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383U -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383U
KR19990007383U KR2019970020901U KR19970020901U KR19990007383U KR 19990007383 U KR19990007383 U KR 19990007383U KR 2019970020901 U KR2019970020901 U KR 2019970020901U KR 19970020901 U KR19970020901 U KR 19970020901U KR 19990007383 U KR19990007383 U KR 199900073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wheel nut
motor
ge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근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383U/ko
Publication of KR19990007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383U/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에 관한 것으로, 전동식 모터(1)가 내장되어 있고, 이 모터(1)에는 회동가능한 구동축(3)이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몸체(5)와, 상기 모터(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7)와, 이 전원장치(7)에서의 전원을 상기 모터(1)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9)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5)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손잡이(11) 및, 상기 구동축(3)에 설치된 구동기어(15)와 이 구동기어(15)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유성기어(17)를 구비하고 있되, 상기 유성기어(17)는 휠너트(13)를 수용하는 소켓(21)을 갖추고서, 상기 구동기어(15)의 회전과 함께 휠너트(13)를 체결할 수 있는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11)의 전방부에 연결설치된 기어하우징(19)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휠을 디스크에 완전히 장착하기 전에 휠너트를 가체결시켜 휠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A tool for pre-fastening a wheel nut of car)
본 고안은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에 관한 것으로, 휠을 디스크에 장착하기 전에 휠너트를 가체결시켜 휠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휠너트 가체결 공구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휠을 차체에 장착하는 조립 공정에 있어서, 작업자가 휠 장착용 휠너트를 수동으로 하나하나 체결하기 보다는 조립성의 향상을 위해 휠너트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는 휠너트런너를 사용하여 조립공정의 자동화를 도모하고 있다.
이와같이 휠너트런너에 의한 작업을 할려면, 우선 휠에 형성된 너트공이 디스크에 돌출된 보울트에 끼워지도록 하여 디스크에 휠을 임시적으로 장착시키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작업은 디스크의 보울트를 매개로 하여 휠을 단순히 걸어놓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외부에서 이 휠에 충격이 가해지면 디스크에서 분리되어 떨어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휠을 디스크에 임시 장착시킬 때, 휠의 너트공을 통과한 보울트에 휠너트를 손으로 가체결시킬 수도 있으나, 이러한 작업은 차량 한 대당 소요시간을 많이 요구하게 되므로, 자동 조립 라인에서의 작업으로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크에 휠을 임시장착하기 위해 휠너트를 가체결하는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음 작업인 휠너트런너에 의한 휠너트체결 작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전동식 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이 모터에는 회동가능한 구동축이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몸체와, 그리고,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와, 이 전원장치에서의 전원을 상기 모터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손잡이 및, 상기 구동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이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유성기어를 구비하고 있되, 상기 유성기어는 휠너트를 수용하는 소켓을 갖추고서,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과 함께 휠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의 전방부에 연결설치된 기어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개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휠너트 가체결공구로 휠너트를 가체결시키는 상태의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모터 3-구동축
5-몸체 9-스위치
11-손잡이 13-휠너트
15-구동기어 17-유성기어
19-기어하우징 21-소켓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휠 가체결공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휠너트 가체결 공구는, 전동식 모터(1)가 내장되어 있고, 이 모터(1)에는 회동가능한 구동축(3)이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몸체(5)와, 상기 모터(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7)와, 이 전원장치(7)에서의 전원을 상기 모터(1)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9)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5)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손잡이(11) 및, 상기 손잡이(11)의 전방부에 연결설치되어 휠너트(13)를 동시에 가체결시키도록 구동기어(15)와 다수개의 유성기어(17)를 구비한 기어하우징(19)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기어(15)는 구동축(3)에 연결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성기어(17)는 이 구동기어(15)에 맞물리면서 가체결시킬 휠너트(13)의 수만큼 설치되어진다.
즉, 일반적으로 체결되어질 휠너트(13)의 수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4개나 5개로 되는 바, 도 1 및 도 2에서는 4개의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17)는 상기 기어하우징(19)에 회전축(17a)을 매개로 회전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회전축(17a)에 설치된 다른 쪽 방향으로 휠너트(13)를 수용하는 소켓(21)을 갖추고서, 상기 구동기어(15)의 회전과 함께 휠너트(13)를 체결할 수 있는 위치에서 각각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기술 구성으로 이루어진 공구로 휠너트(13)를 체결하는 작업 상태를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디스크(31)에 돌출된 보울트(33)가 휠(35)의 보울트공(35a)을 통과하도록 휠(35)을 디스크(31)에 임시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소켓(21)에 휠너트(13)를 삽입시킨 다음, 상기 보울트(33)에 이 소켓(21)을 대고 상기 손잡이(11)의 스위치(9)를 온시키면, 상기 모터(1)에 의한 회전력은 구동축(3)을 통과하여 상기 구동기어(15)에 전달되어 구동기어(15)를 회전시킨다.
다음에, 이 구동기어(15)에 치합된 유성기어(17)는 구동기어(1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기어하우징(19)의 소정의 위치에서 회전축(17a)을 매개로 각각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소켓(21)도 회전되어, 결국, 상기 휠너트(13)를 상기 보울트(33)에 가체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기술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본 고안에 따른 공구를 이용하여, 휠너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가체결할 수 있어, 다음 공정인 휠너트런너에 의한 체결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에 의하면, 휠너트를 하나하나 손으로 가체결시키지 않고, 동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휠너트를 가체결할 수 있어, 다음 공정인 휠너트런너에 의한 조립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전동식 모터(1)가 내장되어 있고, 이 모터(1)에는 회동가능한 구동축(3)이 구비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 몸체(5)와,
    상기 모터(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7)와, 이 전원장치(7)에서의 전원을 상기 모터(1)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9)를 갖추고서 상기 몸체(5)의 하부에 연결설치된 손잡이(11) 및,
    상기 구동축(3)에 설치된 구동기어(15)와 이 구동기어(15)에 맞물리는 다수개의 유성기어(17)를 구비하고 있되, 상기 유성기어(17)는 휠너트(13)를 수용하는 소켓(21)을 갖추고서, 상기 구동기어(15)의 회전과 함께 휠너트(13)를 체결할 수 있는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11)의 전방부에 연결설치된 기어하우징(19)으로 이루어진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KR2019970020901U 1997-07-31 1997-07-31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KR199900073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901U KR19990007383U (ko) 1997-07-31 1997-07-31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901U KR19990007383U (ko) 1997-07-31 1997-07-31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383U true KR19990007383U (ko) 1999-02-25

Family

ID=6968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901U KR19990007383U (ko) 1997-07-31 1997-07-31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38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405A (ko) * 2001-06-14 2002-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휠 조립용 너트런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405A (ko) * 2001-06-14 2002-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휠 조립용 너트런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1209A (en) Driving axle for an industrial truck
KR101637805B1 (ko) 파워트렁크모듈
US4616525A (en) Multi-step reduction gear attachment for multi-purpose electromotors
KR19990007383U (ko) 차량의 휠너트 가체결 공구
US6142504A (en) Steering wheel and air bag assembly attachment to a steering shaft
KR20020095405A (ko) 타이어휠 조립용 너트런너
KR100579286B1 (ko) 도어 자동 볼팅장치
CN210025157U (zh) 轮胎螺母预紧工装及轮胎螺母预紧装置
CN206717746U (zh) 一种能控制拧紧力矩的电动直型螺丝刀
KR20010060115A (ko) 휴대용 멀티 렌치 공구
KR100199896B1 (ko) 타이어 어셈블리 탈, 장착용 공구
KR19990026448U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탈착장치
KR100602669B1 (ko) 사이드미러의 교환장치
CN2524973Y (zh) 螺栓螺母组合拧紧机变位机构
KR200242540Y1 (ko) 자동차의 휠캡 구조
KR19990027660U (ko) 자동차 정비용 공구
KR100729409B1 (ko) 차량용 파워 리프트 모터의 하우징에 구비된 연결수단
KR200162595Y1 (ko) 차량의 휠너트 체결구.
JP3972543B2 (ja) ゲーム機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型コントローラ
KR19980020824A (ko) 스패너
KR0117031Y1 (ko) 너트체결용 공구
KR200184921Y1 (ko) 승용차 타이어 탈,부착용 전동장치
KR20030089087A (ko) 타이어 교환용 렌치 구조
KR19980043367U (ko) 임팩트렌치(Impact Wrench) 부착형 토오크렌치(Torque Wrench)
KR0123357Y1 (ko) 자동차 케이블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