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969A - 드릴링 공구 - Google Patents

드릴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969A
KR19980086969A KR1019980016921A KR19980016921A KR19980086969A KR 19980086969 A KR19980086969 A KR 19980086969A KR 1019980016921 A KR1019980016921 A KR 1019980016921A KR 19980016921 A KR19980016921 A KR 19980016921A KR 19980086969 A KR19980086969 A KR 1998008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utting edge
boring head
boring
small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613B1 (ko
Inventor
한스 그쉬벤트
프리츠 마크
에드윈 슈바이쩌
Original Assignee
슈라이버 베 에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뵐러 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라이버 베 에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뵐러 에 filed Critical 슈라이버 베 에프
Publication of KR1998008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1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boring or drilling
    • B28D1/146Too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018Drills for enlarging a 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6/00Materials of tools or workpieces not comprising a metal
    • B23B2226/75Stone, rock or concre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1/00Details of 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2251/04Angles, e.g. cutting ang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5Having stepped cutting edges
    • Y10T408/906Axially spac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7Tool or Tool with support including detailed sha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8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408/909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 Y10T408/9095Having peripherally spaced cutting edges with axially extending relief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Drilling Tool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는, 한 후방 단부가 삽입 단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단부와 마주 보는 전방 단부가 보오링 절삭날이 설치된 보오링 헤드를 갖는 종방향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에는 바람직하게 상기 보오링 헤드를 향하는 링형 쇼울더가 배치된다. 보오링 헤드(100)는, 실제로 샤프트축의 연장부에 배치되고 돌출된 중심 첨두 (114)로부터 보오링 헤드(100)의 둘레까지 뒤로 기울어져 있는 중심 절삭날(111, 112)을 포함한다. 중심 절삭날 이외에 하나 이상의 소 절삭날 (113)이 제공되는데, 샤프트 축에 수직으로 뻗는 상기 소 절삭날의 연장부는 샤프트의 둘레로 돌출되며, 이 경우 샤프트 둘레로 돌출되는 소 절삭날의 연장부의 부분 (n) 은 전체 연장부 (l) 의 10% 내지 100% 이다.

Description

드릴링 공구
본 발명은, 후방 단부가 삽입 단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단부와 마주 보는 전방 단부에 보오링 절삭날이 설치된 보오링 헤드를 갖춘 하나의 종방향 샤프트를 포함하는 드릴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강도가 상이한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이한 방법들이 사용되어 진다.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연속적인 방법 및 직접 조립 기술이다. 연속 고정 방법은 모든 종류의 바닥에 적합하다. 바닥 및 목표하는 고정값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고정 부재가 사용되어 진다. 연속적인 방법에서는 제일 먼저, 드릴링 장치로 바닥에 수용 보어를 만든다. 드릴링 장치는 금속 드릴 비트, 돌 드릴 비트 또는 모터식 회전식 구동 장치 및 경우에 따라서는 축방향 충격 지지부를 갖춘 핸들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목재 드릴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수용 보어를 만든 후에는 고정 부재가 - 통상적으로는 핀이 - 상기 수용 보어내에 삽입되어, 대부분의 경우 나사를 돌림으로써 또는 스파이크를 박아 넣음으로써 보어를 확장시켜 고정 부재를 수용 보어내에 고정시킨다. 기계적 고정 부재로서는, 해머에 의해 미리 보오링된 수용 보어내로 박아지고 헤드를 갖춘 플라스틱 스파이크 또는 금속 스파이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홀딩 메커니즘은 대부분 마찰 결합을 기초로 하고 있고, 공동홀 벽돌에서는 대부분 포지티브 결합을 기초로 한다.
직접 조립 기술에서는 특수한 고정 부재가 분말력 작동 고정 장치에 의해 직접 바닥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 방법에서는 고정 부재를 위한 별도의 수용 보어를 만들 필요가 없다. 직접 조립 기술은 신속하고도 높은 지지값을 갖는 고정을 만들어준다. 그러나, 공지된 직접 조립 기술은 예컨대 강, 석회 사암, 콘크리트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목재와 같은 다소 연성의 바닥에만 적합하다.
예컨대, 벽돌 벽과 같은 다소 강성인 또는 깨지기 쉬운 지면은 공지된 직접 조립 기술에서는 분말력으로 작동되는 고정 장치에 의해 매우 강하게 하중을 받아, 종종 손상되기 때문에 신뢰할만한 고정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실제로 연속적인 고정 방법만이 사용되어 진다. 상기 방법은 바닥을 안전하게 하기 때문에 원하는 고정값을 갖는 신뢰할만한 고정을 얻어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는 각각의 고정 포인트마다 매우 많은 시간적 비용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또한, 대부분은 수용 보어를 만들기 위한 그리고 고정 부재를 수용 보어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데, 예를 들면, 수용 보어를 보오링하기 위한 보오링 장치를 갖춘 드릴링 공구 및 고정 나사를 핀속에 돌려 넣기 위한 나사 장치가 필요하며, 이 경우 상기 핀은 확장에 의해 고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벽돌 벽과 같은 깨지기 쉬운 바닥에서도 신속하면서 신뢰할만하게 고정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특별히, 새로운 종류의 고정 부재 및 새로운 방식의 고정 기술과 결합되어 사용되는 드릴링 공구가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용 보어를 만들고, 그 다음에 고정 부재를 상기 수용 보어내에 삽입하며, 마지막으로 고정 부재를 확대시키는 연속적인 시퀀스가 없어도 된다. 수용 보어를 만들고 그 다음에 고정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상이한 장치를 함께 휴대할 필요성도 또한 없다. 바닥은 보호되어야 하고, 원하는 지지값을 갖는 고정이 달성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절단선 II-II에 따라 드릴링 공구의 샤프트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은 드릴링 헤드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따른 드릴링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드릴링 헤드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드릴링 헤드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 은 지정된 고정 부재를 갖춘, 도 4 에 따른 드릴링 헤드의 2 개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에 의해 고정 부재를 직접 고정시키기 위한 조립 유니트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드릴링 공구 2 : 샤프트
3 : 전방 섹션 4 : 후방 섹션
5 : 삽입 단부 6 : 스토핑 쇼울더
7 : 보어 10, 100, 200 : 보오링 헤드
11, 12, 111, 112, 211, 212 : 중심 절삭날
13, 113, 213, 218 : 소 절삭날 14, 114, 214 : 중심 첨두
15, 115 : 보오링 헤드의 측벽 16 : 이송 홈
21 : 확대부
117, 217, 219 : 보오링 더스트(boring dust) 이송 홈
a : 주축 b : 켤레축
B : 고정 부재 l, n : 소 절삭날의 연장부
L : 하중 적용 부재 P1, P2 : 화살표
R : 회전 방향 S : 축방향 슬롯
T : 핸드 장치
상기 목적은, 보오링 헤드를 향하고 있는 링형 쇼울더가 샤프트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오링 헤드는 실제로 샤프트축의 연장부내에 배치된 전방의 중심 첨두로부터 보오링 헤드의 둘레까지 뒤로 기울어져 있고, 보오링 헤드에는 샤프트축에 수직으로 뻗는 연장부가 샤프트의 주변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소 절삭날이 제공되며, 상기 샤프트 둘레로 돌출하는 소 절삭날의 연장부의 부분은 상기 소 절삭날의 전체 연장부의 대략 10% 내지 100% 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에 의해 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서는, 후방 단면이 삽입 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마주보는 전방 단부에는 보오링 절삭날이 설치된 보오링 헤드를 갖춘 종방향 샤프트를 포함하는 드릴링 공구가 만들어진다. 상기 샤프트에는 바람직하게 링형 쇼울더가 배치되는데, 상기 쇼울더는 방향상 보오링 헤드를 향하고 있다. 보오링 헤드는 실제로 샤프트축의 연장부에 배치되고 돌출된 중심 첨두로부터 보오링 헤드의 둘레만큼 뒤로 기울어져 있는 중심 절삭날을 포함한다. 보오링 헤드에는 상기 중심 절삭날 이외에 하나 이상의 소 절삭날이 제공되는데, 샤프트축에 대해 수직으로 뻗는 상기 소 절삭날의 연장부는 샤프트의 둘레로 돌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샤프트 둘레로 돌출되는 상기 소 절삭날 연장부의 부분은 전체 연장부의 대략 10%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에 의해서, 축방향 관통 보어 및 전체 샤프트 길이에 걸쳐 뻗은 축방향 슬롯을 샤프트 케이스에 갖추고 있는 금속 샤프트, 및 세팅 방향으로부터 떨어진 샤프트의 후방 단부 섹션에 하중 적용 부재를 포함하고 링형으로 형성된 새로운 종류의 고정 부재를 직접 고정 방법으로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전제 조건들이 만들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의 구성에 의해, 하나의 작업 공정에서 드릴링 공구에 의해 수용 보어가 만들어지고, 동시적으로 고정 부재가 축방향 충격에 의해 바닥으로 박히게 된다. 드릴링 공구의 보오링 헤드는, 샤프트의 칼라가 스토핑 쇼울더에 접하게 될 때까지 고정 부재가 샤프트상으로 밀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 경우 보오링 헤드는 고정 부재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스토핑 쇼울더는 축방향 충격을 고정 부재에 전달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축방향 충격에 의해 고정 부재가 수용 보어의 형성과 동시에 바닥으로 삽입된다. 극도의 경우, 축방향 슬롯이 완전히 폐쇄되는 고정 부재의 세팅 상태에서는, 드릴링 공구를 재차 고정 부재로부터 빼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보오링 헤드의 둘레 원이 블록으로 폐쇄된 튜브형 고정 부재의 내경보다 더 작기 때문이다. 상기 중심 첨두는, 비대칭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소 절삭날이 바닥과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 축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드리프팅에 대항하여 드릴링 공구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서로 대략 60° 내지 180°의 각을 형성하는 2 개의 중심 절삭날이 제공되고, 중심 첨두로부터 출발하여 샤프트 둘레의 외부에서 진행되는 보오링 헤드의 측벽까지 뒤로 기울어져 있는 하나의 소 절삭날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보오링 헤드를 축방향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소 절삭날은 인접한 중심 절삭날과 각각 둔각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선택된 구조에서는 동작시 파워가 절삭 에지의 수평을 유지시키고, 수용 보어내에서의 드릴링 공구의 지지를 개선시켜준다. 파워가 대칭으로 분배되기 때문에, 소 절삭날이 중심 절삭날의 이등분선에 평행하게, 상기 이등분선의 연장선으로 뻗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 둘레의 외부에 배치된 소 절삭날의 단부가 샤프트 둘레의 영역에 배치된 중심 절삭날의 단부보다 중심 첨두로부터 더 큰 간격으로 배치됨으로써, 보오링 헤드의 비대칭이 더욱 강조된다. 상기 소 절삭날은 중심 절삭날보다 더 길고 주로 금속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중심 절삭날과 소 절삭날의 절삭 에지에 있는 파워를 비교함으로써, 측면도로 볼 때 소 절삭날 및 중심 절삭날이 중심 첨두에서 대략 30° 내지 120°의 각을 형성하게 되는 바람직한 배치가 나타난다.
매우 바람직하고 대안적인 드릴링 공구의 변형예에서는, 샤프트 둘레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가장 가깝게 배치된 소 절삭날의 영역이 중심 첨두에 비해 적어도 2.5㎜ 만큼 뒤로 기울어져 있다. 상기 경우에는 소 절삭날이 중심 첨두까지는 뻗지 않고, 오히려 상기 중심 첨두에 비해 뒤쪽로 변위되어, 샤프트 둘레의 측면에 배치된다. 중심 첨두를 갖는 중심 절삭날은 매우 중요한 중심 드릴 비트의 기능을 갖는다. 중심 절삭날은, 비대칭으로 배치된 소 절삭날이 바닥과 접하는 경우에 드릴링 공구가 축중심으로부터 벗어나 측면으로 드리프팅되는 것에 대항하여 드릴링 공구를 지지해준다. 상기 소 절삭날은 충격을 가하면서 보오링하고, 중심 보어 둘레에 원하는 직경을 갖는 수용 보어를 깍아내며, 상기 직경은 보오링 헤드의 둘레 원의 직경보다 더 크고, 튜브형 고정 부재가 수용 보어내에서 지지되도록 측정되어 있다. 결과로 얻어지는 고정 부재의 지지력은 상기와 같은 지지 및 점착 계수로 인한 보어벽에 가해지는 프레싱력의 결과이다.
상기 보오링 헤드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소 절삭날이 설치된다. 예컨대, 딱딱한 골재를 갖는 콘크리트 바닥과 같은 비교적 딱딱한 바닥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서로 3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0°의 각을 형성하는 2 개의 소 절삭날이 바람직하다.
보오링 더스트의 이송을 지지하기 위해서 각각의 소 절삭날에는 하나의 보오링 더스트 이송 홈이 할당되며, 상기 홈은 보오링 헤드의 회전 방향과 관련하여 소 절삭날 뒤에 배치되고 보오링 헤드의 측벽에서 축방향으로 진행한다.
보오링 더스트의 이송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서는, 샤프트가 타원형 또는 렌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드릴링 공구 샤프트가 타원형 또는 렌즈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떨어진 보오링 조각 또는 보오링 더스트는 방사 방향 외부로 밀려져서, 형성되는 프레싱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진다. 샤프트에 새겨질 수 있는 이송홈은 상기 보오링 더스트의 이송을 한층 더 지지해준다. 샤프트의 타원형 또는 렌즈형 구조는 드릴링 공구에 높은 회전 모멘트 안정성을 제공해주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가벼운 휨이 나타날 수 있는 상태인 고정 부재가 기울어진 상태에서도 드릴링 공구를 아무런 문제없이 빼낼 수 있는 충분한 휨 유연성을 보장해준다. 한편으로는 회전 모멘트 안정성과 다른 한편으로는 샤프트의 휨 유연성에 대한 특히 우수한 비율은 대략 1.8:1 내지 1.4:1 인 샤프트의 최대 직경과 상기 샤프트에 수직으로 뻗는 샤프트의 최소 직경의 비율에서부터 얻어진다.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2 부분으로 형성되는데, 삽입 단부를 갖고 직경이 더 큰 후방 섹션 및 더 얇은 전방 샤프트 섹션으로 형성된다. 보오링 헤드는 전방 샤프트 섹션의 노출된 전방 단부에 고정되고, 바람직하게 타원형 또는 렌즈형 구조를 갖는다. 전방 샤프트 섹션은 후방 섹션과 해체 가능하게 결합되어 진다. 예를 들어, 삽입 단부와 마주 보는 후방 섹션의 전면벽에는 삽입 보어가 삽입되는데, 상기 삽입 보어내로는 더 얇은 전방 샤프트 섹션이 삽입될 수 있다. 로킹 부재는 삽입된 전방 샤프트 섹션이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동시에, 더 얇은 샤프트 섹션을 향하고 있는 후방 섹션의 전면벽은 핸들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축방향 충격이 고정 부재상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로 들려진 고정 부재를 위한 스토핑 쇼울더를 형성한다. 전방의 얇은 샤프트 섹션을 해체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보오링 헤드가 지나치게 마모되는 경우에도 전체 드릴링 공구를 대체할 필요가 없다. 전방 샤프트 섹션을 보오링 헤드와 교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삽입 단부가 제공된 후방 섹션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드릴링 공구 중에서 아직 결함이 없는 부분은 상기 경우에도 계속 사용될 수 있다.
보오링 헤드용 재료로서는 경금속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드릴링 공구는 높은 내마모성을 갖게 되고, 바닥이 딱딱한 경우에도 수용 보어를 만들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된다. 보오링 헤드를 샤프트에 고정하는 것은,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납땜과 같은 공지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하기에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드릴링 공구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1)로 도 1 에 표기되어 있다. 드릴링 공구는 주요 부분인 후방 섹션(4) 및 전방 섹션(3)으로 이루어진 샤프트(2)를 포함한다. 후방 섹션(4)의 직경은 전방 섹션(3)의 직경 보다 더 크다. 후방 섹션(4)으로부터 전방 섹션(3)으로 넘어가는 영역에는 링형 스토핑 쇼울더 (6) 가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쇼울더는 뒤쪽으로는 삽입 단부(5)를 향하고 있으며, 앞쪽으로는 샤프트(2)의 전방 섹션(3)을 향하고 있다. 더 얇은 전방 섹션(3) 및 후방 섹션(4)은, 예를 들어 마찰 용접에 의해 일체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전방 섹션(3)의 단부가 후방 섹션(4)의 앞면에 있는 보어 (7)내로 삽입되어 그곳에서 도시되지 않은 로킹 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전방 섹션 (3) 및 후방 섹션(4)이 해체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킹 수단은, 예를 들어 로킹 나사 등과 같은 공지된 로킹 장치일 수 있다. 삽입 단부와 마주 보는 전방 단부에 샤프트는 하기에서 더 자세히 설명될 하나의 보오링 헤드(1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 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샤프트의 더 얇은 전방 섹션(3)은 타원형 또는 렌즈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주축(a) 및 상기 축에 수직으로 뻗는 켤레축(b)은 서로 약 1.8:1 내지 약 1.4:1 의 비율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샤프트의 구조는 전체 전방 섹션(3)에 걸쳐서 형성되어 지며, 상기 구조는 또한, 도 1 에 지시된 바와 같이 전방 섹션(3)의 단 하나의 부분 영역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도 2 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나타난 천이 영역이 얻어지게 된다. 후방 섹션의 전면에 있는 보어는 도면 부호(7)로 표기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전면은 스토핑 쇼울더(6)를 형성하고 있다.
도 3 에는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10)으로 표기된 보오링 헤드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오링 헤드(10)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샤프트(2)의 전방 단부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오링 헤드는 중심 절삭날 (11) 및 하나 이상의 소(小) 절삭날 (13)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소 절삭날은 중심 첨두(14)로부터 보오링 헤드(10)의 측면(15)까지 뻗어 있으며, 높이상으로는 중심 첨두 (14) 에 비해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소 절삭날(13)은 샤프트(2)의 축에 편심으로 뻗어져 있으며, 간격 (n) 만큼 샤프트의 둘레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샤프트의 둘레로부터 돌출되는 소 절삭날(13)의 연장부의 부분(n)은 상기 절삭날의 전체 연장부의 대략 10% 내지 100% 까지 이르게 된다. 상기 소 절삭날 (13)은 측벽(15)의 한 점에서 끝나는데, 중심 첨두 (14) 로부터 상기 점까지의 간격 (s) 은 중심 절삭날(11)의 대응하는 종점의 간격 (t) 보다 더 크다. 중심 절삭날 (11) 및 소 절삭날(13)은 중심 첨두에서 약 30° 내지 120°의 각(α) 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소 절삭날을 지지하는 보오링 헤드 섹션의 하부면이 샤프트로부터 자유롭게 돌출되는 방식으로 보오링 헤드(10)가 샤프트(2)상에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샤프트 (2)가 그 전방 단부에 측면 확대부 (21) 를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확대부는 자유롭게 돌출된 보오링 헤드(10)의 섹션을 위한 지지부로서 이용되고, 상기 보오링 헤드(10)와 샤프트(2) 사이의 결합면을 확대하게 된다. 보오링 헤드 (10) 로부터 나선형으로 뒤쪽으로 뻗는 이송 홈(16)이 샤프트에 표시되었다.
도 4 는 도 3 에 따른 보오링 헤드(10)의 평면도이다. 특이할 만한 것은, 상기 보오링 헤드(10)는 중심 첨두 (14) 로부터 출발하여 보오링 헤드(10)의 측면 (15) 까지 뻗는 2 개의 중심 절삭날(11, 12)을 포함하고 있다. 2 개의 중심 절삭날 (11, 12) 은 중심 첨두 (14) 에서 약 60° 내지 180°의 각 (γ) 을 형성하고 있다. 좀더 긴 소 절삭날 (13) 은 중심 절삭날 (11, 12) 에 의해 형성된 각 (γ) 의 이등분선의 연장선으로 뻗는다. 상기 소 절삭날은 인접한 중심 절삭날 (11 또는 12) 과 각각 둔각을 형성하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드릴링 공구의 보오링 헤드 (100)의 제 2 실시예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심 절삭날은 도면 부호 (111) 또는 (112)로 지정되어 있다. 보오링 헤드 (100)는 소 절삭날 (113) 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소 절삭날의 연장부 (n, l) 는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드릴링 공구 샤프트의 둘레 외부로 100% 까지 뻗어 있다. 샤프트 둘레에 방사형으로 가장 가깝게 배치된 소 절삭날 (13)의 영역은 중심 첨두(14)에 비해 적어도 2.5㎜ 만큼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 절삭날 (113)은 보오링 더스트 이송 홈(117)을 포함하는데, 상기 소 절삭날은 소 절삭날 (113)의 회전 방향 (R) 에 대해, 이송 홈 뒤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대체로 축방향으로 뻗도록 보오링 헤드 (100)의 측벽 (115)에 배치된다. 상기 소 절삭날 (113) 앞에 있는 보오링 헤드 (100)의 노출 공간에 의해 이미 충분한 보오링 더스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보오링 더스트의 양이 매우 많은 경우에는, 뒤에 있는 보오링 더스트 이송 홈 (117) 이 보오링 더스트의 운송을 더 부가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도 6 에서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200)로 표기된 보오링 헤드의 다른 실시예는 대부분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한다. 도면에 따르면, 서로 일치하는 부호들은 뒷부분의 2 개의 숫자만 동일하고, 다른 실시예와 구분하기 위해 2 라는 숫자가 상기 2 개의 숫자 앞에 붙어 있다. 2 가지 실시예의 중요한 차이는, 서로 약 3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0°의 각 (β)을 형성하고 있는 2 개의 소 절삭날 (213, 218)의 배치이다. 소 절삭날 (213, 218)은 보오링 헤드(200)의 회전 방향에 대해 각각 보오링 더스트 이송 홈 (217, 219) 뒤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 홈은 보오링 더스트 운송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7 및 도 8 에는 도 6 에 따른 실시예의 보오링 헤드 (200) 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보오링 헤드 (200) 와 관련된 도면 부호는 도 6 의 도면 부호와 일치한다. 도면 부호(B)는 튜브형 고정 부재를 지정하고 있는데, 상기 부재는 전체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축방향 슬롯(S)을 포함하고 있다. 고정 부재(B)는 드릴링 공구 위로 끼워지게 된다. 보오링 헤드 (200) 는 상기 고정 부재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고정 부재 (B) 는 2 가지 상태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파선으로 표시된 상태는 슬롯 (S) 이 개방된 출력 상태를 의미한다. 실선은, 고정 부재가 수용 보어내에서 방사 방향으로 죄어져서 극한 상황에서 슬롯(S) 이 블록으로 폐쇄된 폐쇄 상태의 고정 부재 (B) 를 나타내게 된다. 드릴링 공구의 보오링 헤드(200)는 아직도 보오링 상태에 있는데, 상기 상태에서 중심 첨두(214)는 상기 보오링 공구 및 고정 부재 (B) 의 축 연장부에 배치되고, 중심 절삭날(211, 212)은 소 절삭날 (213, 218)이 바닥과 해체 방식으로 맞물리는 경우에 드릴링 공구가 측면으로 드리프팅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타원형 또는 렌즈 형태의 구조를 갖는 샤프트는 도면 부호 (2) 로 지정되어 있다. 상기 소 절삭날은 보오링 헤드(200) 둘레 원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수용 보어를 만드는 것을 직접 볼 수 있다. 중심 위치에서는 드릴링 공구를 폐쇄된 고정 부재 (B) 로부터 빼낼 수 없다. 이를 위해서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오링 헤드(200)의 전체 둘레 원이 고정 부재(B)의 내경 안에 있게 될 때까지, 드릴링 공구를 먼저 옆으로 움직여야 한다. 상기 위치에서는 폐쇄된 고정 부재(B) 로부터 드릴링 공구를 매우 간단하게 빼낼 수 있다.
도 9 에는, 예를 들어 하중 적용 부재 절연 플레이트를 본 발명에 따른 직접 조립 방법에 의해 벽돌 벽에 고정시켜주는 조립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립 유니트는 절연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버섯 형태의 하중 적용 부재 (L)가 장치된 튜브 형태의 고정 부재 (B)를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1)는 편심 소 절삭날 및 핸드 장치(T)를 갖춘 스토핑 쇼울더(6) 및 보오링 헤드(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핸드 장치 (T) 에서는, 예를 들어 축방향 돌출 지지부를 갖춘 회전 드릴링 장치가 중요하다. 조립 과정을 준비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삽입 단부를 갖춘 보오링 공구 (1) 를 핸드 장치 (T) 의 공구 수용부내로 삽입시킨다. 그 다음에, 보오링 헤드(10)가 튜브형 고정 부재(B)의 전방 단부로부터 돌출될 때까지 고정 부재(B)를 드릴링 공구 (1) 위까지 민다. 화살표 (P1 및 P2)는 도면에서 드릴링 공구 (1) 및 고정 부재(B)의 조립을 명확하게 해준다. 핸드 장치 (T), 드릴링 공구(1) 및 고정 부재 (B)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식으로 준비된 조립 유니트는 절연 플레이트의 재료에 의해 땅을 향해 프레싱되어 진다. 핸드 장치 (T)의 작동과 동시에 드릴링 공구(1)가 바닥에 수용 보어를 만든다. 튜브형 고정 부재(B)의 전방 단부가 바닥에 닿자마자, 상기 고정 부재는 축방향 충격에 의해 지지되어 땅속으로 보오링 헤드(10)를 따라 간다. 이 때 핸드 장치(T)에 의해 발생된 축방향 충격은 스토핑 쇼울더(6)를 거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버섯 모양의 하중 적용 부재 (L) 내부에 지지되는 튜브형 고정 부재 (B) 의 후방 단부에 전달되어 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해서 보오링이 이루어지고, 보오링과 동시에 고정 부재 (B) 가 충격을 가하면서 땅속으로 박힌다. 종방향 슬롯을 갖는 튜브형 고정 부재 (B) 의 크기는 만들어진 수용 보어의 크기를 초과하기 때문에, 박힐 때 방사 방향으로 프레싱 된다. 공동(空洞)의 고정 부재(B)는 드릴링 보어(1)를 위해 하나의 방사 방향 가이드부를 형성한다. 보오링 헤드에 있는 중심 절삭날은 하나 이상의 편심 소 절삭날이 바닥과 닿는 경우에 상기 보오링 헤드(10)가 옆으로 드리프팅하는 것을 방지한다. 축방향으로 박힌 튜브형 고정 부재(B)는, 바람직하게는 하중 적용 부재 (L)의 면적이 넓은 헤드부가 평행하게 플레이트의 표면에 접할 때까지 절연 플레이트의 재료내로 상기 하중 적용 부재 (L) 를 밀어 넣는다.
본 발명에 따른 드릴링 공구에 의해, 예컨대 벽돌 벽과 같은 깨지기 쉬운 바닥에서도 신속하고도 신뢰할만하게 고정 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건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0)

  1. 하나의 후방 단부가 삽입 단부(5)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방 단부와 마주 보는 전방 단부에 보오링 절삭날이 장치된 보오링 헤드(10)를 갖춘 하나의 종방향 샤프트 (2) 를 포함하는 드릴링 공구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샤프트(2)에는 보오링 헤드 (10) 를 향하고 있는 링형 쇼울더(6)가 배치되며, 상기 보오링 헤드(10)의 중심 절삭날 (11, 12)은 실제로 샤프트축의 연장부내에 배치된 전방의 중심 첨두(14)로부터 보오링 헤드의 둘레까지 뒤로 기울어져 있고, 보오링 헤드(10)에는 샤프트축에 수직으로 뻗는 연장부가 샤프트(2)의 주변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소 절삭날 (13)이 제공되며, 상기 샤프트 둘레로 돌출하는 소 절삭날 (13)의 연장부의 부분 (n)은 상기 소 절삭날의 전체 연장부 (l) 의 대략 10% 내지 100% 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약 60° 내지 180°의 각 (γ)을 형성하는 2 개의 중심 절삭날 (11, 12)이 제공되고, 중심 첨두(14)로부터 샤프트 주변의 외부로 진행되는 보오링 헤드(10)의 측면 (15)까지 상기 중심 첨두(14)에 비해 뒤로 기울어져 있는 소 절삭날 (13)이 배치되며, 상기 소 절삭날 (13)은 보오링 헤드(10)의 축방향 평면도에서 중심 절삭날 (11, 12)의 각 이등분선에 평행하게, 바람직하게는 연장부로 뻗고, 인접한 중심 절삭날 (11, 12)과 각각 둔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샤프트 둘레의 외부에 배치된 소 절삭날 (13)의 단부는 샤프트 둘레 영역에 배치된 중심 절삭날(11, 12)의 단부보다 더 큰 간격 (s)으로 중심 첨두 (14)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측면도로 볼 때, 소 절삭날 (13) 및 중심 절삭날 (11)은 중심 첨두 (14)에서 대략 30° 내지 180°의 각(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샤프트 둘레에 방사 방향으로 가장 가까이 배치된 소 절삭날 (113; 213, 218)의 영역은 중심 첨두 (114; 214) 에 비해 적어도 2.5㎜ 만큼 뒤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서로 30°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0°의 각 (β) 을 형성하는 2 개의 소 절삭날 (213, 218) 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소 절삭날 (113; 213, 218)에는 상기 소 절삭날(113; 213, 218)의 회전 방향 (R)에 대해 뒤에 배치되고 실제로 보오링 헤드 (100, 200)의 측벽 (115; 215) 내에서 축방향으로 진행되는 보오링 더스트 이송 홈 (117; 217, 219) 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2)는 타원형 또는 렌즈 형태로 형성되며, 이 경우 샤프트(2)의 최대 직경 (a) 및 상기 직경에 수직으로 진행되는 샤프트(2)의 최소 직경(b)의 비율은 대략 1.8:1 내지 1.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2) 에는 나선형으로 샤프트 (2) 의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는 보오링 더스트용 이송 홈 (16) 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는 2 부분으로 구성되어, 삽입 단부(5)를 갖추고 직경이 더 큰 후방 섹션(4) 및 더 얇은 전방 샤프트 섹션 (3)을 포함하고, 전방 섹션의 노출된 전방 단부에는 보오링 헤드(10)가 고정되며, 상기 전방 샤프트 섹션(3)은 후방 섹션(4)과 해체 가능하게 결합되고, 쇼울더(6)는 후방 섹션 (4) 의 삽입 단부 (5) 로부터 떨어진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릴링 공구.
KR1019980016921A 1997-05-16 1998-05-12 드릴링공구 KR100567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0589.5 1997-05-16
DE19720589A DE19720589A1 (de) 1997-05-16 1997-05-16 Bohrwerk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969A true KR19980086969A (ko) 1998-12-05
KR100567613B1 KR100567613B1 (ko) 2006-06-21

Family

ID=782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921A KR100567613B1 (ko) 1997-05-16 1998-05-12 드릴링공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95179A (ko)
EP (1) EP0878261B1 (ko)
JP (1) JP4195123B2 (ko)
KR (1) KR100567613B1 (ko)
CN (1) CN1098740C (ko)
AT (1) ATE253428T1 (ko)
DE (2) DE19720589A1 (ko)
DK (1) DK0878261T3 (ko)
SG (1) SG74627A1 (ko)
TW (1) TW434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1801B2 (en) * 1999-12-10 2002-08-13 Maxtech Manufacturing Inc. Drill bit for non-linear drilling
DE10009461A1 (de) * 2000-02-28 2001-08-30 Hilti Ag System zur Befestigung von Plattenmaterial
DE10060484A1 (de) * 2000-12-06 2002-06-13 Fischer Artur Werke Gmbh Werkzeug zum Bohren eines Bohrlochs und zum Setzen eines rohrförmigen Isolierplattendübels und Isolierplattendübel zum Setzen mit dem Werkzeug
DE10105408A1 (de) * 2001-02-07 2002-08-08 Hilti Ag Saugbohrer für die Bohrdübelmontage in Gestein
US6874978B2 (en) * 2002-03-25 2005-04-05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Boring bi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boring bits
US7018144B2 (en) * 2002-07-02 2006-03-28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Drill
ATE451193T1 (de) * 2003-01-15 2009-12-15 Mitsubishi Materials Corp Bohrer
US7909547B2 (en) 2005-10-08 2011-03-22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Replaceable tip for a bit or auger bit
US8328477B2 (en) 2006-03-02 2012-12-11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Cutting tool
US8709013B2 (en) * 2007-07-19 2014-04-29 Linvatec Corporation Cannulated drill bit with radially offset cutting edge
US8939979B2 (en) 2009-05-08 2015-01-27 DePuy Synthes Products, LLC Surgical drill with curved burr attachment and method
US8870873B2 (en) 2009-05-08 2014-10-28 DePuy Synthes Products, LLC Disposable burr attachment
AU2010212441B2 (en) 2009-08-20 2013-08-01 Howmedica Osteonics Corp. Flexible ACL instrumentation, kit and method
TWI448341B (zh) * 2010-12-01 2014-08-11 Hon Hai Prec Ind Co Ltd 刀具
US9795398B2 (en) 2011-04-13 2017-10-24 Howmedica Osteonics Corp. Flexible ACL instrumentation, kit and method
DE102012012980B4 (de) 2011-07-22 2019-10-17 Kennametal India Ltd. Bohrwerkzeug
DE102012014092B4 (de) 2011-07-22 2020-12-17 Kennametal India Ltd. Indexierbarer Bohreinsatz sowie Bohrkörper mit indexierbarem Bohreinsatz
KR20140039309A (ko) 2011-07-22 2014-04-01 케나메탈 인디아 리미티드 인덱서블 드릴 인서트
US9445803B2 (en) 2011-11-23 2016-09-20 Howmedica Osteonics Corp. Filamentary suture anchor
US9808242B2 (en) 2012-04-06 2017-11-07 Howmedica Osteonics Corp. Knotless filament anchor for soft tissue repair
CN103447591B (zh) 2012-05-28 2020-02-28 钴碳化钨硬质合金印度有限公司 四角形的可转位的钻头镶片
US8821494B2 (en) 2012-08-03 2014-09-02 Howmedica Osteonics Corp.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use
US9078740B2 (en) 2013-01-21 2015-07-14 Howmedica Osteonics Corp. Instrumentation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securing a graft
CN105209198B (zh) 2013-01-23 2017-04-05 钴碳化钨硬质合金印度有限公司 可转位钻刀片及采用该刀片的旋转切削工具
WO2014121117A1 (en) 2013-02-01 2014-08-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uger bit with replaceable cutting bit
US9402620B2 (en) 2013-03-04 2016-08-02 Howmedica Osteonics Corp. Knotless filamentary fixation devices, assemblies and systems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US10292694B2 (en) 2013-04-22 2019-05-21 Pivot Medic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tissue to bone
US9986992B2 (en) 2014-10-28 2018-06-05 Stryker Corporation Suture anchor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73672A (en) * 1952-09-17 1956-12-11 Ellis C Holmes Drilling bit
US4212569A (en) * 1977-10-06 1980-07-15 Sandvik Aktiebolag Tubular drill tool
US4605347A (en) * 1982-12-27 1986-08-12 Lockheed Missiles & Space Company, Inc. High speed drill reamer
JPS60146605U (ja) * 1984-03-12 1985-09-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ドリル構造
DE3414206C1 (de) * 1984-04-14 1985-02-21 Norton Christensen, Inc., Salt Lake City, Utah Drehbohrmeissel fuer Tiefbohrungen
CA1324013C (en) * 1987-02-09 1993-11-09 Vermont American Corporation Masonary drill tip with strong and chamfered cutting edges
DE3890886T1 (de) * 1987-10-14 1990-06-07 John W Baker Bohrkopf fuer schaedelbohrer
EP0421067A1 (de) * 1989-09-18 1991-04-10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Montageeinheit mit einem Spreizanker und einem Montagewerkzeug
GB8926688D0 (en) * 1989-11-25 1990-01-17 Reed Tool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otary drill bits
US5186268A (en) * 1991-10-31 1993-02-16 Camco Drilling Group Ltd. Rotary drill bits
SE470177B (sv) * 1992-03-23 1993-11-29 Radi Medical Systems Anordning för håltagning i hård vävnad och punktionsnål
US5273380A (en) * 1992-07-31 1993-12-28 Musacchia James E Drill bit point
US5664914A (en) * 1994-04-27 1997-09-09 Kabushiki Kaisha Mekuto Drill
US5584617A (en) * 1995-04-04 1996-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ingle flute drill for drilling holes in printed circuit boards and method of drilling holes in a printed circuit board
US5947659A (en) * 1995-07-27 1999-09-07 Mays; Ralph C. Drill b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10051D1 (de) 2003-12-11
DE19720589A1 (de) 1998-11-19
JP4195123B2 (ja) 2008-12-10
EP0878261B1 (de) 2003-11-05
CN1098740C (zh) 2003-01-15
EP0878261A1 (de) 1998-11-18
CN1199660A (zh) 1998-11-25
ATE253428T1 (de) 2003-11-15
US5895179A (en) 1999-04-20
DK0878261T3 (da) 2004-03-15
KR100567613B1 (ko) 2006-06-21
TW434068B (en) 2001-05-16
JPH10328917A (ja) 1998-12-15
SG74627A1 (en) 2000-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86969A (ko) 드릴링 공구
US4765419A (en) Rock drill with cutting inserts
US6065908A (en) Drill
EP1236553B1 (en) Core drill
CA2642319C (en) Masonry drill bit
US7178878B2 (en) Chisel
EP1224375B1 (en) Self drilling roof bolt
US4951761A (en) Rock drill
US6032749A (en) Drilling tool
US6234579B1 (en) Cutting tool holder retention assembly
AU631054B2 (en) Rock drill
US4402637A (en) Self-drilling dowel
US5979913A (en) Universal driving and setting tool and method of using same
EP1333185A1 (en) Strip of collated fasteners for fastener-driving tool
US5487434A (en) Rock drill with conveying groove
EP1188508A3 (en) Friction stir welding
GB2310623A (en) Core drill
US6868924B2 (en) Rock drill
US7258180B2 (en) Rotary hammerdrill bit
US6405813B1 (en) Rock drill for drilling bores in reinforced concrete
CZ293151B6 (cs) Upevňovací systém a způsob zhotovení upevnění
US20030068209A1 (en) Drilling head
JP4477397B2 (ja) ドリル工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下孔の内周面の切削方法
US6640914B2 (en) Percussion borer for forming bores in stone material
US4134597A (en) Holder for self-drilling dow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