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163A -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163A
KR19990006163A KR1019970030385A KR19970030385A KR19990006163A KR 19990006163 A KR19990006163 A KR 19990006163A KR 1019970030385 A KR1019970030385 A KR 1019970030385A KR 19970030385 A KR19970030385 A KR 19970030385A KR 19990006163 A KR19990006163 A KR 19990006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arized light
molecules
photoactive compound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4857B1 (ko
Inventor
최상언
김태권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30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857B1/ko
Priority to US09/104,756 priority patent/US6252642B1/en
Priority to DE19829231A priority patent/DE19829231B4/de
Priority to JP10222261A priority patent/JPH11133431A/ja
Publication of KR19990006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857B1/ko
Priority to US09/824,075 priority patent/US20010012082A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light irradiation, e.g. linearly polarised light photo-polymeri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빙공정없이 광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고분자 박막에 장축과 단축의 세기비가 서로 다른 타원편광된 광을 입사시켜 상기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를 배열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아조색소를 함유한 고분자 박막을 배향막으로 형성하여 타원 편광된 광을 이용하여 아조색소의 분자배열의 이방성을 유도한 후 액정셀을 제작하여 액정셀을 주입시켜 액정을 배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정배향방법은 각각 광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고분자 배향막이 형성된 상, 하기판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배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축과 단축의 세기가 서로 다른 타원편광된 광을 입사시켜 상기 광활성 화합물을 경사배향하며, 광활성 화합물의 경사배향에 따라 액정을 경사배향한다.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세기에 따라 타원편광된 광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변하고, 각각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에 의해 액정의 프리틸트각이 조절된다.

Description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본 발명은 액정의 광배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러빙공정없이 광학적으로 고분자박막을 배향시키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표시장치는 미래에 크기가 작은 텔레비젼이나, 대화면의 스크린 텔레비젼 그리고 포터블 단말기 등에 있어서, 정보를 취급하는 중요한 장치가 될 것이다. 특히 평판표시장치중 액정표시소자는 낮은 구동전압과 전류, 높은 콘트라스트비, 저렴한 가격, 태양 광에서의 신뢰도 그리고 집적회로와의 인터페이스 등으로 인하여 정보 표시기로서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균일한 밝기와 높은 콘트라스트를 갖는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 하기판사이에 주입된 액정분자들을 일정방향으로 배열시켜 주어야 한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소자는 상, 하기판의 대향면에 각각 액정 배향막이 형성되어 액정분자들을 일정방향으로 배향시켰었다.
종래의 액정 배향막을 형성하여 액정을 배향하는 방법으로는 표면처리방법으로서 러빙법이 사용되고 있다. 러빙법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막에 형성된 직선 홈을 따라 액정을 배향시키는 방법이다.
그러, 이 러빙법은 칼라필터 또는 TFT 어레이가 배열된 유리기판상에 폴리이미드를 형성한 후 러빙을 실시하기 때문에, 러빙시 폴리이미드 하부에 배열된 TFT 어레이에 전기적 그리고 역학적 손상을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러빙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는 시약각(veiwing angle)이 작은 단점도 있으며, 시야각을 크게 하기 위한 다중 도메인을 형성하기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액정의 반응시간과 콘트라스트비 등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는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조절하여 경사배향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에는 러빙하지 않고 프리틸트각을 조절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러빙공정없이 고분자 배향막을 광학적으로 배향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러빙공정없이 액정을 소정의 프리틸트각을 갖도록 광학적으로 배향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현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배향막을 얻을 수 있는 광배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축과 단축에 따라 서로 다른 세기를 갖는 타원편광된 펌프파에 의한 광배향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액정셀의 단면도,
도 2는 펌프파의 편광에 따른 MO 분자의 개략적인 배열상태 및 MO 분자의 배열개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원편광된 광을 MO를 함유한 고분자박막에 입사할 때 MO 분자들이 입사되는 광의 진행방향과 그 수직방향으로 배열되는 분자개수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장치의 개략도,
도 4A는 도 3의 실험장치에 의해 측정된 펌프파의 진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MO 분자들의 개수비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도 3의 실험장치에 의해 측정된 펌프파의 진행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열된 MO 분자들의 개수비를 나타낸 도면,
도 4C는 펌프파의 편광상태에 따른 MO 분자의 복굴절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펌프파의 편광상태에 따른 액정의 프리틸트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펌프파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된 MO 분자들의 개수비에 따른 액정의 프리틸트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펌프파의 진행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된 MO 분자들의 개수비에 따른 액정의 프리틸트각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펌프파의 편광도에 따른 MO 분자들의 복굴절에 따른 액정의 프리틸트각의 변화를 나타탠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기판11 : 폴리이미드 배향막
21 : 아조색소를 함유한 고분자 배향막30 : 액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판에 형성된 광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고분자 박막에 장축과 단축의 세기비가 서로 다른 타원편광된 광을 이용하여 상기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를 배열시키는 고분자박막 배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분자 배향방법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세기에 따라 타원편광된 광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수록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고,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며, 화합물의 복굴절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광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고분자 배향막이 형성된 상, 하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배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축과 단축의 세기가 서로 다른 타원편광된 광을 입사시켜 상기 광활성 화합물을 경사배향하며, 광활성 화합물의 경사배향에 따라 액정을 경사배향하는 액정배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배향방법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세기에 따라 타원편광된 광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변하고,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에 의해 액정의 프리틸트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정의 프리틸트각은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수록 광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나란하게) 배열되는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고,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며, 상기 광활성 화합물의 복굴절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한다.
상기 고분자 배향막은 아조계 색소로서 메틸오렌지를 함유한 폴리비닐알코올이다.
본 발명은 러빙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결점이 없는 균일한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재현성을 얻게 된다. 아조색소를 함유한 고분자 박막으로 된 배향막에 타원편광된 광을 조사하여 액정분자를 배열시킴으로써,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 도메인의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이 용이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러빙공정없이 아조색소를 함유한 고분자 박막을 배향막으로 형성하고, 타원 편광된 광을 이용하여 아조색소의 분자배열의 이방성을 유도한 다음 액정셀을 형성하고, 액정셀에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을 배향시키는 방법이다. 또한, 이 배향막에 조사되는 광의 편광도, 즉 타원편광된 광의 단축 및 장축의 세기에 따라 배향막의 분자배열을 조절하고, 배향막의 분자배열에 따라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배향 및 프리틸트각의 조절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액정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셀(1)의 한쪽 기판 예를 들면, 상부기판으로서 폴리이미드가 배향막(11)으로 형성된 기판(10)이 제공되고, 다른 기판 예를 들면, 하부기판으로서 색소를 포함한 고분자 배향막(21)이 형성된 기판(20)이 제공된다.
색소를 함유한 고분자 배향막(21)으로서, 색소(dye)는 광이성질화 반응을 나타내는 메틸 오렌지가 사용되고, 매트릭스로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사용한다.
도 1의 액정셀(1)에서, 상, 하부기판의 합착에 의한 액정셀의 제작전에 상부기판(10)의 배향막(11)은 러빙법에 의해 이미 프리틸트각을 갖도록 배향된 것이며, 하부기판(20)의 배향막(21)은 셀 제작전 편광된 광에 의해 펌프되어 소정의 프리틸트각을 갖도록 배향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액정 셀(1)의 프리틸트각을 결정회전법으로 측정하면, 셀 전체의 프리틸트각(/α)은 하기의 식으로 표현되어진다.
여기서, αPI와 α는 각각 기준면인 폴리이미드 배향막(11) 근처와 고분자 배향막(21)근처에서의 액정의 프리틸트각이고, θx는 투과도 곡선의 대칭각이며, ne와 no는 보통 파동과 특수 파동의 굴절율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의 식으로부터 고분자 배향막(21)의 편광된 광에 의해 배향된 액정의 프리틸트 각(α)을 구할 수 있다.
도 1의 액정셀에 기판(21) 표면에 대하여 원편광된 펌프파를 경사지게 입사시키면, 메틸 오렌지(MO) 분자들은 빛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나란하게 배열하고, 셀 제작후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분자는 경사지게 배향된다.
먼저, 빛의 진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수직하게 배열된 MO 분자의 개수비의 변화에 따라 액정의 프리틸트각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본다. 도 2A에서 보는 바와같이 펌프파로서 원편광된 광, 타원편광된 광 그리고 선편광된 광을 사용한다. 펌프파의 편광상태가 원편광에서 타원편광을 거쳐 선편광으로 가면, MO/PVA 박막의 MO 분자들이 하나의 축에 따른 배열이 선편광으로 갈수록 흐트러지게 되고, 결국 한 평면에 대하여 등방적인 배열을 하게 된다.
MO 분자들의 질량중심을 원점으로 모으고 xz 평면에서 그 개수의 분포를 그려보면 도 2B와 같이 분포되어진다. 즉, 원편광된 펌프파에 의해 MO 분자들의 분포는 각각 빛의 진행방향(//z)을 따라 일직선으로 배열되고, 타원편광된 펌프파에 의해 MO 분 자들은 장축이 z축에 있는 타원 모양으로 배열되며, 선편광된 펌프파에 의해 MO 분자들은 등방적인 원모양으로 배열된다. 즉, 펌프파인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 및 단축의 세기에 따라 MO 분자들의 배열이 달라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광된 광을 MO를 함유한 고분자박막에 입사할 때 MO 분자들이 입사되는 원편광된 광의 진행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한 실험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기판(20)상에 MO를 함유한 PVA 박막이 배향막(21)으로 형성된 샘플(30)의 굴절율(nD)이 1.37인 헥산용액(hexane solution)(31)에 상기 박막과 굴절율을 매칭시키기 위하여 담그고, 펌프파(pump beam)(32)로 1시간이상 펌프한 후 탐사파(33)의 편광방향이 펌프파(32)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고 수직일 때 그 투과도 Tmin와 Tmax를 각각 측정한다. 이때, 펌프파의 입사각도는 60°로 고정시켰으며, 탐사파의 진행방향은 펌프파의 진행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한다.
탐사파(33)의 세기가 0.165 mW/㎠으로 아주 작으므로, 흡수는 MO 분자의 개수에 비례한다고 볼 수 있다. 탐사파의 투과도 T와 MO 분자의 개수 N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N α 1-T
펌프파의 진행방향에 나란하게 배열된 MO 분자들의 개수비 그리고 수직하게 배열된 MO 분자의 개수를 각각 N과 N이라 하면, MO 분자의 개수비는 하기의 식으로 표현된다.
T1
여기서, n과 n은 펌프파의 진행방향에 각각 나란하게 배열된 MO 분자와 수직하게 배열된 MO 분자의 개수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고분자 박막의 복굴절 Δn 이 MO 분자의 개수에 비례한다고 보면, 복굴절 Δn은 하기의 식으로 표현된다.
Δn = N- N= N(n- n)
여기서, N은 MO 분자의 총갯수로서, N+ N이다.
편광에 따른 탐사파의 투과도 T+ T을 측정하여, n, n, 그리고 Δn을 구하여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서, Imin/Imax는 펌프파 편광의 단축방향과 장축방향의 세기비이며, Imin/Imax가 0인 경우에는 선편광, 0Imin/Imax1인 경우는 타원편광, 그리고 Imin/Imax가 1인 경우는 원편광에 해당한다.
도 4는 펌프파의 편광상태에 따른 MO 분자의 배열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펌프파의 진행방향으로 배열된 MO 분자의 개수비 n를 도시한 것으로서, 펌프파의 편광이 원편광이 될수록 그 진행방향의 MO 분자들의 개수비 n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도 4B는 펌프파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배열된 MO 분자의 개수비를 나타낸 것으로서, 수직으로 배열된 MO 분자의 개수비 n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4C는 고분자 배향막(21)의 복굴절 Δn의 변화를 도시한 것으로서, 고분자 박막(21)의 복굴절 Δn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도 4의 펌프파의 편광상태에 따른 MO 분자의 배열변화로부터, 펌프파의 편광상태가 선편광에서 원편광으로 가면 펌프파의 단축방향의 전기장이 점점 커지게 되고, 이 전기장에 의해 고분자 배향막(21)의 MO 분자들이 펌프파의 진행방향으로 배열하게 되는데, 그 배열의 개수가 전기장의 세기에 비례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1과 같이 제작된 액정셀을 결정회전법으로 측정한 펌프파의 편광상태에 따른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펌프파의 편광이 선편광에서 원편광으로 될수록 프리틸트각은 박막의 복굴절과 마찬가지로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고분자 배향막(21)인 MO/PVA 박막의 n, n, 그리고 Δn에 따른 액정의 프리틸각의 변화는 도 6에 도시되었는데, 도 6A 및 도 6B과 같이 n, n,가 증가함에 따라 프리틸트각이 선형적으로 각각 증가 및 감소하였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같이 Δn이 커질수록 액정의 프리틸트각은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액정의 프리틸트각은 편광된 펌프파의 진행방향으로 배열된 MO 분자들의 개수가 많아짐에 따라 선형적으로 커짐을 알 수 있다.
즉, 타원편광된 광을 사용하면, 타원편광된 빛의 장축 및 단축의 세기에 따라 펌프파의 진행방향으로 배열되는 MO 분자들의 개수비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액정의 프리틸트각이 조절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타원편광된 광의 단축 및 장축의 세기에 따라 MO 분자가 배열되고, 이 MO 분자의 배열에 따라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합배향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러빙방법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결점이 없는 균일한 배향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아조색소를 함유한 고분자 박막으로 된 배향막에 타원편광된 광을 조사하여 액정분자를 배열시킴으로써, 시야각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중 도메인의 액정표시소자의 제작이 용이하다.
셋째, 본 발명의 액정배향방법을 이용하여 액정셀을 제작하는 경우, 러빙공정의 수행에 따른 TFT의 손실이 방지되어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기판에 형성된 광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고분자 박막에 장축과 단축의 세기비가 서로 다른 타원편광된 광을 조사시켜 상기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를 배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세기에 따라 타원편광된 광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수록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수록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 화합물의 복굴절은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 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박막은 아조계 색소로 메틸 오렌지를 함유한 폴리비닐 알코올의 광활성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7. 각각 광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고분자 배향막이 형성된 상, 하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을 배향하는 방법에 있어서, 장축과 단축의 세기가 서로 다른 타원편광된 광을 입사시켜 상기 광활성 화합물을 경사배향하며, 광활성 화합물의 경사배향에 따라 액정을 경사배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타원 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세기에 따라 타원편광된 광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및 수직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에 의해 액정의 프리틸트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 수록 광의 진행방향 나란하게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의 프리틸트각은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 수록 광의 진행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되는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 수록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의 프리틸트각은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 수록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수직으로 배열되는 광활성 화합물의 분자수가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활성 화합물의 복굴절은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 수록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액정의 프리틸트각은 타원편광된 광의 장축과 단축의 비가 동일하게 될 수록 상기 광활성 화합물의 복굴절이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배향막은 아조계 색소로 메틸오렌지를 함유한 폴리비닐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배향방법.
KR1019970030385A 1997-06-30 1997-06-30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KR100254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385A KR100254857B1 (ko) 1997-06-30 1997-06-30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US09/104,756 US6252642B1 (en) 1997-06-30 1998-06-25 Method for aligning polymer film and method for aligning liquid crystal by using polymer aligned-film
DE19829231A DE19829231B4 (de) 1997-06-30 1998-06-30 Verfahren zum Ausrichten eines Polymerfilms und Verfahren zum Ausrichten eines Flüssigkristalls
JP10222261A JPH11133431A (ja) 1997-06-30 1998-06-30 高分子薄膜の配向方法、高分子配向膜を用いた液晶の配向方法及び高分子配向膜を含む液晶表示素子
US09/824,075 US20010012082A1 (en) 1997-06-30 2001-04-02 Liquid crystal display with polymer aligned-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385A KR100254857B1 (ko) 1997-06-30 1997-06-30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163A true KR19990006163A (ko) 1999-01-25
KR100254857B1 KR100254857B1 (ko) 2000-05-01

Family

ID=1951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385A KR100254857B1 (ko) 1997-06-30 1997-06-30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252642B1 (ko)
JP (1) JPH11133431A (ko)
KR (1) KR100254857B1 (ko)
DE (1) DE19829231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787B1 (ko) * 2000-07-03 2003-11-01 임동건 고 휘도 및 고 대비비 구현 고분자 분산 액정
US7570333B2 (en) * 2003-10-30 2009-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on beam alignment for liquid crystal displays by a grooving under layer
JP4870436B2 (ja) 2006-01-10 2012-02-08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液晶表示装置
US9869885B2 (en) * 2013-09-17 2018-01-16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hthalmic devices including gradient-indexed liquid crystal layers and shaped dielectric layers
US9880398B2 (en) * 2013-09-17 2018-01-30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hthalmic devices including gradient-indexed and shaped liquid crystal layers
TWI650602B (zh) * 2014-08-27 2019-02-11 美商壯生和壯生視覺關懷公司 用於含有梯度折射率的液晶層以及成形介電層的眼用裝置之方法及裝備
KR102042601B1 (ko) 2018-12-21 2019-11-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정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드 선택이 가능한 액정셀 제조방법
KR102042595B1 (ko) 2018-12-21 2019-11-08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조립단분자막을 이용한 액정셀 제조방법
US20230004049A1 (en) * 2021-07-01 2023-01-05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unable Photoalignmen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74941A (en) * 1989-03-08 1990-12-04 Hercules Incorporated Process of aligning and realigning liquid crystal media
US5438421A (en) * 1991-04-24 1995-08-01 Alps Electric Co., Ltd. Orientation film of liquid crystal having bilaterally asymmetric ridges separated by grooves
JP2572537B2 (ja) * 1993-02-10 1997-01-1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EP0632311B1 (en) * 1993-06-29 1999-11-24 Stanley Electric Co., Ltd. Method of orienting liquid crystal molecules in a multi-domain liquid crystal display cell
GB9402516D0 (en) * 1994-02-09 1994-03-30 Secr Defence Liquid crystal device alignment
GB2309794B (en) * 1996-02-01 1998-07-15 Lg Electronics Inc An ultraviolet irradiating device for photo-alignment process and an irradi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5731405A (en) * 1996-03-29 1998-03-24 Alliant Techsystems Inc. Process and materials for inducing pre-tilt in liquid crystal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KR100244705B1 (ko) * 1996-09-25 2000-02-15 김영환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과 액정 셀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4857B1 (ko) 2000-05-01
DE19829231B4 (de) 2008-09-25
US20010012082A1 (en) 2001-08-09
US6252642B1 (en) 2001-06-26
JPH11133431A (ja) 1999-05-21
DE19829231A1 (de) 199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356B1 (ko) 액정표시소자(lcd)용 광 폴리머 배향막 형성방법
EP259894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JP4695101B2 (ja) 偏光子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9980020832A (ko) 자기장 처리에 의한 액정배향막의 제조방법
CN101405647A (zh) 液晶显示面板以及液晶显示面板的制造方法
KR20020064295A (ko) 액정표시소자, 광학이방성 필름과 그들의 제조방법
KR100254857B1 (ko)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
KR101258263B1 (ko) 액정 표시장치용 배향축 측정시료 및 그 측정 방법
KR100244705B1 (ko) 고분자박막 배향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배향방법과 액정 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67587B1 (ko) 코팅형 보상필름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376554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268031B1 (ko) 액정표시소자의 광배향막 형성방법
KR100513649B1 (ko) 액정 배향 방법
KR100255072B1 (ko) 액정표시소자의 광배향막 형성방법
KR100462383B1 (ko) 액정표시소자및액정배향방법
KR20020051185A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80037147A (ko) 더블 슈퍼트위스티드 네마틱형 액정표시소자 및 위상차 보상방법
JPH10197858A (ja) 液晶表示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3156745A (ja) 光変調装置
KR100255071B1 (ko) 액정표시소자의 광배향막 형성방법
KR19980031931A (ko) 액정표시소자
JPH03125117A (ja) 強誘電性液晶素子の製造方法
KR19980023053A (ko) 액정표시장치의 배향막 제조방법
JPH06337418A (ja) 液晶電気光学装置
JPH0895058A (ja) 複屈折制御方式のカラー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