 27a: 타이머 28: 표시부
29: 전원보호용 스위칭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은 조명부에 공급되는 전원부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의 온, 오프상태를 제 1 감지부에 의해 감지하고, 엔진부의 가동여부를 제 1 감지부에 의해 감지하여 이들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전원보호용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엔진부의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전원부의 전원이 조명부로 계속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스위칭부의 온상태인 스위치가 있더라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전원부의 전원이 더 이상 조명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원부의 전원 소모를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호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호장치는 조명용 램프를 갖는 조명부(21)와, 조명부(21)에 공급되는 전원부(23)의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들(도시 안됨)을 갖는 스위칭부(22)와, 스위칭부(12)의 스위치들의 온, 오프상태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24)와, 자동차 구동용 엔진부(25)와, 엔진부(25)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26)와, 제 1, 2 감지부(24),(25)의 감지신호에 따라 스위칭부(22)와 엔진부(25)의 상태를 표시부(26)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27)와, 제 1, 2 감지부(24),(25)의 감지신호에 따른 제어부(27)의 제어에 의해 전원부(23)의 전원을 스위칭부(22)로 공급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전원보호용 스위칭부(2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전원보호용 스위칭부(29)가 트랜지스터, 릴레이와 같은 전자식 스위치이고 제어부(27)의 내부에 타이머(27a)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보호장치를 이용한 전원보호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운전할 때에는 조명부(21)의 전조등 또는 각종 표시용 램프(도시 안됨)를 온시켜 전방부 또는 계기판을 조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램프에 해당하는 스위치부(22)의 스위치를 온시킨다. 물론, 전원보호용 스위칭부(29)가 평상시에는 온상태로 유지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이에 따라, 전원부(23)의 전원이 스위칭부(22)의 스위치들중 온상태인 스위치(도시 안됨)를 거쳐 조명부(21)의 해당 램프에 공급되고, 해당 램프, 즉 전조등이 전방을 조명하거나 방향지시등이 원하는 방향을 알리기 위해 깜박이거나 각종 계기판의 표시가 인식될 수 있게 된다.
이와 아울러, 제 1 감지부(24)가 해당 스위치의 온상태를 감지하고 제 2 감지부(26)가 엔진부(25)의 구동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27)에 전달하면, 제어부(27)는 표시부(26)에 해당 스위치의 온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엔진부(25)의 구동상태를 표시한다.
그런데, 엔진부(25)의 구동중인 상태가 제 2 감지부(26)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27)가 전원보호용 스위칭부(29)를 제어하여 온상태로 계속 유지시키나, 엔진부(25)가 구동중이지 않은 상태가 제 2 감지부(26)에 의해 감지되면, 제어부(27)가 내부의 타이머(27a)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의 경과후 전원보호용 스위칭부(29), 예를 들어 트랜지스터, 릴레이와 같은 전자식 스위치를 제어하여 오프시킨다. 여기서, 타이머(27a)의 조작에 따라 전원보호용 스위칭부(29)를 오프시키는 시간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하여 주차하고 나서, 엔진을 끄고 또한 스위칭부(22)의 각종 스위치를 온시켜 놓더라도 밧테리와 같은 전원부(23)의 전원이 더 이상 소모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원보호장치에서는 운전자가 스위칭부의 해당 스위치를 온시켜 놓은 상태에서 엔진을 끄고 자동차 밖으로 나와 다른 용무를 장시간 처리하는 경우, 운전자가 스위치의 온상태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전원보호용 스위칭부가 제어부에 의해 오프된다.
따라서, 전원부의 전원이 조명부에 공급되지 않으므로 전원부의 전원이 일정 시간동안만 소모되고 더 이상 소모되는 것이 방지되어 자동차의 시동불량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10)

  1. 조명용 램프를 갖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조명부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들을 갖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치들의 온, 오프상태를 감지하는 제 1 감지부;
    구동용 엔진부;
    상기 엔진부의 구동여부를 감지하는 제 2 감지부;
    상기 제 1, 2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와 상기 엔진부의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 1, 2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스위칭부로 공급하는 것을 차단하는 전원보호용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전원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보호용 스위칭부가 전원스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보호용 스위칭부가 트랜지스터 또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부의 구동중단 상태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가 이루어지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전원보호용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부의 구동중단 상태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가 이루어지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여부를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장치.
  6. 조명부에 전원부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들의 온, 오프 여부를 제 1 감지부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엔진부의 구동여부를 제 2 감지부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 1, 2 감지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전원보호용 스위칭부를 제어부에 의해 오프시켜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상기 온된 스위치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보호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보호용 스위칭부가 전원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보호용 스위칭부가 트랜지스터 또는 릴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부의 구동중단 상태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가 이루어지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되면, 상기 전원보호용 스위칭부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엔진부의 구동중단 상태와 상기 스위치의 온 상태가 이루어지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여부를 타이머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보호방법.
KR1019970033946A 1997-07-21 1997-07-21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KR199900110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946A KR19990011013A (ko) 1997-07-21 1997-07-21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946A KR19990011013A (ko) 1997-07-21 1997-07-21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013A true KR19990011013A (ko) 1999-02-18

Family

ID=6604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946A KR19990011013A (ko) 1997-07-21 1997-07-21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0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91B1 (ko) * 2002-07-03 2004-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전원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091B1 (ko) * 2002-07-03 2004-11-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 전원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1996B1 (ko) 차량용조명제어장치
US6051931A (en) Work lamp on-off control circuit
KR19990011013A (ko) 전원보호장치 및 그 보호방법
KR100727351B1 (ko) 주간 헤드 램프 점등 제어장치
KR0178919B1 (ko) 계기판 미등램프 자동소등장치
KR200151815Y1 (ko) 전동차용 전조등 원격 제어 장치
KR20000005259U (ko) 자동차용 조명 시스템
JPH0840139A (ja) 車両ライト制御装置
KR0137733Y1 (ko) 자동차 조명등 점소등 경보장치
KR0133753B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차폭등 자동 오프 장치
KR100350877B1 (ko) 팝업 헤드램프의 자동제어장치
KR0180312B1 (ko) 자동차의 전원 자동 차단장치
KR19990056689A (ko) 자동차의 자동 조명 장치
KR19980037390A (ko) 자동차의 전조등 체크장치
KR200252009Y1 (ko) 안개등자동점멸장치
KR100208595B1 (ko) 자동차의 미등점등 감지장치
KR19980026034A (ko) 차폭등 소등 경보장치
KR0151334B1 (ko) 자동차의 주간 헤드램프 점등시 자동 멜로디 경고음 장치
KR0121416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19990030462U (ko) 차량의 주간 헤드램프 온 방지장치
KR19980048231A (ko) 자동차의 라이트 전원장치
KR19980012160U (ko) 차량용 헤드램프 자동점멸장치
KR19980028425A (ko) 자동차의 등화램프제어장치
JPH09226452A (ja) 車両用ランプ制御装置
KR19980015816A (ko)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 온 /오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