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38B1 - 물체착탈용 조작봉 - Google Patents

물체착탈용 조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38B1
KR101392038B1 KR1020120042088A KR20120042088A KR101392038B1 KR 101392038 B1 KR101392038 B1 KR 101392038B1 KR 1020120042088 A KR1020120042088 A KR 1020120042088A KR 20120042088 A KR20120042088 A KR 20120042088A KR 101392038 B1 KR101392038 B1 KR 101392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elease
release operation
support portion
b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152A (ko
Inventor
임유섭
Original Assignee
임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섭 filed Critical 임유섭
Priority to KR102012004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203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착탈용 조작봉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하우징과의 걸림을 수행하는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이 구비된 사용대상물을 작업자가 지상에서 용이하게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설치된 상기 고정하우징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체착탈용 조작봉으로서, 상기 사용대상물의 삽탈몸체에 형성된 봉삽입부에 상부 일부분이 삽입되는 봉몸체와, 상기 봉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봉몸체의 삽입시에 상기 걸림해제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해제작동부와, 상기 해제작동부의 위쪽 봉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작동부가 걸림해제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 내에서 지지가 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해제작동부 사이의 봉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작동부가 걸림해제수단을 작동시키면서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 내에서 지지가 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높이의 구조물에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을 지상에서 직접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대상물에 대한 신속하면서도 안전한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물체착탈용 조작봉 {Pole for attaching/detaching an object}
본 발명은 물체착탈용 조작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자의 손길이 미치지 않은 높이의 구조물에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을 지상에서 직접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대상물에 대한 신속하면서도 안전한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 설치되는 구조물들, 예컨대 신호등 구조물, 가로등 구조물, 도로시설물, 그 외 각종 건축물의 내외부 벽면이나 천정 등에는 사용목적상 일정기능을 갖는 사용대상물들, 예컨대, 촬영기능을 갖는 CCTV나 무인단속카메라와 같은 각종 촬영기기, 조명기능을 갖는 가로등, 형광등, 안내표시등, 횡단보도조명등과 같은 각종 등기구, 정보게시기능을 갖는 도로표지판, 현수막, 간판 등과 같은 표지판,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배터리장치 등이 설치되어 운용이 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사용대상물들은 대부분 브라켓 이나 볼트/너트 등을 활용한 단순 체결방식으로 구조물에 고정 설치가 된 상태에서 운용이 되고 있음과 함께 전기접속이 필요한 사용대상물의 경우에는 구조물에 배치된 전원선과 사용대상물이 단순한 결선작업만을 통해 통전이 되도록 구현되어 있어 사용대상물들에 대한 설치작업이나 유지보수작업에 어려운 측면이 있는데, 이러한 어려운 측면 중에서, 특히 상기 사용대상물에 대한 설치 또는 유지보수작업을 지상에서 수행할 수 없음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의 구조물들에 설치 운용되는 사용대상물들은, 예컨대, 신호등 구조물이나 가로등 구조물, 건축물의 천정 등과 같이 대부분 지상 작업자의 손길이 미치지 않는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러한 경우 지상의 작업자는 직접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가 없으며, 사용대상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작업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 별도 장비를 준비해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설치작업 또는 유지보수작업 중에 작업자가 아래로 추락하거나 불안정한 상황에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감전사고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이 크게 되며, 특히 도로에 세워진 신호등 구조물이나 가로등 구조물의 경우에는 고소작업차량으로 인하여 작업 중 교통정체를 일으키는 문제점 등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지상에서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대상물의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사다리 등과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작업자가 지상에서 직접 사용대상물을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구조물에 설치 및 유지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고정하우징과의 걸림을 수행하는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이 구비된 사용대상물을 작업자가 지상에서 용이하게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설치된 상기 고정하우징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체착탈용 조작봉으로서, 상기 사용대상물의 삽탈몸체에 형성된 봉삽입부에 상부 일부분이 삽입되는 봉몸체와, 상기 봉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봉몸체의 삽입시에 상기 걸림해제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해제작동부와, 상기 해제작동부의 위쪽 봉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작동부가 걸림해제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 내에서 지지가 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와 해제작동부 사이의 봉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작동부가 걸림해제수단을 작동시키면서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 내에서 지지가 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해제작동부, 제1지지부, 제2지지부가 형성된 봉몸체의 상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봉몸체의 상단부에는 통전을 위한 접속전극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접속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가 봉몸체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작동부는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봉관통공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핀홈에 삽입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되거나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봉몸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상기 봉삽입부 내에 구비된 볼플런저에 의해 각각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될 수 있는 요입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돌출핀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봉몸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돌출핀의 돌출방향과 상이한 방향의 봉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해제작동부의 돌출방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식별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사다리나 고소작업차량 등과 같은 별도 장비 없이 작업자가 지상에서 사용대상물의 장착 또는 탈거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에 대한 사용대상물의 설치작업 및 유지보수작업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봉 자체에 전원공급 및 제어기능이 구비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는 사용대상물 등에 대한 전원공급이나 제어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체착탈용 조작봉의 적용대상인 고정하우징과 사용대상물의 일 예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사용대상물 중 카메라장치를 일 예로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착탈용 조작봉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물체착탈용 조작봉의 동작과정을 각각 예시한 도면들이며,
도 8은 전기접속기능을 갖는 물체착탈용 조작봉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체착탈용 조작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상에서 작업자가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설치된 고정하우징에 사용 목적상 일정 기능을 갖는 다양한 사용대상물을 간편하게 장착 또는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앞서서, 먼저 본 발명의 물체착탈용 조작봉(100)으로 장착 또는 탈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대상인 고정하우징(200)과 사용대상물(300)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고정하우징(200)은 지상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고정 설치가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하우징(200)의 하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하우징(200)은 특별한 구조물에만 제한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신호등 구조물, 가로등 구조물, 도로시설물, 일반 건축물의 내외벽 구조물이나 천정구조물 등과 같이 지상 위에 일정높이로 세워지는 구조물에 제한없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사용대상물(300)은 상기 고정하우징(200)의 삽입부(210)에 삽탈이 되는 부분인 삽탈몸체(310)가 일측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대상물(300)은 사용 목적상 일정 기능을 갖는 기기, 기구, 장치 등의 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촬영기능을 갖는 CCTV나 단속카메라, 조명기능을 갖는 각종 등기구, 무선 제어기능을 갖는 무선제어기, 전원공급기능을 갖는 배터리장치, 안내게시기능을 갖는 각종 표지판, 현수막 등과 같이 상기 고정하우징(200)에 설치되어 운용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물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에는 사용대상물로서 카메라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고정하우징(200)과 사용대상물(300)에는 삽탈시 상호간의 걸림을 수행하기 위한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걸림수단은 고정하우징(200)의 삽입부(210) 내측에 탄성적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하단에 경사면(221)이 형성된 탄성쐐기(220)와,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쐐기(220)가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는 걸림턱(320)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걸림수단은 반대로 구비되어도 동일한 방식으로 걸림작용이 수행될 수 있는 바, 걸림턱이 고정하우징(200)의 삽입부(210)에 적용되고 탄성쐐기가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에 적용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에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승하면서 상기 걸림수단을 통한 걸림을 해제시킬 수 있는 걸림해제수단(33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해제수단(330)에는 봉관통공(331)이 형성되어 있고, 봉관통공(331)에는 일방향으로 핀홈(3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 하단에는 봉삽입부(3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삽입부(340)의 내측에는 볼플런저(350)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착탈용 조작봉(100)을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체착탈용 조작봉(100)은 봉몸체(110)를 포함한다.
상기 봉몸체(110)는 작업자가 지상에서 직접 상기 사용대상물(300)을 고정하우징(200)에 장착 또는 탈거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다만, 작업자의 휴대 편의성 및 보관 편의성을 위하여 접철되는 구조를 갖거나 또는 빼고 넣을 수 있는 상이한 외경을 갖는 다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봉몸체(110)는 그 상부가 착탈대상인 상기 사용대상물(300)의 봉삽입부(340)에 삽입되거나 이탈이 된다.
이러한 봉몸체(110)의 상부에는 상기 봉몸체(110)를 상기 사용대상물(300)의 봉삽입부(340)에 삽입시킬 때 상기 걸림해제수단(33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게 되는 해제작동부(120)가 구비된다.
이러한 해제작동부(120)는 상기 걸림해제수단(330)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야 하는 바, 즉 걸림해제수단(330)에 선택적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하여, 삽입방향에 따라 상기 걸림해제수단(330)의 핀홈(332)을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봉몸체(110)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돌출핀으로 이루어진 해제작동부(120)는 봉몸체(110)를 사용대상물(300)의 봉삽입부(340)에 삽입시킬 때,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이 상기 핀홈(332)의 형성방향과 일치하면 그대로 핀홈(332)을 통과하게 되므로 걸림해제수단(330)에 외력을 전혀 가하지 않으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방향을 바꿔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이 상기 핀홈(332)의 형성방향과 상이해지면 해제작동부(120)가 걸리게 되므로 걸림해제수단(330)에 상승 외력을 가하면서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봉몸체(110)의 상부에는 각각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130)는 상기 해제작동부(120)가 걸림해제수단(330)을 가압하지 않음으로써 걸림해제수단(330)을 작동시키지 않는 상태로 봉몸체(110)가 봉삽입부(340)에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340) 내에서 지지가 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지지부(140)는 상기 제1지지부(130)와는 반대로, 상기 해제작동부(120)가 걸림해제수단(330)을 가압함으로써 걸림해제수단(330)을 작동시킨 상태로 봉몸체(110)가 봉삽입부(340)에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340) 내에서 지지가 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지지부(130)는 걸림해제수단(330)을 작동시키지 않고 봉몸체(110)가 삽입될 때 삽입된 봉몸체(110)가 봉삽입부(340)에서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조작봉(100)으로 사용대상물(300)을 고정하우징(200)에 장착시킬 때 조작봉(100)이 사용대상물(300)에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상기 제2지지부(140)는 그 반대로 본 발명의 조작봉(100)으로 고정하우징(200)에 장착되어 있는 사용대상물(300)을 탈거시킬 때 조작봉(100)이 사용대상물(300)에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는 봉삽입부(340) 내에서 지지가 되어야 하므로, 상기 봉삽입부(340) 내측에 구비된 볼플런저(350)가 탄성적으로 끼워지면서 걸림 지지될 수 있는 요입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요입홈의 형태로 형성된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에 구 형상의 볼플런저(350)가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림 지지가 되므로, 조작봉(100)에서 사용대상물(300)이 유동되거나 회전되지 않으면서 사용대상물(300)의 장착이나 탈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데 필요한 정도의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해제작동부(120)의 삽입방향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130)와 제2지지부(140)가 선택적으로 지지가 되어야 하므로, 이를 위하여 상기 제2지지부(140)는 상기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봉몸체(110)에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부(130)는 상기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과 상이한 방향의 봉몸체(1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작동부(120)가 걸림해제수단(330)을 작동시키면서 삽입되느냐의 여부에 따라 봉몸체(110)의 삽입깊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그에 맞추어 상기 제1지지부(130)가 제2지지부(140)보다는 위쪽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높이에 있어서는 제1지지부(130)가 제일 위쪽에 위치되고, 해제작동부(120)가 제일 아래쪽에 위치되며, 제2지지부(140)가 제1지지부(130)와 해제작동부(120)의 사이에 위치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조작봉(100)을 통해 사용대상물(300)을 고정하우징(200)에 장착 또는 탈거하는 과정을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사용대상물(30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조작봉(100)의 봉몸체(110) 상부를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에 형성된 봉삽입부(340)에 삽입시킨다.
이 때, 조작봉(100)의 해제작동부(120)가 걸림해제수단(330)의 핀홈(332)을 그대로 통과하게끔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이 핀홈(332)의 형성방향과 일치되도록 삽입시켜준다.
그러면, 조작봉(100)의 해제작동부(120)는 걸림해제수단(330)의 봉관통공(331)을 그대로 통과하게 되고, 그에 따라 봉몸체(110)는 걸림해제수단(330)을 작동시키지 않으면서 봉삽입부(340)에 삽입이 된다.
그리고, 봉삽입부(340)에 삽입이 된 봉몸체(110)의 제1지지부(130)로 볼플런저(350)가 걸림 지지가 되면서 조작봉(100)이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에 일정한 고정력으로 고정이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조작봉(100)이 사용대상물(300)과 고정이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지상에서 조작봉(100)을 들어올려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를 고정하우징(200)의 삽입부(210)로 삽입시켜 준다.
그러면, 도 5의 (c)에 도시된 것처럼, 탄성쐐기(220)와 걸림턱(320)의 걸림작용에 의해 사용대상물(300)이 고정하우징(200)에 장착이 되고, 장착 후에는 볼플런저(350)가 제1지지부(130)에서 이탈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조작봉(100)을 하측으로 당겨줌으로써 도 5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봉(100)을 사용대상물(300)로부터 분리해주면 사용대상물(300)의 장착과정이 완료된다.
반면, 상기 장착된 사용대상물(300)을 고정하우징(200)으로부터 탈거할 때는, 사용대상물(300)의 걸림해제수단(330)에 상승 외력을 가해주어야 하므로, 이 때는 도 6의 (e)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봉(100)의 해제작동부(120)가 핀홈(332)을 통하지 않고 걸림해제수단(330)에 걸리도록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을 핀홈(332)의 형성방향과 상이하게 변경하여 조작봉(100)을 삽입시켜 준다.
그러면, 도 6의 (f)에 도시된 것처럼 해제작동부(120)가 걸림해제수단(330)을 상향 가압을 하면서 봉몸체(110)가 봉삽입부(340)에 삽입이 되는 바, 걸림해제수단(330)의 상승에 따라 걸림수단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리고 이렇게 걸림해제가 수행된 상태에서 봉삽입부(340)에 삽입이 된 봉몸체(110)의 제2지지부(140)로 볼플런저(350)가 걸림 지지가 되면서 조작봉(100)이 다시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에 일정한 고정력으로 고정이 되고, 그에 따라 도 7의 (g)에 도시된 것처럼 조작봉(100)을 하측으로 내려주게 되면 자연스럽게 사용대상물(300)이 고정하우징(200)으로부터 탈거되고, 도 7의 (h)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대상물(300)의 삽탈몸체(310)로부터 조작봉(100)을 분리시켜 주면 탈거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작봉(100)을 통해 지상에서 간편하게 사용대상물(300)을 일정높이에 설치된 고정하우징(200)에 장착 또는 탈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조작봉(100)은 사용대상물(300)의 장착시와 탈거시에 해제작동부(120)의 방향을 고려하여 그 삽입방향을 달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작봉(100)을 들어올렸을 때에도 작업자가 상기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을 지상에서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봉몸체(110)의 하부에는 해제작동부(120)의 돌출방향을 표시하는 방향표시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봉(100)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봉몸체(110)에 통전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해제작동부(120), 제1지지부(130), 제2지지부(140)가 형성된 봉몸체(110)의 상부를 절연체(150)로 형성하고, 상기 절연체(150)로 형성된 봉몸체(110)의 상단부에는 다른 대상체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봉전극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봉전극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봉전극부(16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170)가 봉몸체(1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조작부(170)에는 단시간의 전원공급을 위한 내부배터리(171)와, 전원공급의 제어를 위한 다수의 제어스위치(172) 및 상기 내부배터리(171)와는 별도로 장시간의 전원공급을 위해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외부전원연결선(173)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체착탈용 조작봉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0: 물체착탈용 조작봉
110: 봉몸체 120: 해제작동부
130: 제1지지부 140: 제2지지부
150: 절연체 160: 봉전극부
170: 제어조작부 180: 방향표시부
200: 고정하우징
210: 삽입부 220: 탄성쐐기
300: 사용대상물 310: 삽탈몸체
320: 걸림턱 330: 걸림해제수단
340: 봉삽입부 350: 볼플런저

Claims (5)

  1. 고정하우징과의 걸림을 수행하는 걸림수단과 상기 걸림을 해제하는 걸림해제수단이 구비된 사용대상물을 작업자가 지상에서 용이하게 일정높이의 구조물에 설치된 상기 고정하우징에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물체착탈용 조작봉으로서,
    상기 사용대상물의 삽탈몸체에 형성된 봉삽입부에 상부 일부분이 삽입되는 봉몸체;
    상기 봉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봉몸체의 삽입시에 상기 걸림해제수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해제작동부;
    상기 해제작동부의 위쪽 봉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작동부가 걸림해제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 내에서 지지가 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해제작동부 사이의 봉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해제작동부가 걸림해제수단을 작동시키면서 삽입될 때 상기 봉삽입부 내에서 지지가 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작동부, 제1지지부, 제2지지부가 형성된 봉몸체의 상부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체로 이루어진 봉몸체의 상단부에는 통전을 위한 접속전극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접속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조작부가 봉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작동부는 상기 걸림해제수단의 봉관통공에 일방향으로 형성된 핀홈에 삽입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되거나 걸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봉몸체에서 일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는 상기 봉삽입부 내에 구비된 볼플런저에 의해 각각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될 수 있는 요입홈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돌출핀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봉몸체에 형성됨과 함께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돌출핀의 돌출방향과 상이한 방향의 봉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봉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해제작동부의 돌출방향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식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착탈용 조작봉.

KR1020120042088A 2012-04-23 2012-04-23 물체착탈용 조작봉 KR101392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88A KR101392038B1 (ko) 2012-04-23 2012-04-23 물체착탈용 조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88A KR101392038B1 (ko) 2012-04-23 2012-04-23 물체착탈용 조작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52A KR20130119152A (ko) 2013-10-31
KR101392038B1 true KR101392038B1 (ko) 2014-05-07

Family

ID=49637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88A KR101392038B1 (ko) 2012-04-23 2012-04-23 물체착탈용 조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20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9027A (en) 1985-02-25 1986-10-28 Ohannesian Michael J Tool for installing and aligning camshaft bushing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158832Y1 (ko) 1997-07-09 1999-10-15 오재부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US20070186730A1 (en) 2006-02-16 2007-08-16 Chia-Yu Chen Extensible handle for a hand t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9027A (en) 1985-02-25 1986-10-28 Ohannesian Michael J Tool for installing and aligning camshaft bushings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158832Y1 (ko) 1997-07-09 1999-10-15 오재부 검전기능이 구비된 플라이어 및 드라이버
US20070186730A1 (en) 2006-02-16 2007-08-16 Chia-Yu Chen Extensible handle for a hand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52A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644B1 (ko) 전등기구 분리 및 아암의 회동 가능한 안전 가로등
KR101498645B1 (ko) 가로등 보수를 위한 등주와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 승하강 리프트 장치
KR101956157B1 (ko) 천장형 조명기구의 고정장치
KR101608824B1 (ko) 원터치 led모듈 탈장착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CN111295356B (zh) 用于高位安装设备的升降装置
KR101392038B1 (ko) 물체착탈용 조작봉
KR101707470B1 (ko) 원터치 led모듈 탈장착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KR200452716Y1 (ko) Led 조명등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 장치
KR20120121976A (ko) 신호등 승강장치
KR20130119147A (ko) 물체착탈용 매개장치
KR101798438B1 (ko) 레이스웨이용 다용도 브라켓
CN210069412U (zh) 一种方便进行维护的多媒体教室用投影仪
JP6223874B2 (ja) 揚重装置並びにそれを用いるポールの取付および取外方法
KR20130119155A (ko) 물체 착탈장치
CN211694598U (zh) 一种隧道灯快速拆装装置
CN115257990B (zh) 一种用于维护路灯的升降机器人
JP2021158085A (ja) 電気機器
KR101312224B1 (ko) 물체착탈용 하우징장치
KR101707469B1 (ko) 원터치 led모듈 탈장착장치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CN216345815U (zh) 照明设备
CN217444839U (zh) 一种便于灯光配电柜线路走线装配装置
KR20120024343A (ko) 신호등의 착탈식 설치구조물
KR101961016B1 (ko) 등기구 어셈블리
KR101781163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구동부 장착장치
CN220856001U (zh) 一种led大屏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