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735A - 급속 동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속 동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735A
KR19980087735A KR1019980037785A KR19980037785A KR19980087735A KR 19980087735 A KR19980087735 A KR 19980087735A KR 1019980037785 A KR1019980037785 A KR 1019980037785A KR 19980037785 A KR19980037785 A KR 19980037785A KR 19980087735 A KR19980087735 A KR 19980087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belt
freezer
support bracket
predetermined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0696B1 (ko
Inventor
최성출
Original Assignee
최성출
주식회사 용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출, 주식회사 용성산업 filed Critical 최성출
Priority to KR1019980037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0696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696B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속 동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단열재로된 함체형의 프리저(FREEZER, 이하 냉동고라 칭함) 본체에 직선부 혹은 곡선부에서의 등속 이송이 가능한 메쉬벨트(MESH BELT)를 일정구간 순환 이동 가능하도록 궤도장착하여 이루되, 상기의 메쉬벨트 내,외측에 지지브라켓트를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연결설치하여 상기 메쉬벨트가 냉동고 내부의 회전부에서는 상호간 적층되는 상태로 이송가능하게 하여 상기 메쉬벨트 상부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식품등의 피 동결물을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이동 시킴으로써, 동결물에 대한 냉동효율과 그에 따른 식품 유통기간의 연장 및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피 동결물의 다량, 연속동결이 가능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한편, 장치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화 되어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비 및 인건비의 절감과 동시에 장치를 이루는 관리대상, 구성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설치에 따른 점유면적이 최소화될수 있게 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급속 동결 시스템
본 발명은 급속 동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단열재로된 함체형의 프리저(FREEZER, 이하 냉동고라 칭함) 본체에 직선부 혹은 곡선부에서의 등속 이송이 가능한 메쉬벨트(MESH BELT)를 일정구간 순환 이동 가능하도록 궤도장착하여 이루되, 상기의 메쉬벨트 내,외측에 지지브라켓트를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연결설치하여 상기 메쉬벨트가 냉동고 내부의 회전부에서는 상호간 적층되는 상태로 이송가능하게 하여 상기 메쉬벨트 상부를 통해 이송되는 가공식품등의 피 동결물을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이동 시킴으로써, 동결물에 대한 냉동효율과 그에 따른 식품 유통기간의 연장 및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피 동결물의 다량, 연속동결이 가능하여 생산성 및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한편, 장치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화 되어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비 및 인건비의 절감과 동시에 장치를 이루는 관리대상, 구성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설치에 따른 점유면적이 최소화될수 있게 한 급속 동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후가 따뜻한 지역에서 비교적 장기간 일반 상온에서 저장할수 있는 것은 곡류, 콩류, 감자와 같은 구근류등의 한정된 식물성 음식물이었으며, 고단백질, 지방원등을 공급하는 동물성 식품은 맛과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는 장기간의 저장과 유통이 불가능 하였다.
이는 외기로부터 오염되는 미생물의 번식으로 인해 변질하며 결국에는 부패상태에 이르기 때문이다.
물론, 통조림, 병저장, 건조와 같은 저장방법이 없었던 것은 아니나, 이는 맛과 품질이 천연의 것보다 뒤떨어지기 때문에 식생활을 크게 변화 시키지 못하였고, 그에 따라 최근의 냉각, 동결등을 비롯한 인위적 조작에 의한 저온기술의 발달은 식생활을 크게 변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저온 기술의 발달은 동물성 식품의 동결저장 및 냉장유통은 물론 품질 유지시간이 짧은 야채류, 과일류 등 식물성 식품의 냉각에 의한 저장 및 유통기간이 대폭 연장되었으며, 또한 저온보존이 가능한 각종 가공식품이 식생활을 윤택하게 만들고 있는 것은 부인할수 없는 사실이다.
한편, 식품의 화학성분은 수분, 회분,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의 식품은 수분을 70 ~ 80% 까지 함유하고 있어 이 수분이 식품의 품질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식품이 함유하는 수분은 결합수(結合水)와 자유수(自由水)로 되어 있고, 이중 대표적인 것으로서 곡류, 콩류등은 결합수가 대부분이며 자유수는 그 함유율이 적다.
상기의 자유수는 식품의 내부에서 자유로이 유동하는 물이기 때문에 미생물의 번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일반적으로 날것이 변질하기 쉬운 것은 바로 자유수 때문이다.
식품의 냉각, 동결, 저장과 같은 저온 조작은 식품에 포함된 수분의 존재상태에 따라 변한다.
재론하여, 식품의 동결 목적을 간단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식품을 0℃ 이하(결빙점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식품중의 자유수를 동결시킴으로써, 식품의 산소에 의한 변질, 미생물이나 곰팡이에 의한 변질을 방지하고자 하는것이다.
이때 동결되는 것은 주로 동물성 식품이며 그 보존 기간은 대체적으로 온도관리에 의해서 좌우된다.
대부분의 식품에서 식품온도가 -18℃ 이하가 되면 미생물의 활동은 정지되며 따라서 변질되지 않으나, 냉동된 식품의 맛(풍미), 형상의 양부(良否)와 관계되는 인자는 매우 많으며, 또한 식품의 종류와도 관계된다.
일반적으로는 가능한 한 신선한 상태에서 급속히 동결하는 것이 선도 유지 및 영양분 손실을 최소화 하는것에 바람직하고, 급속하게 식품의 온도를 강하시키면 빙결정(氷結晶)의 성장이 최소화 되므로 최대 빙결정대(-1 ∼ -5℃)를 짧은 시간에 완결토록 해야 한다.
이러한 식품의 급속 동결은 냉동식품의 종류에 따라 냉동고 내부에서의 냉각속도와 냉각온도를 다양하게 설정해둘 필요가 있다.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식품, 특히 돈가스, 게맛살, 만두, 튀김류등의 동결을 요하는 가공식품과 냉각을 요하는 어묵, 각종 유제품등 기타 가공식품을 급속 동결 또는 냉각하여 포장 및 저장공정을 거쳐 유통시킬수 있게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였다.
이러한 동결시스템은 가공을 완료한 식품의 온도가 약 +10℃ ∼ +40℃를 유지하는 상태로 공정 이동하여 약 -35℃ ∼ -40℃를 유지하고 있는 냉동고의 내부에 이송,투입되고, 냉동고에 투입된 식품은 일정 시간동안 그 내부에서 체류이동하면서 동결되어 출구에서의 식품온도가 약 -15℃ ∼ -18℃로 급속 동결되게 된다.
상기의 가공식품 동결을 위한 일반적 동결 시스템을 간략히 살펴보면 가공식품의 제조라인 종단부측에 설비되는 터널형 냉동고와, 스파이럴형, 즉 회전형 냉동고로 대별할수 있다.
전자인 터널형 냉동고는 대규모 식품가공라인을 갖춘영업장에 설비되어 다량의 가공식품을 냉각 또는 동결시킬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이는 냉동고의 내부면적이 넓고 크기 때문에 효과적인 냉각을 위한 냉풍의 발생 및 소모율이 높아 제품에 대한 냉동 효율이 저하되고, 특히 설치에 따른 점유면적이 많아 운용상의 제한적 요소가 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점유면적이 작고 냉기(냉풍)를 제한된 공간안에 가두어 피 동결물을 체류이동 시키면서 동결하는 후자인 회전형 냉동고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의 회전형 냉동고는 다양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나, 그 대표적인 최근의 기술로써,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되어 있는바와 같이, 단열재로 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함체형의 냉동고 본체(100) 내부 일측에 냉풍발생기(101)가 설치되고, 그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100)의 일측 입구부(102)로 부터 타측의 출구부(103)로 연속하여 순환 이동되는 메쉬벨트(200)가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이동 하면서 그 상부에 재치된채 이송되는 피 동결물을 설정된 온도로 급속 동결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장치부(300)가 설치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의 회전장치부(3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원통형 드럼(301)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고, 상기 드럼(301)의 외측부에는 상기 드럼(301)과 일정 유격거리를 갖는 다수의 지지형강(302)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그 상부에 횡으로 고정된 지지형강(303)이 상기 드럼(301) 상부의 축수부(304)를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단을 이르는 다수의 가이드봉(305)을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횡으로 용착한 다수의 고정봉(306)이 드럼(301)의 축수부(304)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형강(302)의 각 내면에 고정된채 상기 가이드봉(305)의 각 끝단이 드럼(301)의 외면부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각 단을 이루는 가이드봉(305)과 가이드봉(305) 사이에는 메쉬벨트(200)의 처짐방지와 가이드 역할을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와이어(307)가 일정 거리를 유지한채 각각 용착되어 하부에서 부터 상부를 향해 연결된 한조의 나선을 형성하고 있어 복잡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는 각각의 고정봉(306)에 용착된 상기의 가이드봉(305)과 나선을 이루고 있는 가이드 와이어(307)가 순환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메쉬벨트(200)를 드럼(301)의 외면에 상승하는 나선형태가 되도록, 즉 점차 상승하여 드럼(301)의 외면에 감겨지는 상태가 되도록 상승, 안내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가이드봉(305)의 고정되는 높이가 각각 상이한 상태로 용착 고정 될수밖에 없고 또한 드럼(301)의 외면에 메쉬 벨트(200)의 내측면이 당접되어 감아지는 상태로 상승, 이동하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307)의 설치 또한 복잡하고 정밀하게 구성하여야만 한다.
이는 결국, 제작 공정의 정밀도 및 고도의 숙련을 요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고,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다하며 인건비 및 자재구입비용의 상승과 전반적인 제작기술이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가 불가피 하여 그 제작에 따른 생산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의 메쉬벨트(200)가 안내되는 단과 단 사이, 즉 가이드봉(305)과 가이드봉(305)의 상하 유격거리(약 140mm)가 크기 때문에 메쉬벨트(200) 측면의 개방이 불가피하여 본체(100) 내부의 일측에서 부터 발생되는 냉풍(바람)에 의해 제품의 이탈가능성이 높고, 또한 상기의 냉풍은 기류를 형성하여 드럼(301)의 측면을 감아도는 형태 이므로 제품에 미치는 냉풍의 영향이 달라 결국 제품에 대한 온도분포가 고르지 못하여 제품이 균일하게 동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메쉬 벨트(200)의 측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이 직접 닿는 부위에 위치한 제품의 표면물질(빵가루, 튀김가루등)이 흩날려 장치, 즉 냉동고의 내부에 비산되므로 이로인한 제품품질의 저하와 동시에 냉동고 내부의 비위생적인 문제를 함께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의 드럼(301)을 회전 시키는 구동방식은 냉동고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로 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드럼(301)의 하부에 벨트 연결하여 상당한 하중을 유지하고 있는 드럼(301)의 축을 직접 회전시키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므로 구동에 많은 힘을 필요로 하고 있고, 이는 결국 구동 모터에 과부하를 발생시켜 잦은 유지보수가 뒤 따라야 하는등의 문제가 상존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폐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연구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직선부 혹은 곡선부에서의 등속 이송이 가능한 메쉬벨트를 일정구간 순환 이동 가능하도록 궤도장착하되, 상기의 메쉬벨트 양측에 지지브라켓트를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연속 연결설치하고, 상기 메쉬벨트가 냉동고 내부의 회전부에서는 상기 지지브라켓트가 상호 연속 적층되는것에 의해 상승 이동하는 메쉬벨트가 나선형태로 상호간 적층되는 상태로 이송될수 있게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메쉬벨트의 내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트에 복수개의 냉풍유입공을 형성하고, 제품의 동결을 위한 냉풍을 적층된 메쉬벨트의 상부를 통해 그 내부측으로 유도하여 외측으로 확산 시키는 방식을 택하므로써 통공에 의한 메쉬벨트상의 제품에 냉풍의 분포를 고르게 하여 결국 제품의 동결이 고르게 이루어 질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메쉬벨트의 외측에 설치된 지지브라켓트에 의해 냉풍의 외부 확산이 차단되어 냉풍을 가두어두는 작용을 함으로써 제품동결을 위한 냉동효율을 대폭 상승시킴과 동시에 냉풍에 의한 제품의 이탈을 방지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목적은 메쉬벨트 상호간의 적층에 의한 단이 이루어져 종래와 같이 별도의 가이드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메쉬벨트의 적층 높이가 낮아져 결국 동결되는 제품의 적재량이 많고 그에 따른 동결거리가 길어짐으로 인해 벨트의 순환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여 제품동결에 따른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메쉬벨트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지지브라켓트를 규격화 하여 양산가능하게 하고 이로인한 장치의 제작작업을 단순화 하여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의 절감과 동시에 관리대상 구성부품의 수를 줄여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확보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평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개략적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발췌 정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의 요부발췌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급속 동결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장치부에 대한 발췌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정단면도,
도 9는 도 7의 회전장치부에 대한 발췌도로서, 왜건조립체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메쉬벨트에 대한 부분 발췌 평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적층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메쉬벨트에 결합되는 외측 지지브라켓트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메쉬벨트에 결합되는 내측 지지브라켓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메쉬벨트
4 : 회전장치부 5 : 왜건
6 : 드럼 7 : 적층장치부
11,12 : 입출구부 31,32 : 내,외측지지브라켓트
31a,32a :분할절개부 31b,32b : 경사절곡부
31c,32c : 경사면 31d,32d : 절곡면
31e,32e : 만곡부 31f,32f : 핀공
31g,32g : 배수공 31h : 연결핀 장공
32h : 연결핀공 33 : 조립핀
34 : 냉풍유입공 35 : 미세돌기
41,42 : 가이드레일 51 : 돌출편
52 : 왜건조립체 52a : 롤러
52b : 연결볼트 52c,52d : 내,외측면
52c',52d': 돌출단 61 : 안내간
62 : 지지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14 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단열재로 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함체형의 냉동고 본체(1) 내부 일측에는 냉풍발생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의 내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1)의 일측 입구부(11)로 부터 타측 상부의 출구부(12)로 연속하여 순환 이동되는 메쉬벨트(3)가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 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재치된채 이송되는 피 동결물을 설정된 온도로 급속 동결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장치부(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것에 있어서,
상기 메쉬벨트(3)의 내,외측에는 판체 형상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를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쉬벨트(3)를 구성하는 핀(33)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연결하여 각각 일정의 유동간극을 갖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 장치부(4)는 본체(1)의 내부 중앙부에 한조의 가이드 레일(41),(4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한채 원형을 이루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1),(42)의 상부에는 외측 중간부에 돌출편(51)이 고정된 사다리꼴 형상의 왜건조립체(52)가 다수개 연속 절 연결되어 이루어진 왜건(5)이 회전 가능하게 재치되고, 상기 돌출편(51)에는 왜건(5)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M)의 동력을 받아 일정구간을 횡 회전하는 체인(C)이 치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왜건 조립체(52)는 일측 하부측에 복수의 가이드 롤러(52a)와 그 중간부에 회동가능한 연결볼트(52b)가 결합되며, 그 내,외측면(52c),(52d)이 반호상을 이루어 그 각 상면에 돌출단(52c'),(52d')이 형성되는것에 의해 메쉬벨트(3)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 하부에 위치한 분할절개부(31a),(32a)를 지지안내할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원형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41),(42)의 중앙부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드럼(6)이 상부에 안내간(61)을 다수의 지지보(62)로 고정한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왜건(5)의 상부에는 본체(1)의 입구부(11)로 부터 출구부(12)를 향하여 연속 순환 이동하는 상기 메쉬벨트(3)가 그 회전에 따라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를 상,하로 순차 적층시키는 적층장치부(7)에 의해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호 적층되면서 고내에서 체류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메쉬벨트(3)의 적층에 의한 외측지지브라켓트(32)가 메쉬벨트(3)의 외측부를 차단하고 메쉬벨트(3)가 적층된 그 내측부에는 상부를 통해 유도공급되는 냉풍이 메쉬벨트(3)의 각 내측브라켓트(31)를 통해 메쉬벨트(3)의 내부측에 고루 확산되어 그 냉풍에 의해 체류이송되는 피동결물을 급속 동결시킬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쉬벨트(3)의 외측 지지브라켓트(32)는 첨부된 도 13 에서 보여주는바와 같이, 그 외측에서 보아 판체의 중간측 후방부가 외측에 연결되는 다른 판체의 두께를 수용할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절곡부(32b)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절곡부(32b)의 하부에는 분할절개부(32a)가 형성되어 전방측 하단은 외측으로 경사면(32c)과 절곡면(32d)을 갖도록 형성되고, 후방측 하단은 내측으로 만곡부(32e)가 연장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측 경사면(32c)에는 복수개의 핀공(32f)이 전,후방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곡면(32d)의 중간부에는 배수공(32g)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측 하단의 만곡부 상부측에는 연결핀공(32h)이 형성되어 연결조립되는 다른 외측지지브라켓트(32)의 전방측 하부 경사면(32c)에 형성된 전방측 핀공(32f)과 중첩되는 채로 메쉬벨트(3)를 이루는 조립핀(33)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메쉬벨트(3)를 이루는 내측 지지브라켓트(31)는 첨부된 도면 도 14 에서와 같이, 그 내측에서 보아 판체의 중간부가 외측에 연결되는 다른 판체의 두께를 수용할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경사절곡부(31b)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절곡부(31b)의 하부에는 분할절개부(31a)가 형성되어 전방측 하단은 외측으로 경사면(31c)과 절곡면(31d)을 갖도록 형성되고, 후방측 하단은 내측으로 만곡부(31e)가 연장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측 경사면(31c)의 전방에는 핀공(31f)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면(31d)의 중간부에는 배수공(31g)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측 하단의 만곡부(31e) 상부측에는 연결핀장공(31h)이 형성되어 연결조립되는 다른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전방측 하부 경사면(31c)에 형성된 핀공(31f)과 중첩되는 채로 메쉬벨트(3)를 이루는 조립핀(33)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결합되어 이루어 지는바,
상기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전,후방측 중앙부에는 일정크기의 냉풍유입공(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후방 후단측에는 조립되는 다른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전방측이 각각 일정 경사간극을 유지하여 방향성을 갖게하므로써 적층시 용이하게 호를 이룰수 있는 미세돌기(35)가 상,하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써, 8은 가이드로울러, 81은 텐션가이드로울러, 82는 아이들로울러, 83은 테션추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그 작동순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제작 공정을 간략히 살핀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메쉬벨트(3)의 상호간 적층을 가능하게 하는것은 상기 메쉬벨트(3)를 이루고 있는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를 각각 규격화하여 양산하고 이를 일정길이로 기 평면상 제조되어 있는 반 제품 상태의 메쉬벨트체 전,후방, 즉 그 양측에 연속 조립,연결하여 입설시킨후 그 양단을 연결하여 줌으로서 비로소 본 발명의 메쉬벨트(3)가 완성되게 된다.
이때, 메쉬벨트(3)의 전,후방에 입설되는 내,외측지지브라켓트(31),(32)의 입설작업은 메쉬벨트(3)의 조직을 이루고 있는 철망과 철망의 조직을 상호 연결조립하고 있는 조립핀(33)의 각 양단에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의 핀공(32f)과 핀공(31f) 및 연결핀공(32h)과 연결핀장공(31h)을 상호간 반복하여 연속조립하면 되므로 그 조립공정은 간단 용이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냉동고를 이루는 본체(1)내에 왜건(5)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한조의 원형 가이드레일(41),(42)을 고정설치하고 그 상부에 다수절로 된 왜건(5)을 재치한후, 왜건조립체(52)의 각 외측면에 돌출결합되어 있는 돌출편(51)을 일측의 체인(C)에 치합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기 조립이 완료되어 있는 메쉬벨트(3)를 본체(1)의 입구부(11)와 출구부(12)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로울러(8)와 본체(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텐션가이드로울러(81) 및 아이들로울러(82)에 장착하여 궤도를 이루게 함으로써 순환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본체(1) 내부의 왜건(5) 상부측에는 상기의 메쉬벨트(3)를 순차적으로 하부에서부터 상부로 다수층으로 적층하여둔다.
물론, 상기 메쉬벨트(3)의 조립장착 작업은 그 순서를 바꾸어 본체(1) 내부의 왜건(5) 상부측에 먼저 다수층으로 적층한후, 입구부(11)와 출구부(12)를 통하여 궤도장착을 완료할수도 있어 그 장착 작업에 따른 공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메쉬벨트(3)의 장착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냉풍발생기(미도시하였음)의 출구를 회전장치부(4)의 상부에 상호 적층되어 있는 메쉬벨트(3)의 상부측에 유도 장착하여 냉풍이 원형을 이룬 상태로 적층되어있는 메쉬벨트(3)의 상부에서 그 내부로 유도되게 하고 메쉬벨트(3)를 이루고 있는 내측 지지브라켓트(31)의 냉풍유입공(34)을 통해 그 내부로 확산될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장착 및 조립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냉풍발생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미도시된 콘토롤시스템에 의해 제어동작될수 있게하고, 모터(M)에 전원을 인가하여 일정 감속비로 감속조절된 체인(C)을 구동 시켜주면 상기 체인(C)의 회전구동에 따라 왜건(5)이 일측으로 회전을 시작하여 그 상부에 적층되어 있는 메쉬벨트(3)가 회전,이송되면서 상기 메쉬벨트(3)의 순환,이동작동이 시작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상기 냉풍발생기로부터 발생된 냉풍이 냉동고의 본체(1) 내부에서 드럼(6)의 최상부측에 유도되어 적층된 상태로 회전,상승하고 있는 메쉬벨트(3)의 각 내측 지지브라켓트(31)에 확산되는 상태로 공급되고, 공급된 냉풍의 압력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때 내측 지지브라켓트(31)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냉풍유입공(34)을 통해 상기의 냉풍이 메쉬벨트(3) 내부측에 일정 유속으로 확산되고, 외측 지지브라켓트(32)가 이를 차단하고 있으며, 메쉬벨트(3)를 이루고 있는 철망체에 의해 그 내부의 상,하가 모두 연통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본체(1) 내의 메쉬벨트(3)내에 냉풍을 가두어두는 작용을 하여 냉동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본체(1)의 입구부(11)로 부터 그 내부로 재치,이송되어 오는 가공식품등의 피동결물이 일정시간동안 그 냉풍에 노출되는 상태로 체류,이송되어 급속 동결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메쉬벨트(3)가 상호 적층가능하게 되는 것은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가 각각 중첩되는 상태로 연속 연결되어 그 지지력을 보강하고 있고, 회전하는 왜건(5)에 장치되어 있는 적층장치(7)에 의해 냉동고의 본체(1)내에 이송되어 오는 최하부측에 위치한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의 각 상면이 일정각도로 연속하여 나선을 형성하면서 회전, 상승하는 그 상부측에 위치한 각각의 지지브라켓트(31),(32)의 분할절개부(31a),(32a)에 연속하여 각각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되어 그 적층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것이다.
물론이때, 상기 왜건(5)의 왜건조립체(52) 내,외측면(52c),(52d)상부에 형성된 돌출단(52c'),(52d')이 내,외측지지브라켓트(31),(32)의 하부에 위치한 분할절개부(31a),(32a)를 지지하는채로 회전,이송하는 것은 당연하고, 또한 상부측에 위치한 각각의 지지브라켓트((31),(32)에 형성되어 있는 분할절개부(31a),(31a)에 끼워 결합되는 하부측에 위치한 지지브라켓트(31),(32)의 상면 양측은 각 핀공(31f),(32f)과 연결핀공(32h) 및 연결핀장공(31h)에 끼워진 조립핀(33)의 각 양단을 지지하면서 내,외측으로 각각 절곡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전,후방측의 절곡면(31d),(32d)에 의해 지지되어 그 이탈이 방지되는 상태로 순차 적층되게 된다.
이러한 적층작동은 가이드레일(41),(42)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일정높이의 드럼(6)외면에 내측 지지브라켓트(31)가 접촉되는 상태로 안내되어 그 적층 위치를 잡아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메쉬벨트(3)의 내,외측 회전반경이 다르기 때문에 회전부에서의 내측 지지브라켓트(31) 하부측에 형성되어있는 연결핀장공(31h) 내에 끼워진 조립핀(33)이 각각 수축 작용하여 그 회전 반경을 조절하면서 이동하게 되고, 출구부(12)와 궤도를 이루는 회전라인 및 입구부(11)에 이르는 직선부에서는 이완작동하여 결국, 메쉬벨트(3)가 직선부 및 곡선부에서의 이동작동이 원만히 이루어지게 되는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메쉬벨트가 냉동고 내의 회전부에서 상호 적층되어 냉풍을 가두어주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 냉동효율이 매우 향상되어 적재 이송되는 피 동결물의 동결거리를 연장하는 작동을 하므로 냉동고 내에서 체류되는 소요시간을 감소시킬수 있고, 그에 따라 회전장치부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피 동결물의 다량, 연속동결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증대 시킬수 있으며, 외측지지브라켓트에 의해 냉동고 내의 외면부와 차단되어 있으므로 피 동결물이 냉풍압력에 의해 이탈되거나 피동결물의 표면에 묻어 있는 빵가루와 같은 표면물질이 비산될 우려가 없어 안전하면서 위생적으로 그 동결작업을 취할수 있게되어 작업성의 향상을 기함과 동시에 체인구동에 의한 왜건의 각 로울러를 가이드레일상에서 회전되게 하는 간접구동방식을 택해 모우터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게되는 한편, 장치의 구성이 비교적 단순화 되어 제작에 소요되는 자재비 및 인건비의 절감과 동시에 장치를 이루는 관리대상, 구성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설치에 따른 점유면적이 최소화되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함께 얻을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5)

  1. 단열재로 되어 일정면적을 갖는 함체형의 냉동고 본체(1) 내부 일측에는 냉풍발생기(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의 내부 중앙부위에는 상기 본체(1)의 일측 입구부(11)로 부터 타측 상부의 출구부(12)로 연속하여 순환 이동되는 메쉬벨트(3)가 냉동고의 내부에서 일정 시간동안 체류 이동하면서 그 상부에 재치된채 이송되는 피 동결물을 설정된 온도로 급속 동결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장치부(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것에 있어서,
    상기 메쉬벨트(3)의 내,외측에는 판체 형상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를 일정 높이로 돌출되도록 상기 메쉬벨트(3)를 구성하는 핀(33)의 양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연결하여 각각 일정의 유동간극을 갖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 장치부(4)는 본체(1)의 내부 중앙부에 한조의 가이드 레일(41),(4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한채 원형을 이루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41),(42)의 상부에는 외측 중간부에 돌출편(51)이 고정된 사다리꼴 형상의 왜건조립체(52)가 다수개 연속 절 연결되어 이루어진 왜건(5)이 회전 가능하게 재치되며, 상기 돌출편(51)에는 왜건(5)의 외측에 설치된 모터(M)의 동력을 받아 일정구간을 횡 회전하는 체인(C)이 치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을 이루는 가이드 레일(41),(42)의 중앙부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드럼(6)이 상부에 안내간(61)을 다수의 지지보(62)로 고정한채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왜건(5)의 상부에는 본체(1)의 입구부(11)로 부터 출구부(12)를 향하여 연속 순환 이동하는 상기 메쉬벨트(3)가 그 회전에 따라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를 상,하로 순차 적층시키는 적층장치부(7)에 의해 하부로부터 상부로 상호 적층되면서 고내에서 체류이동할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메쉬벨트(3)의 적층에 의한 외측지지브라켓트(32)가 메쉬벨트(3)의 외측부를 차단하고 메쉬벨트(3)가 적층된 그 내측부에는 상부를 통해 유도공급되는 냉풍이 메쉬벨트(3)의 각 내측브라켓트(31)를 통해 메쉬벨트(3)의 내부측에 고루 확산되어 그 냉풍에 의해 체류이송되는 피동결물을 급속 동결시킬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시스템.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왜건 조립체(52)는 일측 하부측에 복수의 가이드 롤러(52a)와 그 중간부에 회동가능한 연결볼트(52b)가 결합되고, 그 내,외측면(52c),(52d)이 반호상을 이루어 그 각 상면에 돌출단(52c'),(52d')이 형성되는것에 의해 메쉬벨트(3)의 내,외측 지지브라켓트(31),(32) 하부에 위치한 분할절개부(31a),(32a)를 지지안내할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 시스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메쉬벨트(3)의 외측 지지브라켓트(32)는 그 외측에서 보아 판체의 중간측 후방부가 외측에 연결되는 다른 판체의 두께를 수용할수 있도록 내측으로 경사절곡부(32b)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절곡부(32b)의 하부에는 분할절개부(32a)가 형성되어 전방측 하단은 외측으로 경사면(32c)과 절곡면(32d)을 갖도록 형성되고, 후방측 하단은 내측으로 만곡부(32e)가 연장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측 경사면(32c)에는 복수개의 핀공(32f)이 전,후방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곡면(32d)의 중간부에는 배수공(32g)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측 하단의 만곡부 상부측에는 연결핀공(32h)이 형성되어 연결조립되는 다른 외측지지브라켓트(32)의 전방측 하부 경사면(32c)에 형성된 전방측 핀공(32f)과 중첩되는 채로 메쉬벨트(3)를 이루는 조립핀(33)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 시스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메쉬벨트(3)를 이루는 내측 지지브라켓트(31)는 그 내측에서 보아 판체의 중간부가 외측에 연결되는 다른 판체의 두께를 수용할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된 경사절곡부(31b)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절곡부(31b)의 하부에는 분할절개부(31a)가 형성되어 전방측 하단은 외측으로 경사면(31c)과 절곡면(31d)을 갖도록 형성되고, 후방측 하단은 내측으로 만곡부(31e)가 연장 절곡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전방측 경사면(31c)의 전방에는 핀공(31f)이 형성되고 상기 절곡면(31d)의 중간부에는 배수공(31g)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측 하단의 만곡부(31e) 상부측에는 연결핀장공(31h)이 형성되어 연결조립되는 다른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전방측 하부 경사면(31c)에 형성된 핀공(31f)과 중첩되는 채로 메쉬벨트(3)를 이루는 조립핀(33)에 의해 그 길이방향으로 연속 반복결합되어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전,후방측 중앙부에는 일정크기의 냉풍유입공(34)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후방 후단측에는 조립되는 다른 내측지지브라켓트(31)의 전방측이 각각 일정 경사간극을 유지하여 방향성을 갖게하므로써 적층시 용이하게 호를 이룰수 있는 미세돌기(35)가 상,하로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급속 동결시스템.
KR1019980037785A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 시스템 KR10028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785A KR100280696B1 (ko)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785A KR100280696B1 (ko)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735A true KR19980087735A (ko) 1998-12-05
KR100280696B1 KR100280696B1 (ko) 2001-02-01

Family

ID=6589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785A KR100280696B1 (ko) 1998-09-14 1998-09-14 급속 동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0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201A (zh) * 2022-01-30 2022-04-29 甘肃慧联信息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羊肉加工分切速冷装置
CN117469892A (zh) * 2023-12-12 2024-01-30 山东七十二度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隧道速冻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474B1 (ko) 2011-06-21 2011-08-30 주식회사 용성냉동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CN102602661A (zh) * 2012-03-26 2012-07-25 肇庆市珊瑚食品机械有限公司 旋转输送装置
KR102105905B1 (ko) 2019-04-08 2020-05-14 주식회사 용성냉동 식품용 급속동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3201A (zh) * 2022-01-30 2022-04-29 甘肃慧联信息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羊肉加工分切速冷装置
CN114403201B (zh) * 2022-01-30 2024-02-02 甘肃慧联信息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羊肉加工分切速冷装置
CN117469892A (zh) * 2023-12-12 2024-01-30 山东七十二度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隧道速冻机
CN117469892B (zh) * 2023-12-12 2024-04-30 山东七十二度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隧道速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0696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6551C (en) Combination cryogenic and mechanical freezer apparatus
US4875343A (en) Climate chamber with conveyor
US4944162A (en) Helical conveyor food freezer
US6796142B2 (en) Continuous throughput blast freezer
US6713107B2 (en) Airflow distribution systems for food processors
CN212109143U (zh) 一种双螺旋速冻机
US4378873A (en) Continuous linear chain conveyor system operating throughout multiple tiers with dual spaced chains moving directly attached multiple adjacent trays which level to support the conveyed product
US8813508B2 (en) Tray-based continuous throughput blast freezer
CA1079080A (en) Air slide freezer system
WO2012050575A1 (en) Crossflow spiral heat transfer system with self-stacking spiral conveyor belt
KR100280696B1 (ko) 급속 동결 시스템
CN213066720U (zh) 一种双螺旋式速冻机
US6689407B2 (en) Enhanced capacity food processing systems with efficient space utilization
US20040020749A1 (en) Spiral immersion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use
JPH0423191B2 (ko)
CA1124095A (en) Fluidized freezing
KR200399073Y1 (ko) 순환형 음식물 반송 시스템의 음식물 순환 경로 가변장치
US5520012A (en) Crust freezer
US5421168A (en) Food product freezer system
US6305184B1 (en) Cooling tunnel for eggs
CN212133002U (zh) 一种冷冻干燥的冷却装置
CN115235176B (zh) 一种大功率自螺旋式的微波速冻装置
KR102176261B1 (ko)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방법 및 장치
CN211204592U (zh) 螺旋速冻机
KR102176270B1 (ko) 개별 신선 냉동(Individual Fresh Frozen)을 이용한 닭고기 냉동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