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857U -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 Google Patents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857U
KR19990004857U KR2019970018099U KR19970018099U KR19990004857U KR 19990004857 U KR19990004857 U KR 19990004857U KR 2019970018099 U KR2019970018099 U KR 2019970018099U KR 19970018099 U KR19970018099 U KR 19970018099U KR 19990004857 U KR19990004857 U KR 199900048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leaner
opening
storage structure
access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원규
Original Assignee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18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857U/ko
Publication of KR19990004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57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브러쉬통·손잡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내부에 악세서리를 거치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과 장착대가 형성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경첩 및 로크수단을 이용하여 손잡이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악세서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본 고안은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업라이트(upright)형 청소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악세서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업라이트형 청소기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본체(11)와, 수평으로 놓이는 브러쉬통(12)과, 본체(11)의 상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로 구성되고 일반적으로 큰 흡입량으로 카페트, 마루바닥 등을 청소하는 용도를 지닌다.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다른 용도를 실현하기 위해 가구용 브러쉬(15), 틈새용 파이프(16) 등이 본체(11)의 후면에 장착된다. 만일 사용자가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흡입호스(14)의 일단을 분리하고 흡입호스(14) 상에 가구용 브러쉬(15)나 틈새용 파이프(16)를 장착하면 바닥 뿐아니라 가구나 심지어는 천장까지 청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가구용 브러쉬(15)나 틈새용 파이프(16) 같은 악세서리는 보조 기능을 위한 도구로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경우 후면에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악세서리는 후면에 부착하면 분실, 탈락의 우려가 높고, 사용빈도는 많지 않으나 분실시에는 불편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악세서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후면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본체 12: 브러쉬통
13, 23, 33: 손잡이 14: 흡입호스
15: 가구용 브러쉬 16: 틈새용 파이프
24, 34: 커버 25: 장착대
26, 36: 경첩 27, 37: 로크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브러쉬통·손잡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내부에 악세서리를 거치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과 장착대가 형성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경첩 및 로크수단을 이용하여 손잡이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의 사시도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 본 고안은 본체·브러쉬통·손잡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후면에 악세서리를 장착하는 대신 손잡이(23) 내부에 악세서리를 수납하도록 개선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23)는 내부에 악세서리를 거치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과 장착대(25)가 형성된다. 장착대(25)는 약 10㎜ 내외의 높이의 실린더 형상으로 돌출되고 그 위에 둥근 형상이 부가된다. 이러한 구조의 장착대(25)는 가구용 브러쉬(15) 등의 악세서리를 견고히 지지하는 동시에 측면에서 당기면 악세서리가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23)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경첩(26) 및 로크수단(27)을 이용하여 손잡이(23)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커버(24)를 포함한다. 경첩(26)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커버(24)의 접합면이 최대한 직선화되도록 한다. 접합면이 곡선화되면 커버(24)가 개폐되지 않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다. 그러므로 실험을 통하여 가장 작동이 원활한 부분을 선정한 후 경첩(2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수단(27)은 재질의 탄성력으로 개구의 일측에 맞물림되는 걸림턱(27a)과, 걸림턱(27a)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노브(27b)를 구비한다. 걸림턱(27a)은 가급적 넓은 범위로 형성하는데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것보다 일정한 간격으로 2∼3 개소에 분산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노브(27b)는 사용자가 커버(24)를 여닫기 편리하도록 커버(24)의 측면에서 중앙에, 그리고 걸림턱(27a)의 후방으로 형성한다. 걸림턱(27a) 및 노브(27b)는 도시처럼 톱니 형상을 공유하므로 커버(24) 제작시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동에 있어서, 노브(27b)의 오목한 부분을 쥐고 당기면 손잡이(23)의 개구가 걸림턱(27a)의 톱니부를 넘어간다. 이때 사용자는 가구용 브러쉬(15) 등 필요한 악세서리를 꺼내거나 넣을 수 있다. 악세서리가 이탈되어도 손잡이(23) 내부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분실의 우려도 없다.
도 3은 본 고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변형예에 따르면 커버(34)는 개구의 일측면 대신 하단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개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장착대(25)(도 2), 경첩(36), 로크수단(37) 등을 형성하는 방법은 도 2와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 다만 커버(34)의 접합면이 도 2에 비하여 짧으므로 직선화하는데 유리하다는 점과, 틈새용 파이프(16)와 같이 길이가 긴 악세서리를 출입시키기 편리하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악세서리가 손잡이(23)(33)에 내장되므로 업라이트형 청소기의 후면을 미려하게 하거나 다른 용도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악세서리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납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브러쉬통·손잡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업라이트형 청소기에서, 내부에 악세서리를 거치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과 장착대가 형성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경첩 및 로크수단을 이용하여 손잡이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수단은
    재질의 탄성력으로 개구의 일측에 맞물림되는 걸림턱과, 걸림턱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개구의 일측면 대신 하단부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KR2019970018099U 1997-07-09 1997-07-09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KR199900048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099U KR19990004857U (ko) 1997-07-09 1997-07-09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099U KR19990004857U (ko) 1997-07-09 1997-07-09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57U true KR19990004857U (ko) 1999-02-05

Family

ID=6967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099U KR19990004857U (ko) 1997-07-09 1997-07-09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8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0830C (en) Vacuum cleaner having an integral tool holder
US6260233B1 (en) Removable hose and tool caddy for a vacuum cleaner
US20020138937A1 (en) Cord retainer for vacuum cleaner
US6154921A (en) Vacuum cleaner
US8209790B1 (en) Combination bathroom plunging and cleaning tool
JPH09505748A (ja) 入れ子式の柄を備えた掃除機
US5018238A (en) Hand held wand with on/off switch remotely connected to motor/fan
USD345236S (en) Mops wringer
KR19990004857U (ko) 청소기 악세서리 보관구조
JPS62236523A (ja) 電気掃除機
US6854156B2 (en) Handle for a vacuum cleaner
JP2589394Y2 (ja) キャビネット
US2913755A (en) Hose holder for a vacuum cleaner
JPH11285463A (ja) 電気掃除機
JPH0556889B2 (ko)
EP1322212B1 (en) Vacuum cleaner
JP2751282B2 (ja) 洗浄装置付き流し台
KR200154076Y1 (ko) 청소기의 전원코드 기구
JP3012172U (ja) 収納ケース及びトイレ用清掃具
KR940001036Y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보관구조
US1233409A (en) Vacuum-cleaner.
JPH0111163Y2 (ko)
JPS6324845Y2 (ko)
KR960001331Y1 (ko) 핸드믹서기의 지지 몸체
JPH03128022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