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118A -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118A
KR19980703118A KR1019970706520A KR19970706520A KR19980703118A KR 19980703118 A KR19980703118 A KR 19980703118A KR 1019970706520 A KR1019970706520 A KR 1019970706520A KR 19970706520 A KR19970706520 A KR 19970706520A KR 19980703118 A KR19980703118 A KR 19980703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valve
tool body
seat surfac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6177B1 (ko
Inventor
스테판 헤롤드
올리버 키르스텐
Original Assignee
랄프 홀거 베렌스, 맨프레드 크네취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홀거 베렌스, 맨프레드 크네취,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 홀거 베렌스, 맨프레드 크네취
Publication of KR1998070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24B1/04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subjecting the grinding or polishing tools, the abrading or polishing medium or work to vibration, e.g. grinding with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9/00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 B24B39/02Burnishing machines or devices, i.e. requiring pressure members for compacting the surface zone; Accessories therefor designed for working internal surfaces of revol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9/00Treating or finishing surfaces mechanically, with or without calibrating, primarily to resist wear or impact, e.g. smoothing or roughening turbine blades or bearings; Features of such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ir treatment being unspecified
    • B23P9/02Treating or finishing by applying pressure, e.g. knur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05Valve or choke making
    • Y10T29/49409Valve seat 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95Associating parts by use of aligning means [e.g., use of a drift pin or a "f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에 있어서는, 밸브폐쇄체가 밸브시트체의 밸브시트면과 접촉 또는 회전운동되고, 높은 진동수를 가지며 또한 회전축선에 평행한 진동운동을 한다. 또한, 밸브 설치시에는 밸브폐쇄체와 밸브시트체가 계속 유지되도록 주의를 해야만 한다.
새로운 방법에 있어서는 밸브시트체(74)가 수용체(23)에 삽입되어, 플런저(46)에 의해서 고정된다. 볼형상의 공구체(150는 누름력을 사용하여 밸브시트체(74)에 밸브시트면(81)에 접촉하여, 소정의 회전방향(11)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방향(11)은 밸브시트체(74)의 회전방향(73)과는 역방햐이다. 밸브시트체 축선(77)과 공구체 회전축선(17)은 상대적으로 경사지기 때문에, 공구체(15)와 밸브시트면(81)의 사이에 윤활제가 공급되어, 항상 미끄럼막이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밸브시트면(81)에 있어서는 탄성적인 변형이 생기게 되고, 또한 비교적 넓은 폭의 평활화된 흔적이, 문제가 있는 함몰이 생기는 일없이 밸브시트면(81)에 부착된다.
해당 방법 및 장치는,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장치에서의 연료분사밸브의 밸브시트면을 가공하는데 특히 적절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에 기재된 방법 또는 청구항 6의 상위개념에 기재된 장치에서 출발한다.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독일 연방 공화국 특허 제3925043호 명세서에 의해서 공지이고, 상기의 경우, 가동의 밸브부재를 밸브시트체의 밸브시트면에 접촉시켜 회전운동시키고, 게다가 높은 진동수를 가지며 회전축선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진동운동을, 밸브시트체 및 가동의 밸브부재에 전달한다. 이때, 밸브가 양호한 밀봉성을 보증하는 극히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는 밸브표면이 제조되지만,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가공된 가동의 밸브부재와 밸브시트체의 개개의 패어링을 유지하기를 계속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것은, 밸브를 설치하기에 불리하고 밸브의 설치과정을 방해하는 것이다.
도 1은 밸브에 있어서의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치를 확대하여 부분적을 나타낸 도면.
이것에 대하여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또는 청구항 6의 특징부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의 표면품질을 간단히 개량할 수 있기 때문에, 절삭가공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밸브의 밀봉성이 가동의 밸브부재에서의 밀봉면과 협력 작용하여 현저하게 개량된다. 밸브시트면과 공구체의 사이의 헤르쯔 응력에 기초하는 탄성적인 변형은, 비교적 넓은 폭의 평활화된 흔적을 밸브시트면에 생기도록 하고, 이 밸브시트면에 있어서는, 밸브시트체의 밸브시트면에 중요한 함몰이 형성되는 일없이 표면거칠기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 의해서 가공된 밸브시트체를 구비한 밸브를 설치하는 한창인 시기에는, 공지의 방법으로 가공된 밸브시트체와는 달리, 미리 규정된 가동의 밸브부재와의 패어링을 지킬 필요는 없다.
청구항 2 내지 5 및 청구항 7 내지 12에 기재된 수단에 의해서,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방법 또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장치의 별도의 유리한 구성 및 개량이 가능하다.
공구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공구체를 회전시켜, 밸브시트체의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시트체 축선에 대하여 경사시키면 특히 유리하고, 이것에 의해 밸브시트체와 공구체의 사이의 접촉면의 영역으로 공급되는 윤활제가, 이 접촉면에 항상 새롭게 공급되어 괄호의 접촉면에 윤활층을 형성하고, 이 윤활층은 밸브 시트체와 공구체의 사이의 걸림을 방지한다. 마찬가지로, 이 장치의 밸브시트체 설치유닛을 수용체와 누름체로 형성하는 것도 유리하고, 이것에 의해 밸브시트체를 간단히 장착, 고정,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밸브에 있어서의 고품질의 표면품질을 가지는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가 도시되며, 이 장치는 장치테두리(1)를 가지며, 이 장치테두리(1)에는 공구유지유닛(2)과 밸브시트체 설치유닛(3)이 지지된다.
공구유지유닛(2)과 밸브시트체 설치유닛(3)은, 장치테두리(1)의 세로축선의 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다. 공구유지유닛(2)은, 지지블럭(4)을 가지고 있고, 이 지지블럭(4)은, 장치테두리(1)의 세로축선에 대하여 경사져서 연장되는 지지구멍(5)이 구비되며, 이 지지구멍(5)에는 베어링부시(6)가 배치되어 있고, 이 베어링부시(6)는 공구수용체(8)를 위한 미끄럼 베어링으로서 작용한다. 즉 이 공구수용체(8)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또한 지지블럭(4)의 지지구멍(5)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 공구수용체(8)에는 풀리(9)가 결합되어 있고 이 풀리(9)에는 구동벨트(10)가 걸려 결합하여, 공구수용체(8)를 화살표(1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벨트구동의 대신에 직접 또는 전동장치를 통해, 공구수용체(8)를 전기모터에 의해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블럭(4)의, 풀리(9)와는 반대측에는, 공구수용체(8)에 스토퍼핀(12)이 고정된다. 공구수용체(8)의 풀리(9)와는 반대의 말단부에는, 도 2에 나타나고 있는 것 같이, 볼형상의 공구체(15)가 고정되어 있다. 이 공구체(15)는, 공구수용체(8)의 말단면(16)에 접촉하여, 거기에 유지되는 1개의 볼체에 의하여 형성되며 유리하다. 이 때문에, 파선(破線)으로 나타난 원추구멍(19)이 말단면(16)으로부터 공구수용체(8)의 내부에 연장되어 있고, 이 원추구멍(19)이 볼체를 센터링한다. 공구체(15)는, 예를 들면 접착, 납땜접합 또는 이들에 유사한 것, 또는 원추구멍(19) 내에 음압이 생기도록 함에 의해, 공구수용체(8)에 유지된다. 공구체(15)는, 공구수용체(8)와 동시에, 공구수용체(8)의 세로축선이기도 한 공구체 회전축선(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지지블럭(4)에는 인장코일 용수철(18)의 한쪽의 말단부가 걸려 결합하고 있고, 이 인장코일 용수철은 그 다른 쪽의 말단부에서 장치테두리(1)에 고정되어, 공구유지유닛(2)에 대하여 이 공구유지유닛(2)을 밸브시트체 설치유닛(3)의 방향으로 시프트시키기 위한 힘을 가한다.
밸브시트체 설치유닛(3)은 베이스체(21), 누름체(22) 및 수용체(23)를 갖는다. 이 수용체(23)는 사발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용체(23)의 밑바닥부(24)는, 장치테둘(1)에 결합된 고정위치의 베어링체(25)를 넘어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베어링체(25)는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통로(28)를 가지고 있고, 이 관통통로(28)를 관통하여 지지블럭(4)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공구수용체(8)의 말단부가, 공구체(15)를 수용체(23)의 밑바닥부(24)에 계단부착되어 설치된 수용개구부(29)의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연장된다. 수용개구부(29)는 밑바닥부(24)를 관통하여, 베어링체(25)에 면하는 제1의 구분(30)을 갖는다. 이 제1의 구분(30)은 수용계단부(31)에 있어서, 제1의 구분(30) 보다도 큰 직경을 가지는 제2의 구분(32)으로 이행한다. 베어링체(25)에는 구름베어링(35)이 적재부착되고, 이 구름베어링(35)에는 원통주벽(36)을 구비한 수용체(23)가 적재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용체(23)는 베어링체(25)를 중심으로 하여, 장치테두리(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수용체(23)의 지지블록(4)과는 반대측에는, 베이스체(21)가 장치테두리(1)에 축방향에서 동작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이스체(21)의 지지개구부(37)에는 2개의 구름베어링(38)이 축방향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서 압력 삽입되어 있고, 또한 양쪽 구름베어링(38)의 사이에는 스페이서 슬리브(39)가 배치된다. 외측의 스페이서 슬리브(390는, 베이스체(21)를 관통하는 적어도 1개의 클램프나사 또는 핀에 의해서 고정된다. 구름베어링(38)에는 누름체(22)의 샤프트체(42)가 압력 삽입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이 샤프트체(42)는 베이스체(21) 내에 부분적으로 돌입된다. 누름체(22)는 마찬가지로 컬러체(43)를 가지고 있고, 이 컬러체(43)는 베이스체(21)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샤프트체(42)의 말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수용체(23)에 면하고 있다. 컬러체(43)에는 탄성적인 링체(44)가 배치되어 있고, 이 링체(44)를 사용하여 컬러체(43)는 수용체(23)에 접촉가능하고, 이 수용체(23)를 누름체(22)의 회전시에, 마찰접속에 의해서 같은 회전방향으로 연행한다. 누름체(22)의 샤프트체(42) 및 컬러체(43)에 설치된 미끄럼 구멍(45)은, 플런저(46)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이 플런저(46)는 압축코일 용수철(49)에 의해서 수용체(23)의 방향으로 부하된다. 이 압축코일 용수철(49)의 탄성력은 인장코일 용수철(18)의 탄성력보다 크다. 컬러체(43)로부터 돌출한 플런저(46)의 말단부에는, 유리하게는 탄성적으로 형성된 누름체(50)가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의 경우, 이 누름체(50)를 수용하고 있는 플런저(46)의 말단부의 주위에는, 2개 이상의 면(51)이 설치되어 있고, 플런저(46)의 말단부는 연행링(52) 내에 돌입된다. 이 연행링(52)은 나사(53)에 의해서 컬러체(43)의 내부에 유지되고 또한 연행개구부(56)를 갖는다. 이 연행개구부(56)는 면(51)에 대응하는 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누름체(22)의 회전시에 연행링(52)에 의해서, 플런저(46)에 같은 회전운동이 야기된다.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플런저(46)의 벽에 설치된 연행링 대신에 연행홈(57)이 형성된다. 이 연행홈(57)에는, 샤프트체(42)의 벽을 관통하는 연행핀(58)이 돌입된다.
컬러체(43)에 이반(離反)된 쪽에서 미끄럼구멍(45) 내에는 전달핀(59)이 돌입하고 있고, 이 전달핀(59)에 플런저(46)와는 이반한 쪽의, 압축코일 용수철(49)의 말단부가 접촉하고 또한 제1의 가로방향핀(60)이 관통하고 있고, 이 제1의 가로방향핀은 샤프트체(42)의 벽도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전달핀(59)과 샤프트체(42)는 상호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샤프트체(42)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전달핀(59)의 말단부에는, 제2의 가로방향핀(63)이 관통하여 스페이서 슬리브(64)에 돌입(突入)된다. 이 스페이서 슬리브(64)는, 전달핀(59)에 면하며 포크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전달핀(59)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제2의 가로방향핀(63)을 통해 긴쪽방향홈(65)과 걸려 결합된다. 따라서 스페이서 슬리브(64)의 회전시에, 전달핀(59)이 같은 회전방향으로 연행된다. 스페이서 슬리브(64)의 연결개구부(66)에는, 베이스체(21)에 고정된 전기모터(70)이 회전축(67)이 돌입하고 있고, 이 회전축(67)은, 연결개구부(66)의 키홈(72)과 회전축(67)과 돌입하고 있는 결합키(71)를 통해, 상대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모터(70)는 스페이서 슬리브(64)를 통해, 누름체(22)을 화살표(73)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화살표(73)의 방향은, 공구수용체(8)의 회전방향(화살표(11))과는 역방향이다.
도 1 및 도 2에는 밸브시트체 설치유닛(3)이 각 소정의 위치에 도시되며, 이 위치에서 밸브시트체(74)가, 수용체(23)의 수용개구부(29)의 수용계단부(31)에 적재부착되고, 누름체(22)의 플런저(46)에 의해서 해당 위치에 유지된다. 이 위치에는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시트체 축선(77)이 밸브시트체 설치유닛(3)의 세로축선(78)과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밸브시트체(74)는, 누름체(22)의 화살표(73)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마찬가지로 밸브시트체 축선(77)을 중심으로 하여, 세로축선(7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회전하도록, 플런저(46)와 수용체(23)의 사이에 단단하게 조여 고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구체 회전축선(17)은 밸브시트체 축선(77)에 대하여 각도 α 만큼 경사지며, 이 각도는, 대략 2 내지 10°의 사이, 특히 3°이다. 밸브시트체(74)는, 밸브시트체 축선(77)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연장되고 또한 계단부착된 구분을 사용하여 밸브시트체(74)를 관통하고 있는 긴쪽방향구멍(79)을 갖는다. 더욱이 안내구분(80)에 있어서, 밸브시트체 축선(77)에 대하여 평행한 수용계단부(31)의 벽의, 수용계단부(31)와는 이반된 쪽에 역시 긴쪽방향구멍(79)의 구분으로서 밸브시트면(81)이 접속되어 있고, 이 밸브시트면(81)은, 수용계단부(31)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에서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되어, 밸브시트체(74)는, 예를 들면 내연기관, 특히 혼합기 압축형의 불꽃점화식의 내연기관의 연료분사장치의 공지의 연료분사밸브에 사용된다. 밸브시트체(74)의 긴쪽방향구멍(79)에는 공구체(15)를 구비한 공구수용체가 돌입하고 있고, 더욱이 볼형상의 공구체(15)는, 인장 코일 용수철(18)에 의해서 가해진 약 5 내지 50N, 특히 약 20N의 누름력을 사용하여, 밸브시트면(81)에 눌러부착된다. 이때, 밸브시트면(81)과 볼형상의 공구체(15)는 소정의 접촉면에서 접촉하고, 이 접촉면에는, 밸브가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가동의 폐쇄체, 특히 볼형상으로 형성된, 공구체(15)와 같은 직경의 폐쇄체가 치밀하게 접촉된다. 밸브시트체(74)는 금속, 특히 합금강으로 제조된다. 볼형상의 공구체(15)를 위해서는, 적어도 밸브시트체(74)와 동등의 경도를 가지는 재료 예를 들면 구리, 세라믹, 글라스 또는 이들에 유사한 것이 선택된다. 밸브시트체(74)를 가공하기 위해서는 우선, 베이스체(21)를 누름체(22)와 동시에 장치테두리(1)의 세로축선(78)을 따라서, 베이스체(21)가 수용체(23)에 대하여 충분히 큰 간격을 가지도록 시프트시킨다. 이것에 의해 밸브시트체(74)를, 그 밸브시트면(81)이 공구체(15)에 접촉하도록 수용개수부(29)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누름체(22)가 수용체(23)로부터 들어올려질 경우, 공구유지유닛(2)은 인장코일 용수철(18)의 힘으로, 지지블럭(4)이 장치테두리(1)의 스토퍼핀(84)에 접촉할때까지 장치테두리(1)를 따라서 수용체(23)의 방향으로 시프트된다. 이 위치에서 공구체(15)는 수용개구부(29)로부터 돌출하여, 이것에 의해 밸브시트체(74)의 공구체(15)에의 적절한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예를 들면 공기식 실린더 또는 액압식 실린더를 사용하여, 컬러체(43)의 링체(44)가 수용체(23)에 접촉하고, 또한 밸브시트체(74)가 누름체(50)에 의해서 수용계단부(31)에 확실히 눌러질때까지, 베이스체(21)가 누름체(22)와 동시에 수용체(23)를 향하여 시프트된다. 이때, 공구유지유닛(2)은 공구체(15)와 동시에 인장코일 용수철(18)의 힘에 저항하여 시프트되어, 스토퍼핀(84)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이 위치에서 공구체(15)는, 인장코일 용수철(18)에 의해서 가해진 예를 들면 20N의 누름력으로 밸브시트면(81)에 접촉된다. 공구체(15)와 밸브시트면(81)의 사이의 걸림을 회피하기 위해서, 공구체(15)와 밸브시트면(81)의 사이의 접촉면의 영역에, 예를 들면 연마유 등의 유상의 윤활제를 공급하는 것이 유효하게 된다. 이 윤활제는, 윤활제 공급장치(85)에 의해서, 가동의 윤활제 도관(86)을 통해 밸브시트면(81)과 공구체(15) 사이의 접촉면의 영역에, 공구체(15)로의 밸브시트체(74)의 적재부착전 및 적재부착후, 또는 가공행정이 한창인 때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서는 밸브시트면(81)이 밸브시트체(74)의 공구체(15)로의 적재부착전에 윤활제로 적셔진다. 밸브시트체(74)가 공구체(15)에 장착되어 장치가 폐쇄된 경우, 공구체(15)는 화살표(11)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지고, 밸브시트체(74)는 반대의 회전방향, 결국 화살표(73)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진다. 이때, 밸브시트체(74)는 약 2000 내지 5000회전/분, 특히 약 4000회전/분으로 회전하고, 공구체(15)는 약 300 내지 1000회전/분, 특히 약 500회전/분으로 회전된다. 가공시간은 대략 30초이다.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공구체(15)와 밸브시트체(7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반드시 불가결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공구체(15) 및 밸브시트체(74) 중의 한쪽이 정지하거나, 또는 공구체(15) 및 밸브시트체(74)의 양쪽이 같은 방향으로 다른 회전수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구체(15)가 밸브시트면(81)에 눌려지면, 그 접촉면의 영역에서의 밸브시트면(81)에 헤르쯔 응력에 근거하는 탄성적인 변형이 초래된다. 이것에 의해, 비교적 넓은 폭의 평활화된 흔적이 문제가 있는 함몰이 생기도록 하는 일없이 밸브시트면에 부착되고, 이 밸브시트면은, 나중에 밸브폐쇄체에 조합되는 때에, 밸브를 치밀하게 폐쇄하는 것을 보증한다. 밸브시트체 축선(77)에 대한 공구체 회전축선(17)의 각도 α의 경사는, 새로운 윤활제가 밸브시트면(81)과 공구체(15) 사이의 접촉면의 영역에 항상 공급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걸림을 회피하는 윤활제의 막이 상기 접촉면에 끊임없이 형성되도록 된다.

Claims (12)

  1. 밸브시트체에 형성된 1개 이상의 경사진 밸브시트면이 구비된 밸브, 특히 내연기관용의 연료분사밸브에서, 밸브시트체의 밸브시트면을 공구체와 접촉시키며 밸브시트체와 공구체를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시켜, 상호 마주 향하는 방향에서 소정의 누름력에 의해서 부하시키는 방법으로,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방법에 있어서, 볼형상으로 형성된 공구체(15)가, 소정의 누름력(18)에 의해서 밸브시트체(74)의 밸브시트면(81)에 접촉되며, 밸브시트면(81)과 공구체(15)가 그 접촉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시트체(74)가, 밸브시트체 축선(7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공구체(15)가, 공구체 회전축선(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고, 밸브시트체 축선(77)과 공구체 회전축선(17)이 상대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누름력(18)은, 공구체(15)를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밸브시트체(74)와 공구체(15)는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시트면(81)과 공구체(15) 사이의 접촉면 영역에 윤활제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6. 밸브시트체로 형성된 1개 이상의 경사진 밸브시트면을 구비한 밸브, 특히 내연기관용의 연료분사밸브에서 공구체가 구비되며, 해당 공구체가, 공구유지유닛의 공구수용체에 유지되고, 해당 공구수용체와 동시에 공구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고, 밸브시트체 설치유닛 및 밸브시트체와 공구체를 서로를 향하여 부하되는 누름력을 사용하여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시하게 되는 형식의 것으로,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 시트면 제조 장치에 있어서, 공구체(15)가 볼형상으로 형성되며, 누름력(18)의 크기, 밸브시트면(81)과 공구체(15)가 그 접촉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지 않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밸브시트체(74)는, 긴쪽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시트체 축선(77)을 가지며, 해당 밸브시트체 축선과 공구체 회전축선(17)이 상대적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누름력은, 공구체(15)를 통해 탄성력(18)에 의해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밸브시트체(74)와 공구체(15)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장치.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밸브시트면(81)과 공구체(15) 사이의 접촉면 영역에 윤활제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밸브시트체 설치유닛(3)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수용체(23)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누름체(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누름체(22)는, 축방향으로 시프트 가능하게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장치.
KR1019970706520A 1996-01-20 1996-10-12 높은밸브표면품질을가지며회전대칭인밸브시트면제조방법및장치 KR100416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02068A DE19602068C2 (de) 1996-01-20 1996-01-20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otationssymmetrischen Ventilsitzflächen mit hoher Oberflächengüte an Ventilen, insbesondere Brennstoffeinspritzventilen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602068.9 1996-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118A true KR19980703118A (ko) 1998-10-15
KR100416177B1 KR100416177B1 (ko) 2004-05-20

Family

ID=778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520A KR100416177B1 (ko) 1996-01-20 1996-10-12 높은밸브표면품질을가지며회전대칭인밸브시트면제조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78637B1 (ko)
EP (1) EP0817699B1 (ko)
JP (1) JP4040093B2 (ko)
KR (1) KR100416177B1 (ko)
CN (1) CN1077824C (ko)
BR (1) BR9607798A (ko)
DE (2) DE19602068C2 (ko)
WO (1) WO19970261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33B1 (ko) * 2006-03-06 2008-01-11 (주)덕산보링공업사 엔진의 밸브 시트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57117A1 (de) 1997-12-20 1999-06-2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ntilsitzkörpers für ein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Brennstoffeinspritzventil
US6530727B2 (en) 1998-04-13 2003-03-11 Harmand Family Limited Partnership Contour machining head
US6086293A (en) * 1998-04-13 2000-07-11 Harmand Family Limited Partnership Cutting tool for machining valve seats
US6640410B2 (en) 1998-04-13 2003-11-04 Harmand Family Limited Partnership Line transfer system with a contour machining head
DE10360706A1 (de) * 2003-12-19 2005-07-14 Aweco Appliance Systems Gmbh & Co. Kg Ventil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Ventils
DE102005044087A1 (de) * 2005-09-08 2007-03-15 Schott Ag Aktor zur Bewegung eines Werkzeuges
DE102006019980A1 (de) * 2006-04-29 2007-10-31 Baublies Ag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Oberflächen, insbesondere zum Glätten und/oder Verfestigen von Wandteilen eines Werkstückes, sowie Vorrichtung zum Durchführen des Verfahrens
US7774942B2 (en) * 2006-10-09 2010-08-17 Pacific Handy Cutter, Inc. Utility knife
US8256092B1 (en) 2008-01-30 2012-09-04 Makino Inc. Method for helical boring
CN102091676A (zh) * 2010-09-05 2011-06-15 张永忠 振板用无堵塞喷水嘴
DE102011050662B4 (de) * 2011-02-10 2015-05-28 Mauser-Werke Oberndorf Maschinenbau Gmbh Walzwerkzeug
DE102011011276A1 (de) 2011-02-11 2012-08-16 Ferroll Gmbh Fluidostatische Walzvorrichtung zur Oberflächenbearbeitung und Verfahren zur Randschichtumformung
RU2475348C1 (ru) * 2011-06-30 2013-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Н.Э. Баумана" Способ дорнования
CN104249280B (zh) * 2013-06-28 2017-04-26 自贡硬质合金有限责任公司 抽油泵阀座研磨装置及其研磨方法
CN105689960A (zh) * 2016-04-25 2016-06-22 郭明利 便携式超声驱动压光刀
CN106141732B (zh) * 2016-07-29 2018-03-0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行自动控制研究所 一种用于钢球座微细精整加工的装夹与定位装置
KR102565408B1 (ko) * 2021-08-26 2023-08-08 조명래 볼 밸브 래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2843A (en) * 1939-01-07 1941-02-25 Nat Acme Co Method and means for burnishing spherical seats
DE934747C (de) * 1940-05-29 1955-11-03 Nat Acme Co Presspolierwerkzeug
DE812767C (de) * 1948-10-02 1951-09-03 Kloeckner Humboldt Deutz Ag Schleifvorrichtung zur Bearbeitung einer kalottenfoermigen Duesennadelsitzflaeche bei Brennstoffeinspritzduesen fuer Diesel-Motoren
US3400440A (en) * 1964-03-18 1968-09-10 Lavette Engineering & Mfg Co Method of making and reconditioning ball valves
DE2907256C2 (de) * 1979-02-24 1985-08-14 Kaliningradskij techničeskij institut rybnoj promyšlennosti i chozjajstva, Königsberg/Kaliningrad Werkzeug zur Bearbeitung von Bohrungen durch bildsames Umformen
JPS55126167A (en) * 1979-03-23 1980-09-29 Tlv Co Ltd Manufacture of valve seat for ball valve
US4398407A (en) * 1981-01-26 1983-08-16 Amsted Industries Incorporated Sizing of powder metal parts
JPS5989876A (ja) * 1982-11-12 1984-05-24 Diesel Kiki Co Ltd 電磁弁の製造方法
JPS60118462A (ja) * 1983-11-30 1985-06-25 Keihin Seiki Mfg Co Ltd 燃料噴射弁における弁座形成体の加工方法
DE3925043A1 (de) * 1988-08-26 1990-03-08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ichtflaechen an ventilen
US5826453A (en) * 1996-12-05 1998-10-27 Lambda Research, Inc. Burnish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layer of compressive residual stress in the surface of a workpie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633B1 (ko) * 2006-03-06 2008-01-11 (주)덕산보링공업사 엔진의 밸브 시트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5678D1 (de) 2000-09-07
CN1077824C (zh) 2002-01-16
CN1175919A (zh) 1998-03-11
DE19602068A1 (de) 1997-07-24
US6178637B1 (en) 2001-01-30
EP0817699A1 (de) 1998-01-14
KR100416177B1 (ko) 2004-05-20
BR9607798A (pt) 1998-07-07
DE19602068C2 (de) 1998-07-02
WO1997026112A1 (de) 1997-07-24
JP4040093B2 (ja) 2008-01-30
EP0817699B1 (de) 2000-08-02
JPH11502472A (ja) 199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3118A (ko) 높은 표면품질을 가지며 회전대칭인 밸브시트면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456241B1 (ko) 동력전송벨트를위한텐셔너와그제조방법
US5375323A (en) Method for securing shaft of cam follower device for valve action mechanism
JP4540974B2 (ja) 補機駆動用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RU2252342C2 (ru) Холостой шкив
GB2287768A (en) A belt tensioner
US7013854B1 (en) Device for the hydraulic adjustment of the angle of rotation of a camshaft in relation to a crankshaf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215273B2 (en) Camshaft adjus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integrated valve slide
US4854922A (en) Belt tensioning device
JPH0624249U (ja) オートテンショナ
FR2493954A1 (ko)
KR20050025338A (ko) 잠금식 중앙 아이들러용 인장 메카니즘
FR2753499A1 (fr) Palier de butee a billes
EP0774579A1 (fr) Dispostif pour la fixation d'un injecteur de carburant sur une culasse de moteur à combustion interne
GB2331139A (en) holder for tensioning devices
JPH0214682Y2 (ko)
JPH053803Y2 (ko)
JPH053800Y2 (ko)
KR100440021B1 (ko) 크랭크축의 진동 소음을 저감하는 밸런스 샤프트 장치
JP2004293631A (ja) スライドスプライン装置
JPH0638197Y2 (ja) ベルト張り装置
JPH053804Y2 (ko)
KR20040095419A (ko) 자동차 엔진용 실린더 라이너의 장착방법
JPH0140357Y2 (ko)
JPH0538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