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841U -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 Google Patents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841U
KR19990008841U KR2019970021982U KR19970021982U KR19990008841U KR 19990008841 U KR19990008841 U KR 19990008841U KR 2019970021982 U KR2019970021982 U KR 2019970021982U KR 19970021982 U KR19970021982 U KR 19970021982U KR 19990008841 U KR19990008841 U KR 199900088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call
telephone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희호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21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841U/ko
Publication of KR19990008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841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발신자가 임의의 수신자와 통화를 하지 못했을 때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줌으로써 발신자에게 특정 수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된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DTMF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DTMF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전화번호 메모리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화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국선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화중음을 검출하기 위한 화중음검출부 및, 전화번호가 입력되게 되면 이를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저장함과 더불어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생성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화중음 검출부로부터 소정의 화중음 검출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자가 임의의 수신자와 통화를 하지 못했을 때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줌으로써 발신자에게 특정 수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된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 보급되어 있는 전화기는 그 기능이 복잡하고 서비스가 다양한 제품이 많이 나와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수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누르게 되면 이 전화번호를 메모리하여 두었다가 소정의 재발신키가 입력되게 되면 즉시 가장 최근에 입력된 전화번호를 근거로 해당 수신가입자에게 호출신호를 출력하는 재발신기능, 발신가입자가 전화기의 키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는 전화번호를 메모리하는 발신자 전화번호 메모리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전화기의 기능이 매우 편리하고 다양하지만, 발신자(사용자)가 임의의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었다가 해당 수신자와 통화하지 못하고 끊었을 때, 해당 수신자와 전화통화를 해야한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게 되면 발신자는 필요한 통화를 하지 못하게 되거나 오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발신자가 임의의 수신자와 통화를 하지 못했을 때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줌으로써 발신자에게 특정 수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된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접속단자 2 : 링신호감지부
3 : 링발생부 4 : 인터페이스회로
5 : 송수화기 6 : 스위치
7 : 네트워크회로 8 : 훅검출부
10 : 표시부 11 : 데이터메모리
12 : 제어부 13 : 키패드
14 :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발생회로
15 : 전화번호 메모리 16 : 화중음 검출부
17 : 발광부
BF1, BF2 : 양방향 버퍼(bidirectional buffer)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DTMF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DTMF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전화번호 메모리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화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국선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화중음을 검출하기 위한 화중음검출부 및, 전화번호가 입력되게 되면 이를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저장함과 더불어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생성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화중음 검출부로부터 소정의 화중음 검출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발신자가 특정의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었다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전화를 끊게 되면,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발신자에게 수신자와의 통화를 상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예에 따른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의 국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단자이고, 2는 이 국선접속단자(1)를 통해 발신자의 단국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감지부이며, 3은 이 링신호감지부(2)의 출력신호를 근거로 수신자측에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발생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4는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4)이고, 5는 송수화기, 6은 후술할 제어부(12)의 제어신호를 근거로 온/오프 스위칭되어 전화기와 국선간의 통화로를 개폐하기 위한 스위치로서, 이 스위치(6)는 이후에 설명할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훅크스위치가 오프되기 전까지 온(On)상태로 되어 통화요구신호의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7은 상기 인터페이스회로(4)와 스위치(6)를 통해 대국으로부터 인가된 송신자의 음성신호 또는 송화시 송수화기(5)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회로이고, 8은 훅크스위치의 온훅 또는 오프훅상태를 검출하는 훅검출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0은 전화기의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된 표시부로서, 특히 이 표시부(10)는 임의의 가입자 전화번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고, 11은 단축다이얼 기능과 같이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메모리, 12는 상기 링신호감지부(2)를 통해 검지된 신호 및 이후에 설명할 키패드(13)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를 근거로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또한, 참조번호 13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기능을 선택하는 데 사용되는 숫자 및 기능키가 설치된 키패드이고, 14는 상기 제어부(12)의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키패드(13)를 통해 입력된 키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DTMF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5는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키패드(13)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수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전화번호 메모리이고, 16은 국선을 통해 입력되는 화중음(Busy Tone)을 검출하기 위한 화중음 검출부이다. 여기서, 화중음은 교환기로부터 일정 주파수대역의 신호가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입력되게 되는 것인 바, 상기 화중음 검출부(16)는 이를 검출하게 되면 소정의 화중음 검출결과신호를 상기 제어부(12)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있어서,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든 다음 키패드(13)를 통해 임의의 수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12)는 상기 DTMF 발생회로(14)를 제어하여 소정의 DTMF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한편, 이때 상기 화중음 검출부(16)는 수신가입자측으로부터 화중음이 검출되는 지를 검색하여 화중음이 검출되게 되면 이에 대응되는 소정의 검출결과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이때 제어부(1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수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15)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기 표시부(10)를 통해 해당 전화번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도 2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송수화기(5)를 든 다음(오프-훅)(ST1 단계) 상기 키패드(13)를 이용하여 수신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게 되면(ST2 단계), 제어부(12)는 상기 DTMF 발생회로(14)를 제어하여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한 소정의 DTMF 신호를 생성 출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ST3 단계). 또한, 제어부(12)는 상기 전화번호를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임시메모리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이때 상기 화중음 검출부(16)는 국선을 통해 수신가입자측으로부터 화중음이 검출되는 지를 검색하여 화중음이 검출되게 되면 소정의 검출결과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바, 제어부(12)는 소정의 화중음 검출결과신호가 입력되게 되면(ST4 단계) 상기 임시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화번호를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15)에 저장제어하게 된다(ST5 단계).
또한, 제어부(12)는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상기 표시부(10)를 구동제어하여 해당 전화번호를 출력 제어하게 된다(ST6 단계).
한편, 상기 ST4 단계에서 제어부(12)는 상기 화중음 검출부(16)로부터 소정의 화중음 검출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우선 현재 통화시도중인 전화번호가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인 지를 판단하게 된다(ST7 단계). 이때, 두 전화번호가 동일한 전화번호이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1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소거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ST8 단계).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발신자가 특정의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었다가 통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전화를 끊게 되면,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발신자에게 수신자와의 통화를 상기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발신자가 임의의 수신자와 통화를 하지 못했을 때 해당 수신자의 전화번호를 소정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여 줌으로써 발신자에게 특정 수신자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도록 된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와,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DTMF 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DTMF 발생회로를 구비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전화번호 메모리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화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국선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근거로 화중음을 검출하기 위한 화중음검출부 및,
    전화번호가 입력되게 되면 이를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저장함과 더불어 대응되는 DTMF 신호를 생성 출력하도록 제어한 후, 상기 화중음 검출부로부터 소정의 화중음 검출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상기 전화번호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KR2019970021982U 1997-08-12 1997-08-12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KR199900088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82U KR19990008841U (ko) 1997-08-12 1997-08-12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982U KR19990008841U (ko) 1997-08-12 1997-08-12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41U true KR19990008841U (ko) 1999-03-05

Family

ID=6969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982U KR19990008841U (ko) 1997-08-12 1997-08-12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8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836B1 (ko) * 2001-02-28 2004-08-2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전화기 및 통지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836B1 (ko) * 2001-02-28 2004-08-21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전화기 및 통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9990008841U (ko) 통화실패 알림기능을 갖춘 전화기
KR0122454B1 (ko) 셀룰라폰의 부재중 착신호 검출방법
JP2805724B2 (ja) 電話交換装置
KR19980035372A (ko) 자동 연속 재다이얼 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JP3544327B2 (ja) 通信装置
KR100479418B1 (ko) 자동응답전화기의메시지전달장치및그방법
JP2633253B2 (ja) 電話端末装置
KR100191342B1 (ko) 전화기의 예약시각 자동 알람방법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KR19980052720A (ko) 통화요금 표시기능을 갖춘 전화단말기
KR20000049342A (ko) 전화기의 발신음 변환방법
KR100506263B1 (ko) 사설교환기에서개선된자동재다이얼방법
KR100238881B1 (ko) 간이교환시스템에서 자동재다이얼 잔여시간 표시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0166917B1 (ko) 팩시밀리 수신 방식
KR100363224B1 (ko) 수신자 후크오프 감시기능을 구비한 전화기
KR100255321B1 (ko) 종합통신망 전화기에서 착신호 재다이얼 방법
KR0184504B1 (ko) 무선전화기에 병렬연결된 전화기의 발신잠금방법
JP4290170B2 (ja) ボタン電話装置の回線接続方法
JPH06225352A (ja) 無線電話装置
JP2007049558A (ja) 迷惑電話対策音出力機能を有する電話機
KR950030568A (ko) 안내 전화번호 표시 및 자동 호시도 회로와 그의 운용방법
JPH11225186A (ja) 通信端末装置
KR19990062267A (ko) 화중음검출을 이용한 자동 온훅 전환기능을 갖는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