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971U -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971U
KR19990002971U KR2019970016563U KR19970016563U KR19990002971U KR 19990002971 U KR19990002971 U KR 19990002971U KR 2019970016563 U KR2019970016563 U KR 2019970016563U KR 19970016563 U KR19970016563 U KR 19970016563U KR 19990002971 U KR19990002971 U KR 199900029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vacuum pump
vacuum
master cylinder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5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3668Y1 (ko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65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668Y1/ko
Publication of KR199900029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9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6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6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09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음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2)가 브레이크 파이프(3)를 매개로 차량 바퀴의 휠 실린더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밟는 힘을 상승시키는 배력장치(4)가 상기 마스터 실린더(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력장치(4)의 진공압을 체킹하여 신호를 보내는 센서(5)가 연결관(6)을 매개로 배력장치(4)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센서(5)의 신호를 받는 진공펌프(7)가 배력장치(4)에 진공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관(6)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7)와는 별도로 보조 진공펌프(8)가 감속기(9)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마스터 실린더(2)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보조 진공펌프(8)를 구동하는 감속기(9)를 회전시키도록 작동 모우터(10)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유압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에 충분한 진공을 공급할 수 있도록하여 저속이나 정지시의 브레이크 작동을 원할하게 함과 더불어 기존의 진공탱크를 제거함으로써 차체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압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향상시키는 배력장치의 연결부에 보조 진공펌프를 설치하여 브레이크의 배력장치가 충분한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브레이크의 성능을 향상시켜 운전의 안전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된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 장치는 주행중 자동차의 운동 능력 즉, 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자동차가 원하는 위치에 정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인 바, 이는 주행중에 주로 사용되는 푸트 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 및, 감속을 위한 보조 브레이크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조작기구로는 코드나 와이어를 사용하는 기계식과 유압을 이용하는 유압식이 있지만, 주로 푸트 브레이크에는 유압식이, 주차 브레이크에는 기계식이 사용되고, 또 푸트 브레이크에는 유압식 외에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배력식 브레이크 등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배력식 브레이크는 브레이크의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압식 브레이크에 배력장치를 설치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힘은 같아도 바퀴의 제동력을 수배로 증대시키기 위해 고속주행의 차량이나 중량이 큰 차량을 적은 힘으로 확실히 제동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배력식 브레이크를 전기 자동차에 적용하여 사용하게 되는 바,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1)을 밟음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12)와, 이 마스터 실린더(1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11)의 밟는 힘을 상승시키는 배력장치(13), 이 배력장치(13)와 연결관(14)을 매개로 연결되어 배력장치(13)에 진공을 공급하기 위해 센서(15)의 신호를 받는 진공펌프(16) 및, 이 진공펌프(16)의 작동으로 내장된 진공을 상기 배력장치(13)에 공급하는 진공탱크(17)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유압식 브레이크의 배력장치(13)는 보다 작은 브레이크 페달(11)의 밟는 힘으로 큰 제동력을 얻기 위하여 진공의 힘을 빌어 브레이크 페달(11)의 밟는 힘을 가볍게 한 것으로서, 브레이크 페달(11)의 밟는 힘의 3-7배 정도의 힘으로 상기 마스터 실린더(12)를 누르도록 되어, 이 마스터 실린더(12)를 누르는 힘이 크면 휠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작용하는 힘이 커지고, 큰 제동력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런데, 전기 자동차는 그 특성상 공간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진공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진공탱크(17)의 큰 부피에 의하여 차체 구조의 설계가 상당히 어렵고, 특히 전기 자동차의 저속주행에서는 진공이 용이하게 배력장치(13)에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브레이크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유압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에 충분한 진공을 공급할 수 있도록하여 저속이나 정지시의 브레이크 작동을 원할하게 함과 더불어 기존의 진공탱크를 제거함으로써 차체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된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음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이 마스터 실린더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밟는 힘을 상승시키는 배력장치, 이 배력장치와 연결관을 매개로 연결되어 배력장치에 진공을 공급하기 위해 센서의 신호를 받는 진공펌프, 이 진공펌프와는 별도로 상기 마스터 실린더에 연결되어 감속기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보조 진공펌프 및, 이 보조 진공펌프를 구동하는 감속기를 회전시키도록 연결설치된 작동 모우터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차량이 저속주행을 하거나 정지할 때에는 이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의 작동으로 상기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배력장치에 진공압을 공급함으로써 제동하게 되고,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시에는 상기 작동 모우터에 의해 감속기가 회전하게 됨으로 이 감속기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되는 보조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배력장치에 진공압을 공급함으로써 제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차량의 정지시에만 진공펌프를 작동시켜 필요한 진공압만을 공급하기 때문에 부피가 큰 진공탱크를 제거하고 저출력의 진공펌프로도 제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진공탱크가 사용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차체의 설계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유압 브레이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유압 브레이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브레이크 페달 2 : 마스터 실린더
3 : 브레이크 파이프 4 : 배력장치
5 : 센서 6 : 연결관
7 : 진공펌프 8 : 보조 진공펌프
9 : 감속기 10 : 작동 모우터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유압 브레이크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전기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음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2)가 브레이크 파이프(3)를 매개로 차량 바퀴의 휠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밟는 힘을 상승시키는 배력장치(4)가 상기 마스터 실린더(2)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배력장치(4)의 진공압을 체킹하여 신호를 보내는 센서(5)가 연결관(6)을 매개로 배력장치(4)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센서(5)의 신호를 받는 진공펌프(7)가 배력장치(4)에 진공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관(6)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진공펌프(7)와는 별도로 보조 진공펌프(8)가 감속기(9)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마스터 실린더(2)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보조 진공펌프(8)를 구동하는 감속기(9)를 회전시키도록 작동 모우터(10)가 연결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와 같이 설치된 유압 브레이크의 작동구조는, 차량이 저속주행을 하거나 정지할 때에는 적은양의 진공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5)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센서(5)의 신호로 진공펌프(7)를 작동시켜 배력장치(4)에 진공압을 공급함으로써 제동하게 되며, 차량의 일반적인 주행시에는 휠의 회전력이 크기 때문에 휠의 회전력과 비례하여 상기 작동 모우터(10)가 구동되고, 이 작동 모우터(10)의 구동에 의해 감속기(9)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감속기(9)의 회전속도에 따라 작동되는 보조 진공펌프(8)를 작동시키며, 이러한 보조 진공펌프(8)를 이용하여 배력장치(4)에 적절한 진공압을 공급함으로써 제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5)에는 센서(5)의 신호로 접속되거나 단락되는 스위치가 내장되어, 상기 센서(5)가 필요한 진공압을 체킹하여 만약 부족할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가 접속되어 진공펌프(7)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배력장치(4)에 진공압을 전달하여 제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피가 큰 진공탱크 대신에 작동 모우터(10)와 감속기(9)를 이용한 보조 진공펌프(8)를 설치하여 저속이나 고속에도 배력장치(4)에 충분한 진공압을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전기 자동창의 제동력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에 의하면,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유압 브레이크의 배력장치에 충분한 진공을 공급할 수 있도록하여 저속이나 정지시의 브레이크 작동을 원할하게 함과 더불어 기존의 진공탱크를 제거함으로써 차체의 설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음으로써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2)와, 이 마스터 실린더(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밟는 힘을 상승시키는 배력장치(4), 이 배력장치(4)와 연결관(6)을 매개로 연결되어 배력장치(4)에 진공을 공급하기 위해 센서(5)의 신호를 받는 진공펌프(7), 이 진공펌프(7)와는 별도로 상기 마스터 실린더(2)에 연결되어 감속기(9)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보조 진공펌프(8) 및, 이 보조 진공펌프(8)를 구동하는 감속기(9)를 회전시키도록 연결설치된 작동 모우터(10)로 이루어진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KR2019970016563U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KR2001536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63U KR200153668Y1 (ko)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563U KR200153668Y1 (ko)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971U true KR19990002971U (ko) 1999-01-25
KR200153668Y1 KR200153668Y1 (ko) 1999-08-02

Family

ID=1950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563U KR200153668Y1 (ko) 1997-06-30 1997-06-30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6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41B1 (ko) * 2001-05-30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저항을 이용한 진공발생장치
CN115230663A (zh) * 2022-09-02 2022-10-2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辆真空助力控制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341B1 (ko) * 2001-05-30 200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주행저항을 이용한 진공발생장치
CN115230663A (zh) * 2022-09-02 2022-10-2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辆真空助力控制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230663B (zh) * 2022-09-02 2024-01-0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车辆真空助力控制方法、系统、装置、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3668Y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668Y1 (ko) 전기 자동차의 유압 브레이크
CN113753010B (zh) 一种扫路机集成式制动系统
KR102238419B1 (ko) 리저브 탱크를 활용한 브레이크 시스템
KR100243606B1 (ko) 브레이크라인의 자동공기배출장치
KR20030018935A (ko) 전기자동차용 비상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91658B1 (ko) 자동차의 보조브레이크장치
KR100489054B1 (ko) 자동차의 비상제동장치
CN217320332U (zh) 一种电控制动装置
KR100241386B1 (ko) 차량의 제동 배력장치
KR100215925B1 (ko) 엔진 정지시 제동력 복원 장치
KR0112158Y1 (ko) 자동차의 전기 구동식 배력 제동 장치
KR20020015472A (ko) 자동차의 제동장치
KR19980049130A (ko) 엔진구동식 브레이크 장치
KR0113983Y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압식 주차 브레이크
KR200149532Y1 (ko) 워엄기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브레이크 시스템
KR20030046676A (ko) 자동차의 안전 브레이크 장치
KR19990025366A (ko) 전기자동차용 회생브레이크장치
KR200202407Y1 (ko) 유압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 제동장치
KR0153303B1 (ko) 주차브레이크겸용 브레이크장치
KR100288214B1 (ko) 차량용 에너지 재생장치
KR100240508B1 (ko) 엔진 정지시 제동력 복원 장치
KR100345103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100405527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KR20090093107A (ko) 파워 스티어링 유압을 사용한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KR19990019592U (ko) 차량용 브레이크 작동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