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808A - 간냉식 냉장고 - Google Patents

간냉식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808A
KR19990004808A KR1019970028955A KR19970028955A KR19990004808A KR 19990004808 A KR19990004808 A KR 19990004808A KR 1019970028955 A KR1019970028955 A KR 1019970028955A KR 19970028955 A KR19970028955 A KR 19970028955A KR 19990004808 A KR19990004808 A KR 19990004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air duct
evaporator
compartment
duc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1144B1 (ko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1144B1/ko
Publication of KR1999000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1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분할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신속 간편하게 덕트조립체가 조립되며, 냉동실과 냉장실이 효과적으로 단열되고, 냉동실과 냉장실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냉식 냉장고가 개시된다. 증발기와 송풍팬은 냉기덕트 조립체에 설치된다. 상기 냉기 덕트 조립체는 메인 냉기덕트, 냉기 덕트 카바, 냉기 덕트 단열부재, 그리고 냉기 안내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냉기 통로에 연결되어 연통되고, 타단은 냉장실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냉장실과 연통되어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한다. 상기 냉장실을 순환한 냉기는 냉장실의 후벽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와 이에 연통되는 냉기덕트카바와 개구부를 통하여 증발기로 회귀한다. 상기 개구부와 냉동실의 상부에 개구부를 통하여 냉동실에 유입된다. 상기 냉동실을 순환한 냉기는 냉동실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이에 연통된 냉기덕트카바의 개구부를 통하여 증발기로 회귀한다.

Description

간냉식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기 덕트 조립체의 구조를 개선하여 냉기 덕트 조립체가 덕트냉장고의 내상(180)에 신속 간편하게 조립될 수 있는 간냉식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료품을 냉동 또는 냉장 상태로 신선하게 유지시키면서 장기간 저장하기 위하여 냉장고가 사용된다.
냉장고는 그 냉각방식에 따라 직냉식 냉장고와 간냉식 냉장고로 구분된다.
직냉식 냉장고에서는, 냉동사이클에 사용되는 증발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130)내에 설치되므로 저장된 식료품과 증발기사이에서 열교환이 직접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직냉식 냉장고에 있어서는, 보관 음식의 위치에 따라 각 음식이 냉각되는 속도에 차이가 생길 뿐 아니라 성에 제거가 곤란하기 때문에, 일반가정용냉장고, 특히 대형냉장고에 있어서는 간냉식 냉장고가 주로 사용된다.
간냉식 냉장고에서는, 증발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에 설치되지 않고, 공기 통로 내에 설치된다. 즉, 공기 통로내의 증발기에 의해 공기가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상기 공기 통로를 통하여 송풍팬에 의해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 식료품 등과 열교환을 한 후 다시 증발기로 유입된다.
또한, 식료품 등을 요구되는 상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냉동실 및 냉장실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송풍팬에 의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로 유입되며, 다시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부터 배출되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냉기가 송풍팬에 의해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부터 배출되어 소정의 공기 통로를 따라 유동한다.
이러한 공기 통로의 예는 가정용 냉장고의 공기 유동시스템(Household Refrigerator Air Flow System)이라는 명칭으로 1987년 11월 10일 Thomson 등에게 특허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4,704,874호, 자동성에제거냉장고(Auto Defrost Refrigerator)라는 명칭으로 1988년 2월 14일 James L. Schulze에게 특허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 4,741,175호, 그리고 다수의 방의 온도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Independent Temperature Control of Plural Compartments)라는 명칭으로 1995년 7월 18일 Cho등에게 특허허여되어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특허 제 5,433,086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종래의 간냉식 냉장고, 특허 냉동실용 송풍팬을 별도로 구비하는 간냉식 냉장고의 구조와 상기 냉장고 내의 공기 순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간냉식 냉장고를 보여준다. 도 1은 종래의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순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간냉식 냉장고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의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간냉식 냉장고는 외상(40), 그리고 냉동실(10)과 냉장실(30)이 형성되는 내상(80)을 구비한다. 냉동실(10)은 내상(80)의 상면과 양측면, 냉동실 케이스(14), 그리고 분할판(20)의 상면에 의하여 정의된다. 상기 냉장실(30)은 냉동실(10)의 하방에 위치하며 분할판(20)에 의하여 상기 냉동실(10)과 분리된다. 상기 분할판(20)은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30)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최소화하기 이하여 단열재료로되어 있다. 상기 분할판(20)에는 냉동실(10)과 냉장실(30)내의 냉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제 1냉기 덕트(60)와 제 2냉기 덕트(62)가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 케이스(14)의 후면과 상기 외상(40) 사이에는 증발기(50)가 설치되며, 발생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10) 및 냉장실(30)의 내부로 각각 송풍하기 위한 제 1 및 제 2송풍팬(70A, 70B)이 제공된다.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30) 사이의 분할판(20)에는, 냉동실(10)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50)로 유동시키는 제 1냉기 덕트(60)와 상기 제 1냉기 덕트(60)의 아래에 위치하며 냉장실(30)로부터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증발기(50)로 유동시키는 제 2냉기 덕트(6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냉기 덕트(60, 62)의 후방에는 제 3냉기덕트(64)가 형성되어 제 1냉기 덕트(60)와 제 2냉기 덕트(62)를 통하여 유동된 냉기가 합쳐져 상기 증발기(50)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증발기(50)와 외상(40)사이에는 제 4냉기덕트(66)가 설치되어 냉기가 상기 냉장실(30)내부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증발기(50)에 의해 발생된 냉기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송풍팬(70A, 70B)에 의해 상기 냉동실(10)고 상기 냉장실(30)의 내부로 유입된다. 냉동실(10)내에 유입된 냉기는 저장된 식료품 등과 열교환한 후, 상기 냉동실(10)의 저면에 형성된 제 1냉기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 1냉기 덕트(60)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제 4냉기덕트(66)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30)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냉장실(30)내에 저장된 식료품과 열교환을 수행한 후, 상기 냉장실(30)의 상면에 형성된 제 2냉기흡입구(32)를 통해 제 2냉기 덕트(62)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제 1 및 제 2냉기 덕트(60, 62)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냉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성에로 변하면서 상기 증발기(50)에 착상된다. 증발기(50)에 착상된 성에는 상기 증발기(50)로 다시 유입되어 냉각된다. 이때, 상기 냉기 중에 포함된 수분이 성에로 변하면서 상기 증발기(50)에 착상된다. 증발기(50)에 착상된 성에는 상기 증발기의 하방에 설치된 히터(68)에 의해 가열되어 물로 변하며, 생성된 물은 상기 제 3냉기덕트(64)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69)를 통하여 냉장고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냉장고의 내상(80)과 외상(40)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간냉식 냉장고는 하기 순서에 따라 조립된다. 먼저, 냉동실(10)의 저면과 냉장실(30)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는 제 1 및 제 2냉기 덕트(60, 62)가 형성된 분할판(20)이 삽입된다. 또한 상기 내상(80)의 배면에 제 4냉기 덕트(66)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내상조립체가 냉장고의 외상(40)의 플랜지에 끼워진 후, 상기 내상(80)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내상(80)의 후벽에 증발기(50)가 조립된다. 상기 외상(40)에는 스크류에 의하여 외상후판(42)이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증발기(50)의 상방 일측 냉동실(10) 후벽에는 냉동실(10) 내로 냉기를 유입시키는 제 1송풍팬(70A)과 냉장실(30)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2송풍팬(70B)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10)과 상기 증발기(50)를 단열하기 위한 냉동실 단열부재(15)가 상기 증발기(50)의 전방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 단열부재(15)의 내측면에는 냉동실 케이스(14)가 부착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냉기 덕트(90), 상기 증발기(50), 상기 냉동실 단열부재(15), 그리고 상기 냉동실 케이스(14)가 각기 따로 냉장고에 조립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조립시간이 많이 걸리고 조립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상기 냉동실(10)과 냉장실(30)의 사이에 분할판(20)을 별도로 필요로 한다. 뿐만 아니라, 냉동실(10)과 냉장실(30)의 사이에 분할판(20)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므로 냉동실(10)과 냉장실(30)의 공간 사용이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편, 분할판(20)의 일반적인 재료로서 사용되는 단열계수는 단열층의 일반적인 재료로서 사용되는 우레탄의 열전도계수에 비하여 약 두배 정도가 크므로 냉동실 과 냉장실 사이에서 단열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분할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신속 간편하게 덕트조립체가 조립되며, 냉동실과 냉장실이 효과적으로 단열되고, 냉동실과 냉장실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간냉식 냉장고가 개시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는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상; 상기 외상 내에 제공되고,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분할부에 의하여 상부 공간과 냉장실을 이루는 하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부 및 상기 외상과의 사이가 단열 재료로 충전되는 내상; 상기 상부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상부공간내에서 상기 내상의 상면과 양측면, 그리고 분할부의 상면과 함께 냉동실을 정의하는 냉동실 케이스; 상기 상부 공간 내에서 상기 냉동실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상방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부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송풍팬;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 내부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기 덕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료로서는 단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우레탄을 사용한다.
상기 냉동실은 그 후벽 상부 일측에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제 1송풍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제 1개구부, 그리고 상기 냉동실의 저면 후방 양측 모서리에 상기 메인 냉기덕트의 결합부에는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덕트 카바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후크부재를 갖는다.
상기 냉기 덕트조립체는 상기 냉기 덕트카바와 상기 증발기를 단열시켜 상기 냉기 덕트 카바와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덕트 카바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냉기 덕트 카바의 후면에 부착되는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는 그 하부 양측에 상기 냉기 덕트 카바에 형성된 제 6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8개구부, 그리고 그 하부 중앙에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에 형성된 제 7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9개구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200)를 조립하기 위하여, 증발기(150)가 냉기 덕트 조립체(159)의 메인 냉기 덕트(160)의 상방과 하방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63)에 나사 장착된다. 다음으로, 증발기(150)가 장착된 메인 냉기 덕트(160)에 제 1 및 제 2송풍팬(170A, 170B)이 설치된다. 또한 좌우 냉기 안내 안내 덕트(165A, 165B)의 일단이 각각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에 형성된 냉기 통로(164A, 164B)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며, 그 타단이 각각 상기 냉장실(130)의 좌우측벽에 형성된 제 3개구부(183A, 183B)에 삽입된다.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와 냉기 덕트 카바(190) 사이에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115)가 개재된 후,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가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에 결합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냉기 순환구조를 보여주는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내상에 조립되는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외상에 조립되는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냉장고 내상의 후면에 조립되는 냉기 덕트 조립체가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의 냉장고 내상의 후면에 조립되는 냉기 덕트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냉기 덕트 조립체의 메인 냉기 덕트와 냉기 덕트 단열부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냉기 안내 덕트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냉기 덕트 카바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를 보여주는 개략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실내의 냉기 순환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냉장실내의 냉기의 순환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냉동실12:제 1냉기흡입구
14:냉동실 케이스15:냉동실 단열부재
20:분할판30:냉장실
32:제 2냉기흡입구40:외상
42:외상후판50:증발기
60:제 1냉기 덕트62:제 2냉기 덕트
64:제 3냉기덕트66:제 4냉기덕트
68:히터69:배수구
70A, 70B:제 1 및 제 2송풍팬80:내상
90:냉기 덕트110:냉동실
114:냉동실 케이스115: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
119:제 9개구부120:분할부
130:냉장실140:외상
150:증발기159:냉기 덕트 조립체
160:메인 냉기 덕트161:냉기 덕트 단열부재
162A, 162B, 162C, 162D, 162E, 162F, 162G:결합부
163:관통공164A, 164B:냉기 통로
165A, 165B:좌우 냉기 안내 덕트
170A, 170B:제 1 및 제 2송풍팬
180:내상181:제 1개구부
182A, 182B:제 2개구부183A, 183B:제 3개구부
184:제 4개구부190:냉기 덕트 카바
191:후크 부재(hook member195:제 5개구부
196A, 196B:제 6개구부198:제 7개구부
200:간냉식 냉장고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냉장고의 냉기 덕트 조립체를 보여주는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0)는 외상(140), 그리고 상기 외상(140)의 내부에 설치되어 냉동실(110)과 냉장실(130)을 형성하는 내상(180)을 포함한다. 외상(140)은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외상(140)의 내부에는 일체로 형성된 분할부(120)를 가지며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분할부(120)에 의하여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을 형성하는 내상(180)이 설치된다. 냉동실(110)은 상기 상부 공간내에서 상기 내상(180) 의 상면과 양측면, 냉동실 케이스(114), 그리고 상기 분할판(20)의 상면에 의하여 정의된다. 냉동실 케이스(114)의 후방에는 증발기(150)와 제 1 및 제 2송풍팬(170A, 170B)이 설치된다. 냉동실(110) 및 냉장실(130)과 냉장고(200)의 외부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내상(180)과 외상(140) 사이, 그리고 상기 내상(180)의 분할부(120)는 단열재료로 충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재료로서 바람직하게 우레탄을 사용한다. 상기 냉동실 케이스(114)와 외상(140) 사이에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1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증발기(150)의 상방위치에는 증발기(150)에서 발생한 냉기를 상기 냉동실(110) 및 냉장실(130) 내부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송풍팬(170A, 170B)이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150)의 후방에는 증발기(150)에서 발생한 냉기가 상기 냉동실(110)과 냉장실(130) 내부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기 덕트 조립체(150)가 제공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실(110)의 후벽 상부 일측에는 증발기(150)를 통과한 냉기가 제 1송풍팬(170A)에 의하여 유입되는 제 1개구부(181)가 형성되고, 상기 냉동실(110)의 저면 후방 양측의 모서리에 상기 냉동실(110)을 순환한 냉기가 다시 증발기(150)로 회귀하는 제 2개구부(182A, 182B)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110)의 좌·우측벽에는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한 냉기가 유입될 수 있는 제 3개구부(183A, 183B)가, 그리고 상기 냉동실(110)의 후벽 상단에는 상기 냉동실(110)을 순환한 냉기가 다시 상기 증발기(150)로 회귀하는 제 4개구부(184)가 형성된다.
도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기 덕트 조립체(159)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냉기 덕트 조립체(159)는 냉기가 순환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증발기(150)와 제 1 및 제 2송풍팬(170A, 170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기 덕트 조립체(159)는 냉동실 케이스(114) 후방측 내상(180)에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200)의 냉기 덕트 조립체(159)는 메인 냉기 덕트(160), 냉기 덕트 단열부재(161), 좌우 냉기 안내 덕트(165A, 165B), 증발기(150), 냉기 덕트 카바(190),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115), 제 1 및 제 2송풍팬(170A, 170B)을 구비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는 사각판 형상으로서,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에는 상기 증발기(150)에서 발생한 냉기를 냉장실(130)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분되어 그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하는 냉기 통로(164A, 164B)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후크 부재(hook member)(191)와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의 상변과 좌우측변에 형성된 결합부(162A, 162B, 162C, 162D, 162E, 162F, 162G)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에 고정된다. 상기 증발기(150)는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의 상방과 하방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63)에 나사 장착된다. 좌우 냉기 안내 덕트(165A, 165B)는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에 형성된 냉기 통로(164A, 164B)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한편, 상기 냉기 통로(164A, 164B)에는 냉기 덕트 단열부재(161)가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게 삽입된다. 상기 냉기 덕트 단열부재(161)의 열전달계수는 상기 증발기(150)와 상기 냉기 통로(164A, 164B) 내의 냉기가 열교환을 최소화하도록 충분히 작아야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우레탄을 사용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좌우 냉기 안내 덕트(165A, 165B)는 대칭을 이룬다. 상기 좌우 냉기 안내 덕트(165A, 165B)의 일단은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의 좌우측 하단 모서리부분에서 냉기 통로(164A, 164B)에서 삽입되어 연통되고, 그 타단은 상기 냉장실(130)의 좌우측벽에 형성된 제 3개구부(183A, 183B)에 삽입되어 상기 냉장실(130)과 연통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의 냉기 덕트카바를 도시한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에는 그 좌측 상부에 상기 내상(180)의 제 1개구부(181)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5개구부(195)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후방에는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냉동실(110)로 유입시키는 제 1송풍팬(170A)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덕트 카바(190)의 양측하부에는 상기 냉동실(110)의 냉동실(110)의 저면 후방에 위치하는 제 2개구부(182A, 182B)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6개구부(196A, 196B)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우측 상부의 후방에는 증발기(150)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냉장실(130)로 유입시키는 제 2송풍팬(170B)이 설치된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냉장실(130) 상면의 제 4개구부(184)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7개구부(198)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후크 부재(hook member)(191)와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의 상변과 좌우측변에 형성된 결합부(162A, 162B, 162C, 162D, 162E, 162F, 162G)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에 고정된다.
도 10에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를 상기 증발기(150)와 단열시키는 냉기덕트 카바 단열부재(115)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115)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를 상기 증발기(150)와 단열시켜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표면에 성에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115)에는 그 하부 양측에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에 형성된 제 6개구부(196A, 196B)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8개구부(118A, 118B), 그리고 그 하부 중앙에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에 형성된 제 7개구부(198)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9개구부(119)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115)는 냉기 덕트 카바(190)의 후변에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200)의 공기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도 11은 냉동실(110)내의 냉기의 순환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한 차가운 냉기는, 냉기 덕트 카바(19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된 제 1송풍팬(170A)에 의하여,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제 5개구부(195)와 상기 내상(180)의 제 1개구부(181)를 통하여 냉동실(110)내로 유입된다. 냉동실(110)로 유입된 냉기는 냉동실(110)을 순환한 후, 냉동실(110) 저면 후방 양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제 2개구부(182A, 182B)와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의 제 6개구부(196A, 196B)를 통과한 후, 증발기(150)로 회귀한다.
도 12는 냉장실(130) 내에서의 냉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50)를 통과한 차가운 냉기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에 설치된 제 2송풍팬(170B)에 의하여 메인 냉기 덕트(160)에 형성된 냉기통로를 따라 유동한 후, 다시 냉기 안내 덕트(165A, 165B)를 통하여 냉장실(130)내로 유입된다. 냉장실(130)내에 유입된 냉기는 냉장실(130)을 순환한 후, 냉장실(130) 상면에 형성된 제 4개구부(184)와 냉기 덕트 카바(190)의 제 7개구부(198)를 통하여 증발기(150)로 회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간냉식 냉장고(200)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증발기(150)가 냉기 덕트 조립체(159)의 메인 냉기 덕트(160)의 상방과 하방의 양측면에 형성된 관통공(163)에 나사장착된다. 다음으로, 증발기(150)가 장착된 메인 냉기 덕트(160)에 제 1 및 제 2송풍팬(170A, 170B)이 설치된다. 또한, 좌우 냉기 안내덕트(165A, 165B)의 일단이 각각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에 형성된 냉기 통로(164A, 164B)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며, 그 타단이 각각 상기 냉장실(130)의 좌우측벽에 형성된 제 3개구부(183A, 183B)에 삽입된다.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와 냉기 덕트 카바(190) 사이에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115)가 개재된 후, 상기 냉기 덕트 카바(190)가 상기 메인 냉기 덕트(160)에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공기 통로가 형성되는 분할판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신속 간편하게 덕트 조립체가 조립된다. 또한, 기존의 분할판 대신에 단열재료로 충전된 분할부가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에 제공됨으로써 냉동실과 냉장실이 효과적으로 단열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냉장고에 사용되는 단열재료는 기존의 단열재료보다 열전달 계수가 작아 동일한 단열효과를 수행하기 위하여 단열재료가 충전되는 부분의 두께가 더욱 얇아질 수 있으므로, 냉동실과 냉장실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 당업자라면 명확히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9)

  1.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상;
    상기 외상 내에 제공되고,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분할부에 의하여 상부 공간에 냉장실을 이루는 하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부 및 상기 외상과의 사이가 단열재료로 충전되는 내상;
    상기 상부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상부 공간 내에서 상기 내상의 상면과 양측면, 그리고 분할부의 상면과 함께 냉동실을 정의하는 냉동실 케이스;
    상기 상부 공간내에서 상기 냉동실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상방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부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송풍팬;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냉장실과 냉장실 내부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기 덕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간냉식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은 그 후벽 상부 일측에서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제 1송풍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제 1개구부, 그리고 상기 냉동실의 저면후방 양측 모서리에 상기 냉동실을 순환한 냉기가 상기 증발기로 회귀하는 제 2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은 그 좌우 측벽에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제 2송풍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제 3개구부; 그리고 상기 냉동실의 후벽 상단에 상기 냉장실을 순환한 냉기가 상기 증발기로 회귀하는 제 4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료는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 조립체는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는 메인 냉기덕트, 그리고 그 후방에 상기 제 1 및 제 2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냉기 덕트와 결합되는 냉기 덕트카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냉기 덕트는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냉장실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분되어 그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하는 냉기 통로, 그리고 그 상변과 좌우측변에 상기 냉기 덕트 카바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 조립체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냉기 통로 내의 공기 사이에서의 열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게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냉기 통로에 삽입되는 냉기 덕트 단열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조립체는 각각 그 일단이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좌우측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냉기 통로에 삽입되어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냉장실의 제 3개구부에 삽입되어 냉장실과 연통되는 좌우 냉기 안내덕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카바는 그 좌측상부에 상기 내상의 제 1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5개구부, 그 양측하부에 상기 냉동실의 제 2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6개구부, 그리고 그 하단 중앙에 상기 냉장실 상면의 제 4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7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결합부에는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덕트 카바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후크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조립체는 상기 냉기덕트 카바와 상기 증발기를 단열시켜 상기 냉기 덕트카바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덕트카바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냉기 덕트 카바의 후면에 부착되는 냉기 덕트 카바 단열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카바 단열부재는 그 하부 양측에 상기 냉기 덕트카바에 형성된 제 6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8개구부, 그리고 그 하부중앙에는 상기 냉기덕트카바에 형성된 제 7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9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3.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외상;
    상기 외상내에 제공되고, 대략적으로 전방측이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일체로 형성된, 분할부에 의하여 상부 공간과 냉장실을 이루는 하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할부 및 상기 외상과의 사이가 단열재료로 충전되는 내상;
    상기 상부 공간에 제공되어, 상기 상부 공간 내에서 상기 내상의 상면과 양측면, 그리고 분할부의 상면과 함께 냉동실을 정의하는 냉동실 케이스;
    상기 상부 공간 내에서 상기 냉동실 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의 상방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상기 냉동실 및 상기 냉장실 내부로 각각 송풍하는 제 1 및 제 2송풍팬;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냉장실과 냉장실 내부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기 덕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냉동실은 그 후벽 상부 일측에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제 1송풍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제 1개구부, 그리고 상기 냉동실의 저면 후방 양측 모서리에 상기 냉동실을 순환한 냉기가 상기 증발기로 회귀하는 제 2개구부를 갖고, 상기 냉장실은 그 좌우측벽에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제 2송풍팬에 의하여 유입되는 제 3개구부, 그리고 상기 냉장실의 후벽 상단에 상기 냉장실을 순환한 냉기가 상기 증발기로 회귀하는 제 4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조립체는 상기 증발기가 장착되는 메인 냉기덕트, 그 후방에 상기 제 1 및 제 2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냉기덕트와 결합되는 냉기 덕트카바, 각각 그 일단이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좌우측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냉기통로에 삽입되어 연통되고 그 타단이 상기 냉장실의 제 3개구부에 삽입되어 냉장실과 연통되는 좌우 냉기 안내덕트, 그리고 상기 증발기와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냉기 통로내의 공기에서의 열교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상면의 높이와 일치하게 상기 메인 냉기덕트의 냉기 통로에 삽입되는 냉기 덕트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덕트는 상기 증발기에서 냉각된 공기를 냉장실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분되어 그 상단에서 하단으로 연장하는 냉기통로, 그리고 그 상변과 좌우측변에 상기 냉기덕트카바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카바는 그 좌측상부에 상기 내상의 제 1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5개구부, 그 양측 하부에 상기 냉동실의 제 2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6개구부, 그리고 그 하단 중앙에 상기 냉장실 상면의 제 4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7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냉기 덕트의 결합부에는 각각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냉기 덕트 카바는 상기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상기 결합부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후크부재를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덕트조립체는 상기 냉기 덕트 카바와 상기 증발기를 단열시켜 상기 냉기 덕트카바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기 덕트카바의 표면에 성에가 착상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냉기 덕트카바의 후면에 부착되는 냉기덕트 카바 단열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덕트카바 단열부재는 그 하부 양측에 상기 냉기 덕트카바에 형성된 제 6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되는 제 8개구부, 그리고 그 하부 중앙에는 상기 냉기 덕트카바에 형성된 제 7개구부와 연결되어 연통하는 제 9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냉식 냉장고.
KR1019970028955A 1997-06-30 1997-06-30 간냉식 냉장고 KR10022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955A KR100221144B1 (ko) 1997-06-30 1997-06-30 간냉식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8955A KR100221144B1 (ko) 1997-06-30 1997-06-30 간냉식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808A true KR19990004808A (ko) 1999-01-25
KR100221144B1 KR100221144B1 (ko) 1999-09-15

Family

ID=1951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8955A KR100221144B1 (ko) 1997-06-30 1997-06-30 간냉식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11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480B1 (ko) * 2002-01-07 2004-05-1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냉장고
KR100853423B1 (ko) * 2007-06-11 2008-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냉각기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 냉장고
KR20180091362A (ko) * 2017-02-06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480B1 (ko) * 2002-01-07 2004-05-1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냉장고
KR100853423B1 (ko) * 2007-06-11 2008-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용 냉각기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 냉장고
KR20180091362A (ko) * 2017-02-06 2018-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144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9552A (en) Air-circulated refrigerator
KR20020004962A (ko) 냉장고
US7353663B2 (en) Evaporator assembly for a refrigeration device
JPH0424481A (ja) 組合せ冷蔵庫
KR100221144B1 (ko) 간냉식 냉장고
JP2000314580A (ja) 冷凍冷蔵庫
KR100431480B1 (ko) 냉장고
JP3478605B2 (ja) 冷蔵庫
CN210220351U (zh) 单系统冰箱
JPS62288468A (ja) 5温度式冷蔵庫
KR100382480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JP4197851B2 (ja) 冷蔵庫
JPH10332248A (ja) 冷蔵庫
JP3172314B2 (ja) 冷蔵庫
KR200292006Y1 (ko) 냉장고
JP3322495B2 (ja) 冷凍冷蔵庫
CN219511092U (zh) 一种冷藏室和冰箱
JP2575915B2 (ja) 冷蔵庫
JPH09296979A (ja) 冷却貯蔵庫
KR200292004Y1 (ko) 냉장고
CN211601289U (zh) 蒸发器设置方式改进的冰箱
KR0127435Y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장치
JP2002090026A (ja) 冷蔵庫
JPS6018778Y2 (ja) 冷凍冷蔵庫
KR100567014B1 (ko) 양문형 냉장고의 냉기유로개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