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205A - 운송수단의 승객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의 승객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205A
KR19980702205A KR1019970705600A KR19970705600A KR19980702205A KR 19980702205 A KR19980702205 A KR 19980702205A KR 1019970705600 A KR1019970705600 A KR 1019970705600A KR 19970705600 A KR19970705600 A KR 19970705600A KR 19980702205 A KR19980702205 A KR 19980702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wl
pretensioner
seat belt
pressure chamber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니스 제임스 히키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브라이언 월드만
로얄 오르드난스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브라이언 월드만, 로얄 오르드난스 피엘씨 filed Critical 데이비드 브라이언 월드만
Publication of KR19980702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022/4642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the gas directly propelling a flexible driving means, e.g. a plurality of successive masses, in a tubular cha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벨트 띠가 감길 수 있는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을 가지는 형태의 운송수단 안전 벨트 견인근을 위한 프리텐셔너에 관련되는데, 다음과 같은 요소로 이루어진다. (i) 장방형 압력 챔버(2); (ⅱ) 압력 챔버에 놓인 다수의 보올(11); (ⅲ) 압력 챔버를 따라 보올이 움직이도록 압력 챔버내에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 장치(5); (ⅳ) 고압 기체에 의해 압력 챔버를 따라 움직일 때 보올이 부딪치는 구동면(12; 21; 25; 34; 41), 이 구동면은 작동시 안전 벨트 띠의 느슨한 부분을 감아올리고 승객에 대해 안전 벨트 띠를 당기도록, 보올에 의해 부딪쳤을 때 벨트 견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42)을 회전하기 위해서 충돌하는 보올(11)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치되고 안전 벨트 견인근의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42)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운송수단의 승객 고정장치
종래의 관성 릴 안전벨트는, 릴이 아주 빨리 감길 때만 작동하는 고정장치와 한쪽 단부에서 고정된 띠로 이루어진다. 충돌했을 때, 고정장치가 작동하기 전에 표준 관성 릴 안전 벨트는 일반적으로 120∼200㎜ 정도 풀릴 수 있다. 이보다 감도가 좋은 장치는 정상 사용할 때 고정화기 위해서 사용자가 벨트를 풀 때 비실용적이다. 작동 지연은 고정되기 전에 탑승자를 시이트 밖으로 움직일 수 있고 치사율은 떨어뜨릴 수 있지만, 심한 중상을 입힐 수도 있다.
안전벨트 프리텐셔너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자동차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 안전벨트 프리텐셔너는 보통 충돌 감지 장치와 결합되고 사용자가 움직이기 전에 벨트를 고정하기 위해서 벨트의 느슨한 부분을 충분히 감도록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한다. 상기 에너지는, 스프링 형태로 또는 불꽃 가스 발생성분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종래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기능은, 탑승자에 대해 벨트를 당기기 위해서 벨트를 끌어넣는 방향으로 안전벨트 견인근 또는 테이크-업 릴을 빠르게 감고 벨트에서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벨트에서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프리텐셔너 장치는 많이 제시되어 왔는데, 예를 들면 US 특허 제 4178016, 4789185 및 5145209; 유럽특허 제 0480137; 독일특허출원 DE 3715845 와 UK 특허출원 제 2258603 에서 발표되었다. 이것은 본원에서 참고로 설명된다.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에 대한 기술적 요구사항은 매우 많다. 첫째 이것은 관성 릴 안전벨트 견인근의 정상 작동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둘째 충돌사고시 탑승자를 적절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밀리세컨드내에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프리텐셔너가 700에서 800N의 힘을 가해야 하고 최소 100㎜, 최대 200㎜까지 안전벨트를 끌어당겨야 한다. 넷째, 안전벨트 프리텐셔너의 작동이후에, 충돌사고가 있은 후, 운송수단이 여전히 구동될 수 있다면, 이것은 관성 릴 안전벨트 견인근의 정상작동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또다른 중요한 실제 요구사항은, 안전벨트 프레텐셔너가 초소형이어야 하고 관성 릴 안전벨트 장치에 고정되어야 하고 선호적으로 현 장치의 하우징 프로우필에 끼워 넣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전술한 안전 벨트 프리텐셔너는, 위에서 개괄적으로 설명한 기술적 필요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부피가 너무 크고 비실용적이다.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승객 고정장치에 관련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운송수단이 충돌했을 때 안전벨트를 죄어주기 위한 안전 벨트 프리텐셔너에 관련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벨트 프리텐셔너 구동 장치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의 프리텐셔너의 상측면도.
도 3 은 작동 모드를 나타내기 위해서 한 부분을 분해하여 확대한 도 1 과 2 의 프리텐셔너의 측면도.
도 4 는 작동 모드를 나타내기 위해서 분해한 도 1 에서 3 에 나타낸 프리텐셔너의 단면도.
도 5 는 가스-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를 위한 구동 휠의 한가지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를 위한 구동 휠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를 위한 또다른 형태의 구동 휠의 단면도.
도 9 는 도 8 에 나타낸 구동 휠의 측면도.
도 10 은 압력 챔버 축이 하나 이상의 평면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프리텐셔너의 단면도.
도 11 은 도 10 에 나타낸 프리텐셔너의 측면도.
* 부호설명
1...프리텐셔너 2...압력 챔버
5, 43...가스 발생장치 7...열린 채널
8, 36...터미널 저지 부재 9, 35, 46...수집 챔버
10...클리어 패널 11...보올
12, 21, 25, 34, 41...구동면 13...가스 발생 조성물
17...리테이닝 장치 27...고리 모양의 층
33...채널 측부 34...원주 채널
42...테이크-업 릴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력이 구동면에 충돌하는 보올에 의해 제공되는, 관성 릴 안전 벨트용 프리텐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본 발명은, 안전벨트 띠가 감겨질 수 있는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을 가지는 유형의 안전벨트 견인근을 위한 프리텐셔너를 제공하는데, 하기 부품들로 구성된다.
(i) 장방형 압력 챔버;
(ⅱ) 압력 챔버에 놓인 다수의 보올;
(ⅲ) 압력 챔버를 따라 상기 보올을 추진시키기 위해서 압력 챔버내에 고압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발생 장치; 및
(ⅳ) 고압가스에 의해 압력 챔버를 따라 추진될 때 보올이 충돌하고, 안전벨트 견인근의 회전할 수 있는 테이크-업 릴과 결합되고 작동시에 안전벨트 띠의 느즈러진 부분을 죄어주고 탑승자에 대해 안전벨트 띠를 당기기 위해서 상기 보올에 의해 충돌될 때 벨트견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을 감기 위해서 충돌하는 보올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치되는 구동면.
본 발명에 따른 선호되는 프리텐셔너에서, 구동면은 표면, 선호적으로 안전벨트 견인근의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에 연결된 휠의 원주표면을 포함한다. 이 구동면은,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올에 의해 일부 점유되도록 치형 또는 그 밖의 형태를 가진다. 이 구동면은 리세스를 가지는데 각각의 리세스는 하나의 보올을 수용한다.
또는 구동 휠은, 구동면과 보올 사이의 압력 접촉에 의해 변형되는 컴플라이언스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구동 휠은 컴플라이언스 물질로 이루어진 원주 표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휠은, 강성 물질의 원주 표면층과 그것의 방사상 안쪽으로 컴플라이언스 물질로 이루어진 고리모양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절한 컴플라이언스 물질은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물질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 휠은 탄성 변형 가능한 채널 측부를 가지는 원주 채널을 포함하고, 단지 채널 측부를 변형함으로써 그 사이에 포물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채널 측부의 간격을 둔다. 이 채널 측부는 서로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스프링이다.
표면에 최대 가속을 부여하기 위해서 보올은 구동면에 대하여 접하거나 10°이하의 각도를 이룬다.
압력 챔버는, 구동면에 접하거나 작은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 열린 단부를 가지고, 수반되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장방형의 굽은 관을 포함한다. 관의 열린 단부는 보올이 구동면을 향하는 열린 채널에서 끝난다. 열린 채널은 보올이 구동면을 떠난 후에 보올의 속력을 늦추도록 배치된 터미널 저지 부재를 갖추고 있다.
안전벨트의 요구되는 견인을 부여하도록 보올의 수가 선택될 것이다. 선호되는 보올의 수는 30개에서 50개 사이이고, 이것은 프리텐셔너가 작동하는 동안 1.5∼3번, 예를 들면 2번 정도 테이크-업 릴의 중심 샤프트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하다. 이것은 최적 견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소형 장치를 형성한다.
사용하는 동안 서로 접촉하는 구동 보올과 구동 휠을 사용하는,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보올의 수는, (i) 구동 휠 또는 풀리의 지름, (ⅱ) 구동 휠의 필요한 회전수 및 (ⅲ) 보올의 지름에 의존한다. 구동 휠의 지름이 D이고 보올의 지름은 d 이며 회전수가 N이라면, 보올의 수는 수학식 1 에 따라 정해진다.
예로, N=2, D=50㎜이고 d=10㎜이라면, 계산결과는 37.7 즉, 보올의 수는 38이다.
보올은 서로서로 연결되지 않았고 구형이 가장 선호된다. 이것은 많은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프리텐셔너를 작동한 후에 분리되어 연결되지 않은 보올은 소형 리셉터클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보올이 함께 결합된다면, 더 크고 더 긴 리셉터클이 요구될 것이다. 한 열의 분리된 보올 형태인 보올은 체인보다 좀더 자유로운 관절식이다. 압력 챔버의 부품들을 적소에 배치함으로써, 전체 형태를 소형으로 만들기 위해서 장방형 압력 챔버의 모양과 위치에 더 큰 자유도를 보여하는데 만약 압력 챔버의 부품들을 적소에 배치하지 않는다면 불편해지고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없다.
상기 포물체의 형태는 구형이 선호된다. 예를 들어, 포물체는 관상 금속 압력 챔버에서 일렬로 배치된, 일련의 금속 보올, 보올 베어링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보올의 지름은 관의 전체 내부 지름을 점유하지만, 보올은 관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유리하게도, 프리텐셔너는 구동면 둘레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장방형 관의 아치형 부분을 포함한다.
장방형 관의 축은 하나이상의 평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프리텐셔너의 크기는 소형이고, 장방형 관의 일부는 나선형을 이루고 장방형 관의 일부는 테이크-업 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가스 발생장치는 테이크-업 릴내에 일부 배치될 수 있다.
열린 단부에서 떨어진 관의 단부는 닫혀져 있는 것이 선호되고, 적절한 가스 발생 조성물이 그 안에 있다. 상기 가스-발생 조성물은, 아지드 나트륨 또는 본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가스 발생 조성물이라는 제목의 UK 특허 출원 제 9503066 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니트로구아니딘을 포함하는 가스-발생 조성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스-발생 조성물은 압력 챔버에 연결된 분리된 챔버에 제공될 수 있다. 가스-발생 조성물은 감속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점화 장치에 의해 점화되는 불꽃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구동면에 닿은 후에, 보올은 수집 챔버 또는 열린 공동에 수집되는데, 이것은 편리하게도 안전벨트 견인근의 하우징일 수 있다. 수집 챔버나 공동은 클리어 패널을 포함하는데 상기 클리어 패널을 통하여 장치의 기능을 점검하기 위해서 보올이 관찰될 수 있다.
리테이닝 장치는 압력 챔버에서 보올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리테이닝 장치는, 보올이 압력 챔버에 삽입된 후에 압력 챔버로 주입되는 리지드 거품으로 이루어진다.
프리텐셔너의 작동시간은 대략 20밀리세컨드이고 프리텐셔너는 안전 벨트의 120∼200㎜ 정도 감을 수 있도록 디자인되고 벨트를 고정시킨다.
보올이 수집 챔버에 놓일 때 이 보올은 안전 벨트의 정상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충돌과 충돌 이후의 프리텐셔너의 작동 후에 탑승자는 좌석에 계속 단단히 고정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탑승자는 운송 수단 밖으로 좀더 쉽게 나올 수 있고 가능하다면 계속 운행할 수 있다.
도 1 에서, 프리텐셔너(1)는 샤프트(4)에 부착된 구동 휠(3)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긴 굽은 압력관(2)을 포함한다. 압력관(2)은 구동 휠(3) 축의 중심을 벗어나 장착되고 휠보다 약간 더 큰 곡률의 지름을 가진다. 압력관(2)은 닫힌 단부를 가지고, 이 닫힌 단부에 가스 발생 장치(5)를 둘러싸고 있는 캡이 놓이고, 파선(6)으로 나타낸 것처럼, 열린 측부가 있는 채널(7)을 형성하도록 절단된 열린 단부를 가진다. 채널(7)의 단부에 돌출한 저지 부재(8)가 놓인다. 도 2 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굽은 압력관(2)은 구동 휠(3) 둘레에서 대략 1½ 회전을 한다. 프리텐셔너는 수집 챔버(9)에 둘러싸여져 있고, 이것은 안전 벨트 견인근 하우징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하고, 챔버(9)는 그것의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클리어 패널(10)을 포함한다.
작동 상태의 프리텐셔너를 나타낸 도 3 을 참조하면, 압력관(2)의 채널(7)을 따라 일렬의 금속 보올(11)이 놓인다. 이 보올(11)은 압력관(2)에 30개 내지 50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올(11)은 압력관(2)의 내부 지름보다 조금 짧은 지름을 가지고 관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구동 휠(3)은 그 둘레에 일련의 원주 요면(12)을 포함하는데, 이것은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 있어서 인접한 보올(11)이 요면에 배치될 때 인접한 보올의 표면은 접촉한다. 이런 배치는 도 4 에도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안전 벨트 견인근의 테이크-업 릴에 부착된 구동 샤프트(4)도 나타낸다.
도 5 는 가스발생 장치(5)를 상세히 나타내었다. 불꽃 가스-발생 조성물(13)이 압력관(2)의 단부(5)에 단단히 고정된 압력-저항 플러그(14)내에 채워진다. 불꽃 조성물(13)은 감속 센서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된다. 펠트 플러그(16)는 압력관(2)의 단부(15)에 놓이고 일렬의 보올(11)의 이동을 위한 제한 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프리텐셔너의 정지, 비작동 위치에서, 보올(11)은 리지드 거품(17)에 의해 압력관(2)내에 한정되는데 상기 거품은 보올이 삽입된 후에 압력관(2)으로 주입되고 압력관에서 보올(11)을 유지하기 위해서 응고시킨다. 플러그(16)는, 거품이 불꽃 조성물과 반작용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보올(11)이 압력관(2)에서 유지된 채, 구동 휠(3)과 샤프트(4)는 안전 벨트 견인근의 테이크-업 릴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이 보올 유지 장치는, 보올이 압력관으로부터 나올 때 압축되는 플러그 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충돌 사고시에, 감속 센서는 전기 점화 장치를 작동하는데 상기 점화 장치는 불꽃 가스-발생 조성물(13)을 활성화시킨다. 가스-발생 조성물(13)에 의해 발생된 가스 부피는, 펠트 플러그(16)를 옮기고 압력관(2)을 따라 상당한 속도로 일렬의 보올(11)을 추진시키기에 충분하다. 보올이 압력관(2)에서 나올 때 거품(17)은 분해된다. 보올이 열린 채널(7)에 도달했을 때 보올은 구동 휠(3)에서 요면(12)과 접촉하고 구동 휠(3)과 구동 샤프트(4)가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유발한다. 구동 샤프트는 필요한 양만큼 안전 벨트를 끌어당기면서 안전 벨트 견인근의 테이크-업 릴을 감는다.
보올의 경로는 구동 휠(3)의 원주에 접하고 보올이 이동함에 따라 열린 채널(7)의 단부에서 각각의 보올은 저지 부재(8)와 접촉하고 상당히 감속된다. 이것은 보올이 수집 챔버(9)의 벽을 손상 입히는 것을 막는다. 프리텐셔너는 안전 벨트 견인근의 하우징내에 둘러싸여져 있고, 수집 챔버(9)를 포함하고, 보올이 열린 채널(7)에서 밖으로 이동할 때 그것들은 하우징의 바닥에 모이고 상기 하우징에서 프리텐셔너의 작동 여부를 시각 판단하기 위해서 클리어 패널(10)을 통하여 보올은 관찰될 수 있다. 사용 후에, 그것들은 새로 충전한 적당한 불꽃 조성물을 가지고 복구되고 재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 보올이 구동 바퀴(3)의 둘레를 떠난 후에 안전 벨트 견인근 로크에 의해 적소에 고정된 구동 휠에 작용하는 힘은 존재하지 않는다. 운송 수단이 정지했을 때, 안전 벨트 견인근 로크는 풀려지고 안전 벨트는 정상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포물체(11)는 구동면의 단 클리어되어서 정상 사용시 어떤 방해도 하지 않는다.
도 6 은, 컴플라이언스 물질로 이루어진 원주 표면층(21)을 포함하는 구동 휠(20)로 이루어진 다른 형태의 구동부를 나타낸다. 사용할 때, 보올(11)은 도 1 에서 5 에 나타낸 것처럼, 가스-발생 장치(5)에 의해 발생된 압력을 수단으로 압력관(2)을 따라 화살표 A 방향으로 추진된다.
보올이 표면층(21)에 도달했을 때, 화살표 B 방향으로 휠(20)을 회전시키는 전진압과 방사상 내부압을 가하기 위해서, 관(2)의 벽과 층(21) 사이에 보올은 한정된다.
휠을 지나 보올의 자유로운 통과를 막는 립(23)과 보올(11)을 수용하는 요면(22)을 만들기 위해서 표면층(21)의 컴플라이언스 물질은 변형된다. 휠의 회전으로 보올이 립(23)을 지나 벗어날 때까지 각각의 보올(11)은 휠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나서 다음 보올(11)은 이 주기를 반복한다. 휠(20)은 휠이 장착된 샤프트(29)를 경유해 테이크-업 릴을 구동한다.
이 실시예에서 컴플라이언스 층은 보올(11)의 작용 하에 변형될 만큼 충분히 유연해야 하지만 립(23)이 보올(11)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 하에 전단되지 않도록 비교적 큰 전단 강도를 필요로 한다. 컴플라이언스 층을 위한 적절한 물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강화된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이다.
도 7 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구동 휠(24)은 강철이나 경플라스틱 물질과 같은 강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주 표면층(25)과 이와 비슷한 물질로 만들어진 내부 허브 영역(26)을 포함한다. 허브(26)와 원주층(25) 사이에, 층(21)의 재료와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진 컴플라이언스 물질로 이루어진 고리 모양의 층(27)이 삽입된다. 사용시에,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보올(11)은 화살표 A 방향으로 압력관(2)의 벽과 층(25) 사이의 공간으로 구동된다. 이 공간은 보올(11)의 지름보다 조금 더 좁게 만들어져서 보올이 이 공간으로 수용되도록 물질은 변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보올(11)과 층(25) 사이에 압력 하중이 발생되어서 연속하는 보올이 림과 관(2) 사이의 핀치에서 나올 때까지 연속하는 보올은 휠(24)을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시킨다.
도 8 과 9 에서, 구동 휠(30)은, 테이크-업 릴이 회전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샤프트(32)에 장착된 강성 허브(31, 5)를 포함한다. 허브(31)에 인접하여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 물질로 만들어진 한 쌍의 디스크(33)가 장착된다. 이 디스크는 샤프트(32) 옆의 허브에만 고정되고 방사상 외부(33)와 허브(31)의 원주, 원주 채널(34) 사이에 한정된다. 상기 부분(33)은 채널 측부를 구성하고 보올(11)은, 도 8 에 나타낸 것처럼 화살표 X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채널 측부를 변형함으로써 채널에만 수용될 수 있다.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때, 보올(11)은 앞서 설명한 것처럼 화살표 A 방향으로 관(2)을 따라 추진된다. 관(2)은 휠(30)에 인접하여 열리고 거기에서 이격되어 있어서 관 벽은 보올이 채널(34) 안으로 충분히 깊이 들어가도록 하고, 채널 측부(33)는 갈라져서 벌려져 있다. 채널 측부(33)와 보올(11) 사이에 발생된 마찰에 의해, 보올은 화살표 B 방향으로 휠(30)이 회전할 수 있도록 구동한다. 도 9 에 일부 나타난 것처럼 보올은 관(2)과 채널(34) 사이의 핀치에서 수집 영역(35)으로 들어간다. 채널(34)에서 이동은 스트리퍼 플레이트(36)에 의해 완전히 이루어진다. 마찰 물질은 채널 측부(33, 37)의 표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6∼9 에 나타낸 실시예들은 같은 원주를 가진다. 즉 개개의 보올을 따로따로 수용하기 위한 개개의 치형 요소 또는 리세스가 없다. 이것은, 각 경우에 보올(11)이 구동 휠의 구동면과 쉽게 맞물릴 수 있고 보올, 특히 제 1 보올이 장치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두 리세스 사이의 영역에서 구동면과 접할 수 있는 위험이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다른 장점은, 상기 장치가 안전 벨트에 적용할 수 있는 인장 하중이 보올과 구동 휠 사이에 적용될 수 있는 최대 토크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이다. 상기 최대값을 초과한다면,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보올은 쉽게 구동 휠과 압력관 사이의 핀치에서 나온다. 이것은, 벨트가 과도하게 조여질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고 휠의 출력 토크는 가스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최대 압력에 독립적이라는 점에서 좀더 안전하다.
도 10 과 11 에서, 구동 휠(40)은 컴플라이언스 물질(예; UHMPE)로 형성되고 보올(11)을 수용하기 위한 외주에 형성된 부분 원형 단면을 가지는 연속 그루우브(41)를 포함한다. 상기 휠(40)은 안전 벨트 견인근의 테이크-업 릴(42)에 장착된다.
불꽃 물질(44)을 포함하는 가스 발생 장치(43)는, 압력 챔버(2)를 구성하는 원형 단면을 가지는 장방형 관의 제 1 단면(44)과 함께, 릴(42)내에 놓인다. 릴에서 방사상 바깥쪽으로 통과하도록 관상 압력 챔버(2)는 구부려지고 구동 휠의 원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돌아온다. 보올(11)은 가스 발생 장치(44)가 작동할 때, 화살표 A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림(41)과 관(2)의 열린 단부(45) 사이의 핀치로 통과하고 도 6 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휠(40)과 릴(42)을 구동시킨다. 사용된 보올(11)은 리셉터클(46)내에 수집된다.
보올은 서로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형 단면의 관내에 구상 보올(11)의 조합체는, 압력관이 가스 발생 장치의 압력을 견딜 수 있을 만큼 강하게 하고 3차원 형태로 구부려질 수 있게 하는 반면 개개의 보올은 관(2)에 채택될 수 있는 형태를 한정하는 상대 관절에 제한을 가한다. 따라서 가스 발생 장치(43)는 압력관(2)의 일부와 함께, 릴(42)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공간은 이용되지 않고, 프리텐셔너의 전체부피는 더 작아진다.
독자의 주의는, 본원과 관련된 상기 명세서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제출되고 이 명세서와 함께 공개된 모든 문서에 향하고, 상기 모든 문서의 내용은 참고로 본원에서 설명된다.
이 명세서에서 설명된 모든 특징 및/ 나타낸 모든 공정 단계는, 서로 배타적인 조합을 제외하고는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각의 특징은,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작용하는 다른 특징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징들의 새로운 결합 및 공정 단계의 결합까지 확장된다.

Claims (39)

  1. (i) 장방형 압력 챔버(2);
    (ⅱ) 압력 챔버에 놓인 다수의 보올(11);
    (ⅲ) 압력 챔버를 따라 보올이 움직이도록 압력 챔버내에 고압 가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가스 발생 장치(5);
    (ⅳ) 고압 기체에 의해 압력 챔버를 따라 움직일 때 보올이 부딪치고, 탑승자에 대해 안전 벨트 띠를 당기고 작동시에 안전 벨트 띠의 느슨한 부분을 감아올리기 위해서, 보올에 의해 부딪쳤을 때 벨트를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을 감도록 보올(11)에 의해 구동되도록 배치되고 안전 벨트 견인근의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42)에 연결된, 구동면(12; 21; 25; 34; 41)으로 이루어지고, 안전 벨트 띠가 감기는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을 가지는 형태의 안전 벨트 견인근을 위한 프리텐셔너(1).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면은 안전 벨트 견인근의 회전 가능한 테이크-업 릴(42)에 연결된 구동 휠의 원주 표면(12; 21; 25; 34; 4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3.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구동면은 보올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톱니모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4. 제 3 항에 있어서, 구동면은 리세스를 가지고 형성되고 각각의 리세스는 하나의 보올을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5.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구동 휠은, 구동면과 보올 사이의 압력 접촉에 의해 변형되는 컴플라이언스 물질(21; 27; 33; 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6. 제 5 항에 있어서, 구동 휠은 컴플라이언스 물질로 이루어진 원주 표면층(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7. 제 5 항에 있어서, 구동 휠은, 강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주 표면층(25)과 그것의 방사상 내부에 컴플라이언스 물질로 이루어진 고리 모양의 층(2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8. 제 5 항에 있어서, 구동 휠은 탄성 변형 가능한 채널 측부(33)를 가지는 원주 채널(34)을 포함하고, 채널 측부(33)를 변형함으로써 그 사이에만 보올(11)이 수용될 수 있도록 채널 측부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9. 제 8 항에 있어서, 채널 측부(33)는 서로를 향하여 기울어진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0.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작동시에 보올(11)은 구동면(12; 21; 25; 34; 41)에 접하여 부딪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1.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압력 챔버는 원형 횡단면을 가지는 장방형 관(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2)은 구동면에 접선 방향으로 배치된 열린 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3. 제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관은 열린 채널(7)에서 끝나고, 작동시에 보올을 구동면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열린 채널(7)은 터미널 저지 부재(8; 36)를 갖추고 있고 보올이 구동면을 떠난 후 작동시에 보올(11)의 속도를 감속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5.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보올(11)의 수는, 프리텐셔너가 작동하는 동안 1½에서 3번 정도 안전 벨트 견인근의 테이크-업 릴을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6.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적어도 30개의 보올(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많아도 50개 이하의 보올(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8.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보올(11)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19.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보올(11)은 구형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0. 제 19 항에 있어서, 구형 보올(11)은 장방형 압력 관(2)에 일렬로 배치되고 보올이 자유롭게 관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관(2)의 전체 내부 지름을 차지하도록 보올(11)의 지름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장방형 압력관(2)은 구동면 둘레의 일부 또는 전체를 돌아서 있는 아치형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2. 제 20 항 또는 21 항에 있어서, 장방형 관의 축은 하나 이상의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장방형 관(2)의 일부는 나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4. 제 22 항 또는 23 항에 있어서, 장방형 관(2)의 일부는 테이크-업 릴(42)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5. 제 22 항에서 24 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 장치(43)는 테이크-업 릴(42)내에 일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6.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가스-발생 조성물(13)은 압력 챔버(2)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7.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가스 발생 조성물(13)은 불꽃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8.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장치(17)는 보올이 작동하기 전에 압력 챔버(2)내에 보올(11)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29. 제 26 항에 있어서, 리테이닝 장치는 보올(11)이 챔버내에 삽입된 후에 압력 챔버(2)로 주입되고 압력 챔버에 보올을 유지하기 위해서 응고시키는 리지드 거품(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30.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보올이 구동면에 부딪치는 과정 이후에 작동시 보올(11)을 수용하는 수집 챔버(9; 35; 46)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31. 제 28 항에 있어서, 수집 챔버는 클리어 패널(10)을 포함하고 상기 클리어 패널을 통하여 보올이 관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32.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보올이 안전 벨트의 정상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프리텐셔너의 작동 이후에 보올(1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텐셔너.
  33. 상기 청구항에 있어서,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따른 바의 프리텐셔너.
  34.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른 바의 운송수단 안전 벨트.
  35. 제 1 항에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텐셔너를 갖춘 안전 벨트.
  36. 제 35 항에 있어서, 작동시에 안전 벨트 프리텐셔너의 작동은 20밀리세컨드내에 1∼3번 정도 안전 벨트 견인근의 테이크-업 릴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37. 제 35 항 또는 36 항에 있어서, 작동시에 프리텐셔너는 안전 벨트를 120∼200㎜ 정도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벨트 견인근.
  38. 제 35 항에서 37 항에 있어서,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따른 바의 안전 벨트 견인근.
  39.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따른 바의 안전 벨트 견인근.
KR1019970705600A 1995-02-16 1996-02-15 운송수단의 승객 고정장치 KR199807022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03070.6 1995-02-16
GBGB9503070.6A GB9503070D0 (en) 1995-02-16 1995-02-16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205A true KR19980702205A (ko) 1998-07-15

Family

ID=10769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600A KR19980702205A (ko) 1995-02-16 1996-02-15 운송수단의 승객 고정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09582B1 (ko)
JP (1) JP2002503169A (ko)
KR (1) KR19980702205A (ko)
DE (1) DE69603158T2 (ko)
ES (1) ES2133932T3 (ko)
GB (1) GB9503070D0 (ko)
WO (1) WO19960253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3016A (en) * 1997-03-10 1998-09-16 Autoliv Dev Safety belt pre-tensioner
US6722600B2 (en) 1999-02-26 2004-04-20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DE20003453U1 (de) 1999-02-26 2000-07-13 Takata Corp Straffer
US7124974B2 (en) 1999-02-26 2006-10-24 Takata Corporation Seat belt retractor
JP3943295B2 (ja) 1999-08-25 2007-07-11 タカタ株式会社 プリテンショナ及びそれを有す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1063519A (ja) 1999-08-25 2001-03-13 Takata Corp プリテンショナ
US6532739B2 (en) 1999-08-25 2003-03-18 Takata Corporation Pretensioner
JP4811893B2 (ja) 2000-04-21 2011-11-09 タカタ株式会社 モータ式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4654489B2 (ja) 2000-06-16 2011-03-23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JP4518447B2 (ja) 2000-07-25 2010-08-04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DE10356206B4 (de) 2003-12-02 2006-11-23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Straffer-Kombination
JP4654204B2 (ja) * 2004-02-17 2011-03-16 オートリブ ディヴェロプメント アクチボラゲット 駆動停止部を備えた回転式テンショナ
DE102004050663A1 (de) * 2004-10-18 2006-04-20 Trw Automotive Gmbh Gurtstraffer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DE202006004748U1 (de) * 2005-12-13 2007-04-26 Trw Automotive Gmbh Gurtstraffer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DE102009018331B4 (de) 2009-04-23 2015-03-12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für einen Gurtaufroller
DE102010047211B3 (de) * 2010-09-29 2012-03-01 Takata-Petri Ag Gurtaufroller mit Strafferantrieb
JP5975846B2 (ja) * 2012-10-30 2016-08-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プリテンショナ機構
US11685338B1 (en) * 2021-12-13 2023-06-27 Autoliv Asp, Inc. Pretensioner housing in retra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31164A1 (de) * 1979-08-01 1981-02-19 Dynamit Nobel Ag Rotationskraftelement
AU694506B2 (en) * 1994-04-11 1998-07-23 Autoliv Development Ab Mass-body drive for a rotary tight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503070D0 (en) 1995-04-05
DE69603158T2 (de) 2000-03-09
JP2002503169A (ja) 2002-01-29
ES2133932T3 (es) 1999-09-16
DE69603158D1 (de) 1999-08-12
WO1996025310A2 (en) 1996-08-22
EP0809582B1 (en) 1999-07-07
MX9706473A (es) 1998-06-28
EP0809582A1 (en) 1997-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2205A (ko) 운송수단의 승객 고정장치
US5924640A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EP0984875B1 (en) Buckle pretensioner
US6419177B2 (en) Seat belt pretensioner
CN110546044B (zh) 包括气体释放开口的安全带预紧式卷收器组件
US20150336538A1 (en)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CN110520336A (zh) 包括活塞安全阀构件的安全带预紧式卷收器组件
US20120006925A1 (en) High Seal Retractor Pretensioner Piston
JP7213843B2 (ja) リトラクタプリテンショナアセンブリ
CN110520335A (zh) 包括预紧器杆的安全带预紧式卷收器组件
US6994288B2 (en) Belt retractor comprising a tensioning device
CN108749762B (zh) 一种预紧限力安全带及其预紧限力抗衰减机构
EP3699037B1 (en) Retractor pretensioner assembly
EP0799752B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retensioner
US5489072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re-tensioner
MXPA97006473A (en) Vehic occupant clamping system
US11370390B2 (en) Belt tightener with a mass body
CN220535605U (zh) 安全带张紧装置、预紧安全带以及车辆
EP3712019B1 (en)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gas release opening
US11059452B2 (en)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gas release opening
US20210253059A1 (en) Seat belt pretensioner system
KR100395179B1 (ko) 차량의안전벨트조임장치
KR20070017115A (ko) 체인형 작동 본체를 가지는 프리텐셔너 및 프리텐셔닝 방법
KR960012267B1 (ko) 자동차 시트의 안전장치
KR100414604B1 (ko)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릴역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