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474B1 -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474B1
KR101060474B1 KR1020110060017A KR20110060017A KR101060474B1 KR 101060474 B1 KR101060474 B1 KR 101060474B1 KR 1020110060017 A KR1020110060017 A KR 1020110060017A KR 20110060017 A KR20110060017 A KR 20110060017A KR 101060474 B1 KR101060474 B1 KR 10106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spiral
spiral motor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성냉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성냉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성냉동
Priority to KR102011006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25D13/06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with conveyors carrying articles to be cooled through the cooling sp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0Quick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드럼 및 나선형 컨베이어의 동력원이 되는 스파이럴 모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하여 외장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용이함을 제공하되,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하우징의 외부 상측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외장형 배치되는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의 하중이 단열판넬인 하우징 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설비의 내구력 및 안전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FOR EXTERNAL MOUNTING OF SPIRAL MOTOR}
본 발명은 식품 등의 급속 동결에 사용되는 급속동결장치인 스파이럴 프리저(spiral freez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파이럴 모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하여 외장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보다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동력부의 하중이 단열판넬인 하우징 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설비의 내구력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속동결장치는 냉각코일유니트(열교환기)에서 발생되는 냉풍을 이용하여 식품 등의 제품을 급속으로 동결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설비로서, "프리저(freezer)"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프리저(freezer)는 단위 동결기의 다수가 연결되어 터널형태를 가지고 순차적으로 배열되며 그 하부로는 직선형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터널 프리저(tunnel freezer)와, 나선형 이동을 위해 나선형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스파이럴 프리저(spiral freezer)로 대별된다.
본 발명과 관계되는 기종인 스파이럴 프리저는 터널 프리저에 비해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고 입출구 방향의 선택이 가능한 장점을 지닌다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스파이럴 프리저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의 예시에서와 같이, 종래 스파이럴 프리저(100)는 내부의 단열성 확보를 위해 단열판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식품 등의 급속 동결처리를 위한 설비를 구축하기 위해 일정의 설비공간을 제공하는 구조물로서, 식품 등을 급속 동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코일유니트(120)가 설치되는 열교환실과, 나선형 컨베이어(142) 및 이를 움직이기 위한 회전드럼(141)이 설치되는 급속동결실이 구획지게 마련되어지되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급속동결실 측에는 회전드럼(141)을 회전 구동하여 나선형 컨베이어(142)를 움직이기 위한 스파이럴 모터(160)가 설치된다.
즉, 종래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스파이럴 프리저(100)는 스파이럴 모터(160)로부터 구동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드럼(141)이 회전되고, 이와 더불어 나선형 컨베이어(142)가 회전드럼(141)의 외측에서 나선형으로 위치 이동함으로써 나선형 컨베이어(142) 상에 안착된 식품 등을 이송함과 동시에 하우징(110) 내에 형성된 냉풍을 통해 동결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스파이럴 프리저(100)는 회전드럼(141)과 나선형 컨베이어(142)를 움직이기 위한 스파이럴 모터(160)와 제1스프로킷(113) 및 제2스프로킷(162), 체인(170) 등의 동력발생 및 동력전달용 부품들이 냉기와 습기의 내부환경을 형성하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므로 인해 스파이럴 프리저의 설비 자체에서 식품에 대한 위해요소를 갖게 되므로 HACCP(해썹; 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규정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및 식품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부연하면, 스파이럴 프리저(100)의 하우징(110) 내에는 설비의 가동 중에 냉기와 습기가 발생 및 순환하게 되고 세척시에는 물로 세척을 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내부환경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 스파이럴 모터(160)와 제1스프로킷(113), 제2스프로킷(162), 체인(170) 등을 쉽게 녹슬게 할뿐더러 스파이럴 모터(160) 측의 도장을 벗겨내는데 일조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스파이럴 프리저의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되는 식품에 유해함을 미칠 뿐더러 설비의 청결한 유지를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종래 스파이럴 프리저에 있어서는 나선형 컨베이어(142)의 동력원인 스파이럴 모터(160)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하우징(110) 및 나선형 컨베이어(142)의 설치면적이 커질 수밖에 없고 공간적인 제약이 발생되었을 뿐더러 냉기와 습기는 물론 세척에 따른 물과의 잦은 접촉에 의해 스파이럴 모터(160)의 구동효율 및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외장형 모터 장착구조를 갖는 스파이럴 프리저의 구성이 제안되기도 하는데, 미국특허번호 5,452,588호의 기술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2의 예시에서와 같이, 케이싱(2) 내측에 나선 컨베이어(A)가 연결 설치된 회전드럼(3)이 수직샤프트(4)에 지지 결합되어 있되 찬 공기 공급원(16)에 연통되게 연결 설치된 상부 압력실(12) 및 하부 압력실(13) 사이에 회전드럼(3) 및 컨베이어(A)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드럼(3)을 회전 구동하기 위해 케이싱(2)의 외측에 스파이럴 모터(9)를 설치하되 기어(10)와 벨트 또는 체인(11)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모터축과 수직샤프트(4)를 연결함으로써 스파이럴 모터(9)의 구동동력이 회전드럼(3) 측에 미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부 압력실(12)과 하부 압력실(13)을 통해 제어된 통풍압력(냉기)을 위쪽과 아래쪽에서 각각 나누어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속 동결에 따른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외장형 모터 장착구조를 갖는 스파이럴 프리저는, 단순히 스파이럴 모터(9)를 단열판넬로 이루어지는 케이싱(2)의 외부 상측에 배치하여 설치한 구성으로서, 단순 이론상으로는 가능하다 할 것이나, 면밀히 검토해 보았을 때, 상당한 중량을 갖는 중량체인 스파이럴 모터(9)의 무게를 단열판넬인 케이싱(2)이 지탱하기에는 큰 무리가 따를 수밖에 없다.
부연하면, 대형 제작되는 회전드럼(3)이 상당한 중량을 갖는 중량체이고, 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스파이럴 모터(9) 또한 이에 대응하는 중량체로 설치된다 할 것인데, 이와 같은 중량체의 스파이럴 모터(9)를 단열판넬로 이루어지는 케이싱(2)의 외부 상측에 직접적으로 배치하여 단순 설치하는 것은 설비의 내구력 및 안전성이 전혀 무시된 구조설계로서, 중량체인 스파이럴 모터(9)를 포함하는 동력전달수단의 하중이 케이싱(2) 측으로 그대로 전달 및 작용됨에 따라 케이싱(2)이 쉽게 휘어지거나 무너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당해 업계에서는 스파이럴 모터를 외장형으로 배치하는데 따른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설비의 내구력 및 안전성까지 고려하면서 외장형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해결책들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 및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드럼 및 나선형 컨베이어의 동력원이 되는 스파이럴 모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하여 외장형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내구력을 갖는 설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며,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파이럴 모터를 외장형으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외장형 배치되는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의 하중이 단열판넬인 하우징 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설비의 내구력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는,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스파이럴 프리저의 하우징 외측에 장착하여 외장형으로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직립 설치되어지되 하단이 바닥 측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하우징의 천정판넬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포스트프레임과; 상기 포스트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하우징의 외부 상측에 고정 배치되고 동일 평면상으로 가로와 세로 방향의 연결 배치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의 체결 장착에 사용하기 위한 수평프레임과; 상기 포스트프레임 상호간을 이어주고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주며 설치간격을 유지되게 하는 경간프레임; 을 포함하는 프레임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스파이럴 프리저의 하우징 외부 상측에 배치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는 동력부의 하중이 하우징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스트프레임은 하우징의 천정판넬에 관통홀을 뚫은 후, 이 관통홀을 통해 포스트프레임의 상단부를 관통시켜 하우징의 외부 상측으로 배치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관통홀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하부철판을 고정 배치한 후, 관통홀 내부로 단열액을 충전하여 단열층을 형성시키며;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도 관통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철판을 고정 배치함으로써 마감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포스트프레임 상호간 또는 경간프레임의 상호간을 이어주고 지지하여줄 수 있도록 하되 십자형 연결구조로 수평 배치되는 십자형보강프레임;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경간프레임의 상하측방향 상호간을 이어주고 지지하여주도록 직선 상하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는 수직보강프레임;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은 스파이럴 프리저가 대형 사이즈인 경우, 분해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체결판을 사용하여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스파이럴 프리저가 소형 사이즈인 경우, 운반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용접을 통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는 수평프레임을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드럼 및 나선형 컨베이어의 동력원이 되는 스파이럴 모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하여 외장형으로 설치할 수 있는 용이함을 제공하되,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내구력을 갖는 설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파이럴 모터를 외장형으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면서 외장형 배치되는 스파이럴 모터를 포함하는 동력부의 하중이 단열판넬인 하우징 측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설비의 내구력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파이럴 모터를 외장형으로 배치함에 따라 기존 공간적인 제약을 탈피할 수 있고,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냉기와 습기 또는 세척에 따른 물과의 잦은 접촉을 피할 수 있어 스파이럴 모터의 구동효율 및 수명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스파이럴 프리저를 보다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 스파이럴 프리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외장형 모터 장착구조를 갖는 스파이럴 프리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프리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프리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구조에 있어 수평프레임과 포스트프레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프리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프리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구조에 있어 수평프레임과 포스트프레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를 포함하는 스파이럴 프리저(200)는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A)과 냉풍생성부(B), 나선이송부(C), 프레임부(D) 및, 동력부(E)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A)은 식품 등의 급속 동결처리를 위한 설비를 구축하기 위해 일정의 설비공간을 제공하는 구조물로서, 내부의 단열성 확보를 위해 단열판넬로 구성되며, 상기 냉풍생성부(B)를 설치하기 위한 열교환실과 나선이송부(C)를 설치하기 위한 급속동결실이 구획지게 마련되어지되 상호간에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풍생성부(B)는 하우징(A)의 열교환실 측에 설치되며, 식품 등을 급속 동결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각코일유니트(210) 및, 상기 냉각코일유니트(210)의 발생된 냉기를 하우징(A) 내에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팬(222)과 이에 연결된 팬모터(221)로 구성된다.
상기 팬모터(221)는 하우징(A)의 외부 상측에 위치시켜 하우징(A)의 내부에 위치되는 송풍팬(222)과 결합되게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이송부(C)는 하우징(A)의 급속동결실 측에 설치되고 동결 처리를 위한 제품의 이송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동력부(E)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230)과, 상기 회전드럼(230)의 외측에 지지 결합되고 나선식 회전이동을 위한 나선배치구조를 갖는 나선형 컨베이어(240)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부(D)는 회전드럼(230) 및 나선형 컨베이어(240)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부(E)에 대해 이를 하우징(A)의 외부 상측에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우징(A) 측에 동력부(E)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하우징(A) 내부에 설치되어지되 나선형 컨베이어(240)의 외측방향에 위치되어 설치되는 조립구조물이다.
상기 프레임부(D)는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다수가 직립 설치되어지되 하단이 바닥 측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하우징(A)의 천정판넬(205)을 관통하여 하우징(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포스트프레임(251)과, 상기 포스트프레임(251)의 상단에 결합되어 하우징(A)의 외부 상측에 고정 배치되고 동일 평면상으로 가로와 세로 방향의 연결 배치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스파이럴 모터(261)를 포함하는 동력부(E)의 체결 장착에 사용하기 위한 수평프레임(252)과, 상기 포스트프레임(251) 상호간을 이어주고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주며 설치간격을 유지되게 하는 경간프레임(2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스트프레임(251)은 상기 동력부 장착용 수평프레임(255)과의 결합을 위해 상단부가 하우징(A)의 천정판넬을 관통하도록 구조설계되는데, 하우징(A)의 천정판넬에 관통홀(201)을 뚫은 후 포스트프레임(251)의 상단부를 관통시켜 하우징(A)의 외부 상측으로 배치한 상태에 하우징(A) 내부의 단열성 유지 및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마감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하우징(A)의 천정판넬에 관통홀(201)을 뚫은 후 이 관통홀(201)을 통해 포스트프레임(251)의 상단부를 하우징(A)의 외부 상측으로 관통 배치한 상태에, 하우징(A)의 내측에 관통홀(201)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하부철판(202)을 고정 배치하고, 관통홀(201) 내부로 우레탄액 등의 단열액을 충전하여 단열층(203)을 형성시킨 후, 하우징(A)의 외측에도 관통홀(20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철판(204)을 고정 배치함으로써 마무리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D)는 스파이럴 프리저(200)가 대형 사이즈인 경우, 상기 포스트프레임(251) 상호간 또는 경간프레임(253)의 상호간을 이어주고 지지하여줄 수 있도록 하되 십자형 연결구조로 수평 배치되는 십자형보강프레임(254)과, 상기 경간프레임(252)의 상하측방향 상호간을 이어주고 지지하여주도록 직선 상하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는 수직보강프레임(255)을 선택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더 포함되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된 배치설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십자형보강프레임(254)은 프레임부(D)의 더욱 견고하면서도 안정된 구조를 위해 상측과 하측 방향에 각각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수평프레임(252)은 스파이럴 프리저(200)가 대형 사이즈인 경우, 분해와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체결판(257)을 사용하여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연결 조립되는 수평프레임(252)을 구성할 수 있다 할 것이며,
스파이럴 프리저(200)가 소형 사이즈인 경우, 운반과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용접을 통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일체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52)을 구성함으로써 미리 가공된 상태의 것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설치할 수 있다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스트프레임(251)과, 경간프레임(253), 십자형보강프레임(254), 수직보강프레임(255)은 동력부(E)를 실제 장착하기 위한 수평프레임(252)을 하우징(A)의 외부 상측에 구축 및 지탱하여주기 위한 구성요소들이며, 이들 각 구성요소의 프레임 상호간을 결합하는데 체결브래킷(256)과 체결볼트 등의 체결부재들이 사용됨은 물론 용접결합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D)는 스파이럴 모터(261)를 포함하는 동력부(E)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하는 조립구조물로서, 하우징(A)의 외부 상측으로 동력부(E)를 배치하여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함과 더불어 하우징(A) 측에 동력부(E)의 하중이 전달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는 유용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력부(E)는 회전드럼(23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나선형 컨베이어(240)를 움직이게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A)의 외부 상측에 위치하도록 프레임부(D) 상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동력부(E)는 스파이럴 모터(261)와, 이 스파이럴 모터(261)의 구동동력을 회전드럼(240) 측에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체인(26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파이럴 모터(261)가 가동시 체인(262)을 통해 회전동력을 회전드럼(230) 측에 전달함으로써 회전드럼(230) 및, 이에 결합된 나선형 컨베이어(240)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기술분야의 당해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과 변형 또는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A: 하우징 B: 냉풍생성부
C: 나선이송부 D: 프레임부
E: 동력부
210: 냉각코일유니트 230: 회전드럼
240: 나선형 컨베이어 251: 포스트프레임
252: 수평프레임 253: 경간프레임
254: 십자형보강프레임 255: 수직보강프레임
261: 스파이럴 모터 262: 체인

Claims (5)

  1. 스파이럴 모터(261)를 포함하는 동력부(E)를 스파이럴 프리저(200)의 하우징(A) 외측에 장착하여 외장형으로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로 직립 설치되어지되 하단이 바닥 측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하우징(A)의 천정판넬(205)을 관통하여 하우징(A)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포스트프레임(251)과;
    상기 포스트프레임(251)의 상단에 결합되어 하우징(A)의 외부 상측에 고정 배치되고 동일 평면상으로 가로와 세로 방향의 연결 배치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스파이럴 모터(261)를 포함하는 동력부(E)의 체결 장착에 사용하기 위한 수평프레임(252)과;
    상기 포스트프레임(251) 상호간을 이어주고 직립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주며 설치간격을 유지되게 하는 경간프레임(253); 을 포함하는 프레임부(D)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스파이럴 모터(261)를 포함하는 동력부(E)를 스파이럴 프리저(200)의 하우징(A) 외부 상측에 배치하여 용이하게 설치 및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하우징(A)의 외부 상측에 설치되는 동력부(E)의 하중이 하우징(A)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프레임(251)은 하우징(A)의 천정판넬(205)에 관통홀(201)을 뚫은 후, 이 관통홀(201)을 통해 포스트프레임(251)의 상단부를 관통시켜 하우징(A)의 외부 상측으로 배치되게 하고;
    상기 하우징(A)의 내측에 관통홀(201)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하부철판(202)을 고정 배치한 후, 관통홀(201) 내부로 단열액을 충전하여 단열층(203)을 형성시키며;
    상기 하우징(A)의 외측에도 관통홀(201)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부철판(204)을 고정 배치함으로써 마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D)는,
    상기 포스트프레임(251) 상호간 또는 경간프레임(253)의 상호간을 이어주고 지지하여줄 수 있도록 하되 십자형 연결구조로 수평 배치되는 십자형보강프레임(254);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D)는,
    상기 경간프레임(252)의 상하측방향 상호간을 이어주고 지지하여주도록 직선 상하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는 수직보강프레임(255);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모터(261)를 포함하는 동력부(E)가 장착되는 수평프레임(252)은,
    스파이럴 프리저(200)가 대형 사이즈인 경우, 분해와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체결판(257)을 사용하여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연결 조립되는 수평프레임(252)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며,
    스파이럴 프리저(200)가 소형 사이즈인 경우, 운반과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용접을 통해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일체 연결되는 수평프레임(252)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KR1020110060017A 2011-06-21 2011-06-21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KR10106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17A KR101060474B1 (ko) 2011-06-21 2011-06-21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17A KR101060474B1 (ko) 2011-06-21 2011-06-21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0474B1 true KR101060474B1 (ko) 2011-08-30

Family

ID=44933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17A KR101060474B1 (ko) 2011-06-21 2011-06-21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702A (zh) * 2018-10-31 2019-03-08 四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螺旋几字型材摩擦转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696B1 (ko) 1998-09-14 2001-02-01 최성출 급속 동결 시스템
KR200443229Y1 (ko) 2008-11-13 2009-02-06 주식회사 용성냉동 스팀 제상기능을 갖는 나선형 급속동결기
US20100147161A1 (en) 2007-04-11 2010-06-17 Mayekawa Mfg. Co., Ltd. Spiral transfer heat treatment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0696B1 (ko) 1998-09-14 2001-02-01 최성출 급속 동결 시스템
US20100147161A1 (en) 2007-04-11 2010-06-17 Mayekawa Mfg. Co., Ltd. Spiral transfer heat treatment apparatus
KR200443229Y1 (ko) 2008-11-13 2009-02-06 주식회사 용성냉동 스팀 제상기능을 갖는 나선형 급속동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6702A (zh) * 2018-10-31 2019-03-08 四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螺旋几字型材摩擦转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474B1 (ko) 스파이럴 모터의 외장형 설치를 위한 프레임 구조
CN207888875U (zh) 一种墙板的烘干装置
JP5624428B2 (ja) 自動貸金庫装置
JP2019188298A (ja) 撹拌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熱処理装置
JP5545675B2 (ja) 電子機器を納めた簡易形建造物の天井構造
CN209973567U (zh) 一种运输稳定的送管机
JP5823461B2 (ja) 足場の支持構造及び吊り足場の設置方法
CN106164401B (zh) 模块化旋转式门组件
CN215158434U (zh) 一种自动进料圆钢下料机
KR101050814B1 (ko) 외장형 모터 장착구조를 갖는 스파이럴 프리저
JP6746478B2 (ja) 冷蔵倉庫の耐震補強方法
KR101556350B1 (ko) 블록형 냉각탑 및 그의 시공방법
CN219278461U (zh) 一种穿梭车及仓储物流系统
CN108273814A (zh) 一种自动调节清洗玻璃杯位置的清洗装置
JP7285241B2 (ja) 冷却モジュールおよび連続式急速冷却装置
KR200454704Y1 (ko) 팬모터 외장형 급속동결기에 있어서의 팬모터 장착구조
US10294709B2 (en) Revolving door assembly comprising support rod
CN207166245U (zh) 一种立式电机的机座及立式电机
CN216862728U (zh) 一种养护系统
CN104165491A (zh) 快速冷冻装置
CN211970780U (zh) 冷库进料装置
CN207450876U (zh) 用于电子产品组装的泡棉自动传送工作机构
RU2218298C1 (ru) Подъемный комплекс
CN215260196U (zh) 传动装置和空调室外机
KR102056236B1 (ko) 수직형 전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