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399A - C70으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C70으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399A
KR19980702399A KR1019970705798A KR19970705798A KR19980702399A KR 19980702399 A KR19980702399 A KR 19980702399A KR 1019970705798 A KR1019970705798 A KR 1019970705798A KR 19970705798 A KR19970705798 A KR 19970705798A KR 19980702399 A KR19980702399 A KR 19980702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ond
seed particles
reducing agent
diamond seed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틴 모스코비츠
케지안 푸
씨지아 구
Original Assignee
마틴 모스코비츠
케지안 푸
씨지아 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틴 모스코비츠, 케지안 푸, 씨지아 구 filed Critical 마틴 모스코비츠
Publication of KR19980702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3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3/00Single-crystal growth by condensing evaporated or sublim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6Deposition of carbon only
    • C23C16/27Diamond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5/00Single-crystal growth by chemical reaction of reactive gases, e.g. chemical vapour-deposition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02Elements
    • C30B29/04Diam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균 직경 약 1.5㎛의 공업용 다이아몬드 종자로 부터 직경 10㎛이상의 단일 결정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다이아몬드는 다이아몬드 종자를 인 또는 셀레늄등의 환원제 존재하에 온화한 온도 및 압력에서 진공하에 C70에 노출시킴으로써 성장시킨다.

Description

C70으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 존재하에 C70벅민스터 풀러렌(Buckminster Fullerene)을 환원시킴으로써 다이아몬드 크기를 증가시키는(이하, 성장시킴이라는 용어로 통일함)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가장 단단한 물질로 알려져있는 다이아몬드는 상업적 및 과학적으로 우수한 가치를 갖고있다. 다이아몬드는 화학 부식에 대해 비활성을 나타내며 압출력 및 방사에도 잘 견딜수 있다. 극도로 높은 전기저항을 갖는 전기 절연체일뿐아니라, 대부분의 다른 전기 절연체보다 더 우수한 열 전도체이기도 하다. 다이아몬드는 규소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으나, 광대역 갭(wide-band-gap) 반도체(5eV)이어서 UV-가시광선 및 대부분의 적외선 스펙트럼에 투명하다. 또한 의외로 높은 파괴 전압 및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다. 이상의 특성 및 기타 최근에 밝혀진 여러 가지 기술진보들은 다이아몬드를 고속 전자소자 및 고온에서 작동토록 고안된 소자에 널리 사용할 수 있으리라는 예측을 낳게했다. 성공적으로 도우핑할 수 있다면 다이아몬드는 새로운 또는 대체 소자의 초석이 되는 중요한 반도체 재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실리콘 칩이 300℃까지의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반면 다이아몬드 소자는 그 보다 더 훨씬 높은 온도에도 견딜 수 있으리라 추산되고 있다. 다이아몬드막은 이미 경질 보호 코팅으로 그 용도를 발휘하고 있다.
이같은 유용한 성질들로 말미암아 합성 다이아몬드는 연구 및 상업용으로 매우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 합성 다이아몬드는 현재 다음과 같은 두가지 공지의 방법으로 생산되고 있다. 즉, 고압 철침을 사용하여 탄소 물질을 다이아몬드로 압축시키는 고압법 및, 보다 최근의 기술로서 탄소-함유 기체상 전구체를 분해시킴으로써 다이아몬드막을 적절한 기질상에 부착시키는 화학 증착법(CVD)이다.
벅민스터 풀러렌은 최근들어 과학계의 각별한 관심을 끌고있는 일종의 탄소구조들로서, 정수의 탄소원자들이 조합, 거의 구형의 밀폐구조를 이루고 있다. C60과 C70은 그중 가장 잘 알려져있는 풀러렌(fullerene)들이다. 이들은 각각 60 및 70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구형의 구조이다. C60과 C70을 고압하에 다이아몬드로 전환시킨 성공적 방법이 문헌 [마누엘 누엔쯔 레구에로, 피에르 몬소, 쟝-루이 호도우, Nature, 355, 237-239(1992) 및 마누엘 누엔쯔 레구에로, L.아벨로, G.루카쪼, J.L.호도우, Phys. Rev.B, 46, 9903-9905(1992)]에 발표된바 있다. 또한 C60을 다이아몬드로 전이시키는 연구가 문헌 [히사꼬 히라이, 켄이찌 콘도 및 다께시 오화다, Carbon, 31, 1095-1098(1993)]에 발표되었다. C70은 CVD를 이용한 금속표면상의 다이아몬드 박막 핵생성을 가속화시킨다는 사실도 알려져있다. [R.J.메일루나스, R.P.H.창, S.리우, M.M.카피스, Appl. Phys. Lett, 59, 3461-3463(1991) 및 R.J.메일루나스, R.P.H.창, S.리우, M.M. 카피스, Nature, 354, 271(1991)]
수소 존재 또는 부재하에 아르곤 극초단파 플라즈마내에서 풀러렌 전구체를 이용, 다이아몬드막을 급성장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었다[D.M. 그루엔, S.리우, A.R. 크라우스 및 X.팬, J. Appl. Phys., 75, 1758-1763(1994) 및 D.M.그루엔, S.리우, A.R.크라우스, J.루오 및 X.팬, Appl. Phys. Lett., 64, 1502-1504(1994)]
최근에는 20-150Å의 직경을 갖는 분산 다이아몬드 입자들이, 풀러렌이 많이들어 있는 매연에서 관찰된바 있다[블라디미르 쿠쯔네트소프, A.L.추빌린, E.M.모로쯔, V.N.콜로미척, Sh.K.샤이크후트디노프, 유.V.부텐코, Carbon, 32, 873-882(1994), 및 블라디미르 l.쿠쯔네트소프, 안드레이 L.추빌린, 유리 V. 부텐코, 이고르 유. 말코프, 블라디미르 M.티토프, Chem. Phys. Lett., 222, 343-348(1994)]
미합중국 특허 제 5,370,855 호, 제 5,462,776 호, 제 5,328,676 호 및 제 5,209,916 (발명자 : 그루엔)는 풀러렌을 다이아몬드로 전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풀러렌을 라디오주파 플라즈마 방전, 전자비임, 집중 레이저 비임등의 고 에너지 환경하에 처리함으로써 칼륨 개조 풀러렌을 파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5,462,776 호에는 1000내지 1200℃로 가열시킨 다이아몬드 종자 기질상에서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공개돼있다.
이상과 같은 풀러렌 전환 방법들은, 이들 방법에 사용된 그러한 높은 온도하에서 다이아몬드 구조가 흑연으로 전환돼버릴 수 있다는 단점을 모두 안고 있다. 또다른 단점은 레이저, RF 발생기둥의 에너지부여 장치들이 모두 고가라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값비싼 장치를 필요로하지 않는 환경에서 비교적 낮은 온도하에 훨씬 더 큰 입자크기의 단일 결정 다이아몬드 입자들을 성장시킬 수 있다면 상업적으로 매우 중대한 잠재성을 비롯, 여러가지 유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또는 고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제적인 단일 결정 다이아몬드 성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평균(mean) 직경 약 1.5㎛의 다이아몬드 분말 핵생성 종자로부터 성장시킨 직경 400㎛ 이상의 다이아몬드 입자들을 생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C70는 온화한 온도 및 압력하에서 세레늄 또는 인등의 환원제 존재하에 환원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색에 따라,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C70을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 존재하에 환원시켜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중 최소한 일부를 성장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색에 따라,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를 제공하고, C70분말 및 환원제를 상기 다이아몬드 분말과 자유롭게 교통하도록(Flow communication)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C70, 환원제 및 다이아몬드 분말을 진공하에 유효 온도에서 유효 기간동안 가열함으로써, C70의 일부가 환원제에 의하여 환원되고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의 최소한 일부에 부착되어 그 입자가 더 커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같은 특색에서 바람직한 환원제는 셀레늄 또는 인이며, 유효 온도는 약 550℃, 유효 기간은 약 18일 내지 약 60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색에 따라, 평균 직경을 갖는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들을 제공하고 C70분말 및 환원제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C70분말과 환원제는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와 자유롭게 교통하는 관계에 두도록 한다. 본 방법은 C70분말을 가열하여 증기상의 C70을 생성시키고, 환원제 및 다이아몬드 종자입자를 진공하에 약 500℃ 내지 약 600℃의 온도에서 약 18일 내지 60일동안 가열함으로써, 증기상 C70의 일부가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고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중 최소한 일부분에 부착되어 그 입자의 평균크기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주체가 되는, C70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키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다이아몬드 종자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데 사용된 장치;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C70다결정(poly crystalline) 분말의 주사전자 현미경사진(SEM);
제 3 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다이아몬드 종자(평균크기 : 약 1.5㎛)시료의 SEM;
제 4 도는 다이아몬드 종자와 C70분말을 셀레늄 존재하에 20일간 550℃로 가열한 후 제 1 도에 도시된 모세관 아랫부분에서 발견된 몇몇 다이아몬드 입자들의 SEM;
제 5 도는 제 2 도의 C70다결정 분말의 전형적 레이저 마이크로-라만(micro-Raman)스펙트럼;
제 6 도는 제 4 도에 나와있는 입자중 하나의 레이저 마이크로-라만 스펙트럼(파장범위 : 1000 내지 약 1700cm-1);
제 7 도는 제 4 도에 나와있는 입자중 하나의 레이저 마이크로-라만 스펙트럼(파장범위 : 500 내지 약 1700cm-1);
제 8 도는 제 4 도에 나와있는 성장한 다이아몬드 입자중 하나의 X-선 회절;
제 9 도는 제 8 도의 X-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계산해낸,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성정한 다이아몬드 입자의 구조;
제 10 도는 C70의 구조; 그리고
제 11 도는 C60의 구조이다.
제 1 도를 참조로하여, 약 18 내지 20mg의 C70(98%), 약 11mg의 원소상 셀레늄 분말(99.5%, -325 메시 입자 크기, Alfa) 또는 적색 인 분말(99%, -100 메시 입자 크기, Alfa) 및 미량의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평균 입자 크기 : 1.5㎛)(이들은 도면부호 10으로 표시돼있음)를 10cm 직경 ×10cm 길이의 파이렉스 관(12)에 집어넣는다. 미량(mg)의 다이아몬드 분말(14)을 작은 파이렉스 모세관(1.0mm×50mm)(16)안에 집어넣은후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파이렉스 관(12)안에 장치한다. 전체 관 조립체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진공(~2×10-5토르)하에 밀봉한다. 관 조립체를 20 내지 30일간 온도 조절이 가능한 관 오부(도시되지 않음)내에서 약 550℃의 온도로 가열한후, 생성물의 여러부위들을 레이저 마이크로-라만 분광법 및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SEM)으로 검사한다.
반응 생성물 및 다이아몬드 종자의 결정체 크기와 모양을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히다치 모델 S-570, 일본)으로 검사하였다. 결정체의 정체가 다이아몬드라는 것은 레이저 마이크로-라만 분광법에 의해 밝혀내었다. 마이크로-라만 분광법의 주요 장점은 시료 결정체를 전하결합소자(CCD) 카메라에 의해 높은 확대도로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인해 결정체의 크기 및 그 정체를 동시에 결정할 수 있었다. 여기(勵起) 공급원으로서는 530.87nm로 맞춘 Kr 이온 레이저가 사용되었다. 약 2mW비임을 3마이크로미터 직경 점에 집중시켰다. 라만 스펙트럼은 현미경(마이크로메이트 모델 1482D) 및 액체 질소 냉각 CCD 탐지기(프린스톤 인스트루먼츠사 모델 LN/CCD)가 장치된 트리플메이트 분광계(스펙스 인터스트리즈사 모델 1877D)를 사용하여 후방산란 기하학으로 검색하였다.
전술한 실험에 사용된 C70분말의 SEM상(像)이 제 2 도에 나와있다. 판 모양의 결정체들은 다이아몬드 결정체들과의 비교를 위해 나타나있다. 제 3 도는 다이아몬드 종자로 사용된 다이아몬드 분말 시료의 SEM상을 보여준다. 이러한 시료 몇몇을 검사해본 결과, 입자 직경이 거의 2㎛ 이하이며, 3㎛ 이상의 직경을 갖는 입자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대조적으로, 제 4 도는 작은 다이아몬드 입자를 종자로 사용하고 셀레늄을 환원제로 사용, 550℃하에 20일간 가열시킨 반응 생성물 내에서 발견된 평균직경 약 400㎛의 결정체 4개를 보여주고 있다. 다이아몬드 종자중 단지 약 1%정도만이 이같은 크기로까지 커진 것으로 밝혀졌으나, 부피를 기준으로 볼 때 개개 종자의 전체적 확대를 매우 실질적인 것이었다.
이들 결정체중 하나의 마이크로-라만 스펙트럼이 1000-약 1700cm-1의 파장 범위에 걸쳐 제 6 도에 나와있다. 약 1328cm-1에서의 특색적인 단일 피크는 이 입자가 다이아몬드라는 명백한 증거이다. 제 7 도의 마이크로-라만 스펙트럼은 제 6 도의 스펙트럼과 유사하나, 파장범위 500 내지 약 1700cm-1에서 찍은 것이다. 비교 목적상, 본 실험에 사용된 C70의 라만 스펙트럼을 제 5 도에 나타내었다. 이 도면에선 1328cm-1에서 피크를 찾아볼 수 있다. 제 5 도의 스펙트럼에 나타난 26개의 비교적 강력한 진동모드 주파들은 공지된 값들과 잘 일치되고 있다[R.A. 지시, M.S. 드레셀 하우스, G.드레셀하우스, 카이-안왕, 핑 조우, A.M.라오 및 P.C.에클룬드, chem. Phys. Lett., 206, 187(1993)]. 이들 진동 모드 주파는 그룹 이론 분석과도 잘 일치되고 있다[M.S.드레셀하우스, G.드레셀하우스 및 R.사이또, Phys. Rev. B., 45, 6234(1992)참조]. C70은 모두 53개의 라만 활성 모드를 갖고 있다.
제 8 도는 제 4 도에 나타난 성장한 다이아몬드 입자의 X-선 회절 패턴이다. 이는 다이아몬드의 단일 결정 정육면체 구조를 분명하게 보여주며 제 8 도의 X-선 회절 패턴으로부터 계산해낸 제 9 도의 결정구조에 의해 확증된다.
생성된 대부분의 큰 다이아몬드 입자들은 다이아몬드 종자가 부착되었던 모세관(16)(제 1 도)에서 발견되었다. 이같은 사실은 기체상태의 C70이 다이아몬드 종자의 성장을 초래함을 시사해준다. C70은 550℃에서 실질적인 증기압을 갖는다. 20일이 지난후 큰 관(10) 바닥에서 발견된 물질의 라만 스펙트럼은 미반응 C70의 라만스펙트럼과 일치하였다.
C70대신 C60을 사용하여 유사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C70실험과 본질상 동일한 온도, 압력 및 시간 조건하에 다이아몬드 종자를 C70에 장기간 노출시킨 전후의 SEM비교 자료를 기준으로 했을 때, C60을 사용한 이들 실험은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의 크기를 측량가능한 수준으로까지 성장시키지 못하였음이 밝혀졌다.
셀레늄과 인외에도, 나트륨, 칼륨 및 황등의 기타 원소상 환원제들이 500 내지 600℃ 이상의 온도에서 C70을 환원시키는데 유용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제안된 가능한 다이아몬드 성장 메카니즘은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이 메카니즘은 추론적인 것이며, 따라서 비한정적 설명임을 다시금 강조한다. C70의 구조(제 10 도에 도면 부호 40으로 도시됨)의 구조는 C60의 구조(제 11 도에 도면부호 70으로 도시됨)와 비교될 수 있다. C70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원자들(42)은 SP2(흑연에서 처럼)와 SP3사이에서 중간 혼성을 이룬다(다이아몬드내 탄소의 혼성). 풀러렌내 이같은 결합중 어느 하나가 파괴되면 파괴된 결합을 이루는 두 탄소는 파괴된 결합에서 반응하는 반응 파트너의 성질에 따라 SP2및 SP3혼성중에서 한가지 선택을 하게된다. 제 11 도를 참조하여, C60은 두가지 유형의 C-C결합, 즉 5각형 및 6각형 면사이 가장자리에 있는 소위 단일결합 (44) 및 6각형 면 사이의 가장자리에 있는 이중결합 (46)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 탄소원자들은 모두 6각형 및 5각형 면의 꼭지점에 위치한다. 제 10 도를 참조했을 때, C70은 두 개의 6각형 면을 분리하는 모서리이며 단지 6각형 면만의 꼭지점을 이루는 C-C결합(50)을 추가로 갖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C70내의 이같은 추가 C-C결합(50) 다이아몬드 성장을 위해 파괴되는 부분이라 추측하고 있다.
다이아몬드 종자의 표면 현수(懸垂) 결합들은 C70분자내 새로 파열된 C-C결합의 탄소원자들이 다이아몬드 성장을 계속하는데 필요한 SP3혼성을 채택하도록 해준다. 궁극적으로 C70분자의 모든 탄소원자들이 다이아몬드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비교적 낮은 온도 및 압력하에 실시되나, 이 방법은 C70분자 생성에 사용된 탄소 아크(arc)의 매우 높은 온도에서 C70분자내에 저장된 유리에너지를 이용하게 된다. 이같은 유리 에너지 증가(아크 전극 형태 흑연 전구체보다 높은)는 풀러렌의 중간 혼성 특색을 그대로 증명해준다. 최근 이론에 따르면 하나의 SP3및 하나의 SP 혼성 탄소를 갖는 비-평면 중간체의 관여가 예측된다[로버트 L. 머레이, 더글라스 L. 스트라우트, 그레고리 K. 오돔 및 구스타보 E. 스세리아, Nature, 366, 665-667(1993)참조]
이같은 유리 에너지를 다이아몬드 형성에 이용토록 하려면 C70내 C-C결합 일부가 파열될 수 있게해야 한다. 이는 C70에 전자를 기중하여 결합 파괴를 촉진시켜 주는 셀레늄 또는 인등의 물질 존재하에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지의 방법에서와 같은 고압 또는 고온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킬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을 제공한다. C60이 아닌 C70이 환원제 존재하에 쉽게 환원될 수 있다는 발견은 실로 완전히 예기치 못했던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기술했으나,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다이아몬드 성장을 가능케하는 각종 변형들을 당업자라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증기상의 C70을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의 존재하에 유효 압력 및 유효 온도에서 환원시켜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중 최소한 일부분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단일 결정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C70을 셀레늄 및 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환원제를 사용하여 환원시키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유효 온도가 약 550℃인 방법.
  4.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들을 제공하고;
    C70분말 및 환원제를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와 자유롭게 교통하도록 제공하고; 상기 C70분말을 가열하여 증기상의 C70을 형성시키고 상기 환원제와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를 유효 압력 및 유효 온도하에 유효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상기 증기상 C70의 일부분이 상기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고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중 최소한 일부분에 부착되어 그 입자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일 결정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셀레늄과 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나트륨, 칼륨 및 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온도가 약 500℃ 이상의 온도인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온도가 약 500℃ 내지 약 600℃이고 상기 유효 시간이 약 18일 내지 약 60일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압력이 약 2×10-5토르 이하인 방법.
  10. 레이저 마이크로-라만 분광계에 의한 측정시 약 1328cm-1에서 특징적 흡수 피크를 나타내는, 제 7 항의 방법에 따라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로부터 성장한 다이아몬드 입자.
  11. 평균 직경을 갖는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들을 제공하고;
    C70분말과 환원제를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들과 자유롭게 교통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상기 C70분말을 가열하여 증기상의 C70을 형성시키고 상기 환원제와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를 진공하에 약 500℃ 내지 약 600℃의 온도에서 약 18일 내지 약 60일간 가열함으로써, 상기 증기상 C70의 일부분이 상기 환원제에 의해 환원되고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중 최소한 일부에 부착되어 그 입자들의 평균 직경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일 결정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들을 제공하는 단계가 평균 직경 약 1.5마이크론의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가 상기 다이아몬드 종자 입자의 평균 직경을 10마이크론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셀레늄과 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제가 나트륨, 칼륨 및 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가 약 550℃인 방법.
KR1019970705798A 1995-02-21 1996-02-21 C70으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KR19980702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91,705 US5614258A (en) 1995-02-21 1995-02-21 Process of diamond growth from C70
US391,705 1995-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399A true KR19980702399A (ko) 1998-07-15

Family

ID=2354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798A KR19980702399A (ko) 1995-02-21 1996-02-21 C70으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14258A (ko)
EP (1) EP0811084A1 (ko)
JP (1) JPH11500097A (ko)
KR (1) KR19980702399A (ko)
AU (1) AU4661096A (ko)
CA (1) CA2213316A1 (ko)
NZ (1) NZ301235A (ko)
WO (1) WO19960263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476B1 (ko) * 2000-09-07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세관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4368A (en) * 1995-02-21 1998-10-20 Moskovits; Martin Process of diamond growth from C70
US5885541A (en) * 1997-07-07 1999-03-23 Bates; Stephen Cuyler Technique for the fabrication of bulk porous diamond
US20040154528A1 (en) * 2003-02-11 2004-08-12 Page Robert E. Method for making synthetic gems comprising elements recovered from humans or animals and the product thereof
US7172745B1 (en) * 2003-07-25 2007-02-06 Chien-Min Sung Synthesis of diamond particles in a metal matrix
DE20311689U1 (de) * 2003-07-28 2003-10-23 Uhde High Pressure Tech Gmbh Hochdruckpumpenventil mit reversiblen Ventilsitzen
US8454714B2 (en) * 2004-03-01 2013-06-04 Chien-Min Sung Diamond growth devices and methods
US20090214826A1 (en) * 2008-01-04 2009-08-27 Charles West Controlling diamond film surfaces
US8227350B2 (en) * 2008-01-04 2012-07-24 Advanced Diamond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diamond film surfaces and layering
US8491964B1 (en) * 2010-03-24 2013-07-23 University Of Puerto Rico Diamond nucleation using polyethene
CN105013400A (zh) * 2015-06-24 2015-11-04 河南科技大学 非金属触媒在人工合成金刚石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105A (en) * 1990-02-02 1992-07-21 Quantametrics, Inc. Materials with diamond-like properties and method and means for manufacturing them
US5209916A (en) * 1991-11-25 1993-05-11 Gruen Dieter M Conversion of fullerenes to diamond
US5370855A (en) * 1991-11-25 1994-12-06 Gruen; Dieter M. Conversion of fullerenes to diamo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476B1 (ko) * 2000-09-07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세관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661096A (en) 1996-09-11
NZ301235A (en) 1999-03-29
WO1996026306A1 (en) 1996-08-29
JPH11500097A (ja) 1999-01-06
EP0811084A1 (en) 1997-12-10
CA2213316A1 (en) 1996-08-29
US5614258A (en) 1997-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i et al. Synthesis and field-emission behavior of highly oriented boron carbonitride nanofibers
Zhang et al. The roles of argon addition in the hot fi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
US4767517A (en) Process of depositing diamond-like thin film by cathode sputtering
KR19980702399A (ko) C70으로부터 다이아몬드를 성장시키는 방법
Regel et al. Diamond film deposition by chemical vapor transport
Sawabe et al. Growth of diamond thin films in a DC discharge plasma
EP0371145B1 (en) Process for vapor-phase synthesis of diamond
US5824368A (en) Process of diamond growth from C70
JPH06316402A (ja) 光照射併用プラズマcvd法による硬質窒化ホウ素の製造法
Yahya et al. Diamond: synthesis, characterisation and applications
US20050147765A1 (en) Method for producing particles with diamond structure
JP2623475B2 (ja) 対向電極型マイクロ波プラズマ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Moskovits et al. Process of diamond growth from C 70
Chen et al. Effect of methane concentration on the growth of crystalline C3N4 films
Stiegler et al. Plasma-assisted CVD of diamond films by hollow cathode arc discharge
JPS63277767A (ja) 高圧相窒化ホウ素の気相合成法
JPS6330397A (ja) ダイヤモンドの合成方法
JPH0518794B2 (ko)
JPS63215596A (ja) ダイヤモンド薄膜又はダイヤモンド状薄膜の製造方法
Nayak et al. Electron beam activated plasma chemical vapour deposition of polycrystalline diamond films
Kimura et al. Growth of diamond from Si-containing amorphous carbon film using synchrotron radiation
Park Nitrogen doping, optical characterization, and electron emission study of diamond
Mishra et al. Diamond synthesized at room temperature by pulsed laser deposition in vacuum
JPH02133398A (ja) ダイヤモンド薄膜の合成法及び装置
Pandey et 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 diamond thin films grown by hot-filament chemical vapor deposi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