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085U - 수도꼭지 - Google Patents

수도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085U
KR19990004085U KR2019980020012U KR19980020012U KR19990004085U KR 19990004085 U KR19990004085 U KR 19990004085U KR 2019980020012 U KR2019980020012 U KR 2019980020012U KR 19980020012 U KR19980020012 U KR 19980020012U KR 19990004085 U KR19990004085 U KR 199900040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cold
hot water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수
임한웅
최진호
Original Assignee
김창수
임한웅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수, 임한웅, 최진호 filed Critical 김창수
Priority to KR2019980020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085U/ko
Publication of KR199900040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085U/ko

Links

Landscapes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 및 폐수조작은 물론 급수양 조절 및 냉, 온수 혼합조절을 포함하여 급수에서 샤워 기능 및 그 반대 기능으로의 전환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절감이 도모되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냉, 온수관과 연결되는 냉, 온수로를 가지며 부착물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냉, 온수로의 출구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슬립원홈부와;
상기 슬립원홈부에 삽입되어 대응되게 슬립운동하고, 상기 냉, 온수출구와 일치되는 냉, 온수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냉, 온유입구와 연통되는 하나의 급수로를 갖는 보올과;
상기 보올에 연장되게 체결되고, 상기 급수로와 연통되어 급수구를 급수 가능하게 하는 급수공을 가지며, 급수 및 폐수와 급수량 및 냉, 온수전환과 혼합조절을 위해 보올을 회전시키는 급수꼭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수도꼭지
본 고안은 수도꼭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급수꼭지를 이용하여 급수 및 폐수를 포함하여 급수량 조절 및 냉, 온수조절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수도꼭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꼭지는 세면대나 또는 욕조 등과 같은 부착물에 수조꼭지가 고정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급수손잡이와, 상기 급수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물이 나오게 되는 급수꼭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선행기술의 수도꼭지는 급수를 위한 급수손잡이를 가지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원가상승을 초래하므로 경쟁력 확보를 어렵게 한다.
또한, 선행기술의 수도꼭지에서 급수꼭지와 샤워기를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손잡이 및 또는 전환버튼을 갖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급수에서 샤워기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2번에 걸친 조작을 병행해야 하므로 불편 및 번잡이 초래되고 원가상승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급수 및 폐수조작은 물론 급수양 조절 및 냉, 온수 혼합조절을 포함하여 급수에서 샤워 기능 및 그 반대 기능으로의 전환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절감이 도모되는 수도꼭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냉, 온수관과 연결되는 냉, 온수로를 가지며 부착물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냉, 온수로의 출구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슬립원홈부와;
상기 슬립원홈부에 삽입되어 대응되게 슬립운동하고, 상기 냉, 온수출구와 일치되는 냉, 온수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냉, 온유입구와 연통되는 하나의 급수로를 갖는 보올과;
상기 보올에 연장되게 체결되고, 상기 급수로와 연통되어 급수구를 급수 가능하게 하는 급수공을 가지며, 급수 및 폐수와 급수량 및 냉, 온수전환과 혼합조절을 위해 보올을 회전시키는 급수꼭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냉, 온수로의 출구와 일치되는 냉, 온수유입구를 가진 샤워급수로를 보올에 더 구비하고, 상기 샤워급수로는 상기 보올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샤워급수공과 일치 또는 비일치되도록 구성되는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보올의 급수로 연통되는 급수와 외측으로 돌륜부를 가진 회전부재가 상기 보올에 연장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급수로와 급수꼭지의 급수구를 플렉시블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급수꼭지는 홀더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도꼭지의 일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수도꼭지의 냉, 온수 조절 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 수도꼭지의 용도전환 조절을 보인 일측작용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 수도꼭지의 다른 설치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측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일측 단면 작용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착물 2 : 냉수 또는 온수관 3 : 손잡이
10 : 프레임 11 : 냉수로 11a : 출구
12 : 온수로 12a : 출구 13 : 슬립원홈부
14 : 오링 15 : 테프론밀폐부재 16 : 샤워급수공
20 : 보올 21 : 급수로 21a : 냉수유입구
21b : 온수유입구 22 : 중립위치홈 23 : 스프링
24 : 중립위치볼 25 : 샤워급수로 25a : 냉수유입구
25b : 온수유입구 30 : 급수꼭지 30' : 플렉시블관
31 , 31' : 급수공 32 : 급수구 40 : 샤워기
41 : 샤워기용 호스 50 : 냉, 온수직수관 60 : 회전부재
61 : 돌륜부 70 : 홀더
본 고안에 의한 수도꼭지를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제 1실시예의 수도꼭지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수조꼭지는 세면대와 같은 부착물(1)에 설치되는 수도꼭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도꼭지는 부착물(1)에 고정되는 프레임(10)을 갖는다. 이 프레임(10)은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냉수로(11) 및 온수로(12)를 내부에 형성하며, 상기 냉, 온수로(11)(12)는 실내에 배관된 냉수 또는 온수관(2)과 연결된다.
또한, 프레임(10)에는 상기 냉, 온수로(11)(12)의 출구(11a)(12a)가 노출되는 상태로 슬립원홈부(13)를 형성한다.
슬립원홈부(13)에는 슬립운동 가능하도록 보올(20)이 삽입되게 설치되며, 이 보올(20)을 삽입한 후에는 이탈방지부재(10')를 체결하여 외부로 보올(20)이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부호 14는 기밀을 유지하게 하는 오링이다.
보올(20)에는 프레임(10)의 냉, 온수출구(11a)(12a)와 일치되는 냉수유입구(21a)와 온수유입구(21b)를 가진 급수로(21)가 뚫려 있다.
또한, 상기 급수로(21)와 연통되는 급수공(31)을 가지며 첨부에는 상기 급수공(31)과 직결된 급수구(32)를 가진 급수꼭지(30)가 상기 보올(20)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보올(20)이 슬립원홈부(13) 내에서 상, 하, 좌, 우방향 및 대각선 방향으로 슬립 운동되며, 이러한 슬립 운동을 갖도록 하는 것은 급수꼭지(30)를 손 힘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선 상태의 급수꼭지(30)가 중립위치이다. 이 중립위치에서는 보올(20)의 급수로(21)가 프레임(10)의 냉수로(11) 및 온수로(12)와 연결되지 않는 상태이며, 그로 인해 급수가 차단된 상태가 되어 급수구(32)로 물이 나오지 않게 된다.
그리고 급수꼭지(30)를 하측방향으로 눌러서 내려가게 하면(도 1 실선상태 참조),이때는 보올(20)이 슬립 운동되어 급수로(21)가 냉수로(11) 또는 온수로(12)와 연통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물은 급수로(21)와 급수공(31)을 통해서 급수로(32)로 나오게 된다.
도 2는 급수로(21)의 냉수 및 온수유입구(21a)(21b)가 냉수 및 온수로(11)(12)의 출구(11a)(12a)와 일치된 상태로서, 이때는 냉, 온수가 혼합되어 급수로(32)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냉수 및 온수의 혼합비율을 조절할 때에는 도 3과 같이 급수꼭지(3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린다. 예컨대 실선 도시와 같이 좌측으로 돌리게 되는 경우 냉수유입구(21a)와 냉수로(11)의 출구(11a)가 일치하게 됨으로써 냉수가 급수구(32)로 나오게 되며, 급수꼭지(30)를 가상선 도시와 같이 우측으로 제끼는 경우에는 유입구(21b)와 온수로(12)의 출구(12a)가 일치하여 온수가 급수구(32)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중간 위치에 급수꼭지(30)가 오도록 조작하면 냉수 및 온수가 혼합되면서 그 비율이 조절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급수차단시 그것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즉,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보올(20)은 외주면의 소정위치에 중립위치홈(22)을 가지며, 이 중립위치홈(22)에는 스프링(23) 탄력으로 가압되는 중립위치볼(24)이 삽입 및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립위치홈(22)에 중립위치볼(24)이 끼워지면, 이때는 급수가 차단된 폐수상태가 되며, 아울러서 손으로 급수꼭지(30)를 조작할 때 중립위치볼(24)이 중립위치홈(22)으로 삽입되어 걸림되는 것을 소리나 촉감으로 알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15는 테프론밀폐부재이고, 3은 세면대의 오수공을 개폐시키는 손잡이이다.
도 4a 및 도 4b 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보여 준다.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의 구조에서 샤워용급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추가적인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실시예에서 더 갖는 구조는 프레임(10)에 샤워기용호스(41)와 연결된 샤워급수공(16)을 구비한다.
보올(20)은 그 내부에 냉, 온수로의 출구(11a)(12a)와 일치될 수 있는 냉, 온수유입구(25a)(25b)를 가진 샤워급수로(25)를 형성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냉, 온수로(11)(12)와 급수로(21)가 연결되어 급수로(32)로 급수가 되는 상태, 또는 중립 위치상태에서 샤워를 하기 위한 상태로 전환되게 할 때에는 도 4b와 같이 급수꼭지(30)를 위쪽으로 제끼게 되면 보올(20)의 샤워급수로(25)가 냉, 온수로(11)(12)와 연결됨으로써 급수구(32)로의 급수상태는 차단되고 샤워급수로(25)와 샤워급수공(16)을 통해 샤워기용호스(41)로 물이 급수되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샤워급수를 중지하려면 도 4b의 가상선 상태로 급수꼭지(30)를 내리면 보올(20)이 회전되어 냉, 온수로(11)(12)와 샤워급수로(25)가 어긋나게 되는 위치가 됨으로써 샤워급수상태가 차단된다.
도 5a 및 도 5b는 제 3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제 3실시예는 급수(직수)와 샤워급수가 전환되는 수도꼭지를 보여 주며, 욕조와 같은 부착물(1)에 설치되는 실시예이다. 이때는 프레임(10)이 냉, 온수용직수관(50)에 의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며, 기타 다른 설치수단에 의해서도 수도꼭지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그 외의 구조는 제 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급수 및 샤워상태의 설명만 한다.
즉, 도 5a는 냉, 온수로(11)(12)와 급수로(21)가 일치되어 급수꼭지(30)의 급수구(32)로 물이 나오는 상태를 보여 주며, 도 5b는 냉, 온수로(11)(12)와 샤워급수로(25) 및 샤워급수공(16)이 일치로된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샤워기(40)로 물이 나오게 되는 상태를 보여 준다.
도 6a 및 도 6b는 제 4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보올(20)의 슬립운동을 위한 힘을 그 보올(20)에 체결된 회전부재(60)에 의해서 전달되어 보올(20)이 슬립 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는 회전부재(60)에 돌륜부(61)를 구비시켜 보다 편리한 조작을 도모하게 할 수 있으며, 냉, 온수로(11)(12)는 회전부재(60)에 갖는 급수로(31')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급수로(31')는 플렉시블관(30')에 의해 급수꼭지(3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급수꼭지(30)는 홀더(7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급수꼭지(30)를 홀더(70)에 걸어놓은 상태에서 회전부재(60)를 상, 하, 좌, 우로 조작하여 급수 및 차단과 급수량 조절, 그리고 냉, 온수혼합급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급수꼭지를 조작하여 급수 및 차단과 급수량 조절 및 냉, 온수혼합 급수, 그리고 급수에서 샤워상태로의 전환을 모두 가능하게 하므로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제공하며 저렴한 제품을 제공한다.
그리고 급수에서 샤워상태로의 전환을 모두 가능하게 하므로 구조의 간단화를 도모하여 원가절감의 효과를 제공하며 저렴한 제품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이 간편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냉, 온수관과 연결되는 냉, 온수로를 가지며 부착물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냉, 온수로의 출구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슬립원홈부와;
    상기 슬림원홈부에 삽입되어 대응되게 슬립운동하고, 상기 냉, 온수출구와 일치되는 냉, 온수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냉, 온유입구와 연통되는 하나의 급수로를 갖는 보올과;
    상기 보올에 연장되게 체결되고, 상기 급수로와 연통되어 급수구를 급수 가능하게 하는 급수공을 가지며, 급수 및 폐수와 급수량 및 냉, 온수전환과 혼합조절을 위해 보올을 회전시키는 급수꼭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냉, 온수로의 출구와 일치되는 냉, 온유입구를 가진 샤워급수로를 보올에 더 구비하고, 상기 샤워급수로는 상기 보올 회전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샤워급수공과 일치 또는 비일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올의 급수로와 연통되는 급수로와 외측으로 돌륜부를 가진 회전부재가 상기 보올에 연장되게 체결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급수로와 급수꼭지의 급수구를 플렉시블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급수꼭지는 홀더에 지지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꼭지.
KR2019980020012U 1998-10-15 1998-10-15 수도꼭지 KR199900040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12U KR19990004085U (ko) 1998-10-15 1998-10-15 수도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012U KR19990004085U (ko) 1998-10-15 1998-10-15 수도꼭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085U true KR19990004085U (ko) 1999-01-25

Family

ID=6951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012U KR19990004085U (ko) 1998-10-15 1998-10-15 수도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0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86B1 (ko) * 2007-02-02 2008-07-07 리노공업주식회사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486B1 (ko) * 2007-02-02 2008-07-07 리노공업주식회사 반도체 칩 테스트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3549B2 (en) Faucet system for sanitary fixtures
CN210106676U (zh) 一种龙头
KR19990004085U (ko) 수도꼭지
US4580600A (en) Laundry faucet
KR102445481B1 (ko) 수도 직결용 냉온수 수전
JP4657502B2 (ja) 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334828Y1 (ko) 이중 배출구를 갖는 수도꼭지
KR20060091697A (ko) 풋 밸브 시스템
JPH09133232A (ja) 吐水スパウト切換機構
KR200141075Y1 (ko) 정수 및 온,냉수 전환 밸브 장치
KR101496264B1 (ko) 싱글레버용 수도밸브
KR200388676Y1 (ko) 개수대용 급수전의 방향절환장치
BG107479A (en) Sanitary faucet unit
JP2563621Y2 (ja) 水 栓
JPH1181400A (ja) 給水機構
JP4486344B2 (ja) 水栓
KR20100045810A (ko) 삼방향 출수구를 갖춘 수전 금구
KR200349639Y1 (ko) 두 개의 토수구로 구성된 수도꼭지
JP2000096643A (ja) 止水機能付シャワーヘッドを備えたシングルレバー式混合水栓
KR200441315Y1 (ko) 냉온혼합샤워기 및 이를 포함하는 샤워 장치
KR200395245Y1 (ko) 욕실 급수용 중간밸브
KR101188209B1 (ko) 세면/샤워 겸용 수전과 세면대의 설치구조
KR200357338Y1 (ko) 절수형 수도밸브
KR200330041Y1 (ko) 연수배출장치
KR200249016Y1 (ko) 싱크대용 냉/온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