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850A -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850A
KR19990010850A KR1019970033726A KR19970033726A KR19990010850A KR 19990010850 A KR19990010850 A KR 19990010850A KR 1019970033726 A KR1019970033726 A KR 1019970033726A KR 19970033726 A KR19970033726 A KR 19970033726A KR 19990010850 A KR19990010850 A KR 1999001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rear floor
canister
vehicle
flo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3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850A/ko
Publication of KR1999001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850A/ko

Links

Landscapes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의 후면 충돌 시에 연료탱크, 캐니스터 등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리어 플로어와 리어 플로어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부속품 등이 연료탱크와 캐니스터 쪽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므로 써 연료탱크 또는 캐니스터가 폭팔 되지 않도록 하여 승객 및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며, 연료 탱크 위쪽으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어 바디 크로스 멤버의 지지를 받고 리어 시트를 지지하여주는 수평부 및 수평부 뒤쪽에 연결되고 스페어 타이어 룸을 구비하여 소정 곡률의 곡면을 형성하고 후면 충돌시 위쪽으로 꺾이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에 관한 발명.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플로어(rear floor)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후면 충돌과 관련하여 리어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에 장착된 각종 부속품이 연료 탱크(fuel tank) 쪽으로 밀리지 않도록 하므로 써 연료탱크 등의 폭팔이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리어 플로어가 설치되어 있다. 리어 플로어는 차량의 후반부 바닥을 구성하는 부분으로 리어 시트(rear seat)를 지지하여주고, 연료 탱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주며 뒤쪽으로는 스페어 타이어 룸이 형성되어 있는 트렁크 바닥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리어 플로어의 뒤쪽 끝단에 보강 범퍼(bumper) 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리어 플로어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에는 리어 플로어(rear floor, 1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리어 플로어(12)의 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 되게 형성된 스페어 타이어 룸(spare tire room, 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어 타이어 룸(13)에 비상시에 사용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14)가 장착된다. 이러한 리어 플로어(12) 뒤쪽으로 보강범퍼(16)가 설치되고, 아래쪽으로는 메인 사일런서(main silencer, 18)가 배치된다.
리어 플로어(12) 하면 일측에는 바디 크로스 멤버(body cross member, 20)가 부착되어 있고, 바디 크로스 멤버(20)에는 연료탱크(22)를 지지하여 주기 위한 스트랩(strap, 24)이 연결되어 있다.
연료탱크(22) 뒤쪽에는 캐니스터(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니스터(26)는 소정의 관(28)을 통해 연료탱크(22)에 연결되어 연료탱크(22)에서 발생하는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여 연료탱크(22)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캐니스터(26) 아래쪽에는 섀시 크로스 맴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섀시 크로스 맴버(30)는 후면 충돌시 소정의 물체가 연료탱크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어 플로어 구조에서는 비록 섀시 크로스 맴버(30)가 설치되어 있지만 보다 큰 후면 충돌시 캐니스터(26) 후방에 있는 물체가 연료탱크(22) 및 캐니스터(26)에 충격을 가함으로 인해 연료탱크(22) 또는 캐니스터(26)가 폭팔 되거나 파손될 확률이 크다.
연료탱크(22) 또는 캐니스터(26) 폭팔 하거나 파손되면 차량이 전소될 우려가 있고,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도 매우 위험한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후면 충돌시에 연료탱크, 캐니스터 등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는 리어 플로어와 리어 플로어에 부착되어 있는 각종 부속품 등이 연료탱크와 캐니스터 쪽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하므로 써 연료탱크 또는 캐니스터가 폭팔되지 않도록 하여 승객 및 차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어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리어 플로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 : 리어 플로어 112a : 수평부
112b : 만곡부 113 : 스페어 타이어 룸
114 : 스페어 타이어 116 : 보강범퍼
118 : 메인 사일런서 120 : 바디 크로스 멤버
122 : 연료탱크 124 : 스트랩
126 : 캐니스터 130 : 섀시 크로스 멤버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스페어 타이어 룸을 갖는 트렁크 바닥을 형성하고, 트렁크 앞쪽 일측 하면에는 바디 크로스 멤버를 통해 연료 탱크가 부착되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연료 탱크 위쪽으로 대략 수평 하게 배치되어 바디 크로스 멤버의 지지를 받고 리어 시트를 지지하여주는 수평부 및 수평부 뒤쪽에 연결되고 스페어 타이어 룸을 구비하여 소정 곡률의 곡면을 형성하고 후면 충돌시 위쪽으로 꺾이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플로어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 리어 플로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리어 플로어(rear floor, 112)가 도시되어 있다. 이 리어 플로어(112)의 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 되게 형성된 스페어 타이어 룸(spare tire room, 1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어 타이어 룸(113)에 비상시에 사용하기 위한 스페어 타이어(114)가 장착된다. 이러한 리어 플로어(112) 뒤쪽으로 보강범퍼(16)가 설치되고, 아래쪽으로는 메인 사일런서(main silencer, 118)가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112)는 연료 탱크(122) 위쪽으로 대략 수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11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평부(112a)는 바디 크로스 멤버(120)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그 위쪽에 설치되는 리어 시트를 지지하여준다.
리어 플로어(112)의 수평부 뒤쪽에는 만곡부(112b)가 연결되어 있다. 이 만곡부(112b)는 스페어 타이어 룸(113)을 구비하고 있으며, 소정 곡률의 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만곡부(112b)는 차량의 후면 충돌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으로 꺾이게 하여 연료탱크(122)나 캐니스터(126)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만곡부(112b)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3차원 곡면을 이루고 있다. 이는 도 3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리어 플로어(112) 하면 일측에는 바디 크로스 멤버(body cross member, 120)가 부착되어 있고, 바디 크로스 멤버(120)에는 연료탱크(122)를 지지하여 주기 위한 스트랩(strap, 124)이 연결되어 있다.
연료탱크(122) 뒤쪽에는 캐니스터(12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니스터(126)는 소정의 관(128)을 통해 연료탱크(122)에 연결되어 연료탱크(122)에서 발생하는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하여 연료탱크(122) 내부의 압력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캐니스터(126) 아래쪽에는 섀시 크로스 맴버(1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섀시 크로스 맴버(130)는 후면 충돌시 소정의 물체가 연료탱크쪽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아준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리어 플로어 구조에서는 후면 충돌시 캐니스터(126) 후방에 있는 만곡부(112b)가 위쪽으로 꺾여지므로 써 연료탱크(122) 및 캐니스터(126)에 충격을 가하지 않게 되어 연료탱크(122) 또는 캐니스터(126)가 폭팔되거나 파손될 확률은 크게 줄어든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플로어 구조를 갖는 차량에서는 후면 충돌시 리어 플로어의 만곡부가 연료탱크나 캐니스터가 있는 앞쪽으로 밀리지 않고 위쪽으로 꺾여지게 되어 연료탱크나 캐니스터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준다.
이에 따라 캐니스터, 연료탱크 등의 폭팔에 의해 승객이나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곡부가 위쪽으로 꺾이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을 완충하여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플로어 구조가 적용된 차량은 그렇지 않은 차량에 비해 안전성이 우수하다.

Claims (2)

  1.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스페어 타이어 룸을 갖는 트렁크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트렁크 앞쪽 일측 하면에는 바디 크로스 멤버를 통해 연료 탱크가 부착되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료 탱크 위쪽으로 대략 수평 하게 배치되어 상기 바디 크로스 멤버의 지지를 받고 리어 시트를 지지하여주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 뒤쪽에 연결되고 상기 스페어 타이어 룸을 구비하여 소정 곡률의 곡면을 형성하고 후면 충돌시 위쪽으로 꺾이는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3차원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KR1019970033726A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KR19990010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726A KR19990010850A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726A KR19990010850A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850A true KR19990010850A (ko) 1999-02-18

Family

ID=6604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726A KR19990010850A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8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797B2 (en) Mounting bracket for rail mounted airbag inflator
US6938919B2 (en) Occupant leg protection system
JP4231008B2 (ja) 車両のブリーザパイプ保護構造
KR19990010850A (ko) 차량의 리어 플로어 구조
KR19980021615U (ko) 자동차의 리어 바디 구조
KR200157191Y1 (ko) 차량연료탱크의 측부에 장착된 캐니스터
JP7025723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構造
KR100475965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후방충격 방지구조
KR200149881Y1 (ko) 자동차의 후방 차체구조
KR19980040773U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KR100435283B1 (ko) 자동차용 리어크로스멤버
KR200147061Y1 (ko) 차량의 후부 차체 구조
KR19980059637A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KR0132855Y1 (ko) 범퍼의 사이드부 고정장치
KR100541497B1 (ko) 자동차의 차체구조
KR19980062949A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KR19980056669A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KR20030041305A (ko) 승용차의 후방충돌 보강구조
KR200152676Y1 (ko) 프론트 범퍼페시아 변형방지용 브라켓
KR0118285Y1 (ko) 자동차 후부차체구조
KR200156350Y1 (ko) 연료 주입 파이프의 취부구조
KR100747280B1 (ko) 후방 차체 보강구조
KR19990027402U (ko) 자동차 충돌시 스페어타이어 터짐장치
KR0133623Y1 (ko) 조수석 에어백 장착구조
KR19980042136U (ko) 자동차의 후방 하부 차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