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877U -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 Google Patents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877U
KR19990004877U KR2019970018121U KR19970018121U KR19990004877U KR 19990004877 U KR19990004877 U KR 19990004877U KR 2019970018121 U KR2019970018121 U KR 2019970018121U KR 19970018121 U KR19970018121 U KR 19970018121U KR 19990004877 U KR19990004877 U KR 199900048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iers
driver
insulator
electric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1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8832Y1 (ko
Inventor
오재부
Original Assignee
오재부
극동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부, 극동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재부
Priority to KR20199700181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832Y1/ko
Priority to JP9354237A priority patent/JPH1133920A/ja
Publication of KR199900048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22Pliers provided with auxiliary tool elements, e.g. cutting edges, nail ex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25F1/003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of pliers'-, scissors'- or wrench-type with at least one movable j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라이어(cutting plier) 또는 드라이버(screw driver)의 공구를 이용한 전기기구 작업시 그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공구가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에 관한 것으로, 플라이어(10), 드라이버(100)의 절연체(20) 및 절연손잡이(110) 후방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공간부(21)(111)와; 상기 절연체(20)의 공간부(21)에 플라이어(10), 드라이버(100)와 각각 접촉하도록 내장되어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30)과; 상기 검전수단(30)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40), 램프(41)와; 상기 검전수단(30)을 제어하는 테스트스위치(5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와; 상기 공간부(21)(111)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캡(7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본 고안은 플라이어(cutting plier) 또는 드라이버(screw driver)의 공구를 이용한 전기기구 작업시 그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공구가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련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구의 작업시 사용되는 작업공구로는 플라이어와 드라이버가 주로 사용되는 바, 이러한 플라이어와 드라이버는 단순히 전선을 절단하거나 나사를 풀고 조이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공구로 작업시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전혀 알 수 없다.
그러므로 전기기구의 작업시에는 미리 별도의 전문화된 검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러나, 전기기구의 작업시 검전기를 사용하여 전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검전기는 일반인들에게는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일부 전기 전문인들에게만 국한되어 소지되었던 검전기 소지에 따른 불편함과, 또 일반인들은 전기에 대한 위험 인지도로 검전기의 소지를 꺼리고 있다.
따라서,종래에는 대부분 작업자가 전기기구의 작업시 전원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실제로 전기기구에 전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작업자가 전혀 알 수 없고, 특히 작업자의 부주위로 인하여 작업자가 사전에 안전점검에 따른 절차를 무시하고 작업을 수행함에 따라 전기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플라이어 또는 드라이버의 공구를 이용한 전기기구 작업시 그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공구가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플라이어, 드라이버의 절연체 및 손잡이에 전선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을 각각 내장하고, 그 일측으로는 상기 검전수단으로부터의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 램프를 설치하여,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에 근접하거나 접촉되면 상기 스피커 또는 램프가 작동되어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검전기가 구비된 플라이어의 일부절결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검전기가 구비된 드라이어의 일부절결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검전수단의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플라이어11:손잡이부
20:절연체21:공간부
30:검전수단40:스피커
41:램프50:테스트스위치
60:배터리70:캡
100:드라이버110:절연손잡이
111:공간부E:전선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는 도 1과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양측 손잡이부(11)의 외주면으로 절연체(20)가 피복된 플라이어(10)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절연체(20)의 후방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21)와; 상기 절연체(20)의 공간부(21)에 플라이어(10)와 접촉하도록 내장되어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30)과; 상기 검전수단(30)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40), 램프(41)와; 상기 검전수단(30)을 제어하는 테스트스위치(5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와; 상기 절연체(20)의 공간부(21)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캡(70)으로 구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검전기능이 구비된 드라이버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손잡이(110)가 부착된 드라이버(100)에 있어서, 상기 절연손잡이(110)의 후방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111)와; 상기 절연손잡이(110)의 공간부(111)에 드라이버(100)와 접촉하도록 내장되어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30)과; 상기 검전수단(30)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40), 램프(41)와; 상기 검전수단(30)을 제어하는 테스트스위치(5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와; 상기 절연손잡이(110)의 공간부(111)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캡(7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라이어(10)과 드라이버(100)에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검전수단(30)은 도 3에서와 같이 유도전원 주파수를 검출 및 증폭하는 레벨 검출 및 증폭부(31)와, 검출 및 증폭된 레벨을 40~70HZ로 발진시키는 발진부(32)와, 발진된 신호를 음성으로 발하는 음성IC(33)로 구성되고, 이때 음성IC(33)에는 스피커(40)가 연결되며, 발진부(32)와 음성IC(33)의 사이에는 램프(41)가 연결된다.
상기 검전수단(30)은 소형 및 내충격성을 위해 몰드화 적용하여 견고하게 전자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검전수단(30)은 공구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검전방식인 전류감응식과 직접접촉방식인 전압감응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플라이어(10)에는 전류감응식을 이용하여 플라이어(10)와 전선(E)의 접촉이전에 경보가 발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드라이버(100)에는 접촉감지방식인 전압감지방식을 채택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금속재인 플라이어(10)와 드라이버(100)가 전원이 공급되는 전선(E)에 가까이 근접하거나 접촉이 되면 유도전원 주파수를 검전수단(30)의 레벨 검출 및 증폭부(31)에서 증폭 및 레벨을 검출하여 발진부(32)를 트리거하면 발진부(32)에서 40~70HZ를 발진하여 램프(41)구동 및 음성IC(33)를 구동하여 램프(41) 및 스피커(40)를 통해 음성, 음향, 불빛으로 발한다. 이때, 플라이어(10)와 드라이버(100)는 AC에 접촉해도 된다.
테스트스위치(50)는 전원투입시 잠시 깜박거리고, 램프(41)의 불빛이 약할 경우에는 캡(70)을 열고 배터리(60)를 교체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 검전기를 사용하여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으나 일부 전기 전문인들에만 국한되어 소지되었던 검전기 소지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고 플라이어(10), 드라이버(100)에 직접 검전기능을 부여함으로서 일반인들에 대한 전기기구 작업에 안전을 기할 수 있으며, 작업자들이 사전 안전점검에 따른 절차를 무시하고 방심하는 관례에 대해 본 고안은 사용자들에게 전선(E)의 전원이 공급되는 그 존재여부를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플라이어(10), 드라이버(100)를 그 본래의 목적으로 사용하면서 전기기구에 전기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전기에 대한 비전문가도 안심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는 플라이어 또는 드라이버의 공구를 이용한 전기기구 작업시 그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공구가 사전에 검출하여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므로 전기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양측 손잡이부(11)의 외주면으로 절연체(20)가 피복된 플라이어(10)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절연체(20)의 후방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21)와; 상기 절연체(20)의 공간부(21)에 플라이어(10)와 접촉하도록 내장되어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30)과; 상기 검전수단(30)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40), 램프(41)와; 상기 검전수단(30)을 제어하는 테스트스위치(5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와; 상기 절연체(20)의 공간부(21)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캡(70)을 포함하는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2. 절연손잡이(110)가 부착된 드라이버(100)에 있어서, 상기 절연손잡이(110)의 후방내부에 구비되는 공간부(111)와; 상기 절연손잡이(110)의 공간부(111)에 드라이버(100)와 접촉하도록 내장되어 전선(E)의 전기 존재여부를 검출하는 검전수단(30)과; 상기 검전수단(30)으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음성, 음향 또는 불빛으로 인식시키는 스피커(40), 램프(41)와; 상기 검전수단(30)을 제어하는 테스트스위치(50) 및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60)와; 상기 절연손잡이(110)의 공간부(111) 후단에 나사결합되는 캡(70)을 포함하는 검전기능이 구비된 드라이버.
KR2019970018121U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KR200158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21U KR200158832Y1 (ko)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JP9354237A JPH1133920A (ja) 1997-07-09 1997-12-24 プライヤ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21U KR200158832Y1 (ko)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77U true KR19990004877U (ko) 1999-02-05
KR200158832Y1 KR200158832Y1 (ko) 1999-10-15

Family

ID=1950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121U KR200158832Y1 (ko) 1997-07-09 1997-07-09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33920A (ko)
KR (1) KR2001588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9811A1 (en) * 2005-12-17 2007-06-21 Newfriend Co., Ltd. Tool for electric wire 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8408B (en) * 2001-08-09 2004-11-17 Lee Parberry Wire cutters
US6848139B2 (en) * 2003-05-01 2005-02-01 Rodolphe Simon Combination hand tool and electrical testing device
WO2008131497A1 (en) * 2007-05-01 2008-11-06 Mark Tarrant An apparatus for sensing an electrical condition
CN102463534A (zh) * 2010-11-08 2012-05-23 游超 测电夹钳
KR101392038B1 (ko) 2012-04-23 2014-05-07 임유섭 물체착탈용 조작봉
CN103722505A (zh) * 2013-12-10 2014-04-16 江苏蛟龙重工集团有限公司 一种工具钳
KR101985495B1 (ko) 2018-07-14 2019-07-03 (주)우진시스템 다채널 감지형 검전기
CN109066450A (zh) * 2018-08-09 2018-12-21 郑州泰恩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生产用拔线装置
KR20210043866A (ko) 2019-10-14 2021-04-22 (주)세종이엠시 차량시트의 외피 당김용 집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9811A1 (en) * 2005-12-17 2007-06-21 Newfriend Co., Ltd. Tool for electric wire 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33920A (ja) 1999-02-09
KR200158832Y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47604B2 (ko)
KR19990004877U (ko)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CA2810325C (en) Safety system in a portable tool
US20060250262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tecting battery packs
US20100251857A1 (en) Insulation stripping device comprising a contact sensor and adjustment means for an insulation stripping device
US5436427A (en) Welding control unit power supply
US20090168470A1 (en) Fault-sensing and protecting apparatus for soft start circuit of inverter and method for the same
ATE480892T1 (de) Elektrische energieverteilungsvorrichtung, anlage mit einer solchen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lektrischen schutz
EP0943980A3 (en) Computer monitoring device
US8459372B1 (en) Voltage sensing drill with automatic shut-off
KR200188304Y1 (ko) 검전기능이 구비된 작업모
CN218383022U (zh) 一种具有验电和来电报警功能的低压电工工具
GB2384569A (en) Device for displaying battery status when an appliance is switched off
KR20200008333A (ko) 활선감지니퍼
KR102579613B1 (ko) 검전기가 내장된 전동공구
KR19990026462A (ko) 안전 스크루드라이버
JPH1112842A (ja) 安全ヘルメット
KR100359280B1 (ko) 누전검출기
US5796181A (en)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KR100240695B1 (ko) 구조용 자동 경보 점멸기
KR200185810Y1 (ko) 전선릴
KR20020075648A (ko) 인체감지회로 및 이를 내장한 전원차단장치
KR101913407B1 (ko) 전선 절단장치
KR20090008911A (ko) 전기배선에 의한 화재 방지 장치
KR20200001652U (ko) 안전사고 방지용 검전부가 마련된 절단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