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567A - 리그닌-기본 폴리올 - Google Patents

리그닌-기본 폴리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567A
KR19980702567A KR1019970705973A KR19970705973A KR19980702567A KR 19980702567 A KR19980702567 A KR 19980702567A KR 1019970705973 A KR1019970705973 A KR 1019970705973A KR 19970705973 A KR19970705973 A KR 19970705973A KR 19980702567 A KR19980702567 A KR 19980702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nin
composition
polyol
pulping process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네쓰 알. 커플
Original Assignee
케네쓰 알. 커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네쓰 알. 커플 filed Critical 케네쓰 알. 커플
Publication of KR1998070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56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1/00Methods of preparing compounds of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B, C01C, C01D, or C01F,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G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 C07G1/00Lignin; Lignin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4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8G18/42 - C08G18/63
    • C08G18/6492Lignin containing materials; Wood resins; Wood tar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HDERIVATIVES OF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H6/00Macromolecular compounds derived from lignin, e.g. tannins, hum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05Lign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펄핑 과정으로부터 손쉽게 입수할 수 있는 특정의 리그닌은 발포체 및 우레탄 플라스틱 제조를 위한 이소시아네이트 시스템의 폴리올 성분으로서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리그닌의 사용은 내습성 및 내연성을 제공하고 충분한 경도를 지닌 제품을 생성한다. 나트륨 수준은 하이드록실 그룹과 이소시아네이트간의 반응이 최적 특성을 지닌 제품을 생성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Description

리그닌-기본 폴리올
현재 발포체 및 우레탄 플라스틱은 폴리올을 작용가가 적어도 2 이상인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되고 있다. 폴리올은 적어도 작용가가 적어도 2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분자일 수 있다. 폴리올은 또한 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를,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고체 플라스틱 또는 발포체를 생성하게 될 펜던트 하이드록실 그룹을 지니는 다양한 분자량을 갖는 분자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에틸렌 글리콜 또는 글리세린과 같은 분자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경질 발포체 또는 우레탄 플라스틱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폴리올 1부와 이소시아네이트 1부를 반응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이유는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반적으로 방향족환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점이 발포체를 경질이 되게하고, 고 가교밀도를 지니게 한다.
또한, 이러한 고수준의 이소시아네이트의 주된 단점은 발포체가 연소될 때, 일반적으로 분자의 이소시아네이트 부분에서 유도되는 고수준의 유독가스가 생성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유독성 증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면 대단히 유리할 것이다.
폴리올 부분으로서 리그닌 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유리하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중 하나는 시스템의 폴리올 부분에 리그닌 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의 양이 40% 이상 감소될 수 있으며 여전히 경질의 발포체를 생성한다는 점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이소시아네이트 부분으로부터 유도되는 유독가스의 양이 감소된다.
리그닌 분자는 목재, 밀짚, 사탕수수 및 기타 천연재료에서 발생하는 천연의 페놀형 분자이다. 일반적으로, 페이퍼 제조를 위한 펄핑 과정의 부산물로서 생성되는 리그닌의 대부분은 발열량 회수를 위해 바로 연소된다. 미국에서만 연간 500억 lb 이상의 리그닌이 단지 열을 얻기 위하여 연소되고 있다. 크래프트(Kraft) 펄핑 과정, 설파이트 펄핑 과정, 반기계적 펄핑 과정, 열기계적 펄핑 과정, 반화학적 펄핑 과정, 용매 과정, 증기-폭발 펌핑 과정 및 바이오매스 펄핑 과정으로부터의 어떠한 리그닌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그닌-기본 폴리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로서, 특정의 리그닌이 이소시아네이트 시스템을 위한 폴리올 성분으로서 상당히 잘 작용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리그닌은 시스템의 어떠한 최종 특성을 원하느냐에 따라 시스템에 상이한 수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그닌 분자의 사용은 또한 발포체의 내습성을 현저히 개선시키는 데, 사실 적정 수준의 리그닌이 우레탄 발포체에 사용될 경우, 우레탄 발포체는 습기와 직접 접촉될 때 조차도 습기가 거의 스며들지 않게 될 것이다. 본 폴리올을 사용하여 제조된 상용 발포체는 사실상 스폰지와 같이 습기를 흡수한다. 폴리올 시스템의 부분으로서 리그닌을 사용하는 다른 주요 장점은 발포체 완제품 또는 우레탄 플라스틱 부품의 우레탄 발포체의 내연성이다. 이러한 이유는 리그닌이 천연 난연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주된 양태 중 하나는 리그닌 분자가 에틸렌 옥사이드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에 용이하게 가용성이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매우 중요한 데, 그 이유는 보통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단지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제조될 때, 생성되는 폴리올이 리그닌 분자를 쉽게 용해하지 않고, 다수의 경우 상분리가 일어나며 양질의 우레탄 발포체 또는 플라스틱 제품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은 폴리올 부분으로서 에틸렌 옥사이드가 리그닌과의 이러한 블렌드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현행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각종 리그닌에 대하여 경미한 정도의 용해도만을 나타내는 경우 이러한 사실로 말미암아 고품질의 발포체 또는 우레탄 플라스틱 부품의 생산이 매우 곤란하게 되는 데 그 이유는 이소시아네이트가 리그닌 폴리올 블렌드에 첨가될 때 리그닌이 상분리 경향을 보이고 이로 인해 일관된 물리적 제품을 제조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임이 발견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양태 중 하나는 고품질 우레탄 발포체 및 플라스틱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나트륨이나 또는 리그닌 중에 존재하는 칼륨 같은 기타 부식성 이온의 양이 최종 우레탄 제품의 특성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는 수중 염기성 pH를 생성하는 물질이 우레탄 결합을 생성하는 이소시아네이트 하이드록실 반응을 위한 초강력 촉매로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익히 공지된 사실 때문이다. 따라서, 나트륨 수준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하이드록실 그룹과 이소시아네이트간의 반응을 지나치게 속행시켜 매우 열악한 품질의 제품이 생성될 수 있다. 일단 리그닌 기본 폴리올이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면 유용한 산물을 생성시킬 수 있기에 충분히 낮은 수준으로 나트륨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음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주된 양태 중 하나이다. 또한, 고수준의 나트륨 이온 또는 칼륨과 같은 기타 무기 이온은 시간 경과에 따라 실질적으로 발포체를 분해하게 된다.
실시예 1
적절한 용기내에서 용매 펄핑 과정으로부터 생성된 리그닌 300부 및 WL-440(프로필렌 옥사이드와 에틸렌 옥사이드의 배합물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700부를 교반하에 적절한 믹서 및 필요하다면 가열 및 고압을 이용하여 블렌딩하기 위하여 열과 압력을 사용한다. 이러한 혼합물을 200 ℉로 가열시켜 용액 속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흑색 용액이 생성될 때까지 계속 혼합한다. 결과적으로 다음과 같은 물리적 점도를 지닌 액체 물질이 생성된다: 100 ℉에서 1532 센티스트로크(점도는 사용되는 특정 리그닌에 따라 좌우된다).
실시예 2
열경화성 우레탄 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수지 용액 1.5부를 Rubinate R1840(ICI 제품) 1부와 혼합하여 금형에 붓고 경화시킨다. 금형을 압축 성형에서와 같이 가열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초경질의 강인한 플라스틱이 생성되게 된다. 산물의 경도는 사용된 특정 리그닌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실시예 3
발포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리그닌 기본 폴리올 2부를 물 0.05부 및 Rubinate R1840 1부와 예비혼합한 다음 적절한 용기중으로 부으면 자유 융기 발포체가 생성될 것이다.
실시예 4
저밀도 발포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발포제를 실시예 1에서의 리그닌 기본 폴리올과 혼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리그닌 기본 폴리올 2부를 Forane 141 b(1.1 디클로로-1-플루로에탄) 0.6부와 예비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을 Rubinate R-1840 1부와 혼합하고, 이어서 적절한 용기중으로 부으면 자유 융기 저밀도 발포체가 생성되게 된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리그닌 기본 폴리올-기제 우레탄 코팅을 제조하기 위하여, 실시예 1의 리그닌 기본 폴리올 1부를 코팅 적용에 따라 적절한 코팅 용매 1부와 혼합한다. 이어서, 이 예비혼합물을 Rubinate R-1840 1부와 혼합하고 생성되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각종 물질을 코팅한다. 이러한 생성되는 혼합물의 점도는 최종 코팅 적용에 따라 적절한 용매로 조정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전문가는 크래프트 리그닌 또는 기타 유형의 리그닌도 사용될 수 있음을 숙지한다.

Claims (23)

  1. 이소시아네이트와 용이하게 반응하여 발포체, 플라스틱 또는 기타 유용한 물질을 생성할 수 있는 혼합물인 리그닌 폴리올을 생성하기 위하여 리그닌이 폴리올과 블렌딩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과의 블렌딩에 사용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반응성 물질 중 하나로서 1 내지 100%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이 리그닌과의 블렌딩에 사용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혼합물이 리그닌과의 블렌딩에 사용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아미노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이 리그닌과의 블렌딩에 사용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그닌이 용매 펄핑 과정으로부터 유래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그닌이 크래프트 페이퍼 펄핑 과정으로부터 유래하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이 바이오매스 과정으로부터 유래하는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이 기계적 펄핑 과정으로부터 유래하는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이 설파이트 페이퍼 펄핑 과정으로부터의 리그노설포네이트인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WL-440(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된 폴리올)인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WL-1590(Huntsman Chemical에 의하여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된 폴리올)인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이 설파이트 페이퍼 펄핑 과정으로부터의 리그노설포네이트인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WL-400(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로부터 생성된 폴리올)인 조성물.
  15.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이 반-기계적 펄프로부터의 리그닌인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그닌이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회분 수준을 갖는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그닌이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의 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
  18. 제1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그닌이 바람직하게는 500 ppm 이하의 나트륨을 함유하는 조성물.
  19.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이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수용성 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
  20. 생성되는 발포체 또는 우레탄 산물의 내습성 개선을 위하여 리그닌이 폴리올에 첨가되는 조성물.
  21. 우레탄 발포체 또는 우레탄 산물의 내연성 개선을 위하여 리그닌이 폴리올에 첨가되는 조성물.
  22. 제1항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와 리그닌 기본 폴리올의 하이드록실 그룹의 반응속도가 발포체, 플라스틱 및 코팅과 같은 유용 산물 생성을 위해 충분히 조절가능하도록 나트륨 수준이 충분히 낮은 조성물.
  23. 제1항에 있어서, 리그닌 기본 폴리올이 적절한 용매와 블렌딩되고 적당한 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되어 각종 기질을 위한 우레탄 코팅을 생성하는 조성물.
KR1019970705973A 1995-12-29 1996-12-27 리그닌-기본 폴리올 KR199807025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52995P 1995-12-29 1995-12-29
US60/009529 1995-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567A true KR19980702567A (ko) 1998-07-15

Family

ID=21738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973A KR19980702567A (ko) 1995-12-29 1996-12-27 리그닌-기본 폴리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812326A4 (ko)
JP (1) JPH11501946A (ko)
KR (1) KR19980702567A (ko)
CN (1) CN1176643A (ko)
AU (1) AU1336497A (ko)
BR (1) BR9607058A (ko)
CA (1) CA2214013C (ko)
EA (1) EA199700204A1 (ko)
MX (1) MX9706348A (ko)
NO (1) NO973988L (ko)
PL (1) PL322023A1 (ko)
SE (1) SE9703037D0 (ko)
WO (1) WO19970243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9810C (zh) * 2001-06-15 2009-03-18 独立行政法人产业技术综合研究所 木质素系聚氨酯及其制造方法
ITTO20090351A1 (it) * 2009-05-04 2010-11-05 Univ Pisa Procedimento di produzione di schiume poliuretaniche/poliureiche da materiali a base di lignina
WO2010135804A1 (en) 2009-05-28 2010-12-02 Lignol Innovations Ltd. Derivatives of native lignin
WO2010135832A1 (en) * 2009-05-28 2010-12-02 Lignol Innovations Ltd. Resin compositions comprising lignin derivatives
JP2011219715A (ja) * 2010-02-10 2011-11-04 Hitachi Chem Co Ltd 成形用樹脂コンパウンド材料
CN102844357B (zh) 2010-02-15 2016-09-07 丽格诺新创有限公司 含有木素衍生物的碳纤维组合物
CN102959033B (zh) * 2010-02-15 2016-10-12 丽格诺新创有限公司 含有木素衍生物的粘合剂组合物
CA2829413A1 (en) 2011-03-24 2012-09-27 Lignol Innovations Ltd. Compositions comprising lignocellulosic biomass and organic solvent
WO2013106031A1 (en) * 2011-04-06 2013-07-18 Thompson Harold E Multi-purpose lignin-carbohydrate binding system
WO2013113462A1 (en) * 2012-02-02 2013-08-08 Annikki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ols
JP2013170245A (ja) * 2012-02-22 2013-09-02 Hitachi Chemical Co Ltd 新規なポリウレタン
EP2644758B1 (en) * 2012-03-29 2014-12-10 Honda R&D Europe (Deutschland) GmbH Stabilization of lignin carbon fibers with crosslinkers
JP2015519452A (ja) * 2012-06-01 2015-07-09 ストラ エンソ オーワイジェイ リグニンを含む分散状の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EP2935411B1 (en) * 2012-12-18 2019-04-24 Akzo Nobel Coatings International B.V. Lignin based coating compositions
CN105637036B (zh) 2013-08-13 2018-10-09 能源实验室 2000 有限公司 基木质素聚氨酯产品的制造方法
CN105622957B (zh) * 2014-11-05 2018-05-04 中国石油化工集团公司 一种木质素聚醚多元醇的制备方法
BR112017015646A2 (pt) 2015-01-21 2018-03-13 Resinate Mat Group Inc poliois de alto teor reciclável de poliésteres termoplásticos e lignina ou tanino
CN105175682B (zh) * 2015-09-25 2017-11-14 南京工业大学 一种利用木质素新型液化方法制备聚氨酯泡沫的工艺
CN106283642B (zh) * 2016-08-09 2018-12-18 李挺晖 一种利用造纸黑液制备阻燃剂的方法
CA3033420A1 (en) * 2016-08-23 2018-03-01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Lignin pellet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111454465B (zh) * 2020-04-15 2022-05-24 黎明化工研究设计院有限责任公司 一种改性木质素、全水基低密度阻燃软质聚氨酯泡沫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607062B (zh) * 2020-05-29 2022-04-08 河南恒泰源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生物质聚氨酯发泡材料及制备方法
CN113142184A (zh) * 2021-04-08 2021-07-23 浙江海洋大学 一种教学用海洋生物标本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9581A (en) * 1967-01-13 1970-07-07 Westvaco Corp Method of producing synthetic lignin-polyisocyanate resin
US4851457A (en) * 1988-02-16 1989-07-25 Kurple Kenneth R Foundry resins
JP2675997B2 (ja) * 1988-05-16 1997-11-12 工業技術院長 新規な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703037L (sv) 1997-08-22
NO973988D0 (no) 1997-08-29
JPH11501946A (ja) 1999-02-16
CN1176643A (zh) 1998-03-18
MX9706348A (es) 1997-11-29
AU1336497A (en) 1997-07-28
CA2214013A1 (en) 1997-07-10
PL322023A1 (en) 1998-01-05
WO1997024362A1 (en) 1997-07-10
BR9607058A (pt) 1998-12-15
CA2214013C (en) 2011-05-10
EP0812326A4 (en) 1998-05-06
SE9703037D0 (sv) 1997-08-22
EP0812326A1 (en) 1997-12-17
EA199700204A1 (ru) 1998-02-26
NO973988L (no) 1997-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2567A (ko) 리그닌-기본 폴리올
US6025452A (en) Lignin based polyols
US4292214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urethane products
CA1335311C (en) Polyurethan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Pan et al. Effect of replacing polyol by organosolv and kraft lignin on the property and structure of rigid polyurethane foam
EP0038677B1 (en) A process for producing a wood composition using a liquid adhesive comprising a solution of lignin
Feldman Lignin and its polyblends—a review
US20110098384A1 (en) Production of amino lignin and amino lignin cellulose resins and adhesives
US3975316A (en) Curing liquid polyurethane prepolymers
KR20010101672A (ko) 발포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US422075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ali metal-cellulose-silicates and their reaction products
Gandini et al. Lignins as macromonomers for polyesters and polyurethanes
US424765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ali metal-cellulose-silicates and their reaction products
US4081426A (en) Preparation of aminoplasts
US471191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henolic resins
US476943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henolic resins
US4367326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epoxy silicate resins
AU2002234544B2 (en) Process for making polyurethane integral skin foams
US424375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lkali metal-cellulose-silicates and their reaction products
EP0745627A2 (en) A process for preparing open-cellular polyurethane modified polyisocyanurate foam
US4956439A (en) High performance modified polyurethanes
JPS5946969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ムの製造方法
WO1981003027A1 (en) Blends of thermoplastic polyurethane elastomers and acetal resins
EP0052097A1 (en) Production of lignin-cellulose resins and carbohydrates
JPH04218520A (ja) ウレタン基含有プレポリマーとジイソシアナトトルエンとの混合物並びにその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