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2007A -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 Google Patents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2007A
KR19990002007A KR1019970025517A KR19970025517A KR19990002007A KR 19990002007 A KR19990002007 A KR 19990002007A KR 1019970025517 A KR1019970025517 A KR 1019970025517A KR 19970025517 A KR19970025517 A KR 19970025517A KR 19990002007 A KR19990002007 A KR 19990002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discharge lamp
resistor
capacito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2112B1 (ko
Inventor
은종일
Original Assignee
강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락원 filed Critical 강락원
Priority to KR1019970025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11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1Load circuit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1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 H05B41/20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 H05B41/23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 H05B41/231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dc or by low-frequency ac, e.g. by 50 cycles/sec ac, or with network frequencies having no starting switch for lamps not having an auxiliary starting electrode for high-pressure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92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 회로에 있어서, 직렬 연결되어 교대로 작동되는 스위치용 FET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저항을 통하여 전류를 제한하고, 그 저항들과 병렬로 콘덴서를 연결하여 전압은 그대로 전달하며, 그 FET의 게이트와 접지측 사이에 정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를 직렬연결하여 FET의 게이트 전압파형을 일정하게 안정화시키도록 스위칭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FET의 열 발생을 줄이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고, 또한, 방전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를 검출하여 콘덴서에 충전시켜 두고, 그 충전 전압에 의해 트리거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일정시간동안 재점등이 제어되게 하는 재점등 제어부를 포함시켜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본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 방전 램프의 기동 장치로서 HID램프(메탈등, 수은등)에 사용되는 전자식 안정기 회로에서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고압 방전 등에 사용되는 안정기는, 고주파 점등 시와, 기동 시와 정상 상태에서의 관 전압 차이로 인하여 음향적 공명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실용화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르고, 초기 기동시 플리커 현상이 발생되어 시각적인 불쾌한 자극과 램프의 수명 단축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안정기의 문제점인 플리커 현상을 해결함과 아울러 순간적인 전원 차단시 램프가 적정 온도로 냉각되는 시점에서만 재점등 되도록 한 재점등 제어부를 포함시키고, 제조 코스트를 현저히 낮추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안정기 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식 안정기 회로에 있어서, 직렬 연결되어 교대로 작동되는 스위치용 FET를 구동시키기 위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저항을 통하여 전류를 제한하고, 그 저항들과 병렬로 콘덴서를 연결하여 전압은 그대로 전달하며, 그 FET의 게이트와 접지측 사이에 정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를 직렬연결하여 FET의 게이트 전압파형을 일정하게 안정화시키도록 스위칭회로를 구성함으로써,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FET의 열 발생을 줄이도록 구성함에 특징이 있고, 또한, 방전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류를 검출하여 콘덴서에 충전시켜 두고, 그 충전 전압에 의해 트리거신호를 바이패스시켜 일정시간동안 재점등이 제어되게 하는 재점등 제어부를 포함시켜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트리거 시점에서의 전류 흐름을 보인 등가 회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부품 파손 방지를 위한 전류 흐름을 보인 등가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교류-직류변환부20:트리거신호 발생부
31,32:제1, 제2 스위칭 제어부40:방전등 구동부
41:방전등50:재점등 제어부
Q1,Q2:제1,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T1-c: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
T1-a, T1-b: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1, 2
L1:역률 개선용 인덕터
T2:공진 회로용 인덕터
BD:브릿지 다이오드
R1-R15:저항C1-C12:콘덴서
D1-D11:다이오드Z1-Z4:제너다이오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고압방전 램프의 안정기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등 스위치(도시안됨)를 통해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10)와, 그 교류-직류 변환부(10)의 출력 전원을 적분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신호 발생부(20)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0)의 출력 전원을 인가 받아 콘덴서의 충전/방전과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의 에 정/역방향으로 전류 흐름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서 방전등(41)을 구동시키는 방전등 구동부(40)와, 그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 1차권선(T1-c)의 전류 방향을 교대로 스위칭 시켜 주도록 직렬 연결된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와,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 1(T1-a)의 출력을 직렬 연결된 저항들과 그 직렬 연결된 저항과는 각기 병렬 연결된 콘덴서들을 통하여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연결하여 스위칭을 제어하되, 상기 직렬 연결된 저항들의 접속점에서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소스 단자에 직렬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를 2단 병렬 연결하여 게이트 전류 및 전압을 제한하고 안정화시켜 스위칭 제어를 하는 제1스위칭 제어부(31)와,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T1-b)의 출력을 직렬 연결된 저항들과 그 직렬 연결된 저항과는 각기 병렬 연결된 콘덴서들을 통하여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연결하여 스위칭을 제어하되, 상기 직렬 연결된 저항들의 접속점에서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 단자에 직렬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를 2단 병렬 연결하여 게이트 전류 및 전압을 제한하고 안정화시켜 스위칭 제어를 하는 제2스위칭 제어부(32)와,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와 방전등(41) 사이의 전류를 분압저항을 통해 검출하여 콘덴서에 충전시켜 두고 방전등 재점등시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재점등이 되지 않도록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20)를 트리거 전압 이하로 유지시켜 재점등을 제어하는 재점등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0)는, 방전등 스위치(도시안됨)로부터 교류 전원을 입력받아 돌입 전류 방지용 저항(NTC)과 퓨즈(F)를 통하고 잡음 방지용 트랜스(LTFT) 및 콘덴서(C1)를 통한 후, 브릿지 다이오드(BD)에서 전파 정류하고, 평활 콘덴서(C2)를 통해서 평활시켜 입력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20)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0)의 출력 전원을 역률 개선용 인덕터 트랜스(L1)를 통해 입력받아 저항(R1) 및 콘덴서(C3)에 의해 적분하고, 그 적분된 전압을 저항(R2) 및 다이악(DA)을 통해서 상기 적분된 전압이 일정전압 이상이 될 때 트리거신호를 상기 제2스위칭 제어회로(32)의 병렬 연결된 저항과 콘덴서의 입력 단에 입력시켜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를 트리거 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전등 구동부(40)는, 상기 역률 개선용 인덕터 트랜스(L1)의 출력 전압이 다이오드(D6)를 통한 후, 저항(R9), 스위칭 제어용 트랜스(T1)의 1차코일(T1-c) 및 인덕터(T2)를 차례로 통하여 방전등(41) 및 콘덴서(C8)에 공통 연결되고, 그 콘덴서(C8) 및 방전등(41)의 타측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콘덴서(C9)를 통해서는 상기 역률 개선용 인덕터 트랜스(L1)에 연결됨과 아울러 병렬 연결된 콘덴서(C10) 및 다이오드(D10)를 통해서는 상기 다이오드(D6)와 상기 저항(R9)의 접속점에 연결되며,상기 다이오드(D6)와 상기 저항(R9)의 접속점이 2개의 직렬 연결된 콘덴서(C11),(C12)를 통해서 접지측에 연결되며, 그 접지측에서 상기 콘덴서(C8)와 상기 방전등(41)의 타측 공통 접속점으로 다이오드(D9)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공통 접속점에서 상기 역률 개선용 인덕터 트랜스(L1) 사이에 다이오드(D8)가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C9)(C10)의 충전과 방전 및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의 정방향/역방향 전류 흐름에 의해서 상기 방전등(41)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는, 상기 방전 구동부(40)의 다이오드(D6)의 캐소드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0)이 출력측 타측단 사이에 2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Q1),(Q2)가 직렬 연결되고, 그 직렬 연결된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소스단자와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드레인 단자와 접속점이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의 타측에 연결되어 그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의 온/오프에 의해 상기 방전등(41)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31)는,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에 의해 전원이 유기되는 2차권선1(T1-a)의 출력을 직렬 연결된 저항(R3),(R4),(R5)을 통해서 상기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연결하고, 상기 저항(R4)과 병렬로 콘덴서(C4)를, 상기 저항(R5)과 병렬로 콘덴서(C5)를 연결하며, 상기 저항(R3)과 저항(R4)의 접속점에서 상기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의 직렬 접속점인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소스단자에 정방향 다이오드(D1)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1)를 연결하고, 상기 저항(R4)과 저항(R5)의 접속점에서 상기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의 직렬 접속점에 정방향 다이오드(D2)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2)를 연결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1(T1-a)에 유기되는 기전력에서 전류를 제한하고 전압을 일정하게 안정화시켜 상기 제1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제2스위칭 제어부(32)는,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에 의해 전원이 유기되는 2차권선2(T1-b)의 출력을 직렬 연결된 저항(R6),(R7),(R8)을 통해서 상기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연결하고, 상기 저항(R7)과 병렬로 콘덴서(C6)를, 상기 저항(R8)과 병렬로 콘덴서(C7)를 연결하며, 상기 저항(R6)과 저항(R7)의 접속점에서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20)의 다이악(DA)의 출력을 연결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에서 상기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단자에 정방향 다이오드(D3)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3)를 직렬 연결하고, 상기 저항(R7)과 저항(R8)의 접속점에서 상기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단자에 정방향 다이오드(D4)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4)를 직렬연결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1(T1-b)에 유기되는 기전력에서 전류를 제한하고 전압을 일정하게 안정화시켜 상기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재점등 제어부(50)는,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과 인덕터(L1) 사이의 접속점에서 상기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단자 사이에 저항(R10),(R12)을 직렬 접속하고, 그 저항(R10),(R12)의 중간 접속점에서 직렬 연결된 저항(R13), 다이오드(D7) 및 저항(R15)을 통해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상기 트리거 신호 발생부(20)의 콘덴서(C3)의 출력을 다이오드(D11)를 통해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에 연결하며, 그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를 상기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 단자에 연결하고, 그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단자와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사이에 저항(R14)과 콘덴서(R14)를 병렬 연결하여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에 흐르는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콘덴서(R14)에 충전시켜 그 충전전압에 의해 수난정전 등의 방전등 오프시에 상기 트랜지스터(Q3)를 동작시켜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20)의 충전전압을 트리거 전압 이하로 바이패스시켜 방전등의 재점등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 냉각된 후에 재점등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입력 교류전압이 인가되면, 방전등 스위치 온 직후의 돌입전류 때문에 퓨즈의 용단이나 스위치 접점을 융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돌입전류 방지용 저항(NTC)를 통하고, 잡음방지용 트랜스(LFT) 및 콘덴서(C1)를 통해서 잡음을 제거한다. 이처럼 잡음이 제거된 교류전압이 브릿지 다이오드(BD)를 통해 교류전압이 직류 전압으로 정류되고, 평활용 콘덴서(C2)를 통해서 평활시킨 다음 역률 개선용 인덕터(L1)를 통해서 직류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직류전원은 방전등 구동부(40)의 다이오드(D6)를 통해서 평활용 콘덴서(C11),(C12)에 충전된다.
이때, 트리거신호 발생부(20)에서는 직류전압이 저항(R1)을 통해서 콘덴서(C3)에 충전되고,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DA)의 도통 전압을 넘는 순간 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를 턴온 시킨다.
이와같이 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됨에 따라 방전등 구동전류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덴서(C9,C10),(C8)와 인덕터(T2) 및 1차권선(T1-a),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를 통해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덴서(C9,C10)가 충전이 완료되면,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의 전류흐름이 차단되면서 2차권선 1(T1-a)에 역기전력이 흐르게 되고, 그 역기전력이 제1스위칭 제어부(31)에서 제어되어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를 턴-온 시키게 된다.
상기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가 턴-온 됨에 따라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 1차권선(T1-a), 인덕터(T2), 콘덴서(C8),(C9,C10)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되고, 다시 상기 콘덴서(C10)의 충진이 완료되면 전류흐름이 중단되어 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T1-b)에 역기전력이 흐르게 되고, 그 역기전력에 의해서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어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즉, 콘덴서(C10)의 충전에 의해 2차권선1, 2(T1-a),(T1-b)에 교대로 역기전력이 발생되면서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를 턴-온, 턴-오프를 교대로 반복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인덕터(T2)와 상기 콘덴서(C10)에 의한 공진회로의 공진주파수가 같아지는 순간 콘덴서(C8)의 양단에는 고전압(예; 3kv 내지 5kv)이 발생되어 방전등(40)이 점등된다.
한편, 도 3은 부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흐름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가 턴-온 / 턴-오프 될 때 부품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 제한을 위한 콘덴서(C9)를 연결함과 아울러 마이너스 단자에서 그 콘덴서(C9)의 공통 접속점으로 다이오드(D9)를 연결하여 제3도의 전류 흐름과 같이 전류가 흐르도록 구성함으로써, 부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2개의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를 직렬 연결해서 스위칭 회로를 구성하고, 그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의 게이트에 직렬 연결된 저항들(R3,R4,R5)(R6,R7,R8)과 콘덴서(C4,C5),(C6,C7)를 병렬 연결하여 바이어스를 제어하고, 게이트 전압의 파형을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D1Z1,D2Z2),(D3Z3,D4Z4)를 각각 연결하여 바이어스를 안정시킴과 아울러 게이트 전압 파형을 안정화시킴으로써,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전류를 제한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를 구동시킴으로 열 발생이 거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제너다이오드(Z1-Z4)의 관계는, Z1Z2, Z3Z4 이거나 또는 Z1 = Z2, Z3 = Z4 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되어야만 제1,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의 게이트 전압파형을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게이트 바이어스를 전류를 제한하고 전압을 전달시키되, 다이오드와 제너다이오드에 의해 전압파형을 안정화시켜 플리커 현상을 방지하고,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순간 전원 차단시 방전등이 어느 정도 냉각된 뒤에 재점등이 이루어지도록 재점등 제어부를 두어 방전등의 안정성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비교적 적음 부품수로 간단하게 전자식 안정기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기계식 안정기 등에 비해 성능면이나 부피 및 가격면에서 월등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방전등 스위치를 통해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교류-직류 변환부(10)와,
    그 교류-직류 변환부(10)의 출력 전원을 적분하여 트리거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신호 발생부(20)와,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0)의 출력 전원을 인가 받아 콘덴서의 충전/방전과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의 에 정/역방향으로 전류 흐름을 이용하여 그 사이에서 방전등(41)을 구동시키는 방전등 구동부(40)와,
    그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 1차권선(T1-c)의 전류 방향을 교대로 스위칭 시켜 주도록 직렬 연결된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와,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 1(T1-a)의 출력을 직렬 연결된 저항들과 그 직렬 연결된 저항과는 각기 병렬 연결된 콘덴서들을 통하여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연결하여 스위칭을 제어하되, 상기 직렬 연결된 저항들의 접속점에서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소스 단자에 직렬 연결하다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를 2단 병렬 연결하여 게이트 전류 및 전압을 제한하고 안정화시켜 스위칭 제어를 하는 제1스위칭 제어부(31)와,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2차권선(T1-b)의 출력을 직렬 연결된 저항들과 그 직렬 연결된 저항과는 각기 병렬 연결된 콘덴서들을 통하여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연결하여 스위칭을 제어하되, 상기 직렬 연결하다 저항들의 접속점에서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 단자에 직렬 연결된 순방향 다이오드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를 2단 병렬 연결하여 게이트 전류 및 전압을 제한하고 안정화시켜 스위칭 제어를 하고,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20)의 트리거신호에 의해서 구동 시작을 하는 제2스위칭 제어부(32)와,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와 방전등(41) 사이의 전류를 분압저항을 통해 검출하여 콘덴서에 충전시켜 두고 방전등 재점등시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될 때까지의 시간 동안 재점등이 되지 않도록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20)를 트리거 전압 이하로 유지시켜 재점등을 제어하는 재점등 제어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등 구동부(40)는,
    상기 교류-직류 변환부(10)의 출력 전압이 역률 개선용 인덕터 트랜스(L1)를 통하고 다이오드(D6)를 통한 후, 저항(R9), 스위칭 제어용 트랜스(T1)의 1차코일(T1-c) 및 인덕터(T2)를 차례로 통하여 방전등(41) 및 콘덴서(C8)에 공통 연결되고, 그 콘덴서(C8) 및 방전등(41)의 타측이 공통으로 연결되어 콘덴서(C9)를 통해서는 상기 역률 개선용 인덕터 트랜스(L1)에 연결됨과 아울러 병렬 연결된 콘덴서(C10) 및 다이오드(D10)를 통해서는 상기 다이오드(D6)와 상기 저항(R9)의 접속점에 연결되며, 상기 다이오드(D6)와 상기 저항(R9)의 접속점이 2개의 직렬 연결하다 콘덴서(C11),(C12)를 통해서 접지측에 연결되며, 그 접지측에서 상기 콘덴서(C8)와 상기 방전등(41)의 타측 공통 접속점으로 다이오드(D9)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공통 접속점에서 상기 역률 개선용 인덕터 트랜스(L1) 사이에 다이오드(D8)가 연결되어 상기 콘덴서(C9)(C10)의 충전과 방전 및 상기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의 정방향/역방향 전류 흐름에 의해서 상기 방전등(41)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31)는,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의 1차권선(T1-c)에 의해 전원이 유기되는 2차권선1(T1-a)의 출력을 직렬 연결하다 저항(R3),(R4),(R5)을 통해서 상기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게이트에 연결하고, 상기 저항(R4)과 병렬로 콘덴서(C4)를, 상기 저항(R5)과 병렬로 콘덴서(C5)를 연결하며, 상기 저항(R3)과 저항(R4)의 접속점에서 상기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의 직렬 접속점인 제1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의 소스단자에 정방향 다이오드(D1)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1)를 연결하고, 상기 저항(R4)과 저항(R5)의 접속점에서 상기 제1,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1),(Q2)의 직렬 접속점에 정방향 다이오드(D2)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2)를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스위칭 제어부(32)는,
    상기 방전등 구동부(40)의 스위칭 트랜스(T1)의 1차권선(T1-c)에 의해 전원이 유기되는 2차권선2(T1-b)의 출력을 직렬 연결하다 저항(R6),(R7),(R8)을 통해서 상기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에 연결하고, 상기 저항(R7)과 병렬로 콘덴서(C6)를, 상기 저항(R8)과 병렬로 콘덴서(C7)를 연결하며, 상기 저항(R6)과 저항(R7)의 접속점에 상기 트리거신호 발생부(20)의 다이악(DA)의 출력을 연결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에서 상기 제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단자에 정방향 다이오드(D3)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3)를 직렬 연결하고, 상기 저항(R7)과 저항(R8)의 접속점에서 상기 제2전계효과 트랜지스터(Q2)의 소스단자에 정방향 다이오드(D4)와 역방향 제너다이오드(ZD4)를 직렬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스위칭 제어부(31)와 제2스위칭 제어부(32)의 제너다이오드(Z1-Z2), (Z3, Z4)의 관계는, Z1Z2, Z3Z4 이거나 또는 Z1 = Z2, Z3 = Z4 인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KR1019970025517A 1997-06-18 1997-06-18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KR100262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517A KR100262112B1 (ko) 1997-06-18 1997-06-18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517A KR100262112B1 (ko) 1997-06-18 1997-06-18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007A true KR19990002007A (ko) 1999-01-15
KR100262112B1 KR100262112B1 (ko) 2000-07-15

Family

ID=1951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517A KR100262112B1 (ko) 1997-06-18 1997-06-18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1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82B1 (ko) * 2001-11-08 2004-10-20 이언석 고효율 안정기 내장형 램프
KR100716562B1 (ko) * 2007-02-09 2007-05-09 (주)젠코아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382B1 (ko) * 2001-11-08 2004-10-20 이언석 고효율 안정기 내장형 램프
KR100716562B1 (ko) * 2007-02-09 2007-05-09 (주)젠코아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2112B1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1279B1 (en) Controller for gas discharge lamps
US4935672A (en) High frequency ballast for a gas discharge lamp
JPH02503372A (ja) 直流電源におけるガス放電ランプの作動回路装置
JPH03102798A (ja) ガス放電ランプの始動及び点灯用回路装置
JP2002270391A (ja) 照明用点灯装置
JP2010538426A (ja) 直管蛍光ランプの安定器のサーマルフォールドバック
US5925985A (en) Electronic ballast circuit for igniting, supplying and dimming a gas discharge lamp
US5345148A (en) DC-AC converter for igniting and supplying a gas discharge lamp
JP2002511181A (ja) 蛍光ランプの調光可能な動作のための回路装置
WO2000045622A1 (en) Hid ballast with hot restart circuit
KR19990083245A (ko) 방전램프점등장치및조명장치
KR100262112B1 (ko) 고압방전 램프의 전자식 안정기 회로
JP2001211658A (ja) 相補形スイッチを有するハロゲン電力変換器
KR0169164B1 (ko) 순간점등형 형광램프 점등회로
JP3736096B2 (ja) 照明用点灯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ランプ
US6333606B1 (en) Ballast for discharge lamp
CA2568351A1 (en) Method for driving of a fluorescent lighting and a ballast stabilizer circuit for performing the same
JPH11339986A (ja) 放電灯点灯装置
JPH07192878A (ja) 自動車用高輝度放電ランプ点灯回路装置
KR100716562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JP2011502334A (ja) 電圧型インバータを用いた蛍光ランプの始動
KR200308318Y1 (ko) 센싱 기능을 갖는 방전등의 전자식 안정기
KR100625262B1 (ko) 개선된 공진출력 회로를 갖는 고압방전 형광등용 전자식안정기
JP4040518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3379263B2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