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353U -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353U
KR19990008353U KR2019970021321U KR19970021321U KR19990008353U KR 19990008353 U KR19990008353 U KR 19990008353U KR 2019970021321 U KR2019970021321 U KR 2019970021321U KR 19970021321 U KR19970021321 U KR 19970021321U KR 19990008353 U KR19990008353 U KR 1999000835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trailer
brake
brake lever
switching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21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353U/ko
Publication of KR199900083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353U/ko

Links

Landscapes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트레일러의 제동시 조작되는 제동레버를 운전자의 신체부위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곳으로 옮겨 설치함으로써 제동레버의 작동시 간섭요소의 배제로 인한 운전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운전자의 거주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트레일러의 후미 피견인차를 제동시키도록 제동레버(1)로부터 연결된 절환밸브(2)와, 이 절환밸브(2)에 인렛라인(6)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에어컴프레서(3)와 에어드라이어(4) 및 에어탱크(5), 상기 절환밸브(2)에 아웃렛라인(7)을 통해 연결된 릴레이밸브(8), 이 릴레이밸브(8)에 커플링(11)을 매개로 피견인차(9)의 후륜(10)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로(1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트레일러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레버(1)는 운전석(13)의 우측에 인렛라인(6)과 아웃렛라인(7)에 연결되어 설치된 절환밸브(2)에 연결되어 운전자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본 고안은 트레일러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제동레버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일러의 제동시 선회되게 조작되는 제동레버를 운전자의 우측부분에 마련하여 조작시 운전자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거주성에 대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일러는 차체의 전방부위로 운전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된 견인차와, 이 견인차의 후미에 결합되어 화물을 싣도록 된 피견인차로 이루어지는 바, 이 트레일러에는 통상 후미 피견인차를 제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트레일러용 제동장치를 갖추고 있는 바, 이 트레일러용 제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레버(1)로부터 절환밸브(2)가 연결되고, 이 절환밸브(2)에 에어컴프레서(3)와 에어드라이어(4) 및 에어탱크(5)가 인렛라인(6)을 통해 연결되며, 다시 상기 절환밸브(2)에 아웃렛라인(7)을 통해 릴레이밸브(8)가 연결되는 한편, 이 릴레이밸브(8)에 피견인차(9)의 후륜(10)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된 관로(12)가 커플링(11)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트레일러의 운전자는 후방 피견인차(9)의 제동시 상기 제동레버(1)를 조작하게 되면, 에어컴프레서(3)에 의해 가압된 에어탱크(5)내의 압축공기가 절환밸브(2)의 절환작용에 의해 아웃렛라인(7)을 통해 릴레이밸브(8)와 커플링(11) 및 관로(12)를 순차적으로 지나 피견인차(9)의 후륜(10)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전달되어 피견인차(9)의 후륜(10)이 제동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트레일러용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는 종래의 제동레버(21)는 도 2와 도 3에 각기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휠(22)을 지지하는 스티어링컬럼(23)상에 인렛라인(24)과 아웃렛라인(25)에 연결된 절환밸브(26)가 장착되고, 이 절환밸브(26)에는 링크(27)를 통해 제동레버(21)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제동시 운전자는 상기 제동레버(21)를 당겨 절환밸브(26)를 작동시킴으로써 트레일러의 후미 피견인차를 제동시킬 수 있었는데, 이와 같이 제동레버(21)를 운전자쪽으로 잡아 당기도록 된 종래의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에서는 상기 제동레버(21)와 운전자의 신체부위간의 접촉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운전자의 거주성이 제한받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트레일러의 제동시 조작되는 제동레버를 운전자의 신체부위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곳으로 옮겨 설치함으로써 제동레버의 작동시 간섭요소의 배제로 인한 운전자의 편의성을 도모하면서 운전자의 거주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트레일러용 제동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동레버 2-절환밸브
3-에어컴프레서 4-에어드라이어
5-에어탱크 6-인렛라인
7-아웃렛라인 8-릴레이밸브
9-피견인차 10-후륜
11-커플링 12-관로
13-운전석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트레일러의 후미 피견인차를 제동시키도록 된 제동레버가 운전자와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운전석의 측부에 인렛라인과 아웃렛라인에 연결되어 설치된 절환밸브에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의 후미 피견인차를 제동시키도록 제동레버(1)로부터 연결된 절환밸브(2)와, 이 절환밸브(2)에 인렛라인(6)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에어컴프레서(3)와 에어드라이어(4) 및 에어탱크(5), 상기 절환밸브(2)에 아웃렛라인(7)을 통해 연결된 릴레이밸브(8), 이 릴레이밸브(8)에 커플링(11)을 매개로 피견인차(9)의 후륜(10)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로(1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트레일러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레버(1)는 운전석(13)의 우측에 인렛라인(6)과 아웃렛라인(7)에 연결되어 설치된 절환밸브(2)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14은 스티어링휠이고, 15는 스티어링컬럼이다.
이에 따라 후방 피견인차(9)의 제동시 트레일러의 운전자는, 상기 제동레버(1)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에어컴프레서(3)에 의해 가압된 에어탱크(5)내의 압축공기가 절환밸브(2)의 절환작용에 의해 아웃렛라인(7)을 통해 릴레이밸브(8)와 커플링(11) 및 관로(12)를 순차적으로 지나고, 이 관로(12)를 통해 압축공기는 피견인차(9)의 후륜(10)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전달되어 피견인차(9)의 후륜(10)이 제동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동레버(1)가 운전석(13)의 측부에 설치되게 되면, 운전자에 의한 트레일러용 제동장치의 제동레버(1)가 작동하게 되더라도 운전자와의 직접적인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의 거주성에는 하등의 불편함이 없게 된다.
즉 상기 트레일러의 제동시 운전자가 운전석(13)의 측부에 인렛라인(6)과 아웃렛라인(7)에 연결된 절환밸브(2)의 측부에 장착된 제동레버(1)를 당겨 제동을 실시하여도 운전석(13)에 탑승한 운전자와 제동레버(1) 사이에는 접촉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운전자는 거주 공간의 확보에 편리함을 얻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트레일러의 제동시 운전자에 의해 선회되게 조작되는 제동레버가 운전자와 이격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운전자는 트레일러의 제동시 제동레버를 당기는 조작을 실시하여 트레일러를 제동시키게 되더러도 제동레버와 운전자의 신체 사이에는 하등의 간섭이 배제될 수 있어 거주성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트레일러의 후미 피견인차를 제동시키도록 제동레버(1)로부터 연결된 절환밸브(2)와, 이 절환밸브(2)에 인렛라인(6)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된 에어컴프레서(3)와 에어드라이어(4) 및 에어탱크(5), 상기 절환밸브(2)에 아웃렛라인(7)을 통해 연결된 릴레이밸브(8), 이 릴레이밸브(8)에 커플링(11)을 매개로 피견인차(9)의 후륜(10)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된 관로(1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트레일러용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동레버(1)는 운전석(13)의 우측에 인렛라인(6)과 아웃렛라인(7)에 연결되어 설치된 절환밸브(2)에 연결되어 운전자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KR2019970021321U 1997-08-01 1997-08-01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KR1999000835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21U KR19990008353U (ko) 1997-08-01 1997-08-01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321U KR19990008353U (ko) 1997-08-01 1997-08-01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353U true KR19990008353U (ko) 1999-03-05

Family

ID=6968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321U KR19990008353U (ko) 1997-08-01 1997-08-01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35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56416A1 (en) Brake system for a vehicle
AU2005318490B2 (en) System for connecting supply lines
US5806937A (en) Trailer braking system
CA1188154A (en) Convertible rail-highway semi-trailer air controlled braking and suspension shifting system
US4316418A (en) Convertible rail highway semi-trailer air controlled suspension shifting system
CN109515422B (zh) 一种全挂车制动系统
KR19990008353U (ko) 트레일러용 제동레버의 설치구조
CN216374511U (zh) 一种商用车制动系统及商用车
JP2015009639A (ja) 連結車両のエアブレーキシステム
JP3745127B2 (ja) トラクタのブレーキ装置
CN201347060Y (zh) 带驻车检测功能的双回路手动阀
CN111717181A (zh) 具有行车制动、驻车制动、缓速功能的气液混合制动系统
CN212423075U (zh) 具有行车制动、驻车制动、缓速功能的气液混合制动系统
CN216684399U (zh) 电动矿用自卸车制动系统及电动矿用自卸车
KR100243609B1 (ko) 공압 브레이크 장치
US5378054A (en) System to conserve stop lamp circuit power on intermediate vehicles of vehicle train
CN201329863Y (zh) 被拖曳车辆被动制动控制系统
KR100224034B1 (ko) 자동차 주차브레이크
CN207842915U (zh) 一种大件运输牵引车气压制动系统
JP2587822Y2 (ja) トラクタ
JPS6347121Y2 (ko)
KR100282717B1 (ko) 자동차의 프론트 로킹방지 유압회로
JP3691229B2 (ja) 連結車両の制動装置
SU1142332A1 (ru) Тормозна система трамвайного сцепа
JPH05470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