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478A -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478A
KR19990003478A KR1019970027352A KR19970027352A KR19990003478A KR 19990003478 A KR19990003478 A KR 19990003478A KR 1019970027352 A KR1019970027352 A KR 1019970027352A KR 19970027352 A KR19970027352 A KR 19970027352A KR 19990003478 A KR19990003478 A KR 19990003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member
suction
rotary
suction device
rotary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8133B1 (ko
Inventor
송정곤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70027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133B1/ko
Priority to JP9320109A priority patent/JPH1119011A/ja
Priority to US08/975,122 priority patent/US6058561A/en
Priority to CN97125357A priority patent/CN1203061A/zh
Publication of KR1999000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7Handles for 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커버와 결합된 하부커버(600)에는, 다수개의 회전날개(750)가 회전축(760)을 매개로 내부에 장착된 회전브러시(700)가 설치되도록 요홈(6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610)의 양측부에는 회전브러시설치홈(621)(631)이 형성되도록 제 1격벽부재(620) 및 제 2격벽부재(6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격벽부재(630)에는 덕트(641)가 형성되도록 제 3격벽부재(6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하부커버(600)와 제 1격벽부재(620)가 맞닿는 부위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소정형상의 공기유입홀(650)이 형성되어져, 상기 요홈(610)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들이 모두 다 연결관(800)으로 흡입되므로 흡입효율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브러시(700)가 공기유입홀(65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흡입력 및 상기 회전날개(75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므로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증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본 발명은 기계적인 수단을 매개로 공기를 순간적으로 흡입함과 더불어 먼지나 쓰레기등을 청소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브러시의 내부에 다수개의 회전날개를 장착되어 먼지나 이물질의 흡입효율이 증진됨은 물론,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생산단가가 절감될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주요 구성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100)와, 이 흡입장치(100)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수단(200)및, 이 연통수단(200)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100)는, 청소부위의 먼지를 감지하도록 된 먼지감지등(110)과,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 1이송바퀴(120)및, 후미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부재(200)는, 연결관(130)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플라스틱재질의 제 1연장관(210) 및 제 2연장관(220)과, 이 연장관(210)(220)과 결합되어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조작하도록 된 전원스위치 또는 풍속의 강약을 조작하도록 된 풍속조절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조절부(230)및, 이 손잡이조절부(230)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은 물론 굴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된 호스(24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는, 호스(240)의 끝단부가 접속되도록 된 호스접속구(310)와, 포집된 먼지의 양이 표시되도록 된 먼지표시기(320)와,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 2이송바퀴(330)와, 작업장소의 이동을 위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된 운반용손잡이(340)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플러그(35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흡입장치(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부에 소정형상의 요홈(11)이 형성된 상부커버(10)와, 이 상부커버(10)와 결합되도록 된 하부커버(30)와, 일측부에 설치돌기(51)가 형성됨은 물론 연결관(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된 터어빈(50)과, 양측부에 설치돌기(61)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터어빈(50)과 벨트(7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터어빈(50)의 회전시 동기회전되도록된 회전브러시(60)와, 상기 연결관(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차단막(81) 및 손잡이(82)가 형성된 조절레버(8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30)에는, 상기 터어빈(50)이 설치되도록 터어빈설치홈(31a)이 형성된 제 1격벽부재(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터어빈(50)이 설치되도록 터어빈설치홈(32a)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브러시(60)의 일측끝부가 설치되도록 회전브러시설치홈(32b)이 형성된 제 2격벽부재(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브러시(60)의 타측끝부가 설치되도록 회전브러시설치홈(33a)이 형성된 제 3격벽부재(3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조절레버(80)가 설치되도록 된 조절레버설치홈(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격벽부재(32)와 제 3격벽부재(33)사이에는 상기 회전브러시(60)가 청소부위와 맞닿을수 있도록 요홈(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70)는, 상기 터어빈(50)에 형성된 설치돌기(51)의 끝부와 상기 회전브러시(60)의 일측부에 형성된 설치돌기(61)의 끝부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절레버(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30)의 결합시, 상기 상부커버(10)의 요홈(11)으로 상기 조절레버(80)의 손잡이(82)가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이하, 종래의 흡입장치(100)에 대한 작동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본체(300)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더불어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되어있지 않음)가 고속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장치(100) 및 연통수단(200)을 거쳐 상기 본체(300)로 흡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흡입수단(100)의 내부에 설치된 터어빈(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30)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며, 상기 터어빈(50)과 벨트(70)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브러시(60)는 상기 터어빈(50)의 회전력에 의해 동기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조절부(230)를 잡고 상기 흡입장치(100)를 청소부위에 위치시키게 되면,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들은 상기 회전브러시(60)에 의해 청소부위에서 탈거됨과 더불어, 흡입공기와 함께 연결관(130) 및 연통수단(200)을 거쳐 본체(300)의 내부로 흡입되게 된다.
상기 본체(300)로 흡입된 먼지 및 이물질들은 필터를 거쳐 집진팩으로 포집되며, 이와 동시에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청소를 종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킴과 더불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흡입력은, 상기 손잡이조절부(230)에 부착된 풍속조절스위치를 매개로 조절할수 있음은 물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조절레버(80)를 매개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부커버(10)의 요홈(11)으로 돌출된 조절레버(80)의 손잡이(82)를 좌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조절레버(80)와 일체로 형성된 차단막(81)이 공기의 흡입통로를 개폐시키게 되어, 상기 연결관(130)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흡입장치(100)에 의하면, 터어빈(50)의 일측부에만 형성된 설치돌기(51)가 제 1격벽부재(31)와 제 2격벽부재(32)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터어빈(50)이 연결관(130)과 연결되는 공기의 흡입통로 사이에 설치됨으로 인해, 먼지나 이물질의 흡입시 상기 터어빈(50)에 의해 흡입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터어빈(5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30)과 연결되는 공기의 흡입통로사이에 설치되어져, 조절레버(80)의 칸막이(81)가 관진 개방되었을 때에는, 하부커버(30)의 요홈(35)을 통해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등이 상기 터어빈(50)의 설치상태와 상관없이 거의 모두 도시된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연결관(130)으로 흡입되지만, 상기 조절레버(80)의 칸막이(81)가 완전 개방되지 않았을 때에는, 하부커버(30)의 요홈(35)을 통해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의 대부분이 상기 터어빈(50)에 걸려 화살표 K의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여 상기 연결관(130)으로 흡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부커버의 양내측부에는 제 1격벽부재 및 제 2격벽부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커버의 일측내부에는 상기 제 2격벽부재와 연결되도록 된 제 3격벽부재가 일체로 형성됨은 물론, 상기 하부커버의 요홈에는 내부에 다수개의 회전날개가 장착된 회전브러시가 상기 제 1격벽부재와 제 2격벽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져, 상기 하부커버의 요홈을 통해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들이 흡입공기와 더불어 연결관으로 모두 흡입됨으로써 흡입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의 흡입력을 매개로 회전되어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을 탈거시키기 위한 회전브러시가 하부커버에 형성된 요홈내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하부커버와 상부커버가 결합되어 청소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회전날개가 일자형상의 회전축을 매개로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커버에는, 회전브러시설치홈이 형성되도록 제 1격벽부재 및 제 2격벽부재가 요홈의 양측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격벽부재에는 덕트가 형성되도록 제 3격벽부재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격벽부재와 하부커버가 맞닿는 부위에는 공기유입홀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흡입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흡입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커버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가 회전브러시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브러시가 하부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커버 500 : 흡입장치
600 : 하부커버 610 : 요홈
620 : 제 1격벽부재 621, 631 : 회전브로시설치홈
630 : 제 2격벽부재 640 : 제 3격벽부재
641 : 덕트 650 : 공기유입홀
700 : 회전브러시 710, 720 : 설치돌기
750 : 회전날개 760 : 회전축
800 : 연결관
M : 요홈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흡입방향
N : 공기유입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흡입방향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커버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가 회전브러시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본 발명 흡입장치(500)는,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되도록 상부커버(10; 도4에 도시됨)와 하부커버(60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커버(600)에는, 공기의 흡입력을 매개로 회전되어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을 탈거시키기 위한 회전브러시(700)가 설치되도록 요홈(6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홈(610)의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브러시(700)의 설치돌기(710)(720)가 결합되는 회전브러시설치홈(621)(631)이 형성되도록 제 1격벽부재(620) 및 제 2격벽부재(6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격벽부재(630)에는 일측부가 상기 회전브러시설치홈(631)과 연결됨은 물론 타측부가 연결관(800)과 연결되는 덕트(641)가 형성되도록 제 3격벽부재(6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하부커버(600)와 제 1격벽부재(620)가 맞닿는 부위에는 모터(도시되어있지 않음)에 의한 흡입력의 발생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된 소정형상의 공기유입홀(65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회전브러시(70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홀(65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브러시(700)의 회전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회전날개(750)가 일자형상의 회전축(760)을 매개로 장착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흡입장치(100)에 대한 작동과정을 도 7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본체(300)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더불어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되어있지 않음)가 고속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도 7에 도시된 요홈(610) 및 공기유입홀(650)을 통해 흡입장치(5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요홈(610)을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도시된 화살표 M과 같이, 연결관(800)의 내부로 직접 흡입되며, 상기 공기유입홀(650)로 유입된 공기는 도시된 화살표 N과 같이, 회전브러시(700)의 내부를 통과한 다음 하부커버(600)와 제 3격벽부재(640)사이에 형성된 덕트(641)를 지나 상기 연결관(800)으로 흡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유입홀(650)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가 상기 회전브러시(700)의 내부로 유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브러시(700)의 내부에 회전축(760)을 매개로 설치된 회전날개(750)가 모터의 강한 흡입력과 상기 공기유입홀(650)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날개(750)의 고속회전과 더불어 상기 회전브러시(700)도 고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다음, 작업자가 상기 흡입장치(500)를 청소부위에 위치시키게 되면,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들은 고속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브러시(700)에 의해 청소부위에서 탈거되어 상기 흡입장치(500)의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흡입장치(50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은 모두 다 연결관(800)으로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흡입장치(500)는, 터어빈(50)이 연결관(130)과 연결된 공기의 흡입통로 사이에 설치됨은 물론 조절레버(80) 칸막이(81)의 개폐량에 따라 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율이 가감되던 종래의 흡입장치(100; 도 3에 도시됨)보다, 먼지 및 이물질의 흡입효율이 증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흡입장치(500)의 회전브러시(700)는, 공기유입홀(650)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흡입력 및 회전날개(75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어빈(50)과 벨트(70)를 사용하여 회전브러시(60)를 회전구동시키던 종래의 흡입장치(100; 도 3에 도시됨)보다,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생산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다수개의 회전날개가 장착된 회전브러시가 하부커버에 형성된 요홈내에 위치되도록 제 1격벽부재 및 제 2격벽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져, 상기 요홈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들이 모두 다 연결관으로 흡입되므로 흡입효율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브러시가 공기유입홀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의 흡입력 및 상기 회전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구동되므로 부품수가 간소화되어 생산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공기의 흡입력을 매개로 회전되어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을 탈거시키기 위한 회전브러시가 하부커버에 형성된 요홈내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하부커버와 상부커버가 결합되어 청소시 먼지 및 이물질을 흡입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700)의 내부에는, 본체에 설치된 모터의 흡입력 및 외부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회전브러시(700)의 회전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회전날개(750)가 회전축(760)을 매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610)의 양측부에는 상기 회전브러시(700)의 설치돌기(710)(720)가 결합되는 회전브러시설치홈(621)(631)이 형성되도록 제 1격벽부재(620) 및 제 2격벽부재(6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격벽부재(630)에는 일측부가 상기 회전브러시설치홈(631)과 연결됨은 물론 타측부가 연결관(800)과 연결되는 덕트(641)가 형성되도록 제 3격벽부재(6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커버(600)와 제 1격벽부재(620)가 맞닿는 부위에는 모터에 의한 흡입력의 발생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된 소정형상의 공기유입홀(6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19970027352A 1997-06-25 1997-06-25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0020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352A KR100208133B1 (ko) 1997-06-25 1997-06-25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JP9320109A JPH1119011A (ja) 1997-06-25 1997-11-20 真空掃除機の吸入装置
US08/975,122 US6058561A (en) 1997-06-25 1997-11-20 Vacuum cleaner suction apparatus
CN97125357A CN1203061A (zh) 1997-06-25 1997-11-29 真空吸尘器抽吸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352A KR100208133B1 (ko) 1997-06-25 1997-06-25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78A true KR19990003478A (ko) 1999-01-15
KR100208133B1 KR100208133B1 (ko) 1999-07-15

Family

ID=19511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352A KR100208133B1 (ko) 1997-06-25 1997-06-25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58561A (ko)
JP (1) JPH1119011A (ko)
KR (1) KR100208133B1 (ko)
CN (1) CN1203061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082B1 (ko) * 2000-11-17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구동장치
KR100438607B1 (ko) * 2001-08-2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브러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GB2543315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GB2543313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GB2543316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543314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7064458A1 (en) * 2015-10-14 2017-04-20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WO2017064460A1 (en) * 2015-10-14 2017-04-20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2749B1 (en) * 1995-03-15 2001-09-04 Hitachi, Ltd. Vacuum cleaner and suction nozzle body thereof 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US6314611B1 (en) * 2000-03-24 2001-11-13 Baker Mcmillen Co. Bladed disk brush roll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sweeper
US6496754B2 (en) * 2000-11-17 2002-12-17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Mobile robot and course adjusting method thereof
US6772475B2 (en) * 2001-02-06 2004-08-10 The Hoover Company Suction nozzle configuration
US20060075599A1 (en) * 2002-08-16 2006-04-13 William Kimmerle Bladed disk brush roll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6959467B2 (en) * 2002-08-16 2005-11-01 William Kimmerle Bladed disk brush roller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3849668B2 (ja) * 2003-05-19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用吸込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US7043146B2 (en) * 2003-12-15 2006-05-09 Solomon Semaza All season heat fan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powered by rotating rings and ball bearings
EP1748716A4 (en) * 2004-05-03 2009-08-26 Charles A Castronovo ESPECIALLY SILENT ASPIRATORS, PUMPS AND ENGINES ASSOCIATED
KR100667885B1 (ko) * 2005-09-27 2007-01-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KR100704487B1 (ko) * 2006-03-15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의 흡입헤드
US8434194B2 (en) * 2009-05-15 2013-05-07 Lg Electronics Inc. Nozzle for a vacuum cleaner
JP2011182952A (ja) * 2010-03-09 2011-09-22 Panasonic Corp 掃除機用吸込具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WO2012018146A1 (ko) * 2010-08-03 2012-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의 흡입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EP2953515B1 (en) * 2013-02-08 2017-04-0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Battery-powered cordless cleaning system
DE102013112664A1 (de) * 2013-11-18 2015-05-21 Miele & Cie. Kg Bodenpflegegerät mit einer angetriebenen Bürstenwalze und Bürstenwalze für ein Bodenpflegegerät
CN107142884A (zh) * 2016-11-09 2017-09-08 吴玉爱 户外清扫地面半机械化机电设备
US11291345B2 (en) 2018-08-27 2022-04-05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er
WO2021029712A1 (en) * 2019-08-14 2021-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head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CN113679283B (zh) * 2020-05-19 2023-04-18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吸尘器的地刷和具有其的吸尘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36A (en) * 1891-11-17 Lawn-sweeper
US1507317A (en) * 1922-09-26 1924-09-02 Erneste E Laberge Lawn sweeper
US2052129A (en) * 1934-04-27 1936-08-25 Sherman T Handy Vacuum cleane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082B1 (ko) * 2000-11-17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의 회전브러쉬 구동장치
KR100438607B1 (ko) * 2001-08-27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파워브러쉬를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GB2543315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GB2543313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GB2543316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543314A (en) * 2015-10-14 2017-04-19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WO2017064458A1 (en) * 2015-10-14 2017-04-20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WO2017064463A1 (en) * 2015-10-14 2017-04-20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WO2017064461A1 (en) * 2015-10-14 2017-04-20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WO2017064460A1 (en) * 2015-10-14 2017-04-20 Dyson Technology Limited Floor tool for a vacuum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9011A (ja) 1999-01-26
KR100208133B1 (ko) 1999-07-15
CN1203061A (zh) 1998-12-30
US6058561A (en) 2000-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13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N1518945B (zh) 涡轮动力真空吸尘器吸嘴
US5802666A (en) Power brush for a vacuum cleaner
KR10020813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A2254569A1 (en) Vacuum cleaner including ventilation fan for forming air current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rotary brush to suction member
KR1999000348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51252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JP2002143047A (ja) 電気掃除機の床用吸込具
KR0137488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KR100432556B1 (ko) 전기청소기의흡입구체및전기청소기
KR10022264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9990006057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조절수단
KR20070092495A (ko) 청소기 로봇
KR0137435Y1 (ko) 진공청소기의 방향전환장치
KR100240763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브러쉬의 후방롤러 조립구조
KR19990048530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KR19990005948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JPS6334613Y2 (ko)
KR200182560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의안전장치
KR200151243Y1 (ko) 청소기의 먼지비산장치
KR94000791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장착 흡입구
JP2000037327A (ja) 掃除機用床ノズル
KR200144979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9990020149U (ko) 진공청소기용 회전브러시와 터어빈의 결합구조
KR19990048499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