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663U -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663U
KR19990005663U KR2019970019018U KR19970019018U KR19990005663U KR 19990005663 U KR19990005663 U KR 19990005663U KR 2019970019018 U KR2019970019018 U KR 2019970019018U KR 19970019018 U KR19970019018 U KR 19970019018U KR 19990005663 U KR19990005663 U KR 19990005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ron
vertical portion
horizontal portion
vehicle
reinforcem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19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663U/ko
Publication of KR19990005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63U/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에이프런 취약부위를 보강하여 차량의 정면충돌에 대응하는 강성을 높여 운전자나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아울러 서스펜션 전단부의 강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시 일정 이상의 충격이 작용하면 수축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므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에 미치는 충격량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차체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해주며, 제 2수직부 상단 부근 바깥쪽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제 2수평부의 끝단을 받쳐주고 제 2수직부 및 제 2수평부와 함께 4각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ㄴ자형태의 단면모양을 갖는 제 1보강부재, 제 2수직부 하단부근 안쪽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제 1 수평부의 상면 일측을 따라 접합되어 제 1수평부 및 제 2 수직부와 함께 4각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 2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에이프런 보강구조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에이프런(apron)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면충돌에 대응하여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일정 이상 크기의 충격력이 작용하면 수축되면서 충격을 완충하여주므로써 차량 및 탑승객을 보호하여주는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뼈대를 구성하는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바깥쪽 일측에는 에이프런이 설치되어 있다. 에이프런 후단에는 현가장치(suspension)에 연결하기 위한 서스펜션 하우징(suspension housing)이 설치되어 있고, 그 바깥쪽 측면에 에이프런 보강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이프런은 차량 정면 충돌시 힘을 받게 되는데, 부분적으로 취약부가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차량의 에이프런(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에이프런(10)은 대략 2단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데,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수직부(12), 제 1수직부(12) 상단에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제 1수평부(14), 제 1수평부(12) 바깥쪽 끝단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제 2수직부(16) 및 제 2수직부(16)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꺾여진 제 2 수평부(1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헨 에이프런(10)의 일측 후단부 쪽에는 서스펜션 하우징(20)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수직부(12) 측면에는 사이드 프레임(3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3)은 차량의 주요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큰 강성을 가지고 있다. 제 2수직부(16) 바깥쪽 제 2수평부(18) 아래쪽에는 에이프런 보강부재(4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에이프런 보강부재(40)는 대략 ㄴ자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측단은 제 2수직부(16)의 측면에, 타측단은 제 2수평부(18)의 하면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에이프런 보강구조에서는 제 1수평부(14)가 취약부위로 남게 되어 차량 충돌시의 충격에 견디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서스펜션 전단부의 차체 강성을 상대적으로 약하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갖는 차량이 정면 충돌시 에이프런 보강부재와 사이드 프레임만으로 충격을 흡수, 전달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에이프런 취약부위를 보강하여 차량의 정면충돌에 대응하는 강성을 높여 운전자나 탑승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아울러 서스펜션 전단부의 강성을 높여줄 수 있는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시 일정 이상의 충격이 작용하면 수축되면서 에너지를 흡수하므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에 미치는 충격량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차체도 보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에이프런112 : 제 1수직부
114 : 제 1수평부116 : 제 2수직부
118 : 제 2수평부120 : 서스펜션 하우징
130 : 사이드 프레임140 : 제 1보강부재
150 : 제 2보강부재152 : 절개부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 바깥쪽 측면에 부착되고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사이드 프레임에 접합되는 제 1수직부, 제 1수직부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제 1수평부, 제 1수평부 바깥쪽에서 위쪽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 2수직부 및 제 2수직부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제 2수평부를 구비하는 에이프런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제 2수직부 상단 부근 바깥쪽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제 2수평부의 끝단을 받쳐주고 제 2수직부 및 제 2수평부와 함께 4각 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ㄴ자형태의 단면모양을 갖는 제 1보강부재, 제 2수직부 하단부근 안쪽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제 1수평부의 상면 일측을 따라 접합되어 제 1수평부 및 제 2 수직부와 함께 4각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 2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프런 보강구조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는 차량의 에이프런(1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에이프런(110)은 대략 2단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는데,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 1수직부(112), 제 1수직부(112)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제 1수평부(114), 제1수평부(114) 바깥쪽 끝단에서 위쪽으로 절곡된 제2수직부(116) 및 제2수직부(116)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꺾여진 제2수평부(118)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에이프런(110)의 일측 후단부 쪽에는 서스펜션 하우징(1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에이프런(110)의 기본 구성은 종래에서와 동일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부(112) 측면에는 사이드 프레임(130)이 부착되어 있다. 이 사이드 프레임(130)은 차량의 주요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 큰 강성을 가지고 있다. 제2수직부(116) 바깥쪽 제2수평부(118) 아래쪽에는 제1보강부재(140)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제1보강부재(140)는 대략 ㄴ자형태의 단면모양을 하고 있으며, 일측단은 제2수직부(116)의 측면에, 타측단은 제2수평부(118)의 하면에 각각 접합되어 있다. 이 제1보강부재(140)는 제2수직부(116) 상단 부근 바깥쪽 측면을 따라 길게 설치되어 제2수평부(118)의 끝단을 받쳐주고 제2수직부(116) 및 제2수평부(118)와 함께 4각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제2수직부(116) 하단부근 안쪽 측면에는 제2보강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보강부재(150)는 제1수평부(114)의 상면 일측을 따라 일측이 접합되어 있으며, 제1수평부(114) 및 제2수직부(116)와 함께 4각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이 제2보강부재(150)는 에이프런(110)의 취약부를 보강하여 강성을 증가시켜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보강부재(150)는 에이프런(110) 후단에 설치된 서스펜션 하우징(120) 상면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전반부 소정 위치까지는 다수의 절개부(152)가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152)는 차량 정면충돌시 일정거리까지 수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이다. 그렇게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와 탑승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차체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절개부(152)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된 부분을 구비하여 대략 ㄱ자모양을 하고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에서는 제1수평부(114)와 제2수직부(116)에 대략 ㄱ자형태의 단면모양을 갖는 제2보강부재(150)를 부착하여 정면충돌 대응 강성을 증가시켰고, 한편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절개부(152)를 제2보강부재(150)에 형성하여 안전을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를 적용한 차량에서는 에이프런의 취약부위로 남아 있던 부분을 보강하여 주는 제 2보강부재가 더 설치되어 있어 차량 충돌시의 충격에 견딜 수 있다. 이에 따라 서스펜션 전단부에 차체 강성이 상대적으로 보강되었다.
뿐만 아니라 에이프런의 취약부를 보강하여주는 제2보강부재에 소정 길이까지 절개부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어 일정 이상 크기의 충격력이 작용하여 수축되면서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성을 더욱 증가되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사이드 프레임 바깥쪽 측면에 부착되고 소정 형태로 절곡되어 사이드 프레임에 접합되는 제 1수직부, 상기 제 1수직부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제 1수평부, 상기 제 1수평부 바깥쪽에서 위쪽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제 2수직부 및 상기 제 2수직부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제 2수평부를 구비하는 에이프런의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2수직부 상단 부근 바깥쪽 측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 2수평부의 끝단을 받쳐주고 상기 제 2수직부 및 상기 제 2수평부와 함께 4각 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ㄴ자형태의 단면모양을 갖는 제 1보강부재;
    상기 제 2수직부 하단부근 안쪽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제 1수평부의 상면 일측을 따라 접합되어 상기 제 1수평부 및 상기 제 2 수직부와 함께 4각형태의 폐단면을 형성하는 제 2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프런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보강부재는 상기 에이프런 후단에 설치된 서스펜션 하우징 상면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보강부재는 차량 정면충돌시 일정거리까지 수축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배치된 부분과 수직하게 배치된 부분을 구비하여 대략 ㄱ자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KR2019970019018U 1997-07-18 1997-07-18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KR199900056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18U KR19990005663U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018U KR19990005663U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63U true KR19990005663U (ko) 1999-02-18

Family

ID=69687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018U KR19990005663U (ko) 1997-07-18 1997-07-18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66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227A (ko) * 2003-04-11 2004-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부의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227A (ko) * 2003-04-11 2004-10-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부의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004B1 (ko)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JP5499991B2 (ja) 車両のボディ構造
US6641209B2 (en) Front-hood arrangement for a passenger vehicl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104350B2 (en) Large vehicle hood or trunk lid bodyshell element
JP4457909B2 (ja) カウルルーバ
CN109070941B (zh) 机动车辆的前挡泥板结构
KR19990005663U (ko) 차량의 에이프런 보강구조
KR200211073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JP2019077270A (ja) フロントバンパ構造
KR0123501Y1 (ko) 차량의 전면 라디에이터 써포트용 프레임 구조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200197184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구조
KR200205653Y1 (ko) 차체의 프론트 필러 하단부 구조
KR0115979Y1 (ko) 차량의 센터필러와 루프패널의 결합구조
KR0120431Y1 (ko) 자동차 사이드실과 센타플로워 리어 크로스 멤버의 결합구조
KR100520965B1 (ko) 자동차의 센터필라부 보강구조
KR0135446B1 (ko) 차량용 사이드 실 맴버의 구조
KR0128305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101678852B1 (ko) 차체 보강장치
KR200210036Y1 (ko) 차량용 사이드 실 패널 어셈블리
KR200149454Y1 (ko) 자동차 측면충돌 대비 사이드실 보강구조
KR0121791Y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200188459Y1 (ko) 자동차의 카울박스 구조
KR19990033762A (ko) 차량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