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389A -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389A
KR19990008389A KR1019970707916A KR19970707916A KR19990008389A KR 19990008389 A KR19990008389 A KR 19990008389A KR 1019970707916 A KR1019970707916 A KR 1019970707916A KR 19970707916 A KR19970707916 A KR 19970707916A KR 19990008389 A KR19990008389 A KR 19990008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image
circuit
optic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시 기타데
이와오 아이자와
다쿠야 이마이데
도루 마츠무라
나오야 가나다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큐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츠토무, 히다치세사큐쇼(주) filed Critical 가나이 츠토무
Publication of KR19990008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3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58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a detachable storage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6Holders for containing light sensitive material and adapted to be inserted within the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1Card-type connector, e.g. PCMCIA card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고 압축해서 기록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5mm필름캔 상당의 크기에 전자카메라의 신호처리회로를 수납하는 것에 의해 소형인 전자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해, 촬상소자(51)은 렌즈(2)에 의해서 결상한 광학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그 영상신호는 기판(50)내의 배선을 거쳐서 신호처리회로가 수납되어 있는 원통형상용기(53)으로 전달되며, 용기(53)내에서는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메모리(29)에 저장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자카메라회로는 35mm필름캔 크기의 원통형상용기(53)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소형의 전자카메라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
근래, 플래시메모리나 PC카드형의 메모리나 하드디스크를 기록매체로 한 디지탈 스틸카메라의 다기능화에 관해서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디지탈카메라의 일부를 유닛화하고 목적에 따라서 각 유닛을 교환가능하게 한 것이 USP5, 040, 068에 기재되어 있다. USP5, 040, 068에는 해상도가 다른 촬상소자부를 포함한 유닛을 교환하고, 원하는 해상도로 촬영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더 나아가서는 컬러용과 모노크롬용의 촬상소자를 교환해서 컬러와 모노크롬화상을 얻는 기술에 대해서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에서는 특히 소형화를 위한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았다. 또,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종래부터 존재하는 광학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은 전제로 하지 않고 있고 설계자는 새로이 하우징부터 다시 설계할 필요가 있어 개발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디지탈화하고 압축해서 기록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1실시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광학상변환처리부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중의 원통형상부분 내부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을 위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중의 원통형상부분 내부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광학상변환처리부 외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판형상부분과 원통형상부분의 접속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8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광학상변환처리부 외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외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의 전체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제 3 실시예의 외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실시예의 전체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실시예의 요소의 부속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의 외형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재생시의 설명도,
도 16은 도 1에 도시한 외관의 전체도를 도시한 도면.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카메라와 전자카메라를 공용할 수 있는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위해 전자카메라로서 필요한 카메라신호처리회로, 화상압축회로, 기억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를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와 동일직경인 대략 25mm의 직경을 갖고, 그 높이가 37mm이상 47mm이하인 외형을 갖는 원통형상 부분에 수납하며 소위 광학카메라의 필름을 수납하는 부분에 배치한다. 또, 판형상부분에 고정시킨 촬상소자를 상기 광학카메라의 렌즈의 결상면에 배치한다. 또는 전자카메라로서 필요한 회로부와 촬상소자를 JIS K 7563에 의해 규정된 110필름 카트리지와 동등 크기의 용기에 수납하고, 촬상소자를 110필름 카트리지 카메라의 렌즈의 결상면에 배치한다.
상기 원통형상 부분의 내부는 그의 바닥면과 수평인 기판을 여러개 적층하고 각각을 신호선으로 접속하는 구조로 한다. 현재까지 기억회로를 제외한 회로는 수칩의 IC로 통합되어 있다. 고작 수 10핀의 IC로서, 직경 25mm의 상기기판에 실장가능하다. 또, 상기 압축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도 예를 들면 메모리칩을 적층화해서 1칩으로 하는 것에 의해, 바닥면적이 작은 메모리를 사용해서 대용량을 실현한다. 이 적층화기술은 예를 들면 Penton Publication사 발행 「Electronic Design」지 1994년 8월 22일호 제69-7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촬상소자와 상기 회로부는 상기 촬상소자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판형상 기판내의 배선을 거쳐서 접속한다.
다른 수단으로서는 상기 구성에 부가하여 카드형메모리 예를 들면 PCMCIA규격에 의한 메모리카드나 하드디스크를 상기 압축된 영상신호의 기억매체에 사용한다. 그 때문에 PCMCIA규격에 준거한 소켓을 가진 광학카메라용의 속뚜껑을 별도로 마련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광학카메라의 속뚜껑은 나사 등을 사용한 힌지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속뚜껑과 회로부를 배선에 의해 접속하고 기록용 카드에 압축한 영상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광학카메라의 렌즈에 의해 집광된 광은 그의 결상면에 배치된 촬상소자의 표면에서 결상한다. 촬상소자는 광학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이후의 신호처리는 종래 기술에 의해 공지된 신호처리과정을 거쳐서 압축된 영상신호로 되고, 대용량의 적층메모리 또는 기록용 카드식메모리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카메라의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광학상 변환처리부를 135형 필름 또는 110 필름 카트리지의 크기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부터 존재하는 135형 필름용 또는 110필름 카트리지용의 모든 광학카메라의 필름부분에 광학상 변환처리부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광학카메라에 아무런 변경을 가하지 않고 또는 종래의 광학카메라에 극히 미소한 변경을 가하는 것만으로 광학상 변환처리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자카메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대의 카메라를 광학카메라와 전자카메라의 2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범위의 폭이 확대된다. 또, 전자카메라를 설계자가 새로이 하우징부터 다시 설계할 필요도 없어져 종래의 광학카메라의 하우징, 렌즈부, 셔터부, 셔터제어회로부, 파인더부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전자카메라를 실현하고자 할 때에는 광학상 변환처리장치만을 설계, 제조하면 좋으므로, 개발비용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 실시예인 영상신호처리장치의 블럭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1)은 광학카메라부의 총칭, (2)는 렌즈, (3)은 아이리스, (4)는 셔터, (5)는 셔터용 누름버튼, (10)은 촬상소자, (20)은 회로부의 총칭, (21)은 카메라신호 처리회로, (22)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회로, (23)은 프레임메모리, (24)는 화상압축 신장회로, (25)는 시스템제어회로, (26)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회로, (27)은 영상(video)인코더, (28)은 인터페이스회로, (29)는 플래시메모리, (30)은 직렬통신용 인터페이스회로, (31)은 직렬 인터페이스용 단자, (32)는 영상출력단자, (33)은 타이밍 발생기이다.
이하, 동작을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피사체의 상은 렌즈(2)를 거쳐서 입사되고 아이리스(3)에 의해 광량이 조절되어 셔터(4)에 도달한다. 셔터(4)는 셔터버튼(5)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광학카메라(1)의 시스템제어에 의해서 설정된 셔터속도로 광을 촬상소자(10)으로 통과시킨다. 촬상소자(10)상에서 상기 렌즈(2)로부터의 광은 결상한다. 지금까지는 잘 알려진 광학카메라의 입사광의 과정이다.
촬상소자(10)은 입사된 광학상을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환한다. 전기적인 영상신호는 타이밍발생회로(33)으로부터의 리드용 타이밍신호에 따라서 순차 리드되고, 카메라신호처리회로(21)로 보내진다. 신호처리회로(21)은 이득제어회로, 감마보정회로 등으로 이루어지는 주지의 카메라용 신호처리회로로 이루어진다. 그 후, A/D변환회로(22)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프레임메모리(23)에 일단 저장된다.
메모리(23)에 저장되는 신호는 분기되어 D/A변환회로(26)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북귀되고, 영상인코더(27)에 의해 텔레비젼 모니터 등에 적합한 예를 들면 NTSC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단자(32)에서 출력된다. 단자(32)에는 소위 전자뷰파인더나 액정 모니터 등을 접속하는 것에 의해 촬영중인 화상을 모니터할 수 있다.
화상압축회로(24)는 프레임메모리(23)에서 순차 영상신호를 리드하고, 소정의 포맷 예를 들면 JPEG규격에 의해 규정된 압축방식에 의해 영상신호를 압축한다. 압축된 영상신호는 인터페이스회로(28)을 거쳐서 플래시메모리(29)에 저장된다. 플래시메모리(29)는 단일체의 칩에서는 그의 용량에 상한이 있으므로 메모리칩을 적층하여 용량을 증가시킨 것을 사용한다. 그 기술은 예를 들면 Penton Pubulication사 발행 「Electronic Design」지 1994년 8월 22일호 제 69-75페이지에 기재되어 있다.
또는 압축회로(24)에 의해 압축된 영상신호를 직렬통신용 인터페이스(30)에 의해 직렬신호로 변환한 후 직렬신호출력단자(31)에서 출력해도 좋다. 단자(31)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광학카메라(1)과 회로부(20)으로 이루어지는 본체는 영상신호의 디지탈 인코더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재생시는 2가지의 입력경로가 있다. 하나는 메모리(29)에서, 또 하나는 외부기기에서 직렬단자(31)을 거치는 것이다. 모두 신호는 기록시와는 반대로 신장회로(24)까지 되돌아간다. 신장회로(24)에서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압축방법을 식별해서 각각에 따른 방법으로 신장을 실행해서 프레임메모리(23)에 저장한다. D/A변환회로(26), 영상인코더(27)을 거쳐서 영상신호로서 단자(32)로 공급된다.
이상은 1가지의 신호처리경로이다. 여기서는 편의상 A/D변환회로(22)를 카메라신호처리회로(21)의 후단에 배치했지만, A/D변환회로는 회로(21)내에 있어서도 본질적인 차는 없다.
여기서, 셔터(4)와 촬상소자(10)이 리드타이밍의 동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해서 실현할 수 있다. 광학카메라측에서 소위 셔터트리거신호를 추출해서 타이밍발생회로(33) 또는 시스템제어회로(25)로 공급한다.
이와 같이, 셔터의 타이밍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학카메라측에 셔터부와 연동한 신호 예를 들면 셔터트리거신호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되고 촬상소자(10)과 회로부(20)으로 이루어지는 광학상변환처리부측에도 카메라측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셔터(4)가 열리는 것에 의해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광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이용한다.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광량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셔터의 타이밍을 이용하는 경우와는 달리 종래의 광학카메라에 변경을 가하는 일없이 전자카메라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상소자에 입사되는 광량을 직접 모니터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촬상소자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자상에 영상정보로서 남는 전하와 그 반대극성의 전하가 촬상소자외부로 배출되고 있다. 그 배출되고 있는 전하의 유량을 모니터하는 것에 의해 간접적으로 촬상소자에 광이 입사된 것을 검출할 수도 있다.
다음에, 구체적인 그의 실현방법에 대해서 도 2, 도 3, 도 4, 도 16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광학상변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50)은 촬상소자를 고정시키고 기계적인 강도를 부가하는 판형상부인 기판, (51)은 촬상소자, (52a)~(52g)는 신호단자, (52h)는 단자(52a)~(52g)와 끼워맞추는 소켓, (53)은 원통형상부분인 원통형상용기, (54)는 촬상소자의 은염필름상당의 감도를 표시하는 부분, (55)는 원형의 오목부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학상변환처리부를 구성하는 판형상부분(50)과 원통형상부분(53)을 별체로 하여 구조적,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와 소켓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부를 마련하고 있다. 판형상부분(50)과 원통형상부분(53)을 별체로 하지 않고 일체성형된 구조라도 본원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있어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일체성형된 광학상 변환처리부는 회로부에 기억된 영상신호를 추출할 때에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를 필요로 한다. 광학상변환처리부의 형상을 고려하면, 예를 들면 출력단자를 원통형상의 상면부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판형상부분(50)과 원통형상부분(53)을 별체로 해 두면, 회로부에 기억된 영상신호를 추출하는 단자와 촬상소자에서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단자를 커넥터부에 마련하거나 커넥터단자를 겸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단자를 원통형상의 상면부에 마련할 필요는 없어지고 재생시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용기(53)만을 추출하여 커넥터부의 공간에 마련된 단자를 사용해서 재생용 유닛에 접속하면 좋아져 일체형에 비해 원통형상용기(53)뿐이므로 간소하여 사용하는 측에서 보면 편리하다.
기판(50)과 원통형상용기(53)은 단자(52a)~(52g)를 소켓(52h)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광학카메라에 장착된다. 용기(53)을 광학카메라의 필름캔용 공간에, 필름을 필름용기에서 빼내어 장착하는 부분인 셔터의 뒷쪽에 기판(50)을 배치한다. 도 2의 촬상소자(51)이 도 1의 촬상소자(10)에 대응하고, 도 2의 용기(53)이 도 1의 회로부(20)을 수납한다. 기판(50)의 표면에 촬상소자(51)을 고정시킨다. 대응하는 광학카메라를 특정하는 것에 의해 그것에 적합한 형상의 기판(50)을 형성하고, 촬상소자(51)을 렌즈의 결상면에 최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촬상소자(51)의 표면을 판형상기판(50)의 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으로 구성하도록 해 두면, 촬상소자(51)을 렌즈의 결상면에 최적한 위치의 위치결정을 비교적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필름이 삽입되었을 때와 동일한 상태로 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기판(50)의 두께는 1mm정도로서 충분히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카메라에서는 필름을 누르기 위해 속뚜껑측에 판스프링을 마련하고 있으며 1mm~2mm정도의 탄성영역이 있다. 이 탄성영역을 이용해서 기판(50)을 삽입하므로 속뚜껑을 정확히 닫을 수 있다.
도 6은 도 2와는 다른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56a)는 커넥터의 리셉터(receptor)측, (56b)는 커넥터의 플러그측이다.
도 2와 다른 점은 기판(50)과 용기(53)의 접속을 핀형식으 커넥터로 한 점이다. 도면중, 커넥터핀의 수는 6개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것은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함이며, 실제로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십수개로 된다.
촬상소자(51)에서 신호선, 구동용 제어선을 인출하여 단자(52a)~(52h) 또는 (56a)까지 기판상 또는 기판내를 배선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를 촬상소자(51)이 마련되어 있는 면과 동일한 면이 아닌 두께방향의 측면에 단자(56a)를 마련하고 그것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도록 단자(56b)를 마련해도 좋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판(50)의 두께는 필름이 잡아늘여져 장착되는 공간에 들어가는 두께가 아니면 안되므로, 그 두께내로 커넥터를 마련하는 것은 곤란하고 그 두께로 접속부분의 충분한 강도를 얻는 것도 곤란하다고 고려된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촬상소자가 고정된 면과 동일면 또는 그의 대면에 커넥터(52a)~(52g)를 마련하고 있다. 커넥터(52a)~(52g)를 피복하도록 소켓(52h)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충분한 접속부의 강도도 얻어진다.
예를 들면 인터라인방식의 촬상소자인 경우, 신호선, 구동용 제어선 등이 합계 14개가 필요하게 된다. 촬상소자로부터의 출력신호용으로 1개, 촬상소자의 수직구동용으로 4개, 수평구동용으로 2개, 리세트 등의 제어선, 바이어스나 전원용으로 7개이다. 도 2에 도시한 7개의 단자(52a)~(52g)를 기판의 반대측에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라인방식의 촬상소자를 전제로 했으므로 기판(50)의 단자수는 14개로 되었지만, 다른 종류의 촬상소자에서는 14개에 한정되는 것은 않는다. 커넥터(52h)의 폭은 35mm필름과 동등하므로 1mm 피치로 단자를 마련해도 용이하게 한쪽면당 최고17개의 단자를 마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다른 종류의 촬상소자를 사용해도 전혀 문제없이 기판(50)과 소켓(52h)과도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원통형상용기(53)은 135형 필름 카트리지가 수납되는 부분에 들어가는 크기여야 한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135형 필름 카트리지는 직경이 대략 25mm이므로, 원통형상용기(53)의 직경도 대략 25mm 로 하면, 수납되는 부분에 들어간다. 또, 원통형상용기(53)의 높이는 최대 47mm이하로 하면 수납되는 부분에 들어가지만, 통상 광학카메라에는 필름을 감기위한 감기부가 있어 광학카메라에서는 떼어냄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원통형상용기는 그 높이를 37mm로 하거나 또는 필름을 감기위한 감기부가 접촉하는 부분에 미리 오목부(53)을 마련해 두면 좋다. 오목부(53)은 원통형상용기의 상면에 마련되어 있고, 직경이 대략 11.5mm, 깊이가 대략 7.2mm이면, 필름을 감기위한 감기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원통형상용기(53)의 내부공간을 좀더 크게 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측에 약간의 변경을 필요로 한다. 카메라가 필름을 감기위한 감기부를 압압한 경우에 밀러올리도록 신축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오목부(53)을 마련할 필요가 없어져 원통형상용기(53)의 내부공간을 크게 취할 수 있다.
통상, 35mm필름에는 그 필름의 감도가 표시되어 있고, 카메라측이 그 표시를 리드하는 것에 의해 최적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원발명의 전자카메라에 있어서도 표시부(54)를 소정의 위치에 마련해 두면, 광학상 변환처리부에 따른 감도를 카메라측이 인식할 수 있어 최적한 상태에서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기판(50)을 자유롭게 교환하기 위해 떼어낸 기판(50)의 촬상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과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목적으로 촬상소자에 커버를 마련할 수 있다. 또, 속뚜껑은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촬상소자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이다. 이 커버는 광학카메라에 기판이 장착되면 자동적으로 열리는 구조로 한다.
도 1의 회로부(20)을 도 2에 도시한 용기(53)에 수납하기 위한 실시예를 도 3과 도 14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35mm 필름캔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231)은 카트리지, (232)는 긴 허브, (233)은 카트리지내부로 움푹들어간 짧은 허브, (234)는 카트리지(231)의 직경, (235)는 카트리지의 상단면에서 짧은 허브내의 돌기까지의 길이, (236)은 짧은 허브내의 돌기의 높이, (237)은 카트리지 상단면에서 긴 허브(232)의 하단면까지의 길이이다.
JIS K7519 「135형 필름 카트리지」에 의하면, 카트리지(23)의 직경(234)는 대략 25mm, 높이(237)은 대략 47mm, 짧은 허브내의 돌기까지의 깊이(235)는 최대 7.2mm이다. 돌기의 높이(236)에서는 특히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의 카트리지의 실측에 의하면, 짧은 허브 상단면으로부터의 깊이는 대략 15mm이었다. 이상에서 원주형상용기(53)에 있어서 용기(53) 자체의 높이는 47mm로서 좋지만, 내부에서 직경 25mm로서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높이(237)(47mm)에서 15mm를 뺀 37mm로 된다.
다음에 상기 수치를 사용해서 원통형상용기(53)내부의 구체적인 구성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60a), (60b), (60c), (60d), (60e)는 직경이 대략 24mm인 원형기판, (61a), (61b)는 원경기판을 유지하여 전기신호를 수수하는 지지(support)부재이다. 용기(53) 자체의 외벽의 두께는 거의 무시할 수 있지만, 유지부재(51a), (51b)를 두께 0.5mm로 하고 기판(60a), (60b), (60c), (60d), (60e)의 직경은 대략 24mm로 된다.
도 1의 회로부(20)은 예를 들면 시판되는 LSI를 사용해도 8개 이하의 LSI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8개이하의 LSI에서는 4개의 기판을 양면에 실장할 수 있다. 시스템제어회로(25)는 큰 LSI로서, 예를 들면 히다치 싱글칩 마이컴 H8/3042시리즈를 이용할 수 있다. 히다치세사쿠쇼 발행의 H8/3042시리즈 하드웨어 메뉴얼(1993년)에 의하면, 이 마이크로컴퓨터는 100핀 플랫패키지로 몰드부분이 14mm2이고, 리이드를 포함시키면 한변의 최대가 16mm로 된다.
도 4는 기판(60a)에 LSI를 탑재한 개략도이다. 도 3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62)는 LSI이다. 직경 24mm의 원판에 내접하는 정방향의 한변의 길이는 17.0mm이다. 한변의 길이가 최대 16인 상기 마이컴H8/3042시리즈는 충분한 배선영역을 갖고 원판(60a)에 탑재할 수 있다. 이것보다 큰 LSI가 필요한 경우에는 볼그리드어레이 등의 패키지에 반도체칩을 봉지하는 등해서 LSI패키지의 소형화를 도모하면 좋다. 베어칩을 이용한 회로구성도 이용할 수 있는 수단중의 하나이다.
5개의 원판의 나머지 1개는 신호처리회로(21)이나 영상인코더(27)의 출력드라이버 등의 독립된 부품을 탑재한다. 카메라신호처리회로(21)과 영상인코더(27)을 1칩에 통합할 수도 있어 어쨌든 5장의 기판으로 충분히 탑재할 수 있다.
현재, 1장의 기판의 두께는 1mm이하이고, LSI의 높이는 1.2mm인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가장 높이가 높은 부품은 전해콘덴서로서 5mm이다. 가령 모든 LSI가 이와 같은 전해콘덴서를 필요로 해도 각 기판의 한쪽에만 배치시키는 것은 가능하므로, 1장의 기판의 두께는 최고 7.2mm이기 때문에 단순히 계산해도 기판 5장으로 36mm로 되어 상술한 높이 37mm의 사양을 만족시킨다.
5장의 기판에 회로를 배치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고려되고 있지만, 제어선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메모리(29)와 인터페이스회로(28)을 1장의 기판의 양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지지부재(61a), (62b)내의 배선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밖의 회로는 신호의 흐름을 따라서 배치하는 것이 실용적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지지부재를 2개밖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배선의 사정에 따라 그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한 기판은 원형이었지만,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팔각형이어도 좋다. 도 5는 도 4와 다른 형상의 기판에 LSI를 탑재한 경우의 실시예이다. 도 4의 예와 다른 점은 기판이 원판에서 팔각형으로 되고, 지지부재의 수를 3으로 한 점이다.
(65)는 정팔각형의 기판, (66a), (66b), (66c)는 지지부재, (67)은 LSI이다. 기판(65)의 정점의 하나 걸러에 LSI의 각이 향하도록 배치하면, 정팔각형내에 최대의 정방형을 배치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지지부재를 포함한 기판(65)가 내접하는 원의 직경이 25mm, 지지부재(66a), (66b), (66c)의 두께를 0.5mm로 하면, LSI의 한변의 길이는 최대 17.0mm이다. 따라서, 16.0mm2의 LSI까지는 탑재할 수 있다. 원형기판은 원통형상용기에 수납하는 경우에 최대 면적을 기대할 수 있지만, 기판을 정팔각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원형에 비해 취급하기 쉬워진다.
지지부재(66a), (66b), (66c) 중의 어느 하나가 도 2의 커넥터(52h)와 접속된다. 기판(65) 를 팔각형이 아닌 정방형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 장래 다른 형상의 필름캔이 등장할 가능성은 있다. 그것에 맞추어 도 2의 용기(53)을 설계할 수 있다. 현상(現狀)의 35mm필름캔보다 작은 경우에는 회로부(20)이 몇개의 회로를 하나의 LSI에 집약하거나 해서 회로규모를 축소하는 것에 의해 작은 형상의 필름캔에 맞춘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의 설명에 있어서, 광학카메라측에서 셔터트리거 등의 제어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용기(53)의 바닥면에 그를 위한 커넥터를 마련하거나 도 5에 도시한 지지부재를 이용해서 용기(53)의 측면에(52h)와는 다른 커넥터 또는 접점을 마련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와 동일 직경의 용기에 전자카메라의 신호처리회로부분을 집약할 수 있어 광학카메라의 촛점면에 설치한 촬상소자와 함께 전자카메라를 구성할 수 있다. 종래의 광학카메라에 아무런 변경을 가하지 않아도 전자카메라로서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트리거신호를 이용하는 경우 등에는 광학카메라에서 수개의 제어선을 추출하는 것만으로 마찬가지의 전자카메라를 실현할 수 있어 전자카메라의 개발비용을 매우 저감할 수도 있다. 카메라측에 인터페이스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전자회로의 변경만으로 좋아 간단한 변경이고 이 경우의 개발비용도 문제로 되지 않는다. 즉, 전자카메라를 실현할 때에 그때마다 필요한 하우징이나 셔터제어회로나 파인더 등을 광학카메라의 것과 공용할 수 있어 개발비용이 저감됨과 동시에 광학카메라의 필름부분에 회로부와 촬상소자부(4)를 끼워넣는 것만으로 전자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고 양쪽의 기능을 동일 하우징에서 실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범위의 폭이 확대된다.
그 밖에도 광학카메라가 갖는 날짜정보를 상기 커넥터를 거쳐서 페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광학필름에서는 사진촬영시에 날짜를 기입할지의 여부의 설정을 실행해야만 하였지만, 전자카메라에서는 기록녹화의 부대정보로서 날짜가 기록된다. 따라서, 재생시에 날짜를 표시할지 표시하지 않을지의 선택이 가능하다는 편리함이 부가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 등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촬영화상의 재생방법의 개념을 설명한 도면이다.
(53)은 전자카메라용 회로와 기록된 화상을 보존하는 메모리를 갖는 35mm 사이즈의 필름캔용기, (244)는 용기(53)의 전용재생장치, (245)는 직렬케이블, (246)은 아날로그영상 케이블, (247)은 퍼스널컴퓨터, (248)은 텔레비젼모니터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기(53)내의 회로는 재생용의 신장회로 등을 갖고 있다. 재생장치(24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용기(53)용의 커넥터, 직렬출력용의 버퍼, 아날로그 영상신호용의 출력버퍼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3 실시예로서, 구성요소의 배치를 발췌해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도 6에 도시한 제 1, 제 2 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촬상소자를 탑재한 기판과 기둥형상 용기의 전기적 접점을 스프링을 이용한 접촉에 의해서 실현한 점이다.
(51)은 촬상소자, (70)은 광학카메라 하우징, (71a), (71b)는 필름을 렌즈의 촛점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판스프링, (73)은 접점, (74)는 원주형상 용기, (75)는 용기(74)를 기판에 가로로 부착시키기 위한 판스프링, (75)는 판스프링, (76)은 광학렌즈이다.
도 7은 카메라 하우징(70)의 속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동작을 설명한다. 피사체의 상은 렌즈(76)에 의해 집광되고, 촛점 맞춤면에 배치된 촬상소자(51) 표면에서 결상한다. 촬상소자에서는 광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기판(72), 접점(73)을 거쳐서 신호처리회로를 포함한 용기(73)으로 보내진다. 이하의 신호처리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기판(72)는 접점(73) 근방에서는 탄성이 증가하도록 고안되고, 용기(74)와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용기(73)도 접점(73)에서 안정하게 접촉하도록 원래 광학카메라에 부속하는 판스프링(75)에 의해 눌려지고 있다. 또, 광학카메라에는 시야창틀부가 있고 촬상소자(51)의 표면을 기판(72)의 부착면과 동일면으로 구성하고, 기판(72)를 시야창틀부와 대항해서 접하도록 구성해 두면, 촬상소자의 표면이 렌즈의 결상면에 위치하기 쉽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기판(72)와 용기(74)를 도 7과는 다른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7과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인다. (72a), (72b), (72c), (72d), (72e), (72f), (78a), (78b), (78c), (78d), (78e), (78f)는 신호단자이다. 어떠한 단자도 위치어긋남에 의한 접촉불량을 회피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넓게 접촉할 수 있는 면을 마련하고 있다. 도 8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단자수를 명시하고 있지 않지만 인터라인 방식의 촬상소자인 경우,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촬상소자(51)과 신호처리회로 사이에는 14개의 신호선, 제어선 등이 필요하게 된다.
접촉점(73)의 접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도 가능하다. 즉, 기판(72)의 재질을 촬상소자 근방에서는 촬상소자에 응력을 부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강성이 높고 접점(73)근방에서는 유연성을 높게 하는 복합재료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 2, 도 6, 도 7과는 다른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도 6, 도 7과 다른 점은 광학카메라의 속뚜껑을 겸하는 부재에 촬상소자와 회로부를 마련하고, 또 외측에 PC카드용의 소켓을 마련한 점이다.
(80)은 속뚜껑 내부에 있는 PC카드용 커넥터, (81)은 카메라의 속뚜겅을 겸하는 부재, (82)는 PC카드 삽입구, (83)은 전자카메라용 회로를 수납한 원통형상 용기, (84)는 PC카드, (85)는 직렬전송용 커넥터이다.
속뚜껑(81)은 우측끝이 도시되지 않은 광학카메라와 힌지에 의해 연결된다. 속뚜껑(81)은 닫혔을 때에 광학카메라 내부의 필름캔 수납부분에 원주형상용기(83)이 합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카드커넥터(80)과 용기(83)내의 회로는 속뚜껑(81)내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촬영한 화상의 메모리로서 도 1에 도시한 메모리(29)뿐만 아니라 범용 PC카드를 보조메모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메모리(29)를 마련하지 않고 PC카드(84)만을 사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본 발명의 1실시예를 광학카메라에 장착한 예의 외관도이다. 도 9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90)은 필름카메라의 광학부의 총칭, (91)은 렌즈, (92)는 셔터용 버튼, (93)은 뷰파인더용 창, (94)는 촬상소자이다.
본 실시예는 소위 컴팩트형의 카메라에 관해서 도시하였지만, 일안 레플렉스형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촬상소자를 소위 110 필름 카트리지 크기의 용기에 탑재하고 회로부를 용기내에 실장한 점이다. (200)은 110필름 카트리지 크기의 용기, (201)은 촬상소자, (202)는 카트리지의 상면, (203)은 카트리지의 하면, (204), (205)는 카트리지 내측의 측면이다.
카트리지(200) 각부의 치수는 JIS K7563 「사진-110 사이즈 카트리지-치수」에 의해 규정되어 있고, 예를 들면 측면(204), (205)의 거리는 30.5mm이다. 상면(202), 하면(203), 측면(204), (205)는 카트리지의 하나를 카메라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갖고 있고, 소위 위치결정용의 가이드이다.
본 실시예의 효과는 110카메라에서는 그의 필름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촬상소자로서 35mm 카메라에 적용하는 것보다 작은 사이즈의 것을 이용할 수 있고 그만큼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왜냐하면, 110 카메라에 있어서 필름상의 결상면이 35mm필름카메라에 비해 사이즈가 작으므로 현재 촬상소자로서 저렴한 비디오카메라 등에 사용되고 있는 1/2인치나 1/3인치 사이즈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소형센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결상면의 크기를 촬상소자의 사이즈에 맞추기 때문에 소위 축소광학계가 필요하게 된다. 35mm 카메라를 이용한 제 1 실시예에 비해 원래의 결상면의 크기가 작으므로 축소광학계의 축소율을 작게 할 수 있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1실시예를 110카메라에 적용한 장치의 외관도이다. (210)은 110카메라의 광학부, (211)은 광학식 뷰파인더, (212)는 셔터용 버튼, (213)은 110필름 카트리지 크기의 용기의 원주형상부의 한쪽측, (214)는 도 11의 110필름 카트리지 크기의 용기의 원주형상부의 한쪽측, (215)는 110카메라의 속뚜껑, (216)은 착탈가능한 소형메모리카드, (217)은 메모리카드(216)의 삽입방향이다. 속뚜껑(215)는 PC카드보다 소형인 메모리카드(207)을 그의 내부에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메모리카드(216)용의 PCMCIA커넥터와의 인터페이스용 어댑터이다. (220)은 어댑터의 외형, (221)은 PCMCIA커넥터, (222)는 소형메모리카드와 어댑터 사이의 커넥터이다. 소형메모리카드(216)을 어댑터(220)을 거쳐서 범용PC카드 커넥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공간적으로 여유가 없는 도 11에 도시한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에 있어서 용기(200)내에는 플래시메모리를 마련하지 않고 착탈가능한 소형메모리카드만이라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1실시예의 전체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도 15에 도시되는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251)은 광학카메라 하우징, (252)는 파인더, (253)의 속뚜껑, (254a), (254b), (254c)는 속뚜껑(253)상의 전극, (255)는 판형상기판, (256a), (256b), (256c)는 판형상기판(255)상의 전극, (257)는 용기, (258)은 용기(257)상부에 있는 커넥터, (259)는 광학카메라의 필름수납부에 있는 커넥터이다.
영상신호를 압축해서 기록하는 회로를 수납한 용기(257)과 기판(255)를 커넥터(52)에 의해 전기적, 구조적으로 결합한다. 용기(257)은 카메라(251)의 필름수납공간에 수납된다. 이때, 커넥터(258), (259)가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속뚜껑(253)을 닫으면, 전극(254a), (254b), (254c)와 (256a), (256b), (256c)가 접속된다.
카메라측에서 보아 카메라와 촬상소자, 회로부는 커넥터(259)와 전극(256)을 거쳐서 접속되는 이들 2개소의 접속점은 모두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한쪽만 사용할 수도 있다. 접속점에서는 전원, 접지, 셔터트리거, 캘린더정보 등을 수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카메라의 신호처리를 실행하는 광학상 변환처리부를 135형 필름 또는 110필름 카트리지의 크기에 수납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부터 존재하는 135형 필름용 또는 110필름 카트리지용의 모든 광학카메라의 필름부분에 광학상 변환처리부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광학카메라에 아무런 변경을 가하지 않고 또는 종래의 광학카메라에 극히 미소한 변경을 가하는 것만으로 광학상 변환처리부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전자카메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1대의 카메라를 광학카메라와 전자카메라의 2가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범위의 폭이 확대된다. 또, 전자카메라를 설계자가 새로이 하우징부터 다시 설계할 필요도 없어져 종래의 광학카메라의 하우징, 렌즈부, 셔터부, 셔터제어회로부, 파인더부 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 전자카메라를 실현하고자 할 때에는 광학상 변환처리장치만을 설계, 제조하면 좋으므로, 개발비용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Claims (27)

  1. 렌즈, 셔터, 셔터용 버튼을 갖는 광학카메라부 및 상기 광학카메라부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기억하는 광학상 변환처리부를 구비한 영상신호 처리장치로서,
    판형상부재,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와 동등한 직경을 갖고 그의 높이가 37mm이상 47mm이하인 원통형상부재,
    촬상면이 상기 렌즈의 결상면에 위치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상기 판형상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원통형상부재에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판형상부재에 고정된 상기 촬상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를 갖고,
    상기 광학상변환처리부는 상기 판형상부재, 상기 원통형상부재, 상기 촬상소자 및 상기 회로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부재의 1면은 상기 광학카메라부의 시야창틀부와 대항해서 접하고, 상기 광학카메라부의 속뚜껑부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 필름압압판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카메라부는 상기 광학상변환처리부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상변환처리부는 상기 광학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카메라부와 상기 광학상변환처리부의 인터페이스부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4. 광학상을 광전변환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기억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로서,
    판형상 부재,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와 동등한 직경을 갖고 그의 높이가 37mm 이상 47mm이하인 원통형상부재,
    상기 판형상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원통형상부재에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판형상부재에 고정된 상기 촬상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부재는 그의 상면에 직경이 대략 11.5mm, 깊이가 대략 7.2mm인 오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의 처리를 실행하는 카메라신호처리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화상압축회로를 갖고, 상기 기억회로는 상기 화상압축회로에 의해 압축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의 촬상면은 상기 판형상부재의 부착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부재와 상기 판형상부재 사이를 접속하는 커넥터수단을 갖고 상기 원통형상부재와 상기 판형상부재는 구조적으로 분리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부재 표면의 소정의 위치에 상기 촬상소자의 감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로서 상기 판형상부재가 상기 광학카메라부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면 열리는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12. 제 4 항에 있어서,
    렌즈, 셔터, 셔터용 버튼을 갖는 광학카메라부와 조합되었을 때, 상기 광학카메라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13.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촬상소자가 생성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부 및
    그의 두께가 대략 1mm이상 2mm이하로서 상기 촬상소자를 고정시키는 판형상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형상기판.
  14. 제 13 항에 있어서,
    렌즈, 셔터, 셔터용 버튼을 갖는 광학카메라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상기판.
  15.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
    상기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커넥터부 및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와 동등한 직경이고 그의 높이가 37mm이상 47mm이하인 원통형상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상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렌즈, 셔터, 셔터용 버튼을 갖는 광학카메라에서 출력된 신호를 수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상용기.
  17. 렌즈, 셔터, 셔터용버튼을 포함하는 광학카메라부,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 및 직경이 상기 필름카트리지와 동등하거나 또한 그의 높이가 37mm이상 47mm이하로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를 내장하는 원통형상용기중의 어느 것이나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및
    상기 광학카메라부가 생성하는 신호로서 상기 수납부에 상기 원통형상용기가 수납된 경우에 상기 원통형상용기내의 회로부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카메라.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카메라부가 생성하는 신호는 상기 셔터와 연동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카메라.
  19. 제 17 항에 있어서,
    신축가능한 필름감기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카메라.
  20. 렌즈, 셔터, 셔터용버튼을 포함하는 광학카메라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기억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로서,
    JIS K 7519에 의해 규정된 135형 필름 카트리지와 동등한 직경을 갖고 그의 높이가 37mm이상 47mm이하인 원통형상부재,
    상기 원통형상부재를 착탈하기 위해 개폐하는 속뚜껑부,
    상기 렌즈의 결상면의 위치에 그의 촬상면이 위치하도록 상기 속뚜껑부에 고정되고, 상기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원통형상부재에 수납되고,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의 처리를 실행하는 카메라신호처리회로와 상기 영상신호를 압축하는 화상압축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 및
    상기 회로부와 상기 촬상소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카드형 기억매체를 접속하여 유지하기 위한 커넥터부를 상기 속뚜껑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형 기억매체는 반도체메모리를 내장한 메모리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화상압축회로에 의해 압축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4. 렌즈, 셔터, 셔터용 버튼을 갖는 광학카메라부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기억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로서,
    JIS K 7563에 의해 규정된 110사이즈 카트리지와 동등한 외형의 판형상부분과 원통형상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부재,
    상기 판형상부분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렌즈의 결상면의 위치에 그의 촬상면이 위치결정되고, 상기 광학상을 광전변환에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및
    상기 원통형상부분에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판형상부분에 고정된 상기 촬상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5. 광학상을 광전변환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기억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로서,
    JIS K 7563에 의해 규정된 110사이즈 카트리지와 동등한 외형의 판형상부분과 원통형상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부재,
    상기 판형상부분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렌즈의 결상면의 위치에 그의 촬상면이 위치결정되고 상기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원통형상부분에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판형상부분에 고정된 상기 촬상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회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상변환처리장치.
  26. 렌즈, 셔터, 셔터용버튼을 갖는 광학카메라부에 의해 얻어지는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해서 기억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로서,
    JIS K 7563에 의해 규정된 110사이즈 카트리지와 동등한 외형의 판형상부분과 원통형상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부재,
    상기 판형상부분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렌즈의 결상면의 위치에 그의 촬상면이 위치하도록 위치결정되고, 상기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
    상기 원통형상부분에 수납됨과 동시에 상기 판형상부분에 고정된 상기 촬상소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촬상소자에 의해 생성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부,
    상기 원통형상부재를 착탈하기 위해 개폐함과 동시에 상기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구비한 속뚜껑부 및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기억부와 상기 회로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는 상기 영상신호를 기억하는 기억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 처리장치.
KR1019970707916A 1995-05-10 1995-05-10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 KR199900083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5/000890 WO1996036167A1 (fr) 1995-05-10 1995-05-10 Processeur de signaux et son convertisseur d'image optiqu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89A true KR19990008389A (ko) 1999-01-25

Family

ID=1412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916A KR19990008389A (ko) 1995-05-10 1995-05-10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25766A4 (ko)
KR (1) KR19990008389A (ko)
WO (1) WO1996036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6765A1 (en) * 1999-07-16 2001-01-25 Silicon Film Technologies, Inc. E-film cartridge with sensor avoidance feature
AU6351300A (en) * 1999-07-16 2001-02-05 Silicon Film Technologies, Inc. Adjustable e-film cartridge
JP4178025B2 (ja) * 2002-12-24 2008-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プリント注文システム
ITBA20130026A1 (it) * 2013-04-08 2014-10-09 Vito Beniamino Silvestri Pellicola digitale per apparecchiature fotografiche reflex analogich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1639A (ja) * 1984-10-12 1986-05-09 Canon Inc 撮像装置
JPH01305784A (ja) * 1988-06-03 1989-12-11 Patoroma Res Kk 画像記録装置
JPH04109743U (ja) * 1991-03-07 1992-09-22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の表示装置
AU2024992A (en) * 1991-05-07 1992-12-21 Inframetrics Inc. Apparatus for operating a conventional film camera in an electronic mode operation
JPH06303533A (ja) * 1993-04-09 1994-10-28 Sony Corp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電子式スチ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5766A1 (en) 1998-02-25
WO1996036167A1 (fr) 1996-11-14
EP0825766A4 (en) 2000-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67909B (zh) 成像模组及电子装置
JP3035784B2 (ja) 画像記録装置
EP0583391B1 (en) Apparatus for operating a conventional film camera in an electronic mode operation
US20070035647A1 (en) Imaging device unit and camera system
EP0773673A1 (en) Image pickup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evice, image pickup adapter, signal processor, signal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733387B1 (en) Digital camera with detachable memory for storing image data
US7172923B2 (en)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maging device
EP1487035B1 (en) A contact structure, an apparatus having the contact structure and image input apparatus having the contact structure
US6567611B1 (en) Electronic image recording apparatus
KR19990008389A (ko) 영상신호처리장치 및 그 광학상변환처리장치
US6714248B1 (en) Electronic image pickup apparatus
JP2005065014A (ja) 撮像装置
JP200005965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009546B2 (ja) 固体撮像素子カメラユニットとその組立方法
JPH1132240A (ja) 電子的撮像装置
JPH11243501A (ja) カード型カメラ
JP3012839B1 (ja) 電子カメラ
JPH01186069A (ja) スチルビデオカメラ
CN217721276U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H01186070A (ja) スチルビデオカメラ
CN1187922A (zh) 视频信号处理器及其光学图象转换器
US20030190163A1 (en) Observation optical device with photographing function
JP2001008075A (ja) 電子カメラ
JP2002016826A (ja) 撮像素子の実装構造
JP2001333310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