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421U - 화물 수대 - Google Patents

화물 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421U
KR19990007421U KR2019970020939U KR19970020939U KR19990007421U KR 19990007421 U KR19990007421 U KR 19990007421U KR 2019970020939 U KR2019970020939 U KR 2019970020939U KR 19970020939 U KR19970020939 U KR 19970020939U KR 19990007421 U KR19990007421 U KR 199900074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transfer
cargo
automatic transport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9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용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9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421U/ko
Publication of KR19990007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421U/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수대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격판(1)이 일렬로 수직 설치된 받침대(3)와, 이 받침대(3)의 네모서리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지레그(5), 상기 받침대(3)의 측부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각 지게차의 포크(7)가 끼워들어가도록 한 쌍의 포크끼움홈(9)이 형성된 포크끼움대(11)로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운반대차가 고장나더라도 이송작업의 중단없이 원활하게 화물을 이송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수대 (A freight receiver)
본 고안은 화물 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한 채 지게차의 포크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 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공정라인에는 프레스성형공정에 진입하기 전에 프레스성형의 원재료인 강판을 이동시키는 이송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즉, 이 이송라인은 강판을 임시적재시키는 장소에서 프레스성형하는 장소에 이르기까지의 라인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이 라인에서는 이송장치로서 주로 자동운반대차가 사용된다.
이 자동운반대차는 강판을 적재한 채 이송라인의 작업장 바닥면에 매설된 유도선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는 이러한 자동운반대차에 의해 강판을 이송시키는 이송라인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적재대(50)에 강판(51)이 적재되면, 이 강판(51)은 이재장치(52)에 의해 자동운반대차(53)에 적재하도록 되어 있고, 이 자동운반대차(53)는 작업장 바닥에 매설된 유도선(54)을 따라 목적지로 무인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적재대(50)와 자동운반대차(53)에는 격판(50a,53a)이 다열로 수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재장치(52)에서는 상기 격판(50a,53a) 사이로 끼워들어가는 이재판(55)이 다열로 수직설치되어 있되, 이 이재판(55)은 이재장치(52)에 설치된 실린더(미도시함) 등에 의해 수평 및 수직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설된 이송라인에 의해, 먼저 상기 적재대(50)의 격판(50a)위에 강판(51)이 적재되면, 상기 이재판(55)은 상기 격판(50a) 사이로 끼워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이재판(55)은 수직이동하면서, 강판(51)을 들어올린 후, 상기 자동운반대차(53)의 격판(53a)사이로 끼워들어간다.
다음에, 상기 이재판(55)은 하강하면서, 강판(51)을 상기 자동운반대차(53)의 격판(53a)위에 올려놓고,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같이 강판(51)이 적재되면 상기 자동운반대차(53)는 상기 유도선(54)을 따라 목적지로 가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한 이송라인은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송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상기 자동운반대차(53)가 고장이 나면 이송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경우,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운반대차(53)를 제거하고, 상기 이재장치(52)의 이재판(55)에 올려진 강판(51)을 지게차(56)의 포크(57)로 들어올려 목적지까지 운반하였으나, 이때 사용되는 포크는 상기 이재판(55)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다열식 포크(57)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열식 포크(57)가 설치된 지게차(56)가 없을 경우에는 강판(51)을 이송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운반대차가 고장날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2열식 포크가 설치된 지게차로도 용이하게 강판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화물 수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수개의 격판이 일렬로 수직 설치된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네모서리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지레그, 상기 받침대의 측부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각 지게차의 포크가 끼워들어가도록 한 쌍의 포크끼움홈이 형성된 포크끼움대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자동운반대차에 의한 일반적인 화물 이송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종래 지게차에 의한 일반적인 화물이송라인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격판 3-받침대
5-지지레그 7-포크
9-포크끼움홈 11-포크끼움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수대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화물수대는, 다수개의 격판(1)이 일렬로 수직 설치된 받침대(3)와, 이 받침대(3)의 네모서리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지레그(5), 상기 받침대(3)의 측부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각 지게차의 포크(7)가 끼워들어가도록 한 쌍의 포크끼움홈(9)이 형성된 포크끼움대(11)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격판(1)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간격은 도 3에서 도시한 적재대(50)의 격판(50a) 간격과 동일하며, 또, 이재장치(52)의 이재판(55)이 끼워들어갈 정도의 폭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포크끼움홈(9)은 상기 포크끼움대(11)에서 아래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어, 수직상하이동만하는 지게차의 포크(7)가 끼워지기에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으로 이루어진 수대에 의해 화물이 이송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도 3의 자동운반대차(53)가 고장이 나면 본 고안에 따른 수대로 교체하되, 수대의 격판(1)이 적재대(50)의 격판(50a)과 일직선 상에 놓이도록 수대를 설치한다.
그리고, 도 3의 이재장치(52)를 작동시키면, 이재장치(52)의 이재판(55)은 적재대(50)의 격판(50a)에 올려진 화물, 즉, 강판(51)을 상기 수대의 격판(1)의 위로 이송시킨다.
강판(51)이 수대의 격판(1)위에 적재되면, 지게차의 포크(7)로 수대의 포크끼움홈(9)에 끼워 목적지로 이 수대를 운반함으로써, 강판(51) 이송작업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포크끼움홈(9)은 수대의 네측부에 모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게차는 어느 방향으로도 수대에 진입할 수 있어, 종래 이재장치(52)에 진입하기 위한 특수지게차의 불필요한 선회동작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화물 수대에 의하면, 프레스 성형공정에 필요한 원자재인 강판을 운송하는 자동운반대차가 고장이 날 때, 다열식 포크를 가진 특수 지게차를 이용하지않더라도, 일반적인 2열식 포크만으로도 강판 수송작업을 할 수 있어, 이송시간이 지연됨이 없이 이송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개의 격판(1)이 일렬로 수직 설치된 받침대(3)와, 이 받침대(3)의 네모서리 하부에 각각 설치된 지지레그(5), 상기 받침대(3)의 측부마다 설치되어 있고, 각각 지게차의 포크(7)가 끼워들어가도록 한 쌍의 포크끼움홈(9)이 형성된 포크끼움대(11)로 이루어진 화물 수대.
KR2019970020939U 1997-07-31 1997-07-31 화물 수대 KR199900074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939U KR19990007421U (ko) 1997-07-31 1997-07-31 화물 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939U KR19990007421U (ko) 1997-07-31 1997-07-31 화물 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421U true KR19990007421U (ko) 1999-02-25

Family

ID=6968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939U KR19990007421U (ko) 1997-07-31 1997-07-31 화물 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4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29Y1 (ko) * 2011-12-20 2014-02-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형 전동기의 지게차 이동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29Y1 (ko) * 2011-12-20 2014-02-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수직형 전동기의 지게차 이동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28467B (zh) 自动集装箱处理设备与方法
US392182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goods within a storage system
JP4883777B2 (ja) 荷受構造
TW201604100A (zh) 貨櫃昇降搬運裝置
GB1397016A (en) Handling freight using grid-like pallets
FI62995B (fi) Anordning foer transport foervaring och sortering av foeremaol
KR19990007421U (ko) 화물 수대
KR102004395B1 (ko) 컨베이어가 장착된 팰릿
US3756436A (en) Conveyor track for pallets
KR101992015B1 (ko) 자동창고용 물품 입출고장치
JP4240653B2 (ja) 搬送台車および搬送装置
JPH08231045A (ja) ケース積み付け装置
KR200429672Y1 (ko) 인쇄회로기판 성형 프레스의 새들타입 로딩 및 언로딩시스템
JP2018034968A (ja) ツインシャトルラックシステム
JP2001261165A (ja) パレットの積降ろし設備及びその積降ろし方法
GB2047651A (en) Pallet system
JPH032781B2 (ko)
JPH0739864Y2 (ja) 物品搬送装置
JPH0362642U (ko)
JPH068348U (ja) トラックにおける積卸し装置
JPS61178305A (ja) 板材の供給システム
JP2506691Y2 (ja) 自動倉庫
JPH0718649Y2 (ja) 荷役作業用架台
JP2023157704A (ja) 搬送システム
JPH05139445A (ja) 積み降ろし運搬方式とその方式に用い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