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179B1 - 차량의안전벨트조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안전벨트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179B1
KR100395179B1 KR1019950031420A KR19950031420A KR100395179B1 KR 100395179 B1 KR100395179 B1 KR 100395179B1 KR 1019950031420 A KR1019950031420 A KR 1019950031420A KR 19950031420 A KR19950031420 A KR 19950031420A KR 100395179 B1 KR100395179 B1 KR 10039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piston
vehicle
guide pipe
fasten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07A (ko
Inventor
마틴슈페흐트
Original Assignee
하에스 테크닉 운트 디자인 테크니쉐 엔트비클룽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310,445 external-priority patent/US5519997A/en
Application filed by 하에스 테크닉 운트 디자인 테크니쉐 엔트비클룽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에스 테크닉 운트 디자인 테크니쉐 엔트비클룽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01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4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1955Linear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2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fluids or vico-e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내측에서 안내되며 가스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추진제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피구동부와 연결하는 견인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조이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독일특허번호 제2,249,786호에 개시된 상기 종류의 장치에서, 가스 발생장치는 피스톤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은 가스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추진제에 의해 구동된다. 피스톤은 가이드파이프(guide pipe) 내에서 안내되며 견인장치(traction mechanism)를 통하여 차량의 안전벨트에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 내부에서 발생된 추진제는 1개 이상의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파이프 내에 배치된 압력실로부터 방출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조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욱 컴팩트한 구조를(compact construction) 가지며 더 적은 수의 구성부품을 가지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이드 파이프는 추진제가 방출되는 피스톤의 한쪽 끝에서 추진제가 배출되는 압력시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연소실은 피스톤 내에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의 내부에서는 점화과정 동안 가스 발생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추진제의 연소에 의하여 구동력을 제공하는 최종 추진제가 형성된다. 피스톤 및/또는 연소실의 내측을 향하는 측면에, 예를 들면 독일특허출원 NO. P4228696.4 또는 유럽특허출원 NO. 93/106542.9에 묘사된 바와 같이, 가스 발생장치가 상기 목적을 위하여 폭발하부(bursting base)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스발생장치는 가스가 발생장치로부터 적어도 2 이상의 단계로 방출되며, 그 경우 첫 단계에서 방출된 가스는 연이은 두 번째와 그 후의 단계의 방출된 가스에 비하여 낮은 구동압력을 피스톤에 작용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발광탄식(pyrotechnic)가스 발생장치는 독일특허출원 NO. 4228696.4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움직이는 구성요소에 작용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압력분포조절을 용이하게 하여준다. 처음에, 첫 번째 구동단계에서 미는 힘이 정지질량이 이동되도록 작용한다. 그 후의 단계 및/또는 단계들에서, 최종압력이 증가된 폭발 속도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 결과, 가속과정에서 감소된 응력이 안전벨트의 각 부분에 작용하여 움직이게 한다. 몇 분의 일초와 같은 짧은 시간에 조심스럽게 작용되는 견인력 하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구성요소가 처음 위치에서 마지막 위치까지 이동하는 어떤 단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는 차량의 안전셔터나 구성부분을 정상위치로부터 후퇴된 위치로 움직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운전대, 페달 또는 안전벨트를 후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피스톤이 구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하여, 리턴록(return rock) 장치를 가이드파이프의 내벽에 위치한 피스톤에 배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을 줄이고 조립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이것은 가이드파이프가 부가적인 기능, 즉 내벽의 리턴록 장치와 협력하여 감속파이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리턴록 장치는 구동방향의 피스톤 끝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장치는 피스톤의 상기 끝부분에서 피스톤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특히 넓혀진 단면적을 가진 압축 케이블을 통하여), 이 장치는 견인장치에 작용하고 있는 힘이 짧은 동력유속로(power flux path)로 차량에 고정된 가이드 파이프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안전벨트 잠금쇠를 역으로 조임으로서 특정목적에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즉 안전벨트 잠금쇠를 조여서 견인장치를 통하여 운전석 전체를 조아서 안전벨트가 운전자의 신체에 부착된다. 이를 통하여, 사고 시에 조여지는 안전벨트때문에 운전자가 너무 많이 움직이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안전벨트 잠금쇠의 동작이 아주 짧은 시간에 일어나기 때문에 급출발, 급정지 시에 최종적 동작에서 안전벨트 잠금쇠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 동작에서 급정거를 피하기 위해 안전벨트 잠금쇠와 방향바꿈장치 사이에 에너지 흡수기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흡수기는 안전벨트 잠금쇠의 동작 특히 최종적인 조임동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에너지 흡수기는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파이프 모양을 할 수 있다. 에너지 흡수기의 재료는 방향바꿈장치의 재료보다 약하게 만들어져 있다. 에너지 흡수기의 약한 재료가 견인장치를 움직이는 조임동작의 마지막 부분에 방향바꿈장치의 입구로 밀려들어감으로써 동작이 정지하게 된다. 이때 에너지 흡수기의 약한 재료는 변형되고 안전벨트 잠금쇠를 정지시키기 위해 에너지가 소모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설명된 구동장치는 가이드 파이프(7)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파이프(7)의 내부에는 추진제에 의해 구동되는 피스톤(2)이 안내된다. 가스 발생장치(1)는 피스톤(2) 구동을 실현하기 위하여 피스톤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의 구동방향(화살표 A)에서 보아, 상기 가스 발생장치(1)는 피스톤의 전단부에 위치한다. 상기 가스발생장치(1)는 유럽특허출원 NO. 93/106542.9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즉, 가스발생장치는 추진제 방출측(3)에 폭발하부(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폭발하부(20)는 일단 가스발생장치가 점화되면 열리게 된다.
따라서, 추진제는 피스톤의 내부공간(4)으로 방출되게 된다. 이 내부공간(4)은 연소실로서 구성된다. 폭발하는 추진제의 연소는 상기 연소실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 발생장치(1)는 독일특허출원 NO. P422 86 96.4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2단계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가스발생장치에 폭발속도가 다른 여러 폭발성 물질이 구비되어 있어, 첫번째 단계의 가스가 점화장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폭발성 물질에 의하여 최초로 형성될 수 있다.
점화는 전원공급장치(22)를 구비한 전기점화장치(14)의 도움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적인 점화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소실로서 기능하는 피스톤의 내부공간(4)은, 동시에 압축 케이블(17)을 수용하는 기능도 하며, 상기 압축 케이블(17)은 견인장치(15)로 제공된 견인 케이블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압축 케이블(17)은, 또한 피스톤 하부(18) 내측(즉, 또한 스타팅 위치이기도한)에 단단하게 밀착된 지지 링(19)을 포함한다(제1도 참조). 피스톤의 내부공간(4)에서 형성된 추진제가 방출될 수 있는 통로인 1개 이상의 리세스(recess;5)가 상기 압축 케이블(17), 특히 지지 링(19) 안에 위치하고 있다. 추진제는 압력실(6) 안으로 방출된다. 상기 피스톤의 내부공간(4)을 압축 케이블(17)을 수용하는 동시에, 가스 발생장치(1)의 추진제 방출측(3)이 향하여져 있는 연소실로서 기능한다.
구동방향(A)에서 보아, 피스톤(2)의 후단에 리턴록 장치(9)가 위치하고 있다. 제1도에 따르면, 상기 리턴록 장치(9)는 벌어질 수 있는 록킹부(locking element)(10)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부(10)는 여러 개의 링 요소, 예컨대 3개의 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록킹부(10)를 스냅 링(snap ring)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록킹부(10)는 원추형돌출부(conical projection;11) 위에서 안내된다. 상기 원추형돌출부(11)는 피스톤 하부(18)의 외측면 위에 형성된다. 상기원추형돌출부(11)는 속이 비어 있는 형태(hollow fashion)을 가진다. 원추형 돌출부(11)의 내부는 누설구(23)를 통하여 압력실(6)에 연결되며, 따라서 배출구 또는/및 배출구들(5)은 상기 압력실 쪽으로 향하도록 위치되어진다. 출발위치에서는, 상기 원추형돌출부(11)가 가이드 파이프(7)의 폐쇄부(closure element;8)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폐쇄부(8)는 플라스틱 마개 또는 연소 잔류물용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7)의 타단부 또한 이러한 폐쇄부가 구비된다. 상기 록킹부(10)는 주위의 스프링요소(21)에 의하여 상기원추형 돌출부(11) 상에서 안내될 수 있으며, 주위의 고무쿠션(24)과 접하고 있다.
상기 록킹부(10)는 구동방향 A로 가이드파이프(7)의 내벽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피스톤(2)이 구동방향 A의 역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록킹부(10)는 원추형돌출부(11)에 의해 벌어져서, 가이드파이프의 내벽에 맞물리므로 피스톤의 움직임을 막아준다. 이를 위해 상기 록킹 링(locking ling)에는 뾰족한 팁(tip;13)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스톤(2)의 이동을 막기 위한 상기 록킹부(10)와 가이드파이프(7)의 맞물림을 보조하기 위하여 주위방향 홈(12)이 가이드파이프(7)의 내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위방향 홈(12)의 단면은, 뾰족한 팁(13)이 상기 록킹부(10)에 결합할 수 있도록 볼록(positive) 또는 오목(non-positive)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동방향 A에서 보았을 때, 상기 록킹부(10)는 원주형 팁(peripheral tip;13)에서 시작되는 경사진 주위 표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표면에 의해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록킹부(10)의 구동방향 A로의 자유로운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견인케이블로 구성된 견인장치(15)는 그 구성요소를 향하여 연장되며, 폐쇄부(8)를 통과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7)의 단부에 협소부(narrowing;26)가 제공된다(제2도 참조). 피스톤(2)은 원추형으로 이루어진 전면부 (25)와 함께 상기 협소부(26) 안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스톤이 점점 감속되고 정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임 상태(tightened condition)는 피스톤의 이동을 막기 위해 가이드파이프의 내벽과 결합하는 리턴록 장치(9)에 의하여 유지된다. 견인장치(15)에 작용하는 힘은 피스톤(2)에 고정된 압축 케이블(17)에 의해 흡수되고, 피스톤 하부(18)와 리턴록 장치(9)를 경유한 짧은 경로(path)를 거쳐 상기 파이프(7) 안으로 전달된다. 상기 파이프(7)는, 예컨대 차량의 몸체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일단 피스톤(2)이 감속되면, 압축 케이블(17)과 이에 연결된 견인장치(15)는 그 관성질량때문에 피스톤의 구동방향 A로 움직임을 계속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스프링(disk spring) 모양의 브레이크(16)가 피스톤(7)과 견인장치(15)를 연결하는 압축 케이블(17)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압축 케이블(17)은 구동방향 A로 움직이는 동안 브레이크(16)에 의하여 감속된다. 이러한 브레이크(16)에 의하여 구동동작의 말미에서 2단계 감속이 용이하게 된다.
제2도에 나타난 실시예에 있어서, 복귀 브레이크로서 작용할 수 있는 리턴록 장치(9)는 그 출발위치에서 탄성재료의 링(28)과 인접한 롤러몸체(27)로 구성된다.
상기 롤러몸체(27)는 피스톤을 둘러싼 테이퍼(tapered)진 환상(annular)의 공간에 유지된다. 이 공간의 내측면은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경사면은 부드러운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되는 피스톤부분(30)을 둘러싸는 단단한 쉘(29)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환상의 제한부는 가이드파이프(7)의 내면에 의해 형성된다.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피스톤이 움직일 때, 상기 롤러 몸체(27)는 제2도에 나타난 위치에서 유지된다. 피스톤(2)의 복귀를 막기 위하여, 상기 롤러몸체(27)는 단단한 쉘(29)의 경사표면을 따라 이동되고 전술한 테이퍼 공간(tapered space)의 내측에서 클램핑체(clamping body)로서 작용하게 된다. 상기 롤러 몸체(27)는, 상기 파이프(7)의 내벽 상에서 변형되어, 브레이크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견인케이블로 구성된 견인장치(15)는 도면에서 부분적으로 표시된 차량의 안전벨트의 안전벨트 잠금쇠(31)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2)은 상기 안전벨트 잠금쇠(31)가 예를 들어, 80mm의 거리만큼 후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벨트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주위를 조이도록 한다.
제3도와 제4도에서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를 볼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가이드 파이프(7) 내의 구동장치로써 제1도 또는 제2도에서 나타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제2도에서처럼 견인케이블로 기능하는 견인장치(15)가 방향바꿈장치(32)를 통하여 자동차의 안전벨트 잠금쇄(3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견인케이블(15)은 방향바꿈장치(32) 안에 있는 구부러진 구멍(36)을 통과하고 있다. 상기 방향바꿈장치(32)는 자동차 좌석 혹은 자동차 몸체에 있는 고정위치에 고정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파이프(7) 내의 구동장치의 조임 운동에의하여 안전벨트 잠금쇠(31)는 약 80mm 정도(S) 후퇴하게 되고, 이 때문에 운전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있던 안전벨트는 조여진다.
제3도에서 차량의 정상적 주행에서의 상태를 볼 수 있다. 제4도에서는 안전벨트 잠금쇠(31)가 후퇴된 상태이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안전벨트 잠금쇠(31)가 대략 S길이(제3도 참조)만큼 후퇴하여 조여진다. 상기 후퇴조임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안전벨트 잠금쇠(31)가 단시간 내에 고속으로 조여지게 된다. 이 조임운동이 갑자기 중단된 때, 가속과 그로 발생된 힘이 안전벨트 잠금쇠(31)와 그 부속부분에 작용하여, 상기 안전벨트 잠금쇠(31)와 그 부속부분을 정해진 위치로부터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조임운동의 갑작스런 중단을 피하기 위하여, 도시한 실시예는 파이프 형태의 에너지 흡수기(33)를 구비한다. 상기 에너지 흡수기(33)는 안전벨트 잠금쇠(31)와 방향바꿈장치(32)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파이프형태의 에너지 흡수기(33)가 고정요소에 의하여 견인장치(15)에 부착되어 있다. 안전벨트 잠금쇠(31)의 아랫부분에는 정지요소로서 푸시로드(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지요소, 즉 푸시로드(34)는 견인케이블로 기능하는 견인장치(15)와 안전벨트 잠금쇠(31)를 결합시키는 케이블 압력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후퇴조임동작 시에 안전벨트 잠금쇠(31)는 S부분을 따라 움직인다. 이때 푸시로드(34)에 의해서 파이프형태의 에너지 흡수기(33)가 방향 바꿈장치(32)의 구멍(36) 내부로 밀리게 된다. 상기 에너지 흡수기(33)의 재료는 방향바꿈장치(32)의 재료보다 약하기 때문에 상기 에너지 흡수기(33)는 변형된다.
이 때 사용되는 에너지는 안전벨트 잠금쇠(31)의 동적에너지를 감소시킨다.이를 통해 에너지 흡수기(33)에 의한 운동에 뒤따르는 후퇴조임운동도 감속된다. 이러한 감속에 의하여 안전벨트 잠금쇠(31)와 그 부속부분은 가벼운 충돌이 있게 되고, 따라서, 상기 안전벨트 잠금쇠(31)와 그 부속부분에 작용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부분이 움직일 위험도 줄어들거나 혹은 제거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에 따른 구동장치의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의 정상적 주행상태에서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의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의 동작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Claims (26)

  1. 가이드파이프와, 상기 가이드파이프의 내측에서 안내되며 가스 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된 추진제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피구동부 및 상기 가이드파이프 내에 형성된 압력실(6)과 연결하는 견인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추진제는 상기 피스톤 내의 하나 이상의 배출구(5)를 경유하여 상기 압력실(6)로부터 방출되고,
    상기 피스톤(2) 내에 배치된 가스 발생장치(1)는, 피스톤의 내부공간(4)을 향하며 가스 발생장치에서 점화된 추진제에 의하여 개방되는 추진제 방출측 부분(3)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의 내부공간(4)은, 하나 이상의 배출구(5)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 발생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추진제를 위한 연소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6)은, 연소잔류물을 위한 필터로서 구성되는 폐쇄부(8)에 의하여 가이드파이프(7)의 단부에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피스톤(2)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파이프(7)의 내벽에 맞물릴 수 있는 리턴록 장치(9)가, 상기 피스턴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록 장치(9)는, 구동방향에서 보아서 피스톤의 끝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록 장치(9)는, 가이드파이프(7) 축에 대하여 방사형으로 확장될 수 있고, 피스톤(2)의 원추형 돌출부(11) 상에서 안내되며, 가이드파이프(7)의 내벽 위를 구동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고, 피스톤(2)이 구동방향의 역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원추형 돌출부(11)에 의하여 확장되어 상기 가이드 파이프(7)의 내벽과 맞물려 상기 피스톤의 움직임을 막는 록킹부(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안전벨트 조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돌출부(11)는, 속이 비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배출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파이프(7)의 내벽에는, 상기 록킹부(10)가 방사형으로 확장될 때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주위방향 홈(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0)는, 록킹부가 팽창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파이프(7)의 내벽과 맞물리는 뾰족한 팁(1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10)는 초기 응력(prestress) 하에서 상기 원추형 돌출부(11)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장치(1)는 그 추진제가 2 이상의 단계로 방출되고, 피스톤이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1단계동안 방출되는 가스가 연이은 제2단계 또는/및 후속의 단계들 동안 방출되는 가스보다 더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장치 (1)는 전기점화장치(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15)는 견인케이블을 포함하며, 견인케이블보다 큰 직경의 압축 케이블(17)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2)과 단단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2)은 정상작동과정 동안 폐쇄부(8)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7)는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배출구(5)는 압축 케이블(17) 상에 배치된 지지 링(9) 내의 리세스(recess)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지지 링은 피스톤의 내부에 있는 피스톤 하부(18) 상에서 단단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돌출부(11)는 피스톤 하부(18)의 외주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에 부착된 견인장치(10)는 구동방향으로 안내되고, 피스톤(2)의 이동운동이 끝날 때에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 조임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정지 위치에서 피스톤(2)에 대한 상기 견인장치(15)의 움직임을 감속시키는 브레이크(16)가, 피스톤과 압축 케이블(17)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장치(15)가 방향바꿈장치(32)를 통과하여 안전벨트 잠금쇠(3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잠금쇠(31)와 방향바꿈장치(32) 사이에 에너지 흡수기(33)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에너지 흡수기(33)는 안전벨트 잠금쇠(31)의 조임운동을 방향바꿈장치(32)의 방향을 따라서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조임운동은 에너지 흡수기(33)에 의해 감속되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기(33)는 견인장치에 부착되며,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벨트 잠금쇠(31)에 푸시로드(34)가 구비되어, 상기 푸시로드(34)가 방향바꿈장치(32)의 구멍(36) 내에 있는 에너지 흡수기(33)를 밀며, 상기 푸시로드(34)로 상기 견인장치(15)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기(33)가 파이프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흡수기가 원추형 파이프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2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록 장치(9)는, 피스톤을 둘러싼 테이퍼(tapered)진 환상(annular)의 공간에서 유지되는 롤러몸체를 구비한 복귀 브레이크로서 작용하고, 상기 환상의 공간은 단단한 쉘(shell)로 이루어진 내부 경사면을 구비하여 상기 롤러몸체가 그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안전벨트 조임장치.
KR1019950031420A 1994-09-22 1995-09-22 차량의안전벨트조임장치 KR100395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10,445 1994-09-22
US08/310,445 US5519997A (en) 1993-09-22 1994-09-22 Device for tightening a safety belt of a motor vehicle
DE08/310445 1994-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07A KR960010407A (ko) 1996-04-20
KR100395179B1 true KR100395179B1 (ko) 2003-11-10

Family

ID=2320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420A KR100395179B1 (ko) 1994-09-22 1995-09-22 차량의안전벨트조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95179B1 (ko)
CA (1) CA2158901A1 (ko)
MX (1) MX950401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8998B2 (en) 2003-07-25 2008-07-15 Key Safety Systems, Inc Wire, wire rope or cable assemblies for seat belt component
DE102018202697A1 (de) * 2018-02-22 2019-08-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9504017A (es) 1997-05-31
CA2158901A1 (en) 1996-03-23
KR960010407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9997A (en) Device for tightening a safety belt of a motor vehicle
US4008909A (en) Actuator for safety seat belt system
US5397075A (en) Seat belt pretensioner
JP2604560B2 (ja) プリテンショナ装置
US20010030254A1 (en) Seat belt pretensioner
EP3595941B1 (en) Seatbelt pretensioning retractor assembly including a piston-safety valve member
US6729649B1 (en) Safety belt system with a pretensioning device and AP force limiter
JPH07156751A (ja) 自動車シートベルトのベルト引張装置
KR20200027913A (ko) 가스 방출 개구를 포함하는 시트벨트 프리텐셔닝 리트랙터 조립체
US20080054617A1 (en) Vehicle Having At Least One Seat For At Least One Vehicle Occupant And A Belt System
EP0827883B1 (en) Pretensioner
US6250720B1 (en) Tensioner for a safety belt
EP1201513B1 (en) Soft-start piston actuator
US6076856A (en) Belt tension and energy absorbing apparatus
US6149095A (en) Device for tightening a seatbelt
EP0799752B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pretensioner
KR100395179B1 (ko) 차량의안전벨트조임장치
JP4246865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969525B2 (ja) プレテンショナおよび関連の改良
EP0560181B1 (de) Antriebssvorrichtung zur Bewegung von KFZ-Bauteilen aus einer Normalposition in eine Sicherheitsposition
EP0874745B1 (en) Seat belt pretensioner
US6966607B2 (en) Device for tensioning a safety belt with a pyrotechnic linear drive
US20030122363A1 (en) Operating method and system for vehicle safety device
KR100279832B1 (ko) 회전팬을 갖는 시트벨트 권취장치
EP3643568B1 (en) Belt pretensioner for a seatbel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