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101A -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101A
KR19990010101A KR1019970032753A KR19970032753A KR19990010101A KR 19990010101 A KR19990010101 A KR 19990010101A KR 1019970032753 A KR1019970032753 A KR 1019970032753A KR 19970032753 A KR19970032753 A KR 19970032753A KR 19990010101 A KR19990010101 A KR 19990010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ixels
error
output determin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0944B1 (ko
Inventor
김지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2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0944B1/ko
Publication of KR19990010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0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0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화소수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화소중에 다수의 계조를을 점유하는 화소의 계조을 그 그룹의 색갈로 결정하고, 소수의 색갈을 에러처리한 후, 그 에러수를 다음 그룹에 가산하는 방법에 의하여, 화질의 저감없이도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구현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진화상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지정비율에 따라서 소정의 화소수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그룹핑단계와,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에서 그룹핑된 그룹을 2계조중의 하나의 색갈로 판단하는 출력결정단계와, 상기 출력결정단계에서 발생된 오차를 출력결정단계에서 결정되어야 할 다음 그룹에 더함으로써 출력이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소정의 화소수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루핑하여 화소중에 다수의 계조를 점유하는 화소의 계조를 그 그룹의 색갈로 결정하고, 소수의 색갈을 에러처리한 후, 그 에러수를 다음 그룹에 가산하는 방법에 의하여, 화질의 저감없이도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구현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의 프린팅 속도를 배가 시키고져 하는 경우나, 실제 화면의 크기를 축소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원래 화상보다 해상도를 축소시킬 필요가 존재한다.
종래에 이러한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으로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계조 화소로 표시되는 입력화상( 600 × 600 DPI)(10)을 변환장치를 통해서 2 화소당 단순히 하나의 화소를 제거시켜 출력화상( 300 × 300 DPI)(11)을 출력토록 함으로써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축소비율에 따라서 화소를 제거시킴으로써,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식은 알고리즘이 간단하여 하드웨어 구현시 장점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중간조 화상의 경우, 화상의 특성이 무시되어지는 경향이 크게되므로 결과적으로 화질이 저하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간에 의사(PSEUDO) 연속계조화상으로 변환한 후에 하는 방식이 채택되었다.
도 2는 종래의 해상도를 축소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2 계조의 600×600 DPI의 입력화상(21)을 평균값 처리를 하여 256계조의 600×600 DPI의 의사 연속계조화상(22)으로 변환한 후, 이 의사 연속계조화상(22)의 2개의 화소중 하나를 택함으로써 300×300 DPI의 256계조의 축소된 화상(23)을 얻게된다. 이를 300×300 DPI의 2계조 화상으로 변환처리하여 출력화상(24)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도 1에 표시된 방식의 이치화된 화소중의 하나를 단순히 제거하는 방식보다 중간조의 화소가 처리됨으로써 화상의 특성이 보존되어 화질을 개선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져 있어, 하드웨어적 구현에 상당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상도 축소를 위한 알고리즘을 단순하게 하면서도, 화질이 저하되지 않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해상도 축소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해상도를 축소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축소단계들을 표시하기 위한 플로챠트,
도 5a는 가로, 세로 50%식의 축소비율을 갖는 그룹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b는 가로33%, 세로 50%씩의 축소비율을 갖는 경우의 축소비율을 나타낸 예시도,
도 5c는 가로 50%, 세로 33%의 축소비율을 갖는 경우의 그룹핑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출력결정단계에서 결정하는 세부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그룹들의 출력결정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31: 메모리 32:그룹발생부
33:출력결정부 34: 에러저장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입력 이진화상 데이터와 출력 이진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이진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정된 비율에 따라서 그룹핑하는 그룹 발생부와, 상기 그룹발생부에서 그룹핑된 화소들을 2계조중의 하나의 계조로 결정하는 출력 결정부와, 상기 출력결정부에서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에러를 저장하고, 이를 그룹발생부에 전달하는 에러저장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이진화상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지정비율에 따라서 소정의 화소수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그룹핑단계와,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에서 그룹핑된 그룹을 2계조중의 하나의 색갈로 판단하는 출력결정단계와, 상기 출력결정단계에서 발생된 오차를 출력결정단계에서 결정되어야 할 다음 그룹에 더함으로써 출력이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특징을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31)에는 입력 이진화상 데이터가 입력되고, 메모리(31)에 저장된 입력 이진화상 데이터는 그룹 발생부(32)에서 지정된 비율에 따라서 그룹핑된다. 그룹발생부(32)에서 그룹핑된 화소들은 출력 결정부(33)에 보내져 흑, 백의 2계조중의 하나의 계조중의 하나로 결정된다. 출력 결정부(33)의 출력은 메모리(31)에 저장되거나 프린터엔진(35)에 보내져 프린팅을 수행하고, 출력결정시 발생된 에러는 에러저장부(15)에 저장되고, 에러저장부(15)에서 그룹발생부(32)로 보내져, 출력결정부(35)에서 결정될 다음 그룹에 에러를 가산하여 출력을 결정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축소단계들을 표시하기 위한 플로챠트이다.
메모리(31)에 이진 화상 입력데이터가 저장되고(S31), 이 저장된 이진 화상 입력데이터를 n개의 화소단위로 그룹을 형성하고(S32), 이 그룹의 출력을 결정하고(S33), 출력결정시 발생된 에러를 산출하여 다음 그룹에 에러를 전달하고(S33), 이러한 과정을 모든 그룹에 대하여 수행하였는 가를 판단한 후(35), 종결한다. 상기 그룹핑을 형성하는 단계(S32)는 도 5a,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a는 가로, 세로 50%식의 축소비율을 갖는 그룹핑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가로33%, 세로 50%씩의 축소비율을 갖는 경우의 축소비율을 나타낸 것이고, 도 5c는 가로 50%, 세로 33%의 축소비율을 갖는 경우의 그룹핑하는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은 출력결정단계에서 결정하는 세부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먼저, 그룹내의 흑, 백 화소수를 조사하고(S61), 흑, 백 화소수가 동일한 가를 판단하여(S62), 흑, 백 화소수가 동일하면 이전 그룹이 흑인가를 판단하고(S63), 흑이라면 현재그룹의 출력을 흑으로 출력하고, 에러를 백화소로 결정하고(S65), S63의 단계에서, 흑이 아니라면 현재 그룹의 출력을 백으로 하고, 에러를 흑의 화소로 결정한다(S66). 또한 S62단계에서 흑화소수가 백의 화소수와 같지 않다면 흑화소수가 백의 화소수보다 큰가를 판단하고(S64), 흑의 화소수가 백의 화소수보다 크다고 하면 현재그룹의 출력을 흑으로 출력하고, 에러를 현재 그룹내에 존재하는 백화소수로 결정하고(S67), S64단계에서 흑의 화소수가 백의 화소수보다 작다고 하면 현재 그룹의 출력을 백으로 하고, 에러를 현재그룹내의 흑의 화소수로 결정하는(S68)과정을 거치게 된다.
단, 단계 S63에서 현재 처리되고 있는 그룹이 한 라인의 첫 번째 그룹일 경우에는 출력을 백으로 결정하고 흑화소수를 에러로 지정한다. 그리고, 한라인의 첫 번째 그룹의 경우에는 에러를 전달받자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룹들의 출력결정과정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는 2조의 데이터를 4개의 화소단위로 그룹핑한 가로, 세로 50%씩의 축소비율을 갖는다. 또한 입력데이터는 3개의 흰색 화소와, 1개의 흑색 화소를 갖는 제 1 그룹과, 2개의 흰색화소와 2개의 흑색 화소로 이루어진 제 2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 1 그룹의 출력결정은 흰색화소수가 흑색 화소수보다 많기 때문에 흰색화소로 결정되고, 이 때 출력결정되기전 상태에서 흑색화소수가 하나인 상태에서 흑색화소로 결정되었기 때문에 에러는 흑색화소수 1로 결정된다. 이 에러 흑색화소수 1는 다음 그룹인 제 2 그룹에 가산되어 원래상태에서 흑색화소수 2개에서 3개로 변형됨으로써 도 7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 2 그룹의 출력결정은 도 7b의 상태가 흑의 화소수가 3개, 백의 화소수가 1개이므로 흑으로 결정되고, 에러를 백의 화소수 1로 결정하여 다음그룹에 가산한다. 이때의 결과는 도 7c와 같다.
이와 같은 출력과정을 연속되는 그룹에서 결정함으로써, 4개의 화소로 이루어진 그룹마다 하나의 대표되는 화소로 결정하게 함으로써, 축소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복잡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지원없이도 간단한 방법에 의해서 에러를 다음 그룹으로 이월(소위 `에러 디퓨젼`방식)시킴으로써, 화질의 손상없는 화면축소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진 화상의 해상도 축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진화상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소정의 화소수를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그룹핑단계;
    상기 그룹핑하는 단계에서 그룹핑된 그룹을 2계조중의 하나의 계조로 판단하는 출력결정단계: 및
    상기 출력결정단계에서 발생된 오차를 출력결정단계에서 결정되어야 할 다음 그룹에 더함으로써 다음 그룹의 출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의 해상도 축소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결정단계는
    상기 그룹내의 2계조의 화소수를 비교하는 화소수 비교단계;
    상기 화소수 비교단계에서 다수의 화소수를 상기 그룹의 계조로 결정하는 화소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의 해상도 축소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출력결정단계는
    상기 화소수 비교단계에서 소수의 화소수를 에러수로 판단하는 에러판단단계;
    상기 에러수를 상기 출력결정단계에서 결정될 다음 그룹에 더하는 에러가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 화상의 해상도 축소 방법.
  4. 입력 이진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입력 이진화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지정된 비율에 따라서 그룹핑하는 그룹 발생부;
    상기 그룹발생부에서 그룹핑된 화소들을 2계조중의 하나의 계조로 결정하는 출력 결정부; 및
    상기 출력결정부에서 출력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에러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그룹발생부에 전달하는 에러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진화상의 해상도 축소방법.
KR1019970032753A 1997-07-15 1997-07-15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100440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753A KR100440944B1 (ko) 1997-07-15 1997-07-15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753A KR100440944B1 (ko) 1997-07-15 1997-07-15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101A true KR19990010101A (ko) 1999-02-05
KR100440944B1 KR100440944B1 (ko) 2004-09-18

Family

ID=3735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753A KR100440944B1 (ko) 1997-07-15 1997-07-15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09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70B1 (ko) * 2005-09-15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Dct 계수를 이용한 얼굴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657343B1 (ko) * 2005-10-1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8067A (ja) * 1981-08-31 1983-03-05 Toshiba Corp 画信号処理方式
US4979049A (en) * 1989-06-01 1990-12-18 At&T Bell Laboratories Efficient encoding/decoding in the decomposition and recomposition of a high resolution image utilizing its low resolution replica
KR960014317B1 (ko) * 1993-07-24 1996-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해상도 변환 장치
US5734753A (en) * 1995-08-31 1998-03-31 Hewlett-Packard Company Partial pixel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NL1001788C2 (nl) * 1995-11-30 1997-06-04 Oce Tech Bv Werkwijze en beeldreproductie-inrichting voor het reproduceren van grijswaard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970B1 (ko) * 2005-09-15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Dct 계수를 이용한 얼굴 검출방법 및 장치
KR100657343B1 (ko) * 2005-10-19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0944B1 (ko) 2004-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296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y screening
US5835687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halftone images with random error diffusion dithering
US5339171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especially suitable for producing smooth-edged output multi-level tone data having fewer levels than input multi-level tone data
JPH0630244A (ja) 2値画像ビットマップの予備補償方法
JPH0865510A (ja) 誤差拡散方法、誤差拡散システム及び誤差生成方法
EP0781034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H11164146A (ja) 画像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処理方法
US4937677A (en) Method of enlarging/reducing dithered images
JPH11187264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H09186855A (ja) 高解像度画像を印刷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2033914A (ja) 濃淡画像の階調再現方法および装置
US60286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gray level pixel image to a binary level pixel image
US5742708A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perspective projection conversion
US6307647B1 (en) Digital halftoning with error diffusion
EP0735741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verting multi-gradated image data into binary image data
US7627188B2 (en) Error diffusion method and hardware architecture
JP4068181B2 (ja) マルチレベル階調画素値のレベル数減少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440944B1 (ko) 이진화상의 해상도를 축소시키는 방법 및 장치
US66284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which improves performance of gray scale image transformation
JPH08298598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H07334672A (ja) 画像処理装置
JPH0738767A (ja) 画像2値化処理装置
JP3581460B2 (ja) 画像処理方法とその装置
US6771392B1 (en) High resolution image mapping for simulating high resolution printing using high addressability without affecting halftone rendering
JPH1188693A (ja) 疑似階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