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183U - 혁대용 버클 - Google Patents

혁대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183U
KR19990008183U KR2019980022971U KR19980022971U KR19990008183U KR 19990008183 U KR19990008183 U KR 19990008183U KR 2019980022971 U KR2019980022971 U KR 2019980022971U KR 19980022971 U KR19980022971 U KR 19980022971U KR 19990008183 U KR19990008183 U KR 199900081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utton
locking piece
shaf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4604Y1 (ko
Inventor
신혁주
한명희
Original Assignee
신혁주
한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혁주, 한명희 filed Critical 신혁주
Priority to KR2019980022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460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4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4604Y1/ko

Link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본체에 스프링으로 탄력지지 되는 버튼을 가압하면 단턱에 의하여 요입부가 형성된 버튼의 축이 전진하면서 버튼축의 요입부에 위치되어 있던 걸림편이 단턱에 의하여 들려지면서 걸림편의 선단에 형성된 절곡돌기가 혁대의 요철부에서 풀리게 되면서 혁대를 풀수 있도록 되는 자동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작동구성을 하나의 몸체내에 수납토록 함으로서 외관이 우수하고 고장이 없는 버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 자동버튼으로서 원터치로 혁대를 풀리도록 하는 버클의 결합 구성은 버클 본체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스프링의 타측에는 걸림편을 고정하여 걸림편의 후방에서 요입부가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되는 축을 갖는 버튼을 끼워 요입부에 걸림편이 위치토록 하면서 상기 버튼은 스프링으로 탄지토록 되어 있어, 버튼을 가압하면 요입부에 위치되어 있던 버튼축이 단턱에 의하여 걸림편이 들려지게 되고 이때걸림편의 선단에 절곡되어진 절곡돌기가 혁대의 요철부에 걸려 있다가 풀려지면서 혁대를 풀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이러한 판스프링이나 걸림편등이 각각 버클의 본체에 별도로 부착되어지기 때문에 장식을 요하는 버클 본체에 많은 손상이 발생되어 장식으로 사용되는 버클의 효능이 상실되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클의 작동부분이 별도의 몸체로 구성하여 버클본체에 조립에 의하여 결합토록 함으로서 조립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별도의 몸체가 걸림편이 스프링에 의하여 탄지토록 하기 위하여 몸체의 일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야 하고 또한 걸림편은 버튼축에 스프링과 버튼이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고 또한 이로 인하여 장식을 요하는 버클의 효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몸체를 얇은 직육면체로 형성하여 측방과 전방으로 개구홈만을 형성하여 전방의 개구홈으로는 걸림편을 삽입하여 축핀에 의하여 작동토록 하고 측방의 개구홈은 상부로 안내홈을 형성하여 버튼축이 출입할 경우에 정확한 왕복작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혁대용 버클

Description

혁대용 버클
본 고안은 본체에 스프링으로 탄력지지 되는 버튼을 가압하면 단턱에 의하여 요입부가 형성된 버튼의 축이 전진하면서 버튼 축의 요입부에 위치되어 있던 걸림편이 단턱부분에 의하여 들려지면서 걸림편의 선단에 형성된 절곡돌기가 혁대의 요철부에서 풀리게 되면서 혁대를 풀수 있도록 되는 자동버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작동구성을 하나의 몸체내에 수납토록 함으로서 외관이 우수하고 고장이 없는 버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 자동버튼으로서 원터치로 혁대를 풀리도록 하는 버클의 결합 구성은 도4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클 본체(100)에 일측이 고정되는 판스프링(101)의 타측에는 걸림편(3)을 고정하여 걸림편(3)의 후방에서 요입부(8)가 형성되어 단턱(7)이 형성되는 버튼축을 갖는 버튼(102)을 끼워 요입부(8)에 걸림편(3)이 위치토록 하면서 상기 버튼(102)은 스프링(2)으로 탄지토록 되어 있어, 버튼(102)을 가압하면 요입부(8)에 위치되어 있던 걸림편(3)이 단턱(7)에 의하여 들려지게 되고 이때 걸림편(3)의 선단에 절곡되어진 절곡돌기(4)가 혁대(103)의 요철부(104)에 걸려 있다가 풀려지면서 혁대(103)를 풀수 있도록 하거나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3)이 지렛대 원리로 작동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은 이러한 판스프링(101)이나 걸림편(3)등이 각각 버클의 본체(100)에 별도로 부착되어지기 때문에 장식을 요하는 버클 본체(100)에 많은 손상이 발생되어 장식으로 사용되는 버클의 효능이 상실되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버클의 작동부분이 별도의 몸체(1)로 구성하여 버클본체(100)에 조립에 의하여 결합토록 함으로서 조립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이러한 별도의 몸체(1)가 걸림편(3)이 탄지스프링(11)에 의하여 탄지토록 하기 위하여 몸체(1)의 일측면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야 하고 탄지스프링(11)에 의하여 탄지되는 걸림편(3)이 탄력지지토록 하기 위하여 걸림편(3)의 상부로 버튼(102)을 위치시켜 버튼의 축에 형성된 요입부(8)와 단턱(7)에 의하여 걸림편(3)이 가압되면서 걸림편(3)의 선단에 형성되는 절곡돌기(4)가 혁대(103)의 요철부(104)에서 탈리되도록 하고 있거나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걸림편(3)의 후단에 형성된 안내핀(105)이 요입부(8)와 단턱(7)으로 이동되면서 걸림편(3)이 상하로 작동토록 하여 절곡돌기(4)가 혁대(103)의 요철부(104)에서 끼워지거나 탈리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들도 스프링과 버튼이 버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이물질이 끼이게 되고 또한 이로 인하여 장식을 요하는 버클의 효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완전하게 해결하지는 못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버클의 장식 효과를 위하여 몸체를 얇은 직육면체로 형성하여 측방과 전방으로 개구홈만을 형성하여 전방의 개구홈으로는 걸림편을 삽입하여 축핀에 의하여 작동토록 하고 측방의 개구홈은 상부로 안내홈을 형성하여 버튼축이 출입할 경우에 정확한 왕복작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몸체가 버클의 본체에서 분리된어진 요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이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버튼의 탄력지지 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4의 종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또다른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버클 본체에 결합되는 종래의 몸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몸체가 버클본체에 결합된 상태의 종 단면도
도10은 버튼이 탄지스프링에 의하여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1은 종래의 또다른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몸체 2: 버튼스프링
3: 걸림편 4: 절곡돌기
5: 안내돌기 6: 버튼축
7: 단턱 8: 요입부
9: 개구홈 10: 안내홈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되는 명칭 및 부호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동시에 서로 대칭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튼(102)을 가압하면 버튼축에 형성된 요입부(8)에 위치되어 있는 걸림편(3)이 단턱(7)으로 이동되면서 들어 올려져 걸림편(3)의 선단에 절곡되어 있는 절곡돌기(4)가 혁대(103)에 형성된 요철부(104)에 물려 있다가 풀려지면서 혁대(103)를 풀 수 있도록 되는 공지의 버클에 있어서, 이러한 걸림편(3)과 버튼(102)이 별도의 몸체(1)에 수납토록 하기 위하여 걸림편(3)은 몸체(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홈(9)에 삽입되어 축핀(12)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접동토록 하고, 걸림편(3)이 탄지토록 하기 위하여는 걸림편(3)의 후방에 탄지스프링(11)이 위치토록 하고, 걸림편(3)의 절곡돌기(4)가 혁대(103)의 요철부(104)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풀려지도록 하기 위하여는 걸림편(3)에 축핀(12)이 끼워진 후방에서 요입부(8)가 형성된 버튼축이 끼여지도록 하여 버튼스프링(2)에 의하여 탄력지지되어 있는 버튼(102)을 가압하면 버튼축이 전진하면서 요입부(8)를 형성하고 있는 단턱(7)에 의하여 탄지스프링(11)에 의하여 탄력지지 되어 있는 걸림편(3)이 축핀(12)을 축으로 하여 지렛대 원리로 상하로 작동토록 되는 구성이다.
이때 버튼축이 삽입되는 개구홈(9a)은 일측으로 안내홈(10)이 형성되어 버튼이 전후진될 경우에 미동이 없이 정확하게 전후진 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걸림편(3)과 버튼(102)이 개구홈(9,9a)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혀 노출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몸체(1)의 결합상태 및 스프링 등의 부속품이 전혀 나타나지 않도록 되어 미장효과가 우수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혁대의 풀림과 조임이 가능토록 되는 버클을 구성함에 있어서 버클 본체에 결합된 몸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의 외관 모양이 간단하고 깔끔하여 혁대의 장식용 효과를 더욱 돋보이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

  1. 버튼(102)을 가압하면 버튼축에 형성된 요입부(8)에 위치되어 있는 걸림편(3)이 단턱(7)으로 이동되면서 들어 올려져 걸림편(3)의 선단에 절곡되어 있는 절곡돌기(4)가 혁대(103)에 형성된 요철부(104)에 물려 있다가 풀려지면서 혁대(103)를 풀 수 있도록 되는 공지의 버클에 있어서, 이러한 걸림편(3)과 버튼(102)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홈(9,9a)에 삽입되어 버튼의 축(6)에 형성된 안내돌기(5)가 안내홈(10)을 따라 전후진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2019980022971U 1998-11-24 1998-11-24 혁대용버클 KR200224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971U KR200224604Y1 (ko) 1998-11-24 1998-11-24 혁대용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971U KR200224604Y1 (ko) 1998-11-24 1998-11-24 혁대용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83U true KR19990008183U (ko) 1999-02-25
KR200224604Y1 KR200224604Y1 (ko) 2001-06-01

Family

ID=6950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971U KR200224604Y1 (ko) 1998-11-24 1998-11-24 혁대용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4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0988A (zh) * 2013-02-21 2015-01-28 柳良錫 带扣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337B1 (ko) * 2015-11-18 2017-03-30 류양석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US10130131B2 (en) 2015-01-08 2018-11-20 Yang-Seog Ryou Controller,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er and the b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0988A (zh) * 2013-02-21 2015-01-28 柳良錫 带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4604Y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603B1 (ko) 정지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JPH0418235Y2 (ko)
KR10045570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US4932625A (en) Device for releasably supporting an object
HU216862B (hu) Kézibélyegző
KR200224604Y1 (ko) 혁대용버클
KR880000143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EP0537663B1 (en) Interdental tooth-brush
US4797982A (en) Pocket clip for writing instruments
US3267694A (en) Earring with detachable spring arm
JP3040202U (ja) 引出しのスライドレール
JPH0612582Y2 (ja) スイッチ装置
CN216534132U (zh) 一种腕带连接机构及穿戴设备
CN211778416U (zh) 一种卡扣式固定结构
JPH05386Y2 (ko)
JPH11323642A (ja) アジャスター
KR0130840B1 (ko) 분리형 카오디오의 프론트 패널 낙하방지장치
JP2571320Y2 (ja) バルブ保持構造
JPS6026418Y2 (ja) 押釦装置
JPH0541920Y2 (ko)
CN115538875A (zh) 一种滑动门用导向构件及滑动门
KR930006491Y1 (ko) 캐비넷의 고정장치
KR850003182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큐레바
JPH0327654Y2 (ko)
JP2006059766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