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346A - 아포리포프로테인-b 합성 억제제인 신규한 트리아졸론 - Google Patents

아포리포프로테인-b 합성 억제제인 신규한 트리아졸론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346A
KR19980703346A KR1019970706751A KR19970706751A KR19980703346A KR 19980703346 A KR19980703346 A KR 19980703346A KR 1019970706751 A KR1019970706751 A KR 1019970706751A KR 19970706751 A KR19970706751 A KR 19970706751A KR 19980703346 A KR19980703346 A KR 19980703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lkyl
compound
phenyl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3219B1 (ko
Inventor
헤레스 잔
자코버스 조제프 백스 레오
아우구스트 클레멘트 루이츠 파울
디디에르로버트가이가브리엘데차포이데코우르셀레스
Original Assignee
디르크 반테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르크 반테,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filed Critical 디르크 반테
Publication of KR19980703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Seasoning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Ⅰ)의 신규한 화합물,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R1은 C1-10알킬, C3-7사이클로알킬, 또는 C3-7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C1-6알킬이며; R2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고; Alk는 C1-3알칸디일을 나타내며; -A-는 다음 구조식 (a), (b), (c) 및 (d)의 2가 라디칼을 나타내며,
(a) -CH=CH-N=CH-
(b) -N=CH-N=CH-
(c) -CH=N-N=CH-
(d) -CH=CH-CH=N-
상기 언급된 2가 라디칼에서 수소 원자는 C1-6알킬로 대체될 수 있으며; Ar은 비치환된 페닐; 할로, C1-6알킬 및 C1-6알킬옥시중에서 선택된 두 개 이하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나프틸; 또는 할로, C1-6알킬 및 C1-6알킬옥시중에서 선택된 두 개 이하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고지혈증 치료용 약제로서의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포리포프로테인-B 합성 억제제인 신규한 트리아졸론
본 발명은 일반식 (Ⅰ)의 신규한 화합물, 이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고지혈증 치료용 약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고콜레스테롤 혈증, 특히 저밀도 리포프로테인(LDL) 및 초저밀도 리포프로테인(VLDL) 잔류물의 혈장농도의 증가와 연관된 고콜레스테롤 혈증과 조발성 아테롬성경화증과의 사이의 인과관계는 지난 수년간에 걸쳐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가 치료학적 잇점을 갖는다는 일치된 견해가 전문의와 일반대중 모두에 의해 널리 인정되고 있다. 고지혈증 치료에는 제한된 수의 약물들이 이용될 수 있다. 고지혈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일차 약제에는 담즙산 격리제, 피브레이트, 니코틴산 및 HMG CoA-리덕타아제 억제제가 포함된다.
유용한 담즙산 격리제는 불편한 투약 방법 및 위장관계 부작용이 중요한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피브레이트는 특정한 형태의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치료에만 제한된 유용성을 가지고 있다. 니코틴산에 의한 치료시에는 부작용 및 독성에 대한 문제가 수반된다. 현재 대부분의 고콜레스테롤 혈증의 일차적인 치료제인 HMG Co A-리덕타아제 억제제는 근육병변 및 간독성의 발현으로 인해 때때로 금기시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약물과는 다른 기전에 의해 바람직하게 작용하는 신규한 지질 저하제에 대한 필요성은 아직도 남아 있다.
1980 년 9 월 9 일에 공개된 EP-0,006,711-A에는 항진균활성을 갖는 (4-페닐피페라진-1-일-아릴옥시메틸-1,3-디옥소란-2-일)-메틸-1H-이미다졸 및 -1H-1,2,4-트리아졸의 헤테로사이클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1987 년 7 월 8 일에 공개된 EP-0,228,125-A에는 바람직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4-[4-(4-페닐-1-피페라지닐)페녹시메틸]-1,3-디옥소란-2-일]-메틸]-1H-이미다졸 및 1H-1,2,4-트리아졸이 개시되어 있다. 1988 년 9 월 28 일에 공개된 EP-0,283,992-A에는 항미생물제인 4-[4-[4-[4-[[2-(2,4-디플루오로페닐)-2-(1H-아졸릴메틸)-1,3-디옥소란-4-일]-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페닐]트리아졸론이 개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청구된 화합물은 구조적인 면(신규한 트리아졸론 부위) 및 약물학적 프로필, 특히 아포리포프로테인 B 합성 억제 활성면에서 상기 화합물들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 (Ⅰ)의 화합물,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및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을 제공한다:
상기식에서 R1은 C1-10알킬, C3-7사이클로알킬, 또는 C3-7사이클알킬로 치환된 C1-6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Alk는 C1-3알칸디일을 나타내고; -A-는 다음 구조식 (a), (b), (c), 또는 (d)의 2가 라디칼을 나타내며,
-CH=CH-N=CH-(a),
-N=CH-N=CH-(b),
-CH=N-N=CH-(c),
-CH=CH-CH=N-(d);
상기 2가 라디칼에서 수소 원자는 C1-6알킬로 대체될 수 있으며; Ar은 비치환된 페닐; 할로, C1-6알킬 및 C1-6알킬옥시중에서 선택된 두 개 이하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나프틸; 또는 할로, C1-6알킬 및 C1-6알킬옥시중에서 선택된 두 개 이하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이다.
상기 정의에서 사용된 것으로서, 용어 할로겐 원자는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포괄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C1-6알킬은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및 측쇄 포화 탄화수소 라디칼,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1-메틸에틸, 2-메틸프로필 등을 의미하며; C1-10알킬은 C1-6알킬 및 7개 내지 10개 이하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그의 고급동족체, 예를 들면, 헵틸, 옥틸, 노닐 또는 데실, 및 그의 측쇄 이성체를 의미하고; C3-7사이클로알킬은 3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포화 사이클릭 탄화수소 라디칼, 예를 들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또는 사이클로헵틸을 의미하며; C1-3알칸디일은 직쇄 또는 측쇄 2가 알칸 라디칼, 예를 들면, 메틸렌,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을 의미한다.
상기 언급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은 일반식 (Ⅰ)의 화합물이 형성할 수 있는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무독성 부가염을 포함하는 의미를 갖는다. 일반식 (Ⅰ) 화합물의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무독성 산부가염은 염기형태의 화합물을 적당한 산으로 처리하여 편리하게 수득할 수 있다. 적당한 산에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등의 할로겐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 또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파노산, 하이드록시아세트산, 락트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사이클람산, 살리실산, p-아미노살리실산, 파모산 등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에서 사용된 용어인 부가염에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및 그의 염이 형성할 수 있는 용매화물(solvates)이 포함된다. 이러한 용매화물은 예를 들면, 하이드레이트, 알콜레이트 등이다. 반대로 염형태는 알칼리로 처리하여 유리 염기 형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입체화학적 이성체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이 포함할 수 있는 존재 가능한 이성체 모두를 의미한다. 달리 언급되거나 지정되지 않는 한, 화합물의 화학적 명명은 모두 존재 가능한 입체화학적 이성체의 혼합물을 의미하며, 여기에서 상기의 혼합물은 기본 분자구조의 디아스테레오머 및 에난티오머 모두를 포함하는 것이다. 더욱 특히, 입체 중심은 R- 또는 S-배위를 가질 수 있고, 2 가의 포화된 사이클릭 라디칼상의 치환체는 시스- 또는 트랜스-배위를 가질 수 있다. 일반식 (Ⅰ) 화합물의 입체화학적 이성체는 명백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또한 토토머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토토머형도 비록 상기 일반식에서 명백히 지정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흥미있는 화합물의 그룹은 R1이 C1-10알킬인 일반식 (Ⅰ)의 화합물이다.
흥미있는 추가의 화합물 그룹은 R2가 수소 또는 메틸인 일반식 (Ⅰ)의 화합물이다.
흥미있는 화합물의 또다른 그룹은 Ar이 비치환된 나프틸, 또는 1 또는 2개의 할로겐 원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불소로 치환된 페닐인 일반식 (Ⅰ)의 화합물이다.
더욱 흥미있는 화합물은 R1이 메틸, 에틸, 프로필 또는 부틸, 바람직하게는 2-프로필 또는 2-부틸인 상기의 흥미있는 화합물이다.
더욱 흥미있는 화합물의 또다른 그룹은, Ar이 나프틸, 4-클로로페닐, 4-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또는 2,4-디클로로페닐인 상기의 흥미있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화합물은 시스-2-[4-[4-[4-[[2-(2,4-디플루오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1,3-디옥소란-4-일]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페닐]-2,4-디하이드로-4-(1-메틸프로필)-3H-1,2,4-트리아졸-3-온 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이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일반식 (Ⅱ)의 페놀(여기에서 R1및 R2는 일반식 (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을 일반식 (Ⅲ)의 1,3-디옥소란 유도체 (여기에서, A, Alk 및 Ar은 일반식 (Ⅰ)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W는 적절한 이탈그룹 예를 들면, 클로로, 브로모 등과 같은 할로, 또는 설포닐옥시 이탈그룹, 예를 들면, 4-메틸벤젠설포닐옥시 (토실레이트) 또는 메탄설포닐옥시 (메실레이트)를 나타낸다)로 O-알킬화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의 O-알킬화 반응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양극성 비양자성 용매 (aprotic solvent),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또는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의 존재하에 반응물들을 교반하면서 가열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은 일반식 (Ⅳ)의 중간체 (여기에서 A, Alk, Ar 및 R2는 일반식 (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를 일반식 (Ⅴ)의 일킬화제 (여기에서 R1은 일반식 (Ⅰ)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W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로 N-알킬화시키는 방법이다.
상기의 N-알킬화 반응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양극성 비양자성 용매 (aprotic solvent),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적당한 용매중에서, 염기,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또는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탄산염의 존재하에 반응물들을 교반하면서 가열함으로써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일반식 (Ⅰ)의 화합물은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작용그룹 변환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제조방법에서 사용된 다수의 중간체 및 출발물질들은 공지의 화합물이고, 다른 화합물도 상기 언급된 화합물 또는 유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또다른 화합물들은 신규하다.
일반식 (Ⅱ)의 중간체는 1989 년 9 월 6 일에 공개된 EP-0,331,232-A에 기술되어 있다. -A-가 일반식 (a) 및 (b)의 2가 라디칼이고, Alk는 메틸렌이며, Ar은 비치환된 페닐 또는 2개 이하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인 일반식 (Ⅲ)의 중간체는 EP-0,228,125에 기술되어 있다.
Alk가 C2-3알칸디일인 일반식 (Ⅲ)의 중간체는 신규한 화합물이다.
Ar이 비치환된 나프틸 또는 2개 이하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나프틸이며, 2가 라디칼 -A-가 일반식 (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식 (Ⅲ)의 중간체 및 -A-가 일반식 (d)의 2가 라디칼이고 Ar은 일반식 (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중간체도 신규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초저밀도 리포프로테인(VLDL) 및 저밀도 리포프로테인(LDL)의 주된 단백질 성분인 아포리포프로테인 B의 합성을 억제한다. 총 혈청 콜레스테롤의 약 60 내지 70%가 (LDL)내에서 전달된다. 혈청내의 LDL-콜레스테롤의 증가된 농도가 원천적으로 아테롬성동맥경화증과 관련되어 있다. 아포리포프로테인 B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서 유해한 저밀도 리포프로테인의 양은 감소된다.
아포리포프로테인 B의 합성 억제 및 부수적인 지방 활성의 저하라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의약으로서 고지혈증으로 고생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에 특히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과잉의 초저밀도 리포프로테인(VLDV) 또는 저밀도 리포프로테인(LDL)이 원인인 질환, 특히 VLDL 및 LDL과 연합된 콜레스테롤이 원인인 질환 치료용 의약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많은 유전적 및 후천적 질환은 고지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는 일차 및 이차 고지혈증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이차 고지혈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당뇨병, 알콜 남용, 약물, 갑상선기능저하증, 만성신부전증, 신증후군, 담즙분비정지 및 병적기아이다. 일차 고지혈증은 고콜레스테롤증, 가족성병합고지혈증, 가족성고콜레스테롤증, 잔류 고지혈증(remnant hyperlipidemea), 카일로마이크론혈증 증후군, 가족성과트리글리세라이드혈증이 흔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아테롬성동맥경화증, 특히 관상의(coronary)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및 일반적으로는 허혈성 심장질환, 말초성혈관질환, 중추성혈관질환과 같은 아테롬성동맥경화증과 관련된 질환으로 고생하는 환자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을 감소시킬 수도 있으며, 아테롬성동맥경화증의 임상 결과, 특히 병적 상태 및 사망률을 억제시킬 수도 있다.
아포프로테인 B 합성억제활성의 관점에서 문제의 화합물은 투약 목적상의 다양한 약제학적 형태로 제품화할 수 있다. 이러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특정 화합물의 유효량은 활성 성분으로서 염기 또는 산부가염의 형태로 먼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된다. 이 담체는 투약에 바람직한 제조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이들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직장 또는 비경구 주입에 적절한 단위투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형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현탁액, 시럽, 엘릭시르제 및 용액과 같은 경구용 액체 제제인 경우에 예를 들어, 물, 글리콜, 오일, 알콜 등; 또는 산제, 환약, 캡술 및 정제의 경우에 전분, 당, 카올린,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등과 같은 고체 담체 등과 같은 보통의 모든 약제학적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정제와 캡슐은 투여에서의 용이함 때문에, 가장 유리한 경구단위투여형이며, 이 경우 명백히 고형 약제학적 담체가 이용된다. 비경구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비록 예를 들면 용해성을 보조하기 위해서 다른 성분이 함유될 수 있을지라도, 담체는 대개 살균한 물, 최소한 대부분의 물을 함유할 것이다. 예를 들면, 주사할 수 있는 용액은 염수, 글루코오스 용액 또는 염수 및 글루코오스의 혼합 용액을 함유하는 담체내에서 제형화될 수도 있다. 또한 주사할 수 있는 현탁액은 적당한 액체 담체, 현탁제 등이 사용되는 경우에 제형화될 수 있다. 경피 투약에 적당한 조성물의 경우, 담체는 임의로 소량의 어떤 적당한 부가제와 결합된 침투 향상 물질 및/또는 적당한 침윤제를 임의로 함유하며, 이 부가제는 피부에 뚜렷한 해로운 효과의 원인이 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부가제는 피부에 투약을 촉진하고/하거나 바람직한 조성물을 제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예를 들면, 경피용 패치(patch), 점적제, 연고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투약될 수 있다. 당해 염기 형태에 대한 증가된 수-용해도에 기인한 일반식 (Ⅰ) 화합물의 산 부가염은 수-조성물의 제제에 명백히 더 적합하다. 전술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것이 투약의 용이성에 대한 투약량의 형태 및 균일한 투약면에서 특별히 유익하다. 여기에서 명세서에 사용된 투약량의 형태는 요구된 약제학적 담체와 결합하여 바람직한 치료적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계산된 예정된 양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단일의 투약으로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적당한 단위를 의미한다. 그러한 투여 단위 형태의 예는 정제 (눈금이 새겨지거나 코팅된 정제를 포함), 캡슐, 필, 포장 분말(powder packet), 웨이퍼(wafer), 주사용 용액제 또는 주사용 현탁제, 찻 숟가락양 제제(teaspoonfuls), 식탁숟가락 제제(tablespoonfuls) 등, 및 그들의 분리된 복수형(segregated multiples)이 있다.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의학적 복용량은 이후 제시한 시점 결과로부터 효과적인 1일 복용량을 쉽게 결정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치료학적 유효 복용량은 체중 1 ㎏당 약 0.001 ㎎/㎏ 내지 0.5 ㎎, 더 바람직하게는 0.01 ㎎ 내지 0.5 ㎎일 것이다. 매일 적당한 간격으로 2, 3, 4회 또는 그 이상의 투여로써 치료학적 유효 복용량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복용량은 예를 들면, 단위 투여 형태당 활성 성분을 0.05 ㎎ 내지 250 ㎎, 특히 0.5 내지 50 ㎎을 함유한 단위 복용 형태로 제형화될 수도 있다.
정확한 복용량 및 투여 빈도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환자가 취할 수도 있는 다른 약물뿐만 아니라 사용된 일반식 (Ⅰ)의 특정 화합물, 질환의 상태, 질환의 심각성, 나이, 체중 및 특정 환자의 일반적인 육체적 건강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구나, 전술한 효과적인 1일 투여량은 투여 환자의 반응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처방하는 의사의 진단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된 범위의 1 일 투여량은 단지 지침서일 뿐이다.
실험 부분
용어 DIPE는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의미하고 MIK는 메틸이소부틸케톤을 의미한다.
A. 중간체의 제조
[실시예 1]
a) 염화암모늄(0.3 mol)을 1,3-디플루오로벤젠(0.26 mol)에 조심스럽게 가하고,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50℃까지 가열하였다. 3-클로로프로피오닐 클로라이드(0.26 mol)를 40 ℃에서 (얼음상에서 냉각) 15 분의 기간에 걸쳐 적가하고, 혼합물을 50 ℃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250㎖), 얼음(250g) 및 HCI (25㎖)에 붓고,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침전을 여과하고 CH2Cl2및 물로 추출하여 40g(75%)의 3-클로로-1-(2,4-디플루오로페닐)-1-프로파논(중간체 1)을 수득하였다.
b) 2-프로파논(500㎖)내의 중간체 (1) (0.2 mol), 1,2,4-트리아졸 (1 mol) 및 탄산칼륨 (165g)의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 및 환류시켰다. 물을 가하고, 혼합물을 물 및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한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CH2Cl2/CH3OH 100/0, 99.5/0.5, 99/1, 98/2 및 96/4)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한 분획을 모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프로판올 중에서 염산염 (1:1)으로 전환시켰다. 침전을 여과하고 75℃의 진공에서 건조시켜 35.6g(65%)의 1-(2,4-디플루오로페닐)-3-(1H-1,2,4-트리아졸-1-일)-1-프로파논 모노하이드로클로라이드(융점 153.8℃, 중간체2)를 수득하였다.
c) 메틸벤젠(500㎖)중의 중간체 (2) (0.106 mol), 1-부탄올(0.15 mol) 및 4-메틸벤젠설폰 산 (24g)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1,2,3-프로판트리올 (0.52 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7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부분적으로 증발시킨 후 CH2Cl2에 용해시키고, NaHCO3수용액으로 중화시켜 NaHCO3수용액으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여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오일로서 31.9g(96%)의 (±)-(시스+트랜스)-2-(2,4-디플루오로페닐)-2-[2-(1H-1,2,4-트리아졸-1-일)에틸]-1,3-디옥소란-4-메탄올 (중간체 3)을 수득하였다.
d) N,N-디에틸에탄아민 (20㎖) 및 디클로로메탄 (250㎖) 중의 중간체 (3) (0.1 mol), 4-메틸벤젠설포닐클로라이드 (0.13 mol) 및 N,N-디메틸-4-피리딘아민 (0.5g)의 혼합물을 빙욕 (ice bath)상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로 2회 추출하고 층을 분리시켰다. 유기 층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한 후, 실온에서 증발시켜 51.3g의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CH2Cl2/CH3OH 98/2)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물을 수집하여 증발시켰다. 분획 1을 n-C4H9OH 중에서 연마하였다. 침전을 여과하여 n-C4H9OH 및 DIPE로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켜 23.2g (50%)의 (±)-트랜스-2-(2,4-디플루오로페닐)-2-[2-(1H-1,2,4-트리아졸-1-일)에틸]-1,3-디옥소란-4-메탄올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에스테르) (융점 101.2℃, 중간체 4)를 수득하였다. 분획 2를 MIK 및 DIPE 중에서 연마하고, 4-메틸벤젠설폰산 염 (1:1)으로 전환시키고 실온에서 건조시켜 9.6g(21%)의 (±)-시스-2-(2,4-디플루오로페닐)-2-[2-(1H-1,2,4-트리아졸-1-일)에틸]-1,3-디옥소란-4-메탄올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에스테르)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1:1) (중간체 5)를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트랜스-2-(4-클로로페닐)-2-[2-(1H-1,2,4-트리아졸-1-일)에틸]-1,3-디옥소란-4-메탄올 4-메틸벤젠설포네이트 (에스테르) (융점 96.7℃, 중간체 6)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a) 1H-1,2,4-트리아졸-4-아민 (44g), 2-브로모-1-(1-나프탈레닐)에타논 (200g) 및 아세토니트릴 (1000㎖)의 혼합물을 환류온도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고 진공중에서 건조시켜 209g(78.4%)의 4-아미노-1-[2-(1-나프탈레닐)-2-옥소에틸]-1H-1,2,4-트리아졸리움 브로마이드 (융점 170℃, 중간체 7)을 수득하였다.
b) 중간체 (7) (209g) 및 염산 (1636㎖)의 혼합물에 포스핀산 용액 (50%) (181g)을 가하였다. 혼합물에 물(299㎖)중의 아질산나트륨(87g)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계속해서 교반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수산화암모늄으로 처리하였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메틸벤젠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102g(68.2%)의 1-(1-나프탈레닐)-2-(1H-1,2,4-트리아졸-1-일)에타논 (융점 130℃, 중간체 8)을 수득하였다.
c) 중간체 (8) (102g), 1,2,3-프로판트리올 (123㎖) 및 메탄설폰산 (400㎖)의 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렇게 하여 수득된 혼합물을 물 및 디클로로메탄중의 탄산수소나트륨(500g)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4-메틸-2-펜타논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고 건조시켜 50.8g (38.8%)의 (시스+트랜스)-2-(1-나프탈레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1,3-디옥소란-4-메탄올 (중간체 9)를 수득하였다.
d) 디클로로메탄 (300㎖), 에틸아세테이트 (300㎖) 및 N,N-디에틸에탄아민 (100㎖)중의 중간체 (9) (0.116 mol) 및 N,N-디메틸-4-피리딘아민 (3g)의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2-나프탈렌설포닐클로라이드 (0.15 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에 붓고 층을 분리시켰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CH2Cl2/CH3OH 96/4)/헥산/EtOAc 50/20/30]에 의해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을 모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IPE/2-프로판올로부터 결정화시켜 12.8g (22%)의 (±)-시스-[2-(1-나프탈레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1,3-디옥소란-4-일]메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중간체 10)를 수득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시스-[2-(1H-이미다졸-1-일메틸)-2-(1-나프탈레닐)-1,3-디옥소란-4-일]메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중간체 11)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a) 4-메틸-2-펜타논 (500㎖)중의 1H-피라졸 (1.3 mol)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환류시켰다. 4-메틸-2-펜타논 (500㎖)에 용해된 1-(2,4-디플루오로페닐)-2-클로로에타논 (0.26 mol)을 적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에 부어 분리시켰다. 유기층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HCI/물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침전을 헥산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한 후, 45℃의 진공중에서 건조시켜 45g (78%)의 1-(2,4-디플루오로페닐)-2-(1H-피라졸-1-일)에타논 (융점 76.4℃, 중간체 12)를 수득하였다.
b) 메탄설폰산 (150㎖) 중의 중간체 (12) (0.17 mol) 및 1,2,3-프로판트리올 (0.85 mol)의 혼합물을 48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한 후, 50℃에서 2 일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포화된 NaHCO3/H2O 용액에 부어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48g)을 DIPE중에서 교반하였다. 침전을 여과하고 60℃의 진공중에서 건조시켜, 46.7g(93%)의 (±)-(시스+트랜스)-2-(2,4-디플루오로페닐)-2-(1H-피라졸-1-일-메틸)-1,3-디옥소란-4-메탄올 (중간체 13)을 수득하였다.
디클로로메탄 (500㎖) 및 N,N-디에틸에탄아민 (60㎖) 중의 중간체 (13) (0.157 mol) 및 N,N-디메틸-4-피리딘아민(5g)의 혼합물을 10℃에서 교반하였다. 2-나프탈렌설포닐클로라이드 (0.175 mol)를 조금씩 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에 붓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용출제: CH2Cl2/CH3OH 99/1)에 의해 정제하였다. 분획을 모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IPE 중에서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침전을 50℃의 진공중에서 건조시켜 30g(39%)의 (±)-시스-[2-(2,4-디플루오로페닐)-2-(1H-피라졸-1-일메틸)-1,3-디옥소란-4-일]메틸-2-나프탈렌설포네이트 (융점 108.8℃, 중간체 14)를 수득하였다.
B. 최종 목적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4]
디메틸설폭사이드 (150㎖)중의 2,4-디하이드로-2-[4-[4-(4-하이드록시페닐)-1-피페라지닐]페닐]-4-프로필-3H-1,2,4-트리아졸-3-온 (5.1g)의 교반 용액에 50% 수소화나트륨 분산액 (0.65g)을 가하였다. 전체 혼합물을 거품이 생길 때까지 50℃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시스-[2-(2,4-디클로로페닐)-2-(1H-이미다졸-1-일메틸)-1,3-디옥소란-4-일메틸]-메탄설포네이트 (5.5g)을 가하고, 80℃에서 4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물에 부어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합하여 묽은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여과한 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상에서 용출제로서 트리클로로메탄 및 메탄올(98.5 : 1.5 부피비)을 사용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시켜 정제하였다. 순수분획을 모아 용출제를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4-메틸-2-펜타논으로부터 결정화시켰다. 생성물을 여과하여 건조시켜 3.8g(42%)의 시스-2-[4-[4-[4-[2-(2,4-디클로로페닐)-2-(1H-이미다졸-1-일-메틸)-1,3-디옥소란-4-일-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페닐]-2,4-디하이드로-4-프로필-3H-1,2,4-트리아졸-3-온 (융점 177.2℃)을 수득하였다.
[표 2]
[표 3]
[표 4]
약물학적 실시예
실시예 5 : 아포리포프로테인 B (아포 B) 억제 시험
저밀도 리포프로테인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배양된 인간 간세포(HepG2-세포)를 37℃에서, 방사성 표지된 로이신을 함유하는 액체 배지중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이렇게 하여 방사성 표지된 로이신을 아포리포프로테인 B에 혼입시켰다. 액체 배지를 경사시키고, 이중 면역침강 반응을 이용하여, 즉, 먼저 아포리포프로테인 B-특이 항체(항체 1)를 액체 배지에 가하고 이어서 두번째 항체(항체 2)를 첨가하여 아포 B-항체1-복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아포리폰프로테인 B를 분리시켰다. 이렇게 하여 형성된 아포B-항체1-항체2 복합체를 침전시키고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하였다. 밤새 합성된 아포리포프로테인 B의 양은 분리된 복합체의 방사능을 측정함으로써 정량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 화합물을 여러 농도로 액체 배지에 가하고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합성된 아포리포프로테인 농도 ((후)아포B의 농도)를 시험 화합물의 부재하에서 합성된 아포리포프로테인 B의 농도((대조)아포B의 농도)와 비교하였다. 각 실험에 있어서 아포리포프로테인-B 형성에 대한 억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다.
억제율 (%)=100 × ((1-후)아포B 농도)/((대조)아포B 농도))
동일한 농도에 대해서 추가의 실험을 수행하여, 이들 실험에 의해 계산된 억제율의 중앙값이 계산되었다. 또한 IC50-값(아포B의 분비를 대조군의 50%까지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약물의 농도)도 계산하였다.
[표 5]
조성물 실시예
하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서 항온 동물에게 전신 또는 국부적 투여에 적합한 투여 단위 형태에서 전형적인 약제학적 조성물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험 전반에 걸쳐 사용된 활성 성분 (A.I.)는 일반식 (Ⅰ)의 화합물, N-옥사이드 형태, 약제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산 부가염 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6 : 경구용 용액
9g의 메틸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1g의 프로필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는 4ℓ의 비등 정제수에 용해시킨다. 이 용액 3ℓ에 먼저 10g의 2,3-디하이드록시부탄디오산을 용해시키고, 이어 20g의 A.I.를 용해시킨다. 후자의 용액은 전자 용액의 잔류 부분과 합치고 거기에 12ℓ의 1,2,3-프로판트리올 및 3ℓ의 소르미톨 70% 용액을 첨가한다. 40g의 소디움 사카린을 0.5ℓ의 물에 용해시키고 2㎖의 라즈베리 및 구즈베리 에센스를 첨가한다. 후자의 용액을 전자의 용액과 합하고 20ℓ를 맞추기 위한 적당량의 물을 가하여 찻숟가락양(5㎖)당 5㎎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경구용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적당한 용기에 채웠다.
실시예 7 : 캡슐
20g의 활성 성분, 6g의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56g의 전분, 56g의 락토오즈, 0.8g의 콜로이드 모양의 실리콘 디옥사이드, 및 1.2g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함께 활발하게 교반한다. 이 혼합물을 20㎎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각각 1000개의 적당한 딱딱한 젤라틴 캡슐에 채운다.
실시예 8 : 필름 코팅된 정제
정제 코어(core)의 제조
100g의 활성 성분, 570g의 락토오스 및 200g의 전분을 잘 혼합시킨 후 약 200㎖의 물중의 5g의 소디움 도데실 설페이트 및 10g의 폴리비닐피롤리돈(콜리돈--케이90) 용액으로 습윤시켰다. 젖은 분말 혼합물을 체(sieve)로 거르고, 건조시키고 다시 체로 걸렀다. 그 후, 100g의 미세 결정 셀룰로오즈(아비셀) 및 15g의 수소화된 야채유를 가하였다. 이 전부를 잘 혼합시키고 정제로 압축시켜 각각 10㎎의 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10,000개의 정제를 만들었다.
코팅
75㎖의 변성 에탄올중의 10g의 메틸 셀룰로오즈(메토셀 60 HG) 용액에 150㎖의 디클로로메탄중의 5g의 에틸 셀룰로오즈 용액을 가하였다. 그 후, 75㎖의 디클로로메탄 및 2.5㎖의 1,2,3-프로판트리올을 가하였다. 10g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용융시키고 75㎖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후자의 용액을 전자에 가한 후 2.5g의 마그네슘 옥타데카노에이트, 5g의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30㎖의 농축 색소 현탁액을(오파스프레이 K-1-2109) 가하고 전체를 균질화시켰다. 코팅장치에서 위에서 얻어진 혼합물로 정제 코어를 코팅하였다.
실시예 9 : 주사용 용액
1.8g의 메틸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0.2g의 프로필 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를 약 0.5ℓ의 주사액용 비등수에 용해시켰다. 약 50℃로 냉각시킨 후 교반시키면서 4g의 락트산, 0.05g의 프로필렌 글리콜 및 4g의 활성 성분을 가하였다. 그 용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1ℓ의 주사 용액이 될 때까지 물을 보충하여 4㎎/㎖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 용액을 만들었다. 용액을 여과시켜(U.S.P. X Ⅶ p.811) 살균하고 멸균 용기에 채웠다.

Claims (11)

  1. 다음 일반식 (Ⅰ)의 화합물,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
    상기식에서,
    R1은 C1-10알킬, C3-7사이클로알킬, 또는 C3-7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C1-6알킬이고;
    R2는 수소 또는 C1-6알킬이며;
    Alk는 C1-3알칸디일을 나타내고;
    -A-는 다음 구조식 (a), (b), (c) 또는 (d)의 2가 라디칼을 나타내며,
    -CH=CH-N=CH-(a),
    -N=CH-N=CH-(b),
    -CH=N-N=CH-(c),
    -CH=CH-CH=N-(d);
    상기 2가 라디칼에서 수소 원자는 C1-6알킬로 대체될 수 있으며;
    Ar은 비치환된 페닐; 할로, C1-6알킬 및 C1-6알킬옥시중에서 선택된 두 개 이하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나프틸; 또는 할로, C1-6알킬 및 C1-6알킬옥시중에서 선택된 두 개 이하의 치환체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Ar이 비치환된 페닐; 두 개 이하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나프틸; 또는 두 개 이하의 할로겐 원자 두 개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인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에틸, 프로필, 2-프로필 또는 2-부틸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시스-2-[4-[4-[4-[[2-(2,4-디플루오로페닐)-2-(1H-1,2,4-트리아졸-1-일-메틸)-1,3-디옥소란-4-일]메톡시]페닐]-1-피페라지닐]페닐]-2,4-디하이드로-4-(1-메틸프로필)-3H-1,2,4-트리아졸-3-온 또는 그의 입체화학적 이성체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인 화합물.
  5.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활성 성분으로서 제 1 항 내지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완전히 혼합시켜 제 5 항에 따르는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7. -A-가 제 1 항에서 정의된 2가 라디칼이며 Ar이 비치환된 나프틸 또는 두 개 이하의 할로겐 원자에 의해 치환된 나프틸인 일반식 (Ⅲ)의 중간체.
  8. Ar이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A-가 구조식 (d)의 2가 라디칼인 일반식 (Ⅲ)의 중간체.
  9. -A- 및 Ar 제 1 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으며 Alk가 C2-3알칸디일인 일반식 (Ⅲ)의 중간체.
  10.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4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화합물.
  11. a) 일반식 (Ⅱ)의 중간체를 일반식 (Ⅲ)의 중간체로 O-알킬화시키거나,
    b) 일반식 (Ⅳ)의 중간체를 일반식 (Ⅴ)의 중간체로 N-알킬화시키거나, 임의로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작용기 변환 반응에 의해 서로 다른 화합물로 전환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치료학적으로 활성인 무독성 산부가염으로 전환시키거나 역으로 산부가염을 알카리에 의해 유리염기형태로 전환시키고/시키거나 그의 입체화학적인 이성체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여, 일반식 (Ⅰ)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식에서,
    R1, R2, -A-, Alk 및 Ar은 제 1 항에서 정의한 바와 같으며,
    W는 할로 또는 설포닐옥시 이탈그룹과 같은 적절한 이탈그룹이다.
KR1019970706751A 1995-04-20 1996-04-12 아포리포프로테인-b합성억제제인신규한트리아졸론 KR100413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1010 1995-04-20
EP95.201.010.6 1995-04-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346A true KR19980703346A (ko) 1998-10-15
KR100413219B1 KR100413219B1 (ko) 2004-05-31

Family

ID=822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751A KR100413219B1 (ko) 1995-04-20 1996-04-12 아포리포프로테인-b합성억제제인신규한트리아졸론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5922718A (ko)
EP (1) EP0871626B1 (ko)
JP (1) JP3782455B2 (ko)
KR (1) KR100413219B1 (ko)
CN (1) CN1076727C (ko)
AT (1) ATE208386T1 (ko)
AU (1) AU699313B2 (ko)
CA (1) CA2217632A1 (ko)
CZ (1) CZ291737B6 (ko)
DE (1) DE69616825T2 (ko)
DK (1) DK0871626T3 (ko)
ES (1) ES2167555T3 (ko)
HK (1) HK1012186A1 (ko)
HU (1) HUP9801056A3 (ko)
IL (1) IL117980A (ko)
NO (1) NO312415B1 (ko)
NZ (1) NZ305869A (ko)
PL (1) PL183737B1 (ko)
PT (1) PT871626E (ko)
TW (1) TW457240B (ko)
WO (1) WO1996033193A1 (ko)
ZA (1) ZA9631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77923C (en) 2002-03-01 2021-02-23 University Of South Florida Multiple-component solid phases containing at least one 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
AU2003243699B2 (en) 2002-06-21 2009-01-15 Transform Pharmaceutical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improved dissolution
CA2525517C (en) * 2003-06-19 2016-05-31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Use of prion conversion modulating agents
US20080057057A1 (en) * 2004-03-18 2008-03-06 Applied Research Systems Ars Holding N.V. Anti-Lipid Rafts Antibodies
US20070293674A1 (en) * 2004-04-22 2007-12-20 Transform Pharmaceuticals, Inc. Novel Saperconazole Crystalline Forms and Related Process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JP2008542255A (ja) * 2005-05-27 2008-11-27 ファイザー・プロダクツ・インク 肥満症の治療または体重減量の維持のためのカンナビノイド−1受容体アンタゴニストおよびミクロソームトリグリセリド輸送タンパク質阻害物質の併用
KR102240329B1 (ko) 2013-06-07 2021-04-14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섬유증의 소분자 억제제
EP3169343B1 (en) 2014-07-15 2020-03-25 Yissum Research and Development Company of the Hebrew University of Jerusalem Ltd. Isolated polypeptides of cd44 and uses thereof
US10336735B2 (en) 2014-12-10 2019-07-02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Small molecule inhibitors of fibrosis
TWI771402B (zh) 2017-04-11 2022-07-21 日商三井化學Agro股份有限公司 吡啶酮化合物及以吡啶酮化合物作為有效成分的農園藝用殺菌劑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6470A (en) * 1975-01-27 1976-02-03 Janssen Pharmaceutica N.V. 1,3-Dioxolan-2-ylmethylimidazoles
US4101666A (en) * 1975-10-06 1978-07-18 Janssen Pharmaceutica N.V. 1-(2-Ar-4-R-1,3-dioxolan-2-ylmethyl)imidazoles
US4218458A (en) * 1978-06-23 1980-08-19 Janssen Pharmaceutica, N.V. Heterocyclic derivatives of (4-aryloxy-methyl-1,3-dioxolan-2-yl)methyl-1H-imidazoles and 1H-1,2,4-triazoles
US4321272A (en) * 1980-08-25 1982-03-23 Syntex (U.S.A.) Inc. Derivatives of substituted N-alkylimidazoles
DE3144318A1 (de) * 1981-11-07 1983-05-19 Bayer Ag, 5090 Leverkusen 2-imidazolylmethyl-2-phenyl-1, 3-dioxola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ihre verwendung als fungizide
US4619931A (en) * 1983-02-28 1986-10-28 Janssen Pharmaceutica, N.V. [[4-[4-(4-phenyl-1-piperazinyl)phenoxymethyl]-1,3-dioxolan-2-yl]methyl]-1H-imidazoles and 1H-1,2,4-triazoles
CA1292472C (en) * 1985-12-03 1991-11-26 Alfonsus Guilielmus Knaeps Derivatives of ¬¬4-¬4-(4-phenyl-1-piperazinyl)- phenoxymethyl|-1,3-dioxolan-2-yl|methyl|-1h-imidazoles and 1h-1,2,4-triazoles
US4791111A (en) * 1985-12-23 1988-12-13 Janssen Pharmaceutica, N.V. [[4-[4-(4-phenyl-1-piperazinyl)phenoxymethyl]-1,3-dioxolan-2-yl]methyl]-1H-imidazoles and 1H-1,2,4-triazoles having anti-microbial properties
NZ223799A (en) * 1987-03-25 1989-12-21 Janssen Pharmaceutica Nv Azolylmethyl-dioxolanylmethoxyphenyl-piperazinyl-phenyl-triazolones and antimicrobial compositions
US4916134A (en) * 1987-03-25 1990-04-10 Janssen Pharmacuetica N.V. 4-[4-[4-[4-[[2-(2,4-difluorophenyl)-2-(1H-azolylmethyl)-1,3-dioxolan-4-yl]me]phenyl]-1-piperazinyl]phenyl]triazolones
WO1995019983A1 (en) * 1994-01-24 1995-07-27 Janssen Pharmaceutica N.V. Watersoluble azole antifung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82455B2 (ja) 2006-06-07
NO974690L (no) 1997-10-10
ZA963152B (en) 1997-10-20
CZ291737B6 (cs) 2003-05-14
DK0871626T3 (da) 2002-02-25
WO1996033193A1 (en) 1996-10-24
AU699313B2 (en) 1998-12-03
IL117980A0 (en) 1996-08-04
NO312415B1 (no) 2002-05-06
AU5399896A (en) 1996-11-07
PT871626E (pt) 2002-04-29
PL322872A1 (en) 1998-03-02
EP0871626B1 (en) 2001-11-07
CZ328897A3 (cs) 1998-01-14
NZ305869A (en) 1998-08-26
EP0871626A1 (en) 1998-10-21
ATE208386T1 (de) 2001-11-15
PL183737B1 (pl) 2002-07-31
CN1076727C (zh) 2001-12-26
CA2217632A1 (en) 1996-10-24
HUP9801056A3 (en) 1999-09-28
KR100413219B1 (ko) 2004-05-31
DE69616825D1 (en) 2001-12-13
IL117980A (en) 2000-02-17
CN1181079A (zh) 1998-05-06
HK1012186A1 (en) 1999-07-30
DE69616825T2 (de) 2002-06-27
US5922718A (en) 1999-07-13
US6197972B1 (en) 2001-03-06
TW457240B (en) 2001-10-01
HUP9801056A2 (hu) 1999-06-28
ES2167555T3 (es) 2002-05-16
NO974690D0 (no) 1997-10-10
JPH11503739A (ja) 1999-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5358C1 (ru) Производные 1,2,4-триазола или их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 приемлемые соли,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ромежуточные соединения
JP3210017B2 (ja) 三置換テトラヒドロフラン抗真菌化合物
KR100227231B1 (ko) 아포리포프로테인-b 합성 억제제
EP0548553A1 (en) Optically active azole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US5039676A (en) Tri- and tetra-substituted-oxetanes and tetrahydrofurans and intermediates thereof
HU211474A9 (en) Azole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US5521186A (en) Apolipoprotein-β synthesis inhibitors
EP0318214A1 (en) Tri- and tetra-substituted-oxetanes and -tetrahydrofurans and intermediates thereof
KR19980703346A (ko) 아포리포프로테인-b 합성 억제제인 신규한 트리아졸론
EP1654254A1 (en) Antifungal azole derivatives having a fluorovinyl moiety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3415865B2 (ja) 光学活性ア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CA2217516C (en) Triazole antifungal agent
CZ282897A3 (cs) N-benzylazoliové derivá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