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347U -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347U
KR19990003347U KR2019970016941U KR19970016941U KR19990003347U KR 19990003347 U KR19990003347 U KR 19990003347U KR 2019970016941 U KR2019970016941 U KR 2019970016941U KR 19970016941 U KR19970016941 U KR 19970016941U KR 19990003347 U KR19990003347 U KR 199900033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telephone
data display
signal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기
김상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6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347U/ko
Publication of KR19990003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347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문자로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20)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표시부(20)로 출력하는 데이터 입력부(10)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20)의 출력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부(20)로 출력하는 변/복조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전화국의 교환원을 통하지 않고도 문자삐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이 고안은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전화국의 교환원을 통하지 않고도 문자삐삐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기술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종래의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의 전화기의 구성은,
외부의 전화선과 연결되어, 유선통신을 제어하는 증폭/제어기(400)와;
입력된 음성을 상기 증폭/제어기(400)로 전달하는 마이크(200)와;
상기 증폭/제어기(4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00)와;
상기 증폭/제어기(40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화가 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링(Ring) 감지기(300)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제어기(400)로 출력하기 위한 디티엠에프(DTMF: Dual Tone Modualation Frequency) 발생기(5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전화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오게 되면, 증폭/제어기(400)가 이를 감지 링 감지기(300)를 통해 링을 울리게 된다.
그러면, 전화 사용자는 전화가 왔다는 것을 인지하여 전화기 본체(700)에 놓여 있는 수화기(600)를 들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마이크(200)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고, 스피커(100)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들으며 통화를 하게 된다.
한편, 전화를 걸때에는 수화기(600)를 들고, 디엠에프 발생기(500)를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누르면, 상대방의 전화기에서 링이 울리고, 상대방이 전화를 받게 된다.
다음, 사용자는 마이크(200)를 통해 자신의 음성을 입력하면서, 스피커(100)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들으며 통화를 하게 된다. 또한, 문자삐삐에 문자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디엠에프 발생기(500)로 해당 삐삐번호를 입력후, 해당서비스 번호를 누르고, 교환원에게 해당내용을 말하면 된다.
상기한 과정과 같이 동작하는 종래의 전화기의 디엠에프 발생기(500)에는 전화번호를 누를 수 있는 아라비아 숫자와 별표 및 우물정자가 보통이고, 확장된 키보드라고 하여도 멜로디, 플래시, 재다이얼 등의 기능을 가진 몇 개 버튼이 추가되어 있을 뿐이다.
그래서, 현재 널리 유행하는 문자삐삐를 소지한 사람에게 문자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화국 교환원에게 음성으로 내용을 전달하여야 한다. 그러면, 교환원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키보드로 입력하여 해당 문자삐삐로 송신을 하게 된다.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이를 지원하는 모드가 있어서, 모뎀이 달려있고, 유니텔 같은 소프트웨어가 있으면, 중요한 내용이나 은밀한 내용을 상대방의 문자삐삐에 교환원을 통하지 않고 바로 보낼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은밀한 내용이나 중요한 내용을 전화기를 이용하여 문자삐삐로 전송할 경우에, 반드시 중간에 교환원에게 전달 내용을 말로해야 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피씨통신이 있어야만 직접전달이 가능해, 사용상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젊은층이 소유하는 문자삐삐의 경우, 연인 사이에 사용하는 일이 많이 있는데, 이때에도 사랑에 관한 전달내용을 교환원을 통해 전달하기는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전화기에 확장키보드를 부착하여, 사용자가 집에 있는 전화기로 교환원을 통하지 않고, 은밀한 내용이나 중요한 내용을 상대방의 문자삐삐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의 구성도.
도2는 종래의 전화기의 구성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는 이 고안의 구성은,
입력되는 신호를 문자로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표시부(20)로 출력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의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부로 출력하는 변/복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해 이 고안을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의 구성은,
한, 영, 숫자키로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10)와;
상기 키보드(10)의 출력신호 및 수신되는 신호를 문자로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기(20)와;
상기 데이터 표시기(20)의 출력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거나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기(20)에 전달하는 변/복조기(30)와;
상기 변/복조기(30)의 신호를 전화선(8)을 통해 상대방의 문자삐삐로 전달되도록 제어하며, 외부의 전화선(8)과 연결되어, 유선통신을 제어하는 증폭/제어기(4)와;
입력된 음성을 상기 증폭/제어부(4)로 전달하는 마이크(2)와;
상기 증폭/제어기(4)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대방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와;
상기 증폭/제어기(4)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화가 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링 감지기(3)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증폭/제어기(4)로 출력하기 위한 디티엠에프 발생기(5)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수화기(6)를 들고, 디엠에프 발생기(5)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삐삐번호를 누르면, 이 번호가 증폭/제어기(4), 전화선(8)을 통해 입력이 된다.
다음, 해당서비스 번호를 누르고, 메시지를 입력하라는 소리가 스피커(1)를 통해 들리게 되면, 사용자는 키보드(10)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키를 이용해 누르면 된다.
다음, 이 눌려진 키들은 데이터 표시기(20)기에 표시되고, 변조기(30)를 통해 변조되고, 증폭/제어기(4)를 거쳐 전화국으로 송신이 된다.
다음, 올바로 송신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전화국에서 송신하면, 이 신호는 증폭/제어기(4)를 거쳐서 변/복조기(30)에서 복조되어 데이터 표시기(20)에 표시된다. 상기 송신완료신호는 스피커(1)를 통해 음성으로 들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변/복조기(30)는 향후에, 문자삐삐로 직접 전송한 내용도 복조하여 데이터 표시기(20)에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기능도 전화기의 메모리 기능에 따라 예약호출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키보드(10), 데이터 표시기(20), 변/복조기(30)로 이루어지는 확장된 키보드 장치(555)는 외부의 독립된 장치로서 외장형으로 전화기 본체(7)의 외부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기존의 전화기들과 커넥터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사랑하는 연인과의 은밀한 대화 내용 또는 사업상 중요한 내용 등을 상대방에게 교환원을 통하지 않고도 전달 할 수가 있다. 즉, 멀티미디어 시대를 맞이하여, 전화기에 간단한 확장키보드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교환원을 통하지 않고도 문자삐삐로 메시지 전송을 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입력되는 신호를 문자로 표시하는 데이터 표시부(20)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 표시부(20)로 출력하는 데이터 입력부(10)와;
    상기 데이터 표시부(20)의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표시부(20)로 출력하는 변/복조부(30)를 포함하는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KR2019970016941U 1997-06-30 1997-06-30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KR199900033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941U KR19990003347U (ko) 1997-06-30 1997-06-30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941U KR19990003347U (ko) 1997-06-30 1997-06-30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347U true KR19990003347U (ko) 1999-01-25

Family

ID=69674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941U KR19990003347U (ko) 1997-06-30 1997-06-30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34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1925B1 (en) Video telephone device having automatic sound level setting along with operation mode switching
JPH0323037B2 (ko)
JPH09149120A (ja) 発信電話番号表示コードレス電話機
KR19990003347U (ko) 확장된 키보드를 가지는 전화기
JP2842818B2 (ja) 携帯電話機
JPH0345072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00007708A (ko) 전화기에서의 문자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방법
JPS6291061A (ja) 電話装置
KR20000024291A (ko) 통화중 문자 송수신장치
JPH034507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305778B1 (ko) 전화기의 콜러 아이디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송수신 장치및 그 방법
KR100270163B1 (ko) 전화기에 결합해서 사용하는 인터폰을 구비한유/무선 송수신장치
JPH0797875B2 (ja) メッセージ送出ページング受信機
JPH03232351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H1023523A (ja) 無線通信装置
KR100217225B1 (ko) 국선접속 통화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2001000985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통화중 전화번호 저장 방법
JPS6387053A (ja) 音声−キヤラクタ変換機能付き電話機
JPH11298966A (ja) 携帯電話通信システム
KR930012085B1 (ko) Dtmf전화기의 신호전송방법 및 장치
KR200168443Y1 (ko) 적외선을 이용한 혼합 통신방식의 전화기
KR19980046093A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간 내선통화방법
JPH07226968A (ja) 無線呼び出し装置
JPH034506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90052950A (ko) 휴대폰의 숫자 메시지 수신/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