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128U - 전주(電柱)용 가공지선 설치구 - Google Patents

전주(電柱)용 가공지선 설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128U
KR19990008128U KR2019980022733U KR19980022733U KR19990008128U KR 19990008128 U KR19990008128 U KR 19990008128U KR 2019980022733 U KR2019980022733 U KR 2019980022733U KR 19980022733 U KR19980022733 U KR 19980022733U KR 19990008128 U KR19990008128 U KR 199900081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pole
line
fram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4174Y1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김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규 filed Critical 김용규
Priority to KR2019980022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1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81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1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174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전주(電柱)의 낙뢰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가공지선을 전주에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설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 가공지선을 설치할 때, 작업구간 내의 전주에 설치된 고압선을 정전시키지 않고도 가공지선을 전주에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주용 가공지선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반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어 전력을 송전하는 전주(1)의 상부에는 지반과 접지되는 접지선이 연결된 가공지선 지지대(6)를 수직 설치하고, 상기 가공지선 지지대(6)의 상부에는 인접한 가공지선 지지대(6)와 연결하여 낙뢰를 흡수하는 가공지선(7)을 설치하여 낙뢰로부터 전력선(3)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FRP로 형성된 외각부(11)와 상기 외각부(11)의 내부에 발포성수지로 충진된 보강부(12)로 지지바(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10)의 하단에는 상기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하여 착탈이 가능한 결합구(20)를 장착하며, 상기 지지바(10)의 상단에는 가공지선(7)이 지지되는 결착구(30)를 설치하되, 상기 결착구(30)는 가공지선(7)이 지지되는 개구부(33)를 형성한 틀체(31)와 상기 틀체(31)의 내부에 결합되어 개구부(33)를 개폐하는 개폐수단(S)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주(電柱)용 가공지선 설치구
본 고안은 전주(電柱)의 낙뢰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가공지선을 전주에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설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에 가공지선을 설치할 때, 작업구간 내의 전주에 설치된 고압선을 정전시키지 않고도 가공지선을 전주에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주용 가공지선 설치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와 현대의 문명생활과는 한시도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로 전기는 사회 전반적으로 매우 중요할 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에 있어서도 절대필수요소의 한 가지로 꼽을 수 있을 만큼 인간에게 매우 소중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렇게 매우 소중한 역할을 담당하는 전기가 불시에 정전이 되면 실생활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쳐 매우 많은 피해가 속출하게 된다는 것은 이미 많은 경험을 통해 누구나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정전의 대부분은 곳곳에 설치된 전선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특히, 낙뢰에 의한 정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낙뢰에 의한 정전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낙뢰로부터 전력선과 전주에 설치된 각종 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낙뢰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전주와 전주를 잇는 가공지선을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된 가공지선 지지대에서 인접한 전주에 설치된 가공지선 지지대에 연결시켜 낙뢰가 상기 전력선에 피해를 주기 전에 상기 가공지선이 낙뢰를 끌어들여 바닥과 접지된 전주의 내부를 통해 배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첨부한 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전주(1)의 상단에 설치되어 지반과 접지하는 접지선이 연결되어 낙뢰로 인한 정전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가공지선(7)을 설치하는 작업은, 작업구간 내에 속한 전주(1) 모두에 걸쳐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동선이나 강철선으로 제작된 장선(長線)의 가공지선(7)을 작업구간 전반에 걸쳐 전주(1)의 상단 끝부분에 설치한 가공지선 지지대(6)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전선로를 정전시키지 않으면 작업이 불가능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고 있는 전선이나 전주에 설치된 변압기, 개폐기 등 기기설비에 가공지선(7)을 접근시켜서 작업을 하는데 작업자의 실수로 고압의 선로와 접촉되면 작업자의 감전사고나 설비기기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전주(1)에 가공지선(7)을 설치하는 작업은, 고압의 전력선(3)에 의한 작업자의 감전사고 등의 위험을 피하기 위하여 작업시간동안 작업구간의 전주(1)에 설치된 전력선(3)을 정전시킨 다음에 실시하였으므로, 일반시민들과 많은 사업장들은 가공지선(7)의 설치작업이 끝나는 시간동안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거나 공장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는 등의 많은 불편함을 겪어야만 하였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만한 별도의 수단은 마련되지 않았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낙뢰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데 필요한 가공지선을 전주에 설치할 때에 종래와는 달리 작업구간에 정전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가공지선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주용 가공지선 설치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지반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어 전력을 송전하는 전주(1)의 상부에는 지반과 접지되는 접지선이 연결된 가공지선 지지대(6)를 수직 설치하고, 상기 가공지선 지지대(6)의 상부에는 인접한 가공지선 지지대(6)와 연결하여 낙뢰를 흡수하는 가공지선(7)을 설치하여 낙뢰로부터 전력선(3)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FRP로 형성된 외각부(11)와 상기 외각부(11)의 내부에 발포성수지로 충진된 보강부(12)로 지지바(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10)의 하단에는 상기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하여 착탈이 가능한 결합구(20)를 장착하며, 상기 지지바(10)의 상단에는 가공지선(7)이 지지되는 결착구(30)를 설치하되, 상기 결착구(30)는 가공지선(7)이 지지되는 개구부(33)를 형성한 틀체(31)와 상기 틀체(31)의 내부에 결합되어 개구부(33)를 개폐하는 개폐수단(S)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전주에 가공지선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설치구를 보인 도면.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결착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3c는 본 고안의 지지바의 구성을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설치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을 사용하여 가공지선을 전주에 설치하는 방법을 보인 도면.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주 2 : 애자
3 : 전력선 5 : 전력선용 완금
6 : 가공지선 지지대 7 : 가공지선
10 : 지지바 11 : 외각부
12 : 보강부 20 : 결합구
30 : 결착구 31 : 틀체
33 : 개구부 34 : 연결프레임
35 : 연선롤러 36 : 롤러축
37 : 나사부 38 : 너트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설치구를 보인 도면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의 결착구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3c는 본 고안의 지지바의 구성을 보인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설치구의 설치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크게 세 부분 즉, 지지바(10)와 결합구(20) 및 결착구(30)로 구분되는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지바(10)는 외각부(11)를 FRP로 제작하여 강성과 절연성을 함께 지니도록 제작하고, 상기 외각부(11)의 내부에는 발포성수지를 충진시켜 내구성을 증강시키는 보강부(1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10)의 하부 끝단에 결합되어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되는 결합구(20)는, 상기 전력선용 완금(5)에 끼워지는 결합단(21)을 하부양측으로 형성하고, 상기 결합단(21)에는 체결공(22)을 형성하여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단(21)을 끼운 후 체결공(22)을 통해 체결핀(23)으로 체결하여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10)의 상부 끝단에 결합되어 가공지선(7)이 결착되는 결착구(30)는,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전·후방이 개방된 틀체(31)를 마련하고, 상기 틀체(31)의 내측에는 상·하·좌·우측의 사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선롤러(35)를 부설하고, 상기 연선롤러(35)의 중앙부에는 상기 가공지선(7)이 지지되면서 결착되는 개구부(33)로 구성된 개폐수단(S)을 마련한다.
한편, 상기 연선롤러(35)중에서 틀체(31)의 상측에 설치되는 연선롤러(35)의 일측 롤러축(36)은 상기 틀체(31)에 힌지결합되며, 타측 롤러축(36)에는 나사부(37)를 형성하여 상기 나사부(37)에 틀체(31)의 외측에서 나합하는 너트(38)를 결합한 후, 상기 너트(38)를 조작하여 연선롤러(35)가 틀체(31)와 탈착이 자유롭게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 1실시예는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5를 추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공지선(7)을 작업구간에 걸쳐 바닥에 길게 늘어놓은 후, 본 고안을 전주(1)의 전력선용 완금(5)에 설치한다.
상기 전력선용 완금에(5) 본 고안을 설치할 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선용 완금(5)에서 전주(1)의 외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본 고안의 결착구(30)가 전력선(3)의 상부 외측으로 일정 폭이 벗어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전력선용 완금(5)에 설치한 후에는 바닥에 길게 늘어놓은 가공지선(7)을 본 고안의 결착구(30)에 결착시킨다.
상기 가공지선(7)을 본 고안의 결착구(30)에 결착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결착구(30)의 틀체(31)에 일측 롤러축(36)이 힌지결합된 상측 연선롤러(35)를 너트(38)를 풀어 틀체(31)에서 탈거시켜 개구부(33)를 개방한 후, 상기 가공지선(7)을 결착구(30)의 상측에서 개구부(33)로 결착시킨다.
상기 가공지선(7)이 개구부(33)에 결착되면 상측 연선롤러(35)를 다시 틀체(31)에 결합시켜 너트(38)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바닥에 놓인 가공지선(7)을 모두 본 고안에 설치한 후, 고소작업차와 절연봉을 사용하여 상기 가공지선(7)을 가공지선 지지대(6)에 설치한다.
상기 가공지선(7)을 가공지선 지지대(6)에 설치할 때에는 가공지선(7)이 결착된 본 고안을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한 상태에서 전주(1)쪽으로 회동시켜 가공지선(7)과 가공지선 지지대(6)의 간격을 좁힌 후에 절연봉을 사용하여 가공지선(7)을 가공지선 지지대(6)에 이설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가공지선(7)을 전주(1)에 이설하면 도든 작업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가공지선(7)은 권취드럼(D)에 권취되어 일측단이 소정의 장력을 받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착구(30)에 결착이 되더라도 가공지선(7)이 하부로 쳐지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가공지선(7)이 전력선(3)에 닿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본 고안이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될 때에는 전력선용 완금(5)에서 전주(1)의 외측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본 고안의 결착구(30)가 전력선(3)의 외측으로 일정 폭이 벗어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공지선(7)에 전해지는 장력이 다소 느슨해지더라도 가공지선(7)의 쳐지는 부위가 전력선(3)의 외측으로 벗어나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주의나 권취드럼(D)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안전성을 미리 확보할 수가 있다.
그리고, 파손이나 노후에 따른 가공지선(7)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설치작업의 역순으로 해체작업을 실시하고 나서 새로운 가공지선(7)을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6a와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제 1실시예와 비교해서 다른 부분은 동일하게 구성되나 결착구(30)의 구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결착구(30)의 구성은, 전·후방이 개방되어 ∩형의 모양으로 형성된 틀체(31)와, 상기 틀체(31)의 상단에는 ∪형의 모양으로 형성되어 양측단이 지지바(10)의 상단에 볼트결합되는 연결프레임(34)을 부설한다.
상기 틀체(31)의 내측에는 탈착이 자유롭도록 일측 롤러축(36)에 나사부(37)를 형성한 연선롤러(35)를 설치하고, 상기 롤러축(36)의 나사부(37)에는 틀체(31)의 외부에서 너트(38)가 나합되도록 하여 개폐수단(S)을 구성한다.
한편, 상기 연선롤러(35)는 중간이 오목하게 함몰된 일반적인 와이어롤러를 이용하여 별도의 개구부를 마련하지 않아도 연선롤러(35)의 함몰된 부위를 통하여 가공지선(7)이 결착되는 개구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고안은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전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가공지선(7)을 전주(1)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전의 정전작업을 동시에 병행해야만 가능하던 가공지선 설치작업이나 노후된 가공지선 교체작업을 본 고안을 사용하면, 정전작업을 실시하지 않고도 안전하게 가공지선을 전주에 설치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므로 종전의 방법과는 다르게 정전에 따른 전기수용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매우 뛰어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지반에 소정 간격으로 수직 설치되어 전력을 송전하는 전주(1)의 상부에는 지반과 접지되는 접지선이 연결된 가공지선 지지대(6)를 수직 설치하고, 상기 가공지선 지지대(6)의 상부에는 인접한 가공지선 지지대(6)와 연결하여 낙뢰를 흡수하는 가공지선(7)을 설치하여 낙뢰로부터 전력선(3)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FRP로 형성된 외각부(11)와 상기 외각부(11)의 내부에 발포성수지로 충진된 보강부(12)로 지지바(10)가 구성되며,
    상기 지지바(10)의 하단에는 상기 전력선용 완금(5)에 결합하여 착탈이 가능한 결합구(20)를 장착하며,
    상기 지지바(10)의 상단에는 가공지선(7)이 지지되는 결착구(30)를 설치하되, 상기 결착구(30)는 가공지선(7)이 지지되는 개구부(33)를 형성한 틀체(31)와 상기 틀체(31)의 내부에 결합되어 개구부(33)를 개폐하는 개폐수단(S)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가공지선 설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30)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사각형의 모양으로 형성된 틀체(31)를 마련하고,
    상기 틀체(31)의 내측에는 상·하·좌·우측의 사방으로 연선롤러(35)를 부설하여 중앙부에 가공지선(7)이 지지되는 개구부(33)를 마련하되, 상기 상측에 설치되는 연선롤러(35)의 일측 롤러축(36)은 상기 틀체(31)에 힌지결합되고 타측은 탈착이 자유롭도록 롤러축(36)에 나사부(37)를 형성하고, 상기 나사부(37)에는 틀체(31)의 외부에서 너트(38)가 나합되는 개폐수단(S)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가공지선 설치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30)는, ∪형의 연결프레임(34)을 마련하여 상기 연결프레임(34)이 상기 지지바(10)의 상단에 볼트결합되며,
    상기 연결프레임(34)의 하단에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형의 모양으로 형성된 틀체(31)를 마련하며,
    상기 틀체(31)의 내측에는 탈착이 자유롭도록 일측 롤러축(36)에 나사부(37)를 형성한 연선롤러(35)를 설치하고, 상기 연선롤러(35)의 나사부(37)에는 틀체(31)의 외부에서 너트(38)가 나합되는 개폐수단(S)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가공지선 설치구.
KR2019980022733U 1998-11-18 1998-11-18 전주(電柱)용가공지선설치구 KR200254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33U KR200254174Y1 (ko) 1998-11-18 1998-11-18 전주(電柱)용가공지선설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733U KR200254174Y1 (ko) 1998-11-18 1998-11-18 전주(電柱)용가공지선설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128U true KR19990008128U (ko) 1999-02-25
KR200254174Y1 KR200254174Y1 (ko) 2002-02-28

Family

ID=69508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733U KR200254174Y1 (ko) 1998-11-18 1998-11-18 전주(電柱)용가공지선설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17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5516A1 (en) * 2001-06-11 2003-01-16 Daewon Electric Company Limited.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0404139B1 (ko) * 2001-12-14 2003-11-05 한국전력공사 가공배전선로용 무정전가공지선의 가설 장치
KR100757367B1 (ko) * 2007-03-06 2007-09-11 육지영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865477B1 (ko) * 2006-06-20 2008-10-27 양희성 와이어통 체결장치
KR102344726B1 (ko) * 2021-03-23 2021-12-30 박용득 가공배전선로의 낙뢰방지용 피뢰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05516A1 (en) * 2001-06-11 2003-01-16 Daewon Electric Company Limited. Wire-changing device inside of electric pole and 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KR100404139B1 (ko) * 2001-12-14 2003-11-05 한국전력공사 가공배전선로용 무정전가공지선의 가설 장치
KR100865477B1 (ko) * 2006-06-20 2008-10-27 양희성 와이어통 체결장치
KR100757367B1 (ko) * 2007-03-06 2007-09-11 육지영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2344726B1 (ko) * 2021-03-23 2021-12-30 박용득 가공배전선로의 낙뢰방지용 피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174Y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753B1 (ko) 전주용 피뢰기 설치구조
KR101145029B1 (ko) 송전선로용 접속애자 교체장비
KR101219137B1 (ko) 지중 매설용 절연형 배전반
US9293903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485160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KR101416847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KR101613549B1 (ko) 배전계통운용 및 관리시스템
KR19990008128U (ko) 전주(電柱)용 가공지선 설치구
KR101210518B1 (ko) 가공 송배전 선로 지지용 절연 완철
KR101297551B1 (ko) 내아크 특성강화 모듈러 수배전반
KR100866318B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구조
CN111326300A (zh) 可带电作业的跌落式避雷器防护罩及绝缘夹具
JP2006296113A (ja) 電柱および接地方法
CN110890694A (zh) 一种具有电线梳理机构的高压配电柜
KR102357718B1 (ko) 변압기와 접속된 도심 가공 배전선로의 선로 보호장치
CN2924780Y (zh) 带硬质防护遮蔽罩的熔丝具
KR100843457B1 (ko) 철재 분전반의 부스바 절연장치 및 구조
KR101830843B1 (ko) 수배전반의 전력용 퓨즈
KR200408996Y1 (ko) 고전압 개폐기의 외함 조립구조
JP3521678B2 (ja) 高圧受電設備
KR102304409B1 (ko) 배전용 전기 케이블 접속부 누수 방지 장치
KR102625452B1 (ko) 절연방호장치와 이것이 구비된 컷아웃스위치
CN211957312U (zh) 可带电作业的跌落式避雷器防护罩及绝缘夹具
CN110517924B (zh) 一种新型隔离开关绝缘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