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265A - 꽃눈 형성 유도제 - Google Patents

꽃눈 형성 유도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265A
KR19990008265A KR1019970707791A KR19970707791A KR19990008265A KR 19990008265 A KR19990008265 A KR 19990008265A KR 1019970707791 A KR1019970707791 A KR 1019970707791A KR 19970707791 A KR19970707791 A KR 19970707791A KR 19990008265 A KR19990008265 A KR 1999000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acid
flowering
fatty acid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959B1 (ko
Inventor
요코야마미네유키
이노마타신지
고마츠가즈오
요시다세이이치
사카모토오키히코
다키모토아츠시
고지마기요타카
Original Assignee
젠마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마아키라, 가부시키가이샤시세이도 filed Critical 젠마아키라
Publication of KR1999000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9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within the same carbon skeleton a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carbon atom having only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9/00Peroxy compounds
    • C07C409/02Peroxy compounds the —O—O— group being bound between a carbon atom, not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and hydrogen, i.e. hydroperoxides
    • C07C409/04Peroxy compounds the —O—O— group being bound between a carbon atom, not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and hydrogen, i.e. hydroperoxides the carbon atom being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76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 C07C59/9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containing singly bound oxy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소기와 히드록시기, 또는 히드로퍼옥시기, 또는 옥소기와 히드록시기와 히드로퍼옥시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식물의 꽃눈 형성 유도제; 상기 꽃눈 형성 유도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꽃눈 형성 유도제를 이용한 꽃눈 형성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꽃눈 형성 유도제
식물의 개화가 낮 길이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것은 주지한 바와 같다. 그리고, 낮 길이에 감응하는 부분은 엽신이고, 개화는 생장점에서 일어나며, 엽신으로부터 엽병이나 줄기를 통하여 생장점으로 어떠한 신호가 보내어져 이 개화가 개시되는 것을 밝혀 낼 수 있다. 이 신호는 플로리겐이라 불려지고 있고, 이것을 분리·동정할 수 있으면, 낮 길이에 관계없이 식물의 개화 시기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식물이 관계되는 많은 분야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그래서, 종래부터 식물의 개화 과정의 메카니즘을 보다 분명히 함으로써, 개화 시기를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식물의 생장 호르몬의 하나인 지베렐린을 가하면, 대부분의 장일 식물이 짧은 해에서도 꽃눈을 형성하거나 파인애플은 합성 옥신의 하나인 α-나프탈렌 아세트산을 가하면 개화가 일어나는 것을 밝혀낼 수 있고, 실제로 산업상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식물 호르몬은 말하자면 플로리겐 관련 물질로서, 플로리겐 그 자체와는 다를 것이라는 것도 밝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이들 식물 호르몬을 식물에 가하는 시기나 환경 등의 여러가지 조건 설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나아가서 개화 수법의 진보, 구체적으로는 꽃눈 형성에 직접 관계되는 물질을 분리·동정하여, 이 물질에 의해 개화 수법을 확립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나팔꽃속 식물(Pharbitis), 도꼬마리속 식물(Xanthium)이나 독보리속식물(Lolium)에 있어서는, 광주성에 기초하는 개화 현상이 건조 스트레스에 의해 저해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나팔꽃속 및 도꼬마리속에 대해서: Aspinall 1967; 독보리속에 대해서: King and Evans). 또, 꽃눈 유도가 저온(버니어 일동, 1981; 히라이 일동, 1994), 고조도(시노자키 1972), 영양 결핍(히라이 일동, 1993)이나 질소원의 부족(와다 및 도츠카 1982; 다나카 1986; 다나카 일동, 1991)에 의해 야기되는 것도 이미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보고는 단지 현상면을 받아들일 뿐이며, 상기 플로리겐를 직접 특정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하고, 여전히 물질면으로부터 받아들인 개화 방법의 확립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식물의 꽃눈 형성 유도제, 그 제조 방법 및 상기 꽃눈 형성 유도제를 이용하는 꽃눈 형성 유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인자-C를 나타내는13C-NMR의 차트 도면.
도 2는 하룻밤의 암처리를 행한 경우의 인자-C의 나팔꽃에 대한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이틀밤의 암처리를 행한 경우의 인자-C의 나팔꽃에 대한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나팔꽃 무라사키에 대한 인자-C의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실시예 15에 있어서 암처리 시간을 16시간으로 고정하고, 인자-C의 농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꽃눈의 갯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실시예 16에 있어서 인자-C의 농도를 10μM로 하여 암처리 시간을 변경시킨 경우의 꽃눈의 갯수를 나타내는 그래프.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을 갖는 지방산
본 발명에 있어서의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을 갖는 지방산의 제 1 양태는 옥소기 및 히드록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C4-C24지방산이다. 상기 옥소기 및 히드록시기는 바람직하게는 α-케토알콜 구조 또는 γ-케토알콜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중결합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5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 특히 2개이다. 탄소원자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C4-C22, 더욱 바람직하게는 C16-C22, 특히 C18이 바람직하다. α-케토알콜 구조를 갖는 대표적인 지방산으로는 9-히드록시-10-옥소-12(Z),15(Z)-옥타데카디엔산(본 발명에서 인자-C(FC)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 및 12-옥소-13-히드록시-9(Z),15(Z)-옥타데카디엔산을 들 수 있다.
9-히드록시-10-옥소-12(Z),15(Z)-옥타데카디엔산
12-옥소-13-히드록시-9(Z),15(Z)-옥타데카디엔산
또한, γ-케토알콜 구조를 갖는 지방산으로는 10-옥소-13-히드록시-11(E), 15(Z)-옥타데카디엔산 및 9-히드록시-12-옥소-10(E),15(Z)-옥타데카디엔산을 들 수 있다.
l0-옥소-13-히드록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
9-히드록시-12-옥소-10(E),15(Z)-옥타데카디엔산
본 발명에 있어서의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을 갖는 지방산의 제 2 양태는 옥소기, 히드록시기 및 히드로퍼옥시기(-O-OH)를 가지며, 0∼6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C4-C24지방산이다. 상기 옥소기 및 히드록시기는 상기 α-케토알콜 구조 또는 γ-케토알콜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α-케토알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중 결합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5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 특히 2개이다. 탄소원자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C14-C22, 더욱 바람직하게는 C16-C22, 특히 C18이다. 이 양태에 속하는 대표적인 지방산으로서 9-히드로퍼옥시-12-옥소-13-히드록시-10(E),15(Z)-옥타데카디엔산 및 9-히드록시-10-옥소-13-히드로퍼옥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을 들 수 있다.
9-히드로퍼옥시-12-옥소-13-히드록시-10(E),15(Z)-옥타데카디엔산
9-히드록시-10-옥소-13-히드로퍼옥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
본 발명에 있어서의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을 갖는 지방산의 제 3 양태는 히드로퍼옥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C4-C24지방산이다. 상기 옥소기 및 히드록시기는 상기 α-케토알콜 구조 또는 γ-케토알콜 구조를 구성하고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α-케토알콜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이중 결합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5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개 또는 3개이며, 특히 3개이다. 탄소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C14-C22, 더욱 바람직하게는 C16-C22이고, 특히 C18이다. 이 양태에 속하는 대표적인 지방산으로 9-히드로퍼옥시-10(E),12(Z),15(Z)-옥타데카트리엔산 및 13-히드로퍼옥시-9(Z),11(E),15(Z)-옥타데카트리엔산을 들 수 있다.
9-히드로퍼옥시-l0(E),12(Z),15(Z)-옥타데카트리엔산
13-히드로퍼옥시-9(Z),11(E),15(Z)-옥타데카트리엔산
상기 각종 지방산중 9-히드록시-10-옥소-12(Z),15(Z)-옥타데카디엔산, 즉 인자-C는 식물로부터의 추출법, 화학 합성법 및 효소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그 이외의 지방산은 화학 합성법 또는 효소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추출법
이 추출법에 있어서의 원재료가 되는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은 연못이나 논의 수면에 부유하는 수면에 떠오르는 엽상체가 각각 1개의 뿌리를 수중에 내리는 소형 수초이다. 꽃은 엽상체의 몸측에 형성되고, 1개의 수술만으로 이루어지는 수꽃 2개와 1개의 암꽃술로 이루어지는 암꽃이 공통된 작은 포로 둘러싸여 있다.
이 좀개구리밥은 비교적 증식 속도가 빠르고(즉, 개화 형성이 빠르다. 예컨대, 후술하는 분석계에 있어서 꽃눈 유도 체크용으로 이용된 좀개구리밥 151계는 불과 7일간 이하에서 개화됨), 또한 낮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꽃눈 형성 유도를 제어할 수 있는 등의 꽃눈 형성과 관련된 분석계로서 우수한 성질을 갖고 있다.
이 좀개구리밥의 파쇄물을 항온처리한 것에는 적어도 좀개구리밥에 대한 꽃눈 유도 활성이 인지되고 있다.
그리고, 또 이 파쇄물에 원심 분리(8000×g·10분간 정도)를 행하여 얻은 상청액과 침전물중 상청액을 제외한 것을 인자-C를 함유하는 화분(畵分)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자-C는 상기 파쇄물을 출발물로서 단리·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또 조제 효율면에서 바람직한 출발물로서, 좀개구리밥을 떠오르게 하거나 또는 침지시킨 후의 수용액을 들 수 있다. 이 수용액은 좀개구리밥이 생육가능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수용액 조정의 구체예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기재한다.
침지 시간은 실온에서 2∼3시간 정도라도 가능하지만, 특별히 한정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방법으로 인자-C의 출발물을 조제하는 경우에, 미리 좀개구리밥에 인자-C를 유도할 수 있는 특정한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 인자-C의 제조 효율상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스트레스, 열 스트레스, 침투압 스트레스 등을 상기 특정한 스트레스로서 들 수 있다.
건조 스트레스는 예컨대 저습도(바람직하게는 상대 습도 50% 이하)로 실온하, 바람직하게는 24∼25℃ 정도로 좀개구리밥을 건조시킨 필터지상에 넓힌 상태로 방치함으로써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건조 시간은 대체로 20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5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분 이상이다.
열 스트레스는 예컨대 온수중에 좀개구리밥을 침지시킴으로써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온수 온도는 40℃∼65℃에서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45℃∼6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55℃이다. 또한, 온수로 처리하는 시간은 대체로 5분 정도로 충분하지만, 비교적 저온의 경우, 예컨대 40℃ 정도의 온수중에서 좀개구리밥을 처리하는 경우는 2시간 이상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 스트레스 처리후에는 신속하게 좀개구리밥을 냉수중에 되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침투압 스트레스는 예컨대 고농도의 당용액 등의 고침투압 용액에 좀개구리밥을 접촉시킴으로써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의 당농도는, 예컨대 만니톨 용액이면 0.3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처리 시간은 예컨대 0.5M 만니톨 용액을 이용하는 경우는 1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3분 이상이다.
이렇게 하여 소망하는 인자-C를 함유하는 출발물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종 출발물의 기초가 되는 좀개구리밥의 포기(株)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높은 효율로 꽃눈 유도 물질을 생산하는 포기(예컨대, 좀개구리밥 441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좀개구리밥의 포기는 통상의 선발 방법을 이용하여 확보할 수도 있고, 유전자 공학적인 수법을 이용하여 확보할 수도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제한 출발물에 아래와 같은 분리·정제 수단을 실시하여 소망하는 인자-C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여기에 나타내는 분리 수단은 예시이고, 이들 분리 수단에 상기 출발물로부터 인자-C를 제조하기 위한 분리 수단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우선, 상기 출발물에 대하여 용매 추출을 실시하고, 인자-C를 함유하는 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매 추출에 이용하는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예컨대 클로로포름, 아세트산에틸, 에테르, 부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용매중에서도 클로로포름은 비교적 용이하게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용매 추출로 얻어진 유층 화분을 통상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여 세척·농축하여 ODS(옥타데실실란) 컬럼 등의 역상 분배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 컬럼을 이용한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걸어서 꽃눈 유도 활성 화분을 분리·정제함으로써 인자-C를 단리할 수 있다.
또한, 출발물의 성질 등에 따라서 통상 공지의 다른 분리 수단, 예컨대 한외 여과, 겔 여과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화학 합성법
다음에, 본 발명의 꽃눈 형성을 유도하는 작용을 갖는 지방산의 화학 합성법을 설명한다.
인자-C(즉, 9-히드록시-10-옥소-12(Z),15(Z)-옥타데카디엔산)는 하기 반응식 A에 따라서 합성할 수 있다(방법 1).
노난 이산 모노에틸에스테르(1)을 출발 원료로 하여 N, N'-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반응하여 산 이미다졸리드로 한 후에, 저온으로써 LiAlH4환원하여 대응하는 알데히드(3)로 유도한다. 한편, cis-2-헥센-1-올(4)을 트리페닐 포스핀 및 사브롬화탄소와 반응시켜 얻은 (5)에 트리페닐 포스핀을 반응시키고, 또 n-BuLi 존재하에 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와 반응함으로써 cis-올레핀을 구축하여 (7)로 유도한다. 이어서, 메틸티오메틸 p-톨릴설폰과 반응후, NaH 존재하에, 먼저 유도된 알데히드(3)를 반응시켜 유도된 2급 알콜(9)을 t-부틸디페닐실릴 클로라이드로 보호하여 산 가수분해에 이어서 탈보호시킴으로써 인자-C {9-히드록시-10-옥소-12(Z),15(Z)-옥타데카디엔산}(12)으로 유도한다.
또, 인자-C를 화학 합성하는 제 2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서 출발 화합물로서 노난 이산 모노에스테르(1) 대신에 1,9-노난디올(1')를 이용하여 이것을 MnO2에 의해 산화하여 디알데히드(2')로 하고, 이것을 다시 KMnO4에 의해 산화하여 모노알데히드 모노카르복실산(3')로 한 후 에스테르화하여, 상기 반응식 A 에서의 중간체 화합물(3)을 생성시키고, 그 후의 반응을 상기 방법(1)의 반응식 A 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1,9-노난디올(1')로부터 중간체(3)에 이르는 반응의 경로를 하기 반응식 B에 나타낸다.
또한, 12-옥소-13-히드록시-9(Z),15(Z)-옥타데카디엔산은 예컨대 하기 합성 반응식 C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즉, 노난 이산 모노에틸에스테르(1)를 출발 원료로 하여 염화티오닐과 반응시킴으로써 산 염화물(2)로 한 후에 NaBH4환원을 하여 산 알콜(3)로 유도한다. 이어서 유리 카르복실산을 보호한 후에 트리페닐 포스핀 및 사브롬화탄소와 반응시켜 얻은 (5)에 트리페닐 포스핀를 반응시키고, 또 n-BuLi 존재하 클로로아세트알데히드와 반응시킴으로써 cis 올레핀을 구축하여 (6)으로 유도한다. 이어서, 메틸티오메틸 p-톨릴 설폰과 반응후, n-BuLi 존재하, 별도로 cis-2-헥센-1-올(8)의 PCC 산화에 의해 유도된 알데히드(3)를 반응시키고, 최후에 탈보호시킴으로써 12-옥소-13-히드록시-9(Z),15(Z)-옥타데카디엔산(10)으로 유도한다.
또한, 10-옥소-13-히드록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은 예컨대 하기 합성 반응식 D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즉, 메틸 비닐 케톤(1)을 원료로 하여 LDA, DME 존재하, 트리메틸실릴 클로라이드를 반응시켜 얻은 실릴에테르(2)를 저온(-70℃)으로 MCPBA 및 트리메틸아민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첨가하여 케토알콜(3)로 한다. 이어서 카르보닐기를 보호한 후에, 트리페닐 포스핀 및 트리클로로아세톤을 반응 시약으로 이용하여 올레핀에 염화물을 부가하지 않고 (5)로 유도한다. 다음에 트리부틸비소 및 K2CO3존재하 포름산을 반응시켜 trans-올레핀을 구축하여 염화물(7)로 한다. 이어서, (7)과 cis-2-헥센-1-올의 PCC 산화에 의해 유도된 알데히드(8)를 반응시켜 (9)로 유도한다. 또 (9)와 6-헵텐산(10)의 결합 반응을 실시하여 최후에 탈보호시켜 10-옥소-13-히드록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11)으로 유도한다.
효소법
다음에, 효소적 합성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인자-C는 다음과 같이 하여 효소법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이 효소법에 의한 인자-C의 출발 원료로서는 α-리놀렌산을 이용할 수 있다. 이 α-리놀렌산은 식물등을 통하여 비교적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으로, 이들 동물·식물등으로부터 통상 공지의 방법을 통하여 추출·정제한 것을 인자-C를 제조할 때의 출발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시판품을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우선, 이 효소법에 있어서는 α-리놀렌산을 기질로서 리폭시게나아제(LOX)를 작용시켜 9위치에 히드로퍼옥시기(-OOH)를 도입한다. 리폭시게나아제는 cis,cis-1,4-펜타디엔 구조를 갖는 불포화 지방산에 분자형 산소를 히드록시퍼옥시기로서 도입하는 산화 환원 효소로서, 동물·식물을 막론하고, 생체내에 그 존재가 확인되고 있는 효소이다.
예컨대, 식물의 경우, 대두, 아마 씨, 앨팔파, 보리, 잠두, 루핀, 납작콩, 완두콩, 감자의 덩이 줄기, 소맥분, 사과, 빵이스트, 면, 오이의 뿌리, 낙엽관목, 포도, 서양 배, 강낭콩, 쌀눈, 딸기, 해바라기, 차잎 등에 있어서 그 존재가 인지되고 있는 효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폭시게나아제는 α-리놀렌산의 9위치에 히드록시퍼옥시기를 도입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유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α-리놀렌산을 기질로서 상기 리폭시게나아제 처리를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이용된 리폭시게나아제의 적당한 온도 및 적당한 pH로 효소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여기서 이용되는 리폭시게나아제는 통상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기 식물 등으로부터 추출·정제한 것을 이용하거나 시판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α-리놀렌산으로부터 9-히드로퍼옥시리놀렌산(9-히드로퍼옥시-cis-12,15-옥타데카디엔산)을 조제한다.
이어서 이 9-히드로퍼옥시리놀렌산을 기질로서 히드로퍼옥시 이성질체화 효소를 작용시킴으로써 소망하는 인자-C를 제조할 수 있다. 히드로퍼옥시 이성질체화 효소는 히드로퍼옥시기를 에폭시화를 통해 케토알콜체로 변환하는 활성을 갖는 효소로서, 예컨대 식물이라면, 보리, 소맥, 옥수수, 면, 가지, 아마 씨, 상치, 귀리, 시금치, 해바라기 등에 있어서 그 존재가 인지되고 있는 효소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드로퍼옥시 이성질체화 효소는 예컨대 9-히드로퍼옥시 리놀렌산의 9위치인 히드로퍼옥시기를 탈수시킴으로써 에폭시기를 형성하고, 또한 OH­의 친핵성 반응에 의해 소망하는 인자-C를 결과로서 얻을 수 있는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9-히드로퍼옥시 리놀렌산을 기질로서 상기 히드로퍼옥시드 이성질체화 효소 처리를 실시하는데 있어서는 이용된 히드로퍼옥시드 이성질체화 효소의 적당한 온도 및 적당한 pH로 효소 반응을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당연하다.
또한, 여기서 이용되는 히드로퍼옥시드 이성질체화 효소는 통상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상기 식물등에서 추출·정제한 것을 이용하거나 시판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2 공정의 효소 반응은 따로따로 행하거나 연속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효소의 미정제품 또는 정제품을 상기 효소 반응을 진행시키기 위해 이용하여 인자-C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효소를 담체에 고정시켜 이들 고정화 효소를 조제하여 컬럼 처리 또는 배취 처리 등을 기질에 실시함으로써 인자-C를 얻을 수 있다.
또, 에폭시기를 형성시킨 후의 OH­의 친핵성 반응(상기)에 의해 인자-C를 얻으려고 할 경우에, 그 친핵성 물질의 상기 에폭시기 부근에서의 작용 형식에 의해서는 α-케토알콜 불포화 지방산 이외에 부생물로서 γ-케토알콜 화합물을 생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γ-케토알콜 화합물 등의 부생물은 HPLC 등의 통상 공지된 분리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효소법에 의한 인자-C의 합성 경로를 하기 반응식 E 로서 나타낸다.
효소법에 의한 인자-C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위에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지방산중 이중 결합을 α-케토알콜 구조로 전환하는 리폭시게나아제 및 히드로퍼옥시 이성질체화 효소는 효모 균체 및 피자 식물의 식물체중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자-C 뿐만 아니라, 효모의 균체 혹은 피자 식물의 식물체 또는 그 효소 함유물, 예컨대 분쇄물, 수성 추출물 등 및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을 효소 반응을 허용하는 매체, 예컨대 수성 매체중에서 항온처리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꽃눈 형성 유도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효모로서는, 예컨대 사카로마이시즈(saccharomyces)속에 속하는 효모, 예컨대 사카로마이시즈·세레비시아(Saccharomyces cerevisia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피자 식물로서는 예컨대 쌍자엽 식물강(Dicotyledoneae)의 이변화아강(Archich1amydeae)에 속하는 식물로서,
버티실라목(Verticillatae)의 카수아리나과 (Casuarinaceae);
후추나무목(Piperales)의 삼백초과(Saururaceae), 후추나무과(Piperaceae) 죽절초과(Chloranthaceae);
버드나무목(Sa1icales)의 버드나무과(Salicaceae);
소귀나무목(Myricales)의 소귀나무과(Myricaceae);
호두나무목(Juglandales)의 호두나무과(Juglandaceae);
너도밤나무목(Fagales)의 자작나무과(Betulaceae) 및 너도밤나무과(Fagaceae);
쐐기풀목(Urticales)의 느릅나무과(Ulmaceae), 뽕나무과(Moraceae) 및 쐐기풀과(Urticaceae);
포도스테모나목(Podostemonales)의 포도스테마과(Podostemaceae);
프로테아목(Proteales)의 프로테아과(Proteaceae);
백단향목(Santalales)의 올라카과(Olacaceae), 백단향과(Santalaceae) 및 겨우살이과(Loranthaceae);
아리스토로키아목(Aristolochiales)의 아리스토로키아과(Aristolochiaceae) 및 라플레시아과(Rafflesiaceae);
발라노포라목(Balanophorales)의 발라노포라과(Balanophoraceae);
수료목(Polygonales)의 수료과(Polygonaceae);
중심자목(Centrospermae)의 명아주과(Chenopodiaceae), 비름과(Amaranthaceae), 분꽃과(Nyctaginaceae), 키노크람바과(Cynocrambaceae), 피토라카과(Phytolaccaceae), 번행초과(Aizoaceae), 쇠비름과(Portulacaceae), 덩굴지치과(Basellaceae) 및 패랭이꽃과(Caryophyllaceae);
미나리아재비목(Ranales)의 자목련과(Magnoliaceae), 트로코덴드라과(Trochodendraceae), 침나무과(Cercidiphyllaceae), 수련과(Nymphaeaceae), 붕어마름과(Ceratophyllaceae),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방기과(Menispermaceae), 납매과(Calycanthaceae), 육두과(Myristicaceae) 및 녹나무과(Lauraceae);
양귀비목(Rhoeadales)의 양귀비과(Papaveraceae), 풍조초과(Capparidaceae), 평지과(Cruciferae) 및 레세다과(Resedaceae);
사라세니아목(Sarraceniales)의 끈끈이주걱과(Droseraceae) 및 식충식물과(Nepenthaceae);
장미목(Rosales)의 꿩의비름과(Crassulaceae), 범의귀과(Saxifragaceae), 섬엄나무과(Pittosporaceae), 조롱나무과(Hamamelidaceae), 플라타너스과(Platanaceae), 장미과(Rosaceae) 및 콩과(Leguminosae);
불로초목(Geraniales)의 괭이밥과(Oxalidaceae), 불로초과(Geraniaceae), 한련과(Tropaeolaceae), 아마과(Linaceae), 에리트록시라과(Erythroxylaceae), 납가새과(Zygophyllaceae), 귤과(Rutaceae), 소태나무과(Simaroubaceae), 감람나무과(Burseraceae), 멀구슬나무과(Meliaceae), 애기풀과(Polygalaceae), 등대풀과(Euphorbiaceae) 및 별이끼과(Callitrichaceae);
무환자나무목(Sapindales)의 회양목과(Buxaceae), 시로미과(Empetraceae), 독병꽃나무과(Coriariaceae), 옻나무과(Anacardiaceae),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화살나무과(Celastraceae), 고추나무과(Staphyleaceae), 이카키나과(Icacinaceae), 단풍나무(Aceraceae), 칠엽나무과(Hippocastanaceae),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나도밤나무과(Sabiaceae) 및 물봉선화과(Balsaminaceae);
람나목(Rhamna1es)의 람나과(Rhamnaceae) 및 포도과(Vitaceae);
아욱목(Malvales)의 담팔수과(Elaeocarpaceae), 참피나무과(Tiliaceae), 아욱과(Malvaceae) 및 벽오동과(Sterculiaceae);
측막태좌목(Parietales)의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동백과(Theaceae), 고추나무과(Guttiferae), 물별과(Elatinaceae), 위성류과(Tamaricaceae), 제비꽃과(Violaceae), 의나무과(Flacourtiaceae), 스타키우라과(Stachyuraceae), 파시플로라과(Passifloraceae) 및 추해당과(Begoniaceae);
선인장목(Opuntiales)의 선인장과(Cactaceae);
미르티플로라목(Myrtiflorae)의 서향과(Thymelaeaceae), 수유나무과(Elaegnaceae), 부처꽃과(Lythraceae), 석류나무과(Punicaceae), 홍수과(Rhizophoraceae), 박쥐나무과(Alangiaceae), 사군자과(Combretaceae), 미르타과(Myrtaceae), 멜라스토마타과(Melastomataceae), 마름과(Hydrocaryaceae), 바늘꽃과(Oenotheraceae), 개미탑과(Haloragaceae) 및 삼목나무과(Hippuridaceae); 및
우산형꽃목(Umbe1liflorae)의 오갈피나무(Araliaceae), 미나리과(Umbelliferae) 및 층층나무과(Cornaceae);
에 속하는 식물을 들 수 있다.
또, 쌍자엽 식물강의 합변화아망(Sympetalea)에 속하는 식물로서,
암매목(Diapensia1es)의 암매과(Diapensiaceae);
진달래목(Ericales)의 클레트라과(Clethraceae), 노루발풀과(Pyrolaceae) 및 진달래과(Ericaceae);
앵초목(Primulales)의 자금우과(Myrsinaceae) 및 앵초과(Primulaceae);
갯질경이목(P1umbaginales)의 갯질경이과(Plumbaginaceae);
감나무목(Ebenales)의 감나무과(Ebenaceae), 심플로카과(Symplocaceae) 및 때죽나무과(Styracaceae);
회선화목(Contortae)의 올레아과(Oleaceae), 등병꽃나무과(Loganiaceae), 용담과(Gentianaceae), 협죽도과(Apocynaceae) 및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
관형꽃목(Tubiflorae)의 메과(Convolvulaceae), 꽃고비과(Po1emoniaceae), 지치과(Boraginaceae), 마편초과(Verbenaceae), 차조기과(Labiatae), 가지과(So1anaceae), 스크로푸라리아과(Scrophulariaceae), 능소화나무과(Bignoniaceae), 참깨과(Pedaliaceae), 마르티니아과(Martyniaceae), 오로반카과(Orobanchaceae), 게스네리아과(Gesneriaceae), 통발과(Lentibulariaceae), 쥐꼬리망초과(Acanthaceae), 미오포라과(Myoporaceae) 및 프리마과(Phrymaceae);
질경이목(Plantaginales)의 질경이과(Plantaginaceae);
꼭두서니목(Rubiales)의 꼭두서니과(Rubiaceae), 인동덩굴과(Caprifoliaceae), 연복초과(Adoxaceae), 마타리과(Valerianaceae) 체꽃과(Dipsacaceae);
참외목(Cucurbitales)의 참외과(Cucurbitaceae); 및
도라지목(Campanulatae)의 도라지과(Campanulaceae) 및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식물을 들 수 있다.
또, 단자엽 식물강(Monocotyledoneae)의 식물로서,
판다누스목(Pandanales)의 부들과(Typhaceae), 판다누스과(Pandanaceae) 및흑삼릉과(Sparganiaceae);
소생목(Helobiae)의 가래과(Potamogetonaceae), 가시나무과(Najadaceae), 장지채과(Scheuchzeriaceae), 벗풀과(A1ismataceae) 및 자라풀과(Hydrocharitaceae);
트리우리다목(Triuridales)의 트리우리다과(Triuridaceae);
영화목(Glumiflorae)의 벼과(Gramineae) 및 금방동사니과(Cyperaceae);
야자목(Palma1es)의 야자과(Palmae);
토란목(Arales)의 토란과(Araceae) 및 개구리밥과(Lemnaceae);
닭의장풀목(Commelinales)의 곡정초과(Eriocaulaceae), 파인애플과(Bromeliaceae), 닭의장풀과(Commelinaceae), 물옥잠과(Pontederiaceae) 및 필리드라과(Philydraceae);
백합목(Liliiflorae)의 등심초과(Juncaceae), 파부초과(Stemonaceae), 백합과(Liliaceae), 석산과(Amaryllidaceae), 참마과(Dioscoreaceae) 및 붓꽃과(Iridaceae);
생강목(Scitamineae)의 파초과(Musaceae), 생강과(Zingiberaceae) 및 칸나과(Cannaceae); 및
난초목(Orchidales)의 부르만니아과(Burmanniaceae) 및 난초과(Orchidaceae);에 속하는 식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식물은 식물체, 종자, 효소를 불활성화시키지 않는 방법으로 여러가지 처리된 처리물, 예컨대 건조물, 분쇄물, 수성 추출물, 착즙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클로로필은 리폭시게나아제의 억제제로서 알려져 있으므로, 소맥, 쌀, 보리, 대두, 옥수수, 강낭콩등과 같이, 클로로필을 함유하지 않은 부분(종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효소로서는 상기 식물이나 그 처리물 이외에 리폭시게나아제 및 히드로퍼옥시드 이성질체화 효소의 효소 제제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인자-C의 효소적 제조 방법의 경우와 동일하다.
리폭시게나아제는 cis,cis-1,4-펜타디엔 구조를 갖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을 기질로서 다음 반응에 의해 히드로퍼옥시기를 도입한다.
따라서, 탄소 사슬내에 상기 구조를 갖는 임의의 지방산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효소법을 위한 지방산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방산으로서는, 예컨대, cis-9,12-옥타데카디엔산(리놀렌산; C18:2, cis-9,12), trans-9,12-옥타데카디엔산(리놀레라이딘산; C18:2,trans-9,12), 9,ll(10,12)-옥타데카디엔산(Cl8:2,△9,11(10,12)), cis-6,9,12-옥타데카트리엔산(γ-리놀렌산; Cl8:3, cis-6,9,12), cis-9,12,15-옥타데카트리엔산(리놀렌산; C18:3, cis-9,12,15), trans-9,12,15-옥타데카트리엔산(리놀렌라이딘산; C18:3, trans-9,12,15), cis-6,9,12,15-옥타데카트리엔산(Cl8:4, cis-6,9,12,15), cis-11,14-에이코사디엔산(C20:2, cis-11,14), cis-5,8,ll-에이코사트리엔산(C20:3,cis-5,8,11), 5,8,11-에이코사트리엔산(C20:3,5,8,11-이노산), cis-8,11,14-에이코사트리엔산(C20:3, cis-8,11,14),8,11,14-에이코사트리엔산(C20:3, 8,11,14-이노산), cis-11,14,17-에이코사트리엔산(C20:3, cis-11,14,17), cis-5,8,11,14-에이코사테트라엔산(아라키돈산; C20:4, cis-5,8,11,14), cis-5,8,11,17-에이코사펜타엔산(C20:5, cis-5,8,11,14,17), cis-13,16-도코사디엔산(C22:2, cis-13,16), cis-13,16,19-도코사트리엔산(C22:3, Cis-13,16,19), cis-7,l0,13,16-도코사테트라엔산(C22:4, cis-7,10,13,16), cis-7,10,13,16,19-도코사펜타엔산(C22:5, cis-7,10,13,16,19), cis-4,7,10,13,16,19-도코사헥사엔산(C22:6, cis-4,7,10,13,16,19)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지방산은 제조하고자 하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속하는 9-히드로퍼옥시-10(E),12(Z),15(Z)-옥타데카트리엔산 및 13-히드로퍼옥시-9(Z),11(E),15(Z)-옥타데카트리엔산을 효소법에 의해 얻기 위해서는 리놀렌산에 리폭시게나아제를 작용시키면 된다. 또, 히드로퍼옥시드 이성질체화 효소를 사용시키면 인자-C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인자-C에 추가로 리포시게나제를 사용함으로써 9-히드록시-10-옥소-13-히드로퍼옥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을 얻을 수 있다. 또 13-히드록시-12-옥소-9(Z),15(Z)-옥타데카디엔산에 리포시게나제를 작용시킴으로써 9-히드로퍼옥시-12-옥소-13-히드록시-10(E),15(Z)-옥타데카디엔산을 얻을 수 있다.
효소 또는 효모균체 혹은 식물체 또는 그들의 처리물과 지방산과의 항온처리는 인자-C의 효소적 제조에 관하여 상기 기재한 바와같다.
또한, 인자-C는 상기 추출법과 효소법 외에, 화학 합성 반응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과의 조합으로 소망하는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이 발휘되는 노르에피네프린은 본 발명에 있어서 통상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시판품을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형인 (-)형 노르에피네프린 뿐만 아니라, (+)형 노르에피네프린, 또한 이들의 혼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불포화 지방산, 또는 불포화 지방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이하,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라 함)가 제공된다.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 중, 불포화 지방산만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식물에서 존재하는 노르에피네프린과의 조합에 있어서 소정의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을 발휘시키거나, 식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이 형태의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와 노르에피네프린 제제를 조합하여 이용해서 원하는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을 발휘시키는 것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 중 불포화 지방산 및 노르에피네프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형태에서는 예컨대 식물에 있어서 가장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의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이 강한 비율로 상기 양쪽의 유효 성분을 배합하여 사용의 편의를 도모하여 수득한다.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에 있어서의 불포화 지방산과 노르에피네프린과의 배합 비율은 상기 목적에 따라서 이용하는 식물의 성질에 따라서 적당히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청색 물풀등의 물풀과 식물에 있어서, 식물 중의 노르에피네프린의 존재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는 양자(불포화 지방산과 노르에피네프린)를 등몰 농도로 배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으로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물풀과 식물에 있어서, 이 양자를 등몰 농도로 배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합량이 적은 쪽의 배합 성분의 농도로 양자를 배합한 경우와 같은 정도의 효과밖에 발휘할 수 없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는 이것을 이용하는 대상 식물의 성질에 따른 처리를 행하면서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가 많다. 예컨대, 후술하는 실시예의 나팔꽃등의 단일 식물의 비율에는 일정한 암처리를 실시한 후,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유효 성분은 그대로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식물에 적용가능한 소망의 제형, 예컨대 액제, 고형제, 가루제, 유제, 저상 첨가제등의 제형에 따라서 제제학상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공지의 담체 성분, 제제용 보조제등을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인 꽃눈 형성 유도가 손상되지 않는 한도에서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담체 성분으로서는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가 저상 첨가제 또는 고형제인 경우에는 대체로 활석, 점토, 질석, 규조토, 고령토, 탄산칼슘, 수산화칼슘, 백토, 실리카 겔 등의 무기질이나 소맥분, 전분등의 고체 담체; 또는 액제인 경우에는 대체로 물, 크실렌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에탄올, 에틸렌글리콜등의 알콜류, 아세톤등의 케톤류, 디옥산, 테트라히드로푸란등의 에테르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아세토니트릴등의 액체 담체가 상기 담체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제제용 보조제로서는 예컨대 알킬황산에스테르류, 알킬설폰산염, 알킬아릴설폰산염, 디알킬설포숙신산염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고급 지방족 아민의 염류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아실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다가알콜 아실 에스테르, 셀룰로스 유도체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젤라틴, 카제인, 아라비아 고무등의 증점제, 증량제, 결합제등을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식물 생장 조절제, 예컨대 벤조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피페콜린산등을 상기 본 발명의 소기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도에서,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 중에 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는 그 제형에 따른 방법으로 다양한 식물에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화를 도모하는 식물의 생장점, 잎의 표면 및/또는 이면, 포기 전체등에 액제나 유제로서 산포, 적하, 도포하거나, 고형제나 가루제로서 땅 속에서 뿌리에 흡수시키는 것등이 가능하다. 또한, 개화를 도모하는 식물이 물풀등의 수초인 경우에는 저상 첨가제로서 뿌리로부터 흡수시키거나, 고형제를 물 속에서 서서히 용해시키는 것등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유효 성분인 인자-C 및 불포화 지방산 및 노르에피네프린을 함유하는 키트 형태를 취하는 꽃눈 형성 유도용 키트도 제공하지만,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용 키트의 목적 및 효과는 상기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와 같다.
또한,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 및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용 키트를 적용가능한 식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쌍자엽 식물, 단자엽 식물의 양쪽에 대하여 본 발명 꽃눈 형성 유도제는 유효하다.
쌍자엽 식물로서는 예컨대 나팔꽃속식물(나팔꽃), 메꽃속식물(메꽃, 애기메꽃, 갯메꽃), 고구마속식물(군바이메꽃, 고구마), 새삼속식물(새감, 실새삼)이 포함되는 메꽃과식물을 비롯하여, 카수아리나과 식물, 삼백초과 식물, 후추나무과 식물, 죽절초과 식물, 버드나무과 식물, 소귀나무과 식물, 호두과 식물, 자작나무과 식물, 너도밤나무과 식물, 느릅나무과 식물, 뽕나무과 식물, 쐐기풀과 식물, 포도스테마과 식물, 프로테아과 식물, 올라카과 식물, 백단향과 식물, 겨우살이과 식물, 아리스토로키아과 식물, 라플레시아과 식물, 발라노포라과 식물, 수료과 식물, 명아주과 식물, 비름과 식물, 분꽃과 식물, 키노크람바과 식물, 피토라카과 식물, 번행초과식물, 쇠비름과식물, 패랭이꽃과식물, 자목련과식물, 트로코덴드라과 식물, 침나무과식물, 수련과 식물, 붕어마름과식물, 미나리아재비과식물, 으름덩굴과식물, 매자나무과식물, 방기과식물, 납매과식물, 녹나무과 식물, 양귀비과 식물, 풍조초과 식물, 평지과식물, 끈끈이주걱과식물, 식충식물과식물, 꿩의비름과식물, 범의귀과식물, 섬엄나무과식물, 조롱나무과식물, 플라타너스과식물, 장미과식물, 콩과식물, 괭이밥과식물, 불로초과식물, 아마과식물, 납가새과식물, 귤과식물, 소태나무과식물, 멀구슬나무과식물, 애기풀과식물, 등대풀과식물, 별이끼과식물, 회양목과식물, 시로미과식물, 독병꽃과 식물, 옻과식물, 감탕나무과식물, 화살나무과식물, 고추나무과식물, 이카키나아과 식물, 단풍나무과식물, 칠엽나무과식물, 무환자나무과식물, 나도밤나무과식물, 물봉선화과식물, 람나과 식물, 포도과식물, 담팔수과식물, 참피나무과식물, 아욱과식물, 벽오동과식물, 다래나무과식물, 동백과식물, 고추나무과식물, 물별과식물, 위성류과식물, 제비꽃과식물, 의나무과식물, 스타키우라과 식물, 파시플로라과 식물, 추해당과식물, 선인장과식물, 서향과식물, 수유나무과식물, 부처꽃과식물, 석류나무과식물, 홍수과식물, 박쥐나무과식물, 멜라스토마타과 식물, 마름과식물, 바늘꽃과식물, 개미탑과식물, 삼목나무과식물, 오갈피과식물, 미나리과식물, 층층나무과식물, 암매과식물, 클레트라과 식물, 노루발풀과식물, 진달래과식물, 자금우과식물, 앵초과식물, 갯질경이과식물, 감나무과식물, 심플로카과 식물, 때죽나무과식물, 올레아과 식물, 등병꽃나무과식물, 용담과식물, 협죽도과식물, 박주가리과식물, 꽃고비과식물, 지치과식물, 마편초과식물, 차조기과식물, 가지과식물, 스크로푸라리아과 식물, 능소화나무과식물, 참깨과식물, 오로반카과 식물, 게스네리아과 식물, 통발과식물, 쥐꼬리망초과식물, 미오포라과 식물, 프리마과 식물, 질경이과식물, 꼭두서니과식물, 인동덩굴과식물, 연복초과식물, 마타리과식물, 체꽃과식물, 참외과식물, 도라지과식물, 국화과식물등을 예시할 수 있다.
단자엽 식물로서는 예컨대 개구리밥속식물(개구리밥) 및 좀개구리밥속식물(좀개구리밥, 힌지모)이 포함되는 개구리밥과식물을 비롯하여, 부들과식물, 흑삼릉과식물, 가래과식물, 가시나무과식물, 장지채과식물, 벗풀과식물, 자라풀과식물, 트리우리다과 식물, 벼과식물, 금방동사니과식물, 야자과식물, 토란과식물, 곡정초과식물, 닭의장풀과식물, 물옥잠과식물, 등심초과식물, 파부초과식물, 백합과식물, 석산과식물, 참마과식물, 붓꽃과식물, 파초과식물, 생강과식물, 칸나과식물, 부르만니아과 식물, 난초과식물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여야 할 과제는 개화에 직접 관계되는 꽃눈 형성 유도 물질 등을 찾아내어 이 꽃눈 형성 유도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우선 옥소기 및 히드록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C4-C24지방산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꽃눈 형성 유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옥소기, 히드록시기 및 히드로퍼옥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C4-C24지방산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꽃눈 형성 유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히드로퍼옥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C4-C24지방산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꽃눈 형성 유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효모 균체 혹은 피자 식물의 식물체 또는 이들 수성 추출물과 지방산을 항온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꽃눈 형성 유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각종 꽃눈 형성 유도제와 노르에피네프린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꽃눈 형성 유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꽃눈 형성 유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꽃눈 형성 유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꽃눈 형성 유도제를 식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등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어야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자-C의 추출법에 의한 제조
단일 처리를 실시하여 꽃눈 형성을 1회만 실시한 좀개구리밥(Lemna paucicostata)의 441 계통(이하, 「P441」라 함. 본 발명자의 한사람인 교토 대학 농학부 다키모토 도오루 명예교수로부터 입수, 이후, 필요에 따라서 분양할 용의 있음)를 24∼25℃에서 주광색 형광등으로 계속적으로 조사하면서(히타치 FL20 SSD에서 식물에 대하여 약 5W/㎡의 비율로 조사) 1%의 자당을 함유한 1/2 희석의 허트너 배양기[허트너 1953; 허트너 배양기(희석없음)의 조성은 KH2P04(400㎎), NH4N03(200㎎), EDTA·2K(690㎎), Ca(N03)2·4H2O(354㎎), MgS04·7H2O(500㎎), FeSO4·7H2O(24.9㎎), MnCl2·4H2O(17.9㎎), ZnS04·7H20(65.9㎎), CaSO4·5H2O(3.95㎎), Na2MoO4·2H2O(14.2㎎), H3BO3(14.2㎎), Co(Mo3)2·6H20(0.2㎎)/1000㎖ 증류수(pH 6.2∼6.4)임]내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대를 이어 보존하였다.
다음에, 이 P441의 배양물을 증류수로 세척하고나서 2μM의 Fe-EDTA를 함유하는 1/10 희석의 E 배양기[클러랜드 앤드 브릭스 1967 ;또, 1/10F 배양기의 조성은 Ca(N03)2·4H2O(118㎎), MgS04·7H2O(49.2㎎), KH2P04(68.0㎎), KN03(115㎎), FeCl3·6H2O(0.54㎎), 터타레이트(0.30㎎), H3BO3(0.29㎎), ZnSO4·7H2O(0.022㎎), Na2MoO4·2H2O(0.013㎎), CuS04·5H2O(0.008㎎), MnCl2·4H2O(0.36㎎), EDTA-2K(1.21㎎), EDTA·NaFe(Ⅲ) 염(0.77㎎)/1000㎖ 증류수임] 속에 이식하여 이것을 무균적으로 6∼12일간 24∼25℃에서 계속적으로 광 조사(약 5W/㎡)시켜 배양하였다.
이렇게 하여 조제한 P441의 배양물을 건조시킨 필터지상에 펼친 상태에서 저습도(상대 습도로 50% 이하)로 24∼25℃정도에서 15분간 방치하여 건조 스트레스를 걸었다.
이 건조 스트레스 처리를 완료한 P441(75g)를 1.5ℓ의 증류수 속에 24∼25℃에서 2시간 침지시켰다.
이어서, 이 P441를 상기 침지액 속에서 빼내어 상기 침지액에 클로로포름1.5ℓ을 3회로 나눠서 첨가하여 분액을 실시하였다. 얻은 클로로포름층을 수세하고, 이것에 아세트산을 0.1㎖ 첨가하여 이것을 증발기로 건조시켰다. 이 잔사에 500㎕의 특급 메탄올 원액을 첨가하여 증발기 중의 잔류물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기 메탄올 용액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컬럼:0DS(옥타데실실란) 컬럼(Φ10×250mm, 캡셀팩 C18: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제조), 용매:50% 증류수(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함유) 및 50% 아세토니트릴(0.08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함유)을 이동상으로 하여 유량 4.00(㎖/분)으로 활성 화분(활성은 후술하는 시험예에 준한 방법으로 구함)을 용출 시간 15분 부근에서 분취하였다.
분취한 활성 화분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아세트산 에틸상을 분리, 세척하여 증발기를 이용하여 이 아세트산에틸을 건조하고 소망하는 정제물을 건조물로서 약 1㎎ 얻었다.
이 건고물의 구조를 결정하기 위해서13C-NMR로 화학적 이동값을 구하였다(중메탄올과 중아세트산을 각 1방울씩 혼합한 것에 상기 건조물을 용해시켜서 측정 샘플로 함).
그 결과 화학적 이동값 및 이 화학적 이동값으로부터 결정된 화학 구조식은 아래와 같이 결정되었다.
1:178.47(s), 2:35.71(t), 3:26.82*(t), 4:31.11(t), 5:26.92*(t), 6:35.36(t), 7:78.61(d), 8:213.78(s), 9:38.38(t), 10:122.95(d), 11:133,45(d), 12:27.46(t), 13:128.38(d), 14:134.55(d), 15:22.28(t), 16:15.39(q)(차트는 도 1 참조. 또, 이들 화학적 이동값의 머릿 숫자는 하기 화학 구조식의 탄소 원자를 나타내는 동그라미 안의 숫자 번호에 각각 대응한다).
*는 귀속불명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결과, 분명하게 건고물은 확실히 정제된 소망하는 α-케토알콜 불포화 지방산(인자-C)인 것이 분명하였다.
실시예 2
인자-C의 좀개구리밥에 대한 꽃눈 형성 유도 작용
상기 제조예에 있어서 얻은 인자-C의 꽃눈 형성 유도 작용을 좀개구리밥의 P151 계통(이하, 「Pl51」라 한다. 발명자의 한사람인 교토 대학 농학부 다키모토 도오루 명예교수로부터 입수, 이후, 필요에 따라서 분양할 용의 있음)을 모델 식물로 하여 개화율(%)(개화가 인지된 엽상체수/전체 엽상체수×100)로 검토하였다.
즉, 우선 상기 인자-C 0.155㎎을 0.15㎖의 물에 용해시키고, 거기에 10mM의 노르에피네프린 50㎕와 0.5M의 트리스 완충액(pH 8.0) 25㎕를 첨가하였다. 그 용액을 25℃에서 6시간 항온처리하였다.
다음에, 인자-C와 노르에피네프린의 농도를 하기 표 1에 나타낸 농도가 되도록 상기 조건에서 항온처리한 용액을 30㎖ 플라스크 속의 분석 배지(1/10E 배지+1㎛ 벤질아데닌, 수크로스는 첨가하지 않음) 10㎖ 속에 첨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NEeq FCeq NEeq FCeq
A 0.3μM 7.8nM D 0.3μM 2.9nM
A 3μM 78nM D 3μM 29nM
A 10μM 260nM D 10μM 98nM
B 0.3μM 78nM E 0.3μM 29nM
B 3μM 780nM E 3μM 290nM
B 10μM 2.6mM E 10μM 980nM
C 30nM 78nM F 30nM 29nM
C 100nM 260nM F 100nM 98nM
C 0.3μM 780nM F 0.3μM 290nM
C 3μM 7.8μM F 3μM 2.9μM
C 10μM 26μM F 10μM 9.8μM
이들 인자-C를 각 농도 첨가한 분석 배지 상에 P151의 콜로니를 1개 심어 두고 24∼25℃에서 주광색 형광등으로 계속적으로 조사를 행하면서(히타치 FL20 SSD로 식물에 대하여 약 5W/㎡의 비율로 조사) 7일간 배양하여 상기 개화율을 구하였다(하기 표 2).
또한, 동일 계에서의 시험은 각각 3 플라스크로 행하고 또한 최저 2회 동일 계의 시험을 행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낸 결과는 각각의 시험의 평균치±SE(표준 오차)이다.
30nM NE 100nM NE 0.3μM NE 3.0μM NE 10μM NE
A - - 1.6±1.6 29.5±3.5 51.5±2.4
B - - 29.0±10.3 34.7±4.4 44.8±0.7
C 3.0±3.0 40.6±2.1 46.3±3.6 56.2±1.2 53.2±1.1
D - - - 16.3±6.4 50.6±7.0
E - - 1.9±1.1 61.6±1.2 65.0±0.4
F 11.7±2.7 39.2±7.9 63.2±1.2 60.8±1.9 66.8±3.5
이들 결과로부터, 거의 농도 의존적으로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증가하여 그 중에서도 인자-C의 함량이 노르에피네프린과 등몰 농도이거나 그 이상으로 높은 C 및 F 실험군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이 30nM라는 극저 농도에서도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인자-C의 함량이 노르에피네프린과 등몰 농도인 경우에 있어서, 소망하는 좀개구리밥에서의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가장 효율적으로 발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상기 농도에서 인자-C와 노르에피네프린을 조합시켜 투여하여 좀개구리밥에서의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인지되었다.
또, 후술한 바와 같이, 좀개구리밥과 전혀 다른 계통의 쌍자엽 식물인 나팔꽃에 있어서도, 인자-C 등에 의한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인지되기 때문에, 개구리밥속식물 및 좀개구리밥속식물을 포함하는 개구리밥과식물에 있어서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인지되는 것은 분명하다.
실시예 3
인자-C의 나팔꽃에 대한 꽃눈 형성 유도 작용
9g의 나팔꽃의 종자에 진한 황산 처리를 20분간 실시하고, 그 후 유수하에서 밤새 방치하였다. 이어서, 종자의 상기 부분을 위로 하고, 습기찬 바다 모래상에 24시간 방치하여 뿌리를 내린다. 이들 뿌리를 내린 종자를 바다 모래 속에 1.5∼2.0㎝ 정도의 깊이로 심어서 연속광하에서 배양하였다(5일간 정도).
이 배양에 의하여 개엽한 나팔꽃의 모든 식물체를 배양액[KNO3(250㎎), NH4N03(250㎎), KH2PO4(250㎎), MgS04·7H2O(250㎎), MgSO4·4H2O(1㎎), Fe-시트르산염 n-수화물(6㎎), H3BO3(2㎎), CuS04·5H2O(0.1㎎), ZeS04·7H2O(0.2㎎), Na2MoO4·2H2O(0.2㎎), Ca(H2PO4)2·2H2O(250㎎)/1000㎖ 증류수]에 옮겼다.
이 배양계에 상기 제조예에서 얻은 인자-C 등의 피험약물을 무명실을 이용하여 직접 나팔꽃의 도관에 투여하면서 암처리를 실시하고, 그 후 28℃에서 16일간 연속광으로 육성하여 16일째의 꽃눈의 갯수를 실체 현미경으로 관찰 확인하였다.
암처리는 하룻밤(16시간의 암처리) 또는 이틀밤(16시간의 암처리+8시간의 광처리+16시간의 암처리)을 행하였다.
하룻밤 처리를 행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이틀밤 처리를 행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두 도면에 있어서, 대조군은 증류수를 투여한 군이고, 1μM(FC), 10μM(FC), 100μM(FC)는 각각 농도의 인자-C를 투여한 군이며, 인자-C+NE는 노르에피네프린10μM을 시험예 1에 기재한 방법으로 건조 스트레스를 가한 좀개구리밥의 P441 계통의 침지수로 항온처리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하룻밤 암처리군에서는 대조군과의 비교에 있어서 인자-C의 꽃눈 유도 활성이 인지되었지만, 그 이상으로 노르에피네프린과 조합하여 투여한 군에 강한 꽃눈 유도 활성이 인지되었다.
이에 대하여 도 3에 나타낸 이틀밤 암처리군에서는 대조군이나 투여한 약제의 농도의 차이에 관해서 착안하면 평균 꽃눈의 갯수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적어도 꽃눈 유도 활성을 증강하고 있는 것이 인지되었다.
이렇게 하여 나팔꽃에 있어서의 인자-C 등의 꽃눈 유도 활성이 인지되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나팔꽃과 전혀 다른 계통의 단자엽 식물인 좀개구리밥에 있어서도, 인자-C 등에 의한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인지되기 때문에, 나팔꽃속식물, 메속식물, 고구마속식물 및 새삼속식물이 포함되는 메과식물에 있어서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인지되는 것은 분명하다.
또, 상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자-C 등을 투여함으로써 단자엽 식물과 쌍자엽 식물과는 전혀 다른 계통의 식물에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인지되었기 때문에, 널리 식물 전체에 있어서의 인자-C 등의 투여에 의해서 꽃눈 형성 유도 활성이 인지되는 것이 강하게 시사되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여 발아시킨 나팔꽃 무라사키를 준비하였다. 한편, 1μM, 10μM 및 50μM 농도에 인자-C를 용해한 수용액을 준비하여, 암처리 직전 및 암처리 후 매일 10일간에 걸쳐서 떡잎의 표리에 분무하였다. 14일째의 꽃눈의 갯수를 도 4에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인자-C를 잎에 분무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분명한 꽃눈 유도 활성이 인지되었다.
실시예 5
덴드로븀 하이브리덤레드스터(Dendrobium hybridumHort. Redstar)의 화분에 심은 20 화분에 관하여 4월에서 7월에 걸쳐서 깻묵 및 액체 비료(하이포넥스)를 적시에 부여하면서 재배하였다. 비료 중지 후, 8월부터 12월까지 실험구와 대조구로 나누어 실험구 쪽에는 매주 월요일에서 금요일 사이 매일 50μM의 인자-C 수용액을 스프레이로 포기 전체에 살포하면서 재배를 계속하였다. 덴드로븀의 관리는 온실에 두고, 겨울에도 최저 온도가 10℃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대조구에는 물을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개화시기 1포기당 개화수 상대값
실험구 2월(7화분), 3월(3화분) 132
대조구(물) 3월(8화분), 4월(2화분) 100
상기와 같이, 인자-C는 덴드로븀·하이브리덤·레드스터의 꽃눈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실시예 6
신비듐·하이브러덤·라즈베리 밀 필르(cymbidium hybridum Hort. Raspberry Mille-feuille)의 화분에 심은 20 화분에 관해서, 4월에서 8월까지 깻묵 및 액체 비료(하이포넥스)를 적시에 부여하면서 재배하였다. 비료 중지 후, 9월에서 11월까지 실험구와 대조구에 나눠서 실험구 쪽에는 매주 월요일에서 금요일 사이 매일 50μM의 인자-C의 수용액을 스프레이로 포기 전체에 산포하면서 재배를 계속하였다. 대조구에는 물을 동시에 처리하였다. 신비듐의 관리는 온실에 두고, 겨울에도 최저 온도가 l0℃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꽃의 개화 시기 1화분당 개화수의 상대치
실험구 1월(1화분),2월(7화분),3월(2화분) 151
대조구(물) 3월(10화분) 100
상기와 같이 인자-C는 신비듐·하이브리덤·라즈베리 밀 필르의 꽃눈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실시예 7
카네이션(Dianthus caryophyllusL)의 종자를 9월에 뿌려서 3월에 다시 심었다. 다시 심고나서 매주 월요일에서 금요일 동안 매일 50μM의 인자-C 수용액을 스프레이로 포기 전체에 산포하였다. 7월에 100 포기의 개화 갯수를 세었다.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1 포기당 개화수의 상대값
실험구 142
대조구(물) 100
상기와 같이, 인자-C는 카네이션의 꽃눈의 형성을 촉진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여 발아시킨 나팔꽃 무라사키를 준비하였다. 10μM, 50μM 및 100μM 농도의 9-히드로퍼옥시-10(E),12(Z),15(Z)-옥타데카트리엔산의 수용액을 준비하여 실시예 3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여 무명실을 통하여 배축(胚軸)내에 도입하였다. 14일째의 꽃눈의 갯수는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14일 후의 꽃눈의 수
대조(물) 0.892
10μM 1.425
50μM 1.623
100μM 2.209
n=16의 평균
실시예 9
실시예 8의 방법을 반복하면서 피험 물질로서 9-히드록시-10-옥소-13-히드로퍼옥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을 이용하였다. 14일 후의 꽃눈의 갯수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14일 후의 꽃눈의 수
대조(물) 1.203
10μM 1.392
50μM 1.572
100μM 1.704
n=16의 평균
실시예 10
효소법에 의한 인자-C의 제조
가열하지 않은 소맥을 분쇄하여 그 분말(대두의 경우, 시그마에서 시판)을 200g, 1ℓ의 물에 분산시켰다. 0.5g의 리놀렌산을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30℃에서 황온처리하였다. 3일간 항온처리한 후에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증발기로 클로로포름을 증발시킨 후에 실리카 겔 컬럼(담체:와코겔 C-200, 와코쥰야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용매:에테르-벤젠-에탄올·아세트산40:50:2:0.2)로 분화, 분취하였다.
동일하게 하여 대두를 이용하여 분화를 얻었다.
실시예 1∼6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여 상기 각 분화가 꽃눈의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1
건조 대두를 믹서로 분말로 만든 것을 10g 취하여 이온 교환수 100㎖에 현탁하였다. 리놀렌산을 20㎎ 첨가하여 30℃로 유지하고,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2일간 반응시켰다. 대두 분말을 여과로 제거하고, 수층부를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을 감압 증류 제거한 후, 다시 25㎖의 물에 용해하였다(시료 A). 용해할 수 없는 것도 있었지만 그대로 이용하였다.
시료 A-l㎖에 10mM 노르에피네프린(NE)을 10㎕, 또한 0.5M 트리스 완충액(pH 8.0)를 5㎕ 첨가하여 밤새 25℃에서 항온처리하였다. 렘너(151계통)의 배양기에 NE가 0.3μM, 1μM, 3μM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렘너(151계통)를 1 콜로니 끼워 1주일간, 연속광(히타치 FL20SSD,10Wm-2)으로 배양하였다(25℃).
꽃눈이 붙어 있는 콜로니수의 퍼센트로 개화율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NE의 농도(μM)
0.3 1 3
리놀렌산 0 0 0
시료 A 44.3±6.5 58.2±2.3 56.9±4.3
결과는 3샘플의 평균±SD로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이 리놀렌산 자체는 꽃눈 형성 촉진능을 지니지 않지만, 효소 처리에 의해 꽃눈 형성 촉진능을 갖는 물질로 전환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노르에피네프린과 병용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0에 있어서 조제한 시료 A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나팔꽃에 있어서의 꽃눈 형성 유도를 조사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처 리 나팔꽃 꽃눈의 갯수
1.3
리놀렌산 0.9
시료 A 2.5
n=24의 평균
시료 A는 P0.1의 유의차로써 물 및 리놀렌산에 비하여 꽃눈 형성 촉진능을 지니고 있었다.
실시예 13
탈곡한 건조 소맥을 분쇄하여 이용하고, 실시예 11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 처리하여 시료 B를 얻었다.
다음에, 실시예 1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하여 개구리밥에 대한 꽃눈 형성 유도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NE의 농도(μM)
0.3 1 3
리놀렌산 0 0 0
시료 B 55.4±2.5 52.9±5.4 58.4±3.6
이상과 같이, 리놀렌산 효소 처리의 효과 및 네오에피네피린과의 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4
리놀렌산 대신에 아라키돈산을 이용하여 실시예 11의 방법을 실시하여 시료 C를 수득하였다.
이 시료 C를 이용하여 실시예 ll에 기재한 방법에 의하여 개구리밥에 대한 꽃눈 형성 유도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낸다.
NE의 농도(μM)
0.3 1 3
아라키돈산 0 0 0
시료 C 10.9±2.3 27.5±1.4 48.9±2.7
상기 결과, 아라키돈산을 효소로 처리하는 효과 및 네오에피네피린과의 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5
실시예 3의 방법을 반복하였지만, 암처리 시간을 16일간에 고정하여, 관찰 개수 n을 50으로 하였다. 이 결과를 도 5에 나타낸다. 그 결과, 인자-C의 농도를 1∼10mM로 한 경우에 꽃눈의 갯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3의 방법을 반복하였지만, 하룻밤의 암처리 시간을 14시간, 16시간 및 18시간으로 하고, 인자-C의 농도는 10μM로 고정하였다. 결과를 도 6에 나타낸다. 이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어떠한 암처리 시간을 이용하여도 10mM의 인자-C에 의해 꽃눈의 갯수가 증가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식물의 꽃눈 형성에 직접 작용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및 꽃눈 형성 유도용 키트가 제공된다.

Claims (20)

  1. 옥소기 및 히드록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C4-C24지방산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중의 옥소기와 히드록시기가 α-케토알콜 구조 또는 γ-케토알콜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C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9-히드록시-10-옥소-12(Z),15(Z)-옥타데카디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12-옥소-13-히드록시-9(Z),15(Z)-옥타데카디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10-옥소-13-히드록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9-히드록시-12-옥소-10(E),15(Z)-옥타데카디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8. 옥소기, 히드록실기 및 히드로퍼옥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C4-C24지방산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중의 옥소기와 히드록시기가 α-케토알콜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C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9-히드로퍼옥시-12-옥소-13-히드록시-10(E),15(Z)-옥타데카디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9-히드록시-10-옥소-13-히드로퍼옥시-11(E),15(Z)-옥타데카디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3. 히드로퍼옥시기를 가지며, 0∼6개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C4-C24지방산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C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9-히드로퍼옥시-10(E),12(Z),15(Z)-옥타데카트리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이 13-히드로퍼옥시-9(Z),11(E),15(Z)-옥타데카트리엔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7. 효모균체 또는 피자 식물의 식물체 또는 그들의 수성 추출물을 수성 매체속에서 항온처리함으로써 얻어지는 꽃눈 형성 유도제.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의 꽃눈 형성 유도제 및 노르에피네프린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제.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꽃눈 형성 유도제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 유도용 키트.
  20.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의 꽃눈 형성 유도제를 식물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꽃눈 형성의 유도 방법.
KR1019970707791A 1996-03-04 1997-03-04 꽃눈 형성 유도제 KR100437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73162 1996-03-04
JP7316296 1996-03-04
PCT/JP1997/000658 WO1997032478A1 (fr) 1996-03-04 1997-03-04 Inducteur de declenchement de florais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265A true KR19990008265A (ko) 1999-01-25
KR100437959B1 KR100437959B1 (ko) 2006-03-30

Family

ID=1351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791A KR100437959B1 (ko) 1996-03-04 1997-03-04 꽃눈 형성 유도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057157A (ko)
EP (1) EP0823994B1 (ko)
KR (1) KR100437959B1 (ko)
CN (1) CN1195413C (ko)
AT (1) ATE241903T1 (ko)
AU (1) AU731859B2 (ko)
CA (1) CA2218084A1 (ko)
DE (1) DE69722525T2 (ko)
TW (1) TW501909B (ko)
WO (1) WO19970324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14B1 (ko) * 2007-03-09 2008-03-12 윤채혁 식물성 담체를 함유하는 지베렐린 도포제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62278T1 (de) * 1999-08-23 2004-04-15 Shiseido Co Ltd Potenzierungsmittel für pflanzen
JP2001247512A (ja) * 1999-12-27 2001-09-11 Shiseido Co Ltd α−ケトール不飽和脂肪酸の合成方法
JP2001316204A (ja) 2000-04-28 2001-11-13 Kao Corp 植物活力剤
CN1946289B (zh) * 2004-04-27 2011-05-18 株式会社资生堂 植物发根诱导剂
JP4177320B2 (ja) * 2004-11-25 2008-11-05 株式会社資生堂 新規物質のα−ケトール不飽和脂肪酸誘導体及びそれを利用する植物成長調整剤
WO2011034027A1 (ja) * 2009-09-16 2011-03-24 株式会社資生堂 植物成長調整剤
CN115281033A (zh) * 2022-08-16 2022-11-04 广西南亚热带农业科学研究所 一种利用植物生长调节剂调控苹婆开花的方法
CN116982559B (zh) * 2023-09-27 2023-12-29 中国科学院昆明植物研究所 一种樱草试管开花诱导培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0040A (en) * 1964-01-10 1967-09-05 Tien C Tso Method of tobacco sucker control
JP3065720B2 (ja) * 1991-02-04 2000-07-17 三共株式会社 開花促進方法
JPH0558808A (ja) * 1991-08-29 1993-03-09 Takasago Internatl Corp 花芽形成誘導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14B1 (ko) * 2007-03-09 2008-03-12 윤채혁 식물성 담체를 함유하는 지베렐린 도포제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2525D1 (de) 2003-07-10
WO1997032478A1 (fr) 1997-09-12
AU731859B2 (en) 2001-04-05
CN1185715A (zh) 1998-06-24
AU1813797A (en) 1997-09-22
KR100437959B1 (ko) 2006-03-30
EP0823994B1 (en) 2003-06-04
ATE241903T1 (de) 2003-06-15
US6057157A (en) 2000-05-02
DE69722525T2 (de) 2004-05-13
CN1195413C (zh) 2005-04-06
EP0823994A1 (en) 1998-02-18
CA2218084A1 (en) 1997-09-12
TW501909B (en) 2002-09-11
EP0823994A4 (en) 200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8638B2 (en) Plant activator
US7544821B2 (en) α-Ketol unsaturated fatty acid derivative and plant growth regulating agent using same
US20090099023A1 (en) Regulators of cell- or organ-differentiation and their application to method of regulating morphogenesis
KR101703180B1 (ko) 식물의 아미노산 함량을 높이기 위한 화합물 및 그 이용
US20120220462A1 (en) Inducing agent for plant root
US20090082453A1 (en) Exogenous Methyl Dihydrojasmonate for Prevention and Control of Biotic Attack in Plants
KR100437959B1 (ko) 꽃눈 형성 유도제
US8519173B2 (en) Plant growth regulator
US6174712B1 (en) Agents for inducing flower bud formation
DE60102228T2 (de) Ketolfettsäurederivate und das pflanzenwachstum regulierende wirkstof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