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943A -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943A
KR19990000943A KR1019970024102A KR19970024102A KR19990000943A KR 19990000943 A KR19990000943 A KR 19990000943A KR 1019970024102 A KR1019970024102 A KR 1019970024102A KR 19970024102 A KR19970024102 A KR 19970024102A KR 19990000943 A KR19990000943 A KR 19990000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ntainer
power steering
reservoir cap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한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7002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943A/ko
Publication of KR1999000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943A/ko

Links

Landscapes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 리저버의 캡구조를 변경하여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오일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은 파워 스티어링에 사용되는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보충 및 교환하기 위해 용기(3)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된 넥크부(4)에 임의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넥크부(4)에 삽입되는 몸체(12)와 이 몸체(12)의 상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11)로 이루어지는 리저버캡(10)에 있어서, 상기 몸체(12)의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넥크부(4)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오링(2)이 결합되는 상부링홈(13) 및 하부링홈(14)과; 상기 몸체(12)의 저면에 연장되고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눈금이 표시되어 용기(3)내의 오일이 묻을 수 있도록 된 오일 게이지(15)와; 차량의 흔들림이나 용기(3)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용기(3)내의 공기가 상방향 및 수평방향의 흐름을 갖도록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일누유 방지수단(2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일 리저버의 캡구조를 변경하여 조립성 및 기밀성을 향상시키고, 오일량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워 스티어링은 엔진에 의하여 구동되는 오일펌프의 유압으로 스티어링 오일의 조작력을 쉽게하는 장치로서, 작동원리는 압력을 높인 오일을 조향장치와 연동하는 실린더에 넣어 피스톤의 운동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가볍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조작시 동력 실린더에 들어가는 오일의 양은 컨트롤 밸브에 의해 조정되며, 스티어링 휠의 조작력을 신속하게 할수록 동력 실린더에 유입되는 오일의 양은 많아지고, 스티어링 휠의 조작을 멈추면 오일의 유입도 멈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파워 스티어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워 스티어링(100)은 차실내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조작력을 받는 스티어링 휠(110)과, 상기 스티어링 휠(110)의 조작력을 기어박스(120)에 전달하는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와, 이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축방향의 탄력성을 갖는 스티어링 칼럼(130)과,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와 기어박스(120)를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140) 등으로로 이루어지는 조작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120)에 유압을 공급하고 엔진(미도시)에서 나오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오일펌프(150)가 연결된다.
상기 오일펌프(150)는 오일 리저버(1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오일 리저버(160)는 조향시 사용되는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일종의 탱크이다.
도 2는 종래 파워 스티어링(100)용 오일 리저버(160)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로서, 오일을 보충하기 위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리저버캡(175)을 구비한 용기(17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용기(171)는 오일을 유입 및 배출하기 위해 다수의 호스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외주면 일측에는 오일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된 계기창(1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171)는 상측면에 돌출되고 그 내주면으로 나사홈이 가공된 넥크부(173)를 형성하고, 이 넥크부(173)에 상기 리저버캡(175)을 고정시킨다.
상기 리저버캡(175)은 원주방향으로 나사산이 가공된 몸체(176)와, 이 몸체(176)부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머리부(177)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76)의 상부 즉, 머리부(177)와 연결되는 부위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고무재의 오링(178)이 끼워지도록 링홈(17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리저버캡(175)은 용기(171)내에서 발생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수단(18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기배출수단(180)은 리저버(160)캡(175)(170)의 몸체(176)부 하측에 돌출된 돌출부(18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유입구(182)과, 머리부(177)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배출구(18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76)는 중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입구(182)과 배출구(183)은 서로 연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리저버캡(175)은 용기(171)의 넥크부(173)에 몸체(176)를 삽입하여 일방향 회전시키면 나사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리저버캡(175)의 몸체(176)에 결합된 오링(178)은 상기 용기(171)의 넥크부(173) 내주면에 밀착되므로 몸체(176)와 넥크부(173) 사이에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파워 스티어링(100)용 리저버캡(175)은 오일이 조향장치를 순환하면서 일시적으로 오일 리저버(160)의 용기(171)에 저장된다.
상기 용기(171)에는 오일과 함께 소량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또는 오일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소정의 가스가 발생되는데, 이 공기와 가스는 리저버캡(175)에 형성된 공기배출수단(18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160)는 리저버캡(175)의 공기배출수단(180)이 원활하게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여 용기(171)내의 압력이 팽창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급격한 온도 상승이나 무더운 여름에 장시간 주행하게 될 경우 오일 리저버(160)의 용기(171)에는 고압의 가스가 발생하게 되며, 이 가스는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오일을 일정량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일은 공기배출수단(180)의 유입구(182)나 배출구(183)를 일시적으로 막게되어 용기(171)내의 가스압이 점점 증가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 가스가 소정압 이상이 될 경우 유입구(182) 또는 배출구(183)를 막고 있던 오일이 일시에 외부로 배출되면서 다량의 오일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오일 누유로 인해 조향력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운전자가 수시로 오일 리저버(160)의 오일량을 확인하고 때에 따라서는 적정하게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오일을 포함한 가스가 배출되면서 일부 부품에 오일을 묻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오일 리저버 용기내의 가스 및 공기를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오일량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은 파워 스티어링에 사용되는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오일을 보충 및 교환하기 위해 용기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된 넥크부에 임의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넥크부에 삽입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상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리저버캡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넥크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오링이 결합되는 상부링홈 및 하부링홈과; 상기 몸체의 저면에 연장되고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눈금이 표시되어 용기내의 오일이 묻을 수 있도록 된 오일 게이지와; 차량의 흔들림이나 용기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용기내의 공기가 상방향 및 수평방향의 흐름을 갖도록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일누유 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일 리저버2 : 오링
3 : 용기4 : 넥크부
10 : 리저버캡11 : 머리부
12 : 몸체13 : 상부링홈
14 : 하부링홈15 : 오일 게이지
20 : 오일누유 방지수단21 : 재1유입구
22 : 제1배출구23 : 제1상방향 배출라인
24 : 제2유입구25 : 제2배출구
26 : 제2상방향 배출라인30 : 오일프로텍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저버캡(10)을 구비한 용기(3)로 이루어지는 오일 리저버(1)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오일 리저버(1)는 파워 스티어링에 사용되는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필요시에는 상기 리저버캡(10)을 용기(3)로부터 분리시켜 부족한 오일을 보충하거나 또는 변질된 오일을 교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오일 리저버(1)의 용기(3)는 오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소정의 용적을 가진 일종의 탱크로서, 상측면에 외부와 연통되도록 돌출된 넥크부(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넥크부(4)에 임의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리저버캡(10)은 상기 넥크부(4)에 삽입되는 몸체(12)와, 이 몸체(12)의 상측면이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넥크부(4)의 몸체(12)의 소정위치에 상부링홈(13)과 하부링홈(14)이 형성되며, 이 상,하부 링홈(13),(14)에는 기밀성 향상을 위한 고무재의 오링(2)이 각각 끼워진다.
또한 상기 몸체(12)의 저면에는 오일 게이지(15)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오일 게이지(15)는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며 용기(3)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에 일부분이 잠기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리저버캡(10)에는 용기(3)내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기 위한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이 제공되며, 이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은 차량의 흔들림이나 용기(3)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한 오일누유를 방지한다.
상기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은 용기(3)내의 공기가 상방향 및 수평방향의 흐름을 갖도록 유도하여 공기는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고 오일의 배출은 어렵게 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은 몸체(12)의 저면 일측에 제1유입구(21)를 형성하여 용기(3)내의 공기를 유입하고 이 유입된 공기가 하부링홈(14)이 위치하는 상측에 형성된 제1배출구(22)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제1상방향 배출라인(23)과; 상기 제1배출구(22)와 어긋나는 위치에 제2유입구(24)를 형성하고, 이 제2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머리부(11)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제2배출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제2상방향 배출라인(2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배출구(22)와 제2유입구(24)는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있어 공기의 수평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은 오일게이지(15)의 축상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오일프로텍터(30)를 포함한다.
상기 오일프로텍터(30)는 다수개 이격 설치되어 용기(3)내에 일부가 잠기도록 이루어져 있어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한 오일의 출렁거림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10)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오일 리저버(1)의 리저버캡(10)은 오일의 누유는 차단하고 공기는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용기(3)내의 오일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일예로 여름철과 같이 무더운 날씨에 차량을 장시간 운행할 경우 오일 리저버(1)의 용기(3)내에는 고압의 공기 및 가스(이하 가스라 통칭함)가 발생된다.
이 가스는 공기배출수단의 제1유입구(21)로 진입하여 제1배출구(22)로 상방향 흐름을 가지고 배출된다.
상기 제1배출구(22)를 통해 배출된 가스는 제2유입구(24)로 진입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가스는 수평방향의 흐름을 가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된 가스는 외부와 연통된 제2배출구(25)로 배출되면서 다시 상방향 흐름을 가지게 된다.
또한, 차량이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 심한 흔들림으로 인해 용기(3)내의 오일이 불규칙한 파동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오일은 다수개의 오일프로텍터(3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촉하면서 그 파동력이 감쇄되어 불규칙한 파동이 저감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나 가스와 같은 기체는 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로운 흐름을 가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나 점도가 높은 액체인 오일은 상방향 및 수평방향의 배출라인이 형성된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을 통해 외부로 누유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고압의 공기나 가스 배출시 오일이 함유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의 흔들림으로 인해 용기(3)내에서 심하게 출렁거리는 오일을 일정한 파동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이나 또는 넥크부(4)와 리저버캡(10) 사이의 틈새에 접촉하는 오일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3)내에 저장된 오일이 변질되거나 또는 변색되었을 경우 작업자는 오일 게이지(15)를 통해 오일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오일게이지(15)는 일부분이 항상 용기(3)내에 잠겨있으므로 소량의 오일이 묻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 게이지(15)는 축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리저버캡(10)을 용기(3)로부터 분리시켜 오일이 묻어 있는 눈금을 확인하므로서 오일량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은 무더운 날씨에 차량을 장시간 운행할 경우 용기내에 발생되는 고압의 공기 및 가스는 원활하게 배출되지만 오일의 배출은 제한된다.
특히 오일프로텍터는 도로 사정이 좋지않은 곳에서 주행할 때 용기내의 오일이 심하게 출렁거리는 것을 저감시켜 공기배출수단이나 리저버캡이 설치된 넥크부의 내주면에 작용하는 오일압을 현저하게 저감시켜 오일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향장치의 성능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리저버캡의 몸체에 형성된 오일 게이지는 항상 소정부위가 용기내의 오일에 잠겨있으므로 작업자가 리저버캡을 분리시켜면 오일의 변질이나 변색시에도 오일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파워 스티어링에 사용되는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며, 오일을 보충 및 교환하기 위해 용기의 상측면에 돌출 형성된 넥크부에 임의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넥크부에 삽입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상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로 이루어지는 리저버캡에 있어서,
    상기 몸체(12)의 소정위치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넥크부(4)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오링(2)이 결합되는 상부링홈(13) 및 하부링홈(14)과;
    상기 몸체(12)의 저면에 연장되고 축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눈금이 표시되어 용기(3)내의 오일이 묻을 수 있도록 된 오일 게이지(15)와;
    차량의 흔들림이나 용기(3)내의 압력상승으로 인한 오일의 누유를 방지하고 용기(3)내의 공기가 상방향 및 수평방향의 흐름을 갖도록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
  2. 제 1항에 있어서,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은 상기 몸체(12)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어 용기(3)내의 공기를 유입하는 제1유입구(21)과, 이 제1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하부링홈(14)이 위치하는 상측에 형성된 제1배출구(22)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제1상방향 배출라인(23)과; 상기 제1상방향 배출라인(23)의 제1배출구(22)와 어긋나는 위치에 제2유입구(24)를 형성하여 공기의 수평흐름을 유도하고, 상기 제2유입구(24)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머리부(11)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2배출구(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제2상방향 배출라인(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10).
  3. 제 1항에 있어서, 오일누유 방지수단(20)은 오일 게이지(15)의 축상에 다수 이격 설치되는 얇은 판재의 오일프로텍터(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용 리저버캡.
KR1019970024102A 1997-06-11 1997-06-11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KR199900009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102A KR19990000943A (ko) 1997-06-11 1997-06-11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102A KR19990000943A (ko) 1997-06-11 1997-06-11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943A true KR19990000943A (ko) 1999-01-15

Family

ID=6610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102A KR19990000943A (ko) 1997-06-11 1997-06-11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9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52B1 (ko) * 2001-11-02 2005-09-2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펌프용 리저버 캡
KR100986513B1 (ko) * 2004-11-23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일 리저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952B1 (ko) * 2001-11-02 2005-09-26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펌프용 리저버 캡
KR100986513B1 (ko) * 2004-11-23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오일 리저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701653A (ko) 연료 공급 모듈
US6379200B1 (en) Watercraft fuel supply apparatus and method
KR19990000943A (ko)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캡
US4734682A (en) Low fluid level warning system
EP2953827B1 (en) Liquid reservoir for vehicle and motor vehicle system comprising such a reservoir
US7516868B2 (en) Fuel tank structure
US20230406267A1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optical device cover
US8622101B2 (en) Filler tube assembly
JP3668709B2 (ja) ポッドプロペラ推進システムのシール装置
KR100277008B1 (ko) 자동차 파워 스티어링 리저버 탱크의 오일누유 방지구조
US6696960B1 (en) Hydraulic system with fluid leak warning apparatus
KR100384153B1 (ko) 밸브 바디에 채용된 튜브 조립체
KR100364280B1 (ko) 자동차 파워스티어링장치의 오일 리저버
KR100435306B1 (ko) 연료센더의 포스트 절취 방지장치
US6845613B2 (en) Last chance aircraft back-up hydraulic system
KR960007791Y1 (ko) 오일 리저버
KR100535586B1 (ko) 부압해소를 위한 연료탱크의 보조탱크
KR100466314B1 (ko) 파워스티어링장치의 일체형 오일 리저버와 오일 펌프시일구조
KR0124881Y1 (ko) 차량용 헤드램프 와셔노즐
KR19980040290U (ko) 파워 스티어링용 오일 리저버
KR19990029698U (ko) 동력조향장치의 오일저장탱크내 소용돌이 방지구조
KR20050003580A (ko) 엘피아이 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
KR0137898Y1 (ko) 동력 조향 오일 리저버의 오일 유동 방지 구조
JPS5858120A (ja) フイルタ装置
JPS625404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