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6785A -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 Google Patents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6785A
KR19980086785A KR1019980016116A KR19980016116A KR19980086785A KR 19980086785 A KR19980086785 A KR 19980086785A KR 1019980016116 A KR1019980016116 A KR 1019980016116A KR 19980016116 A KR19980016116 A KR 19980016116A KR 19980086785 A KR19980086785 A KR 19980086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temperature sensor
spring
bottom temperatur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0109B1 (ko
Inventor
교쥰 이노마타
Original Assignee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모,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나이또 스스무,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강성모
Publication of KR1998008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01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Abstract

(과제) 버너의 내경치수가 작더라도 버너를 분해하지 않고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버너의 내경부 하측으로 연장된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로드부(6b)에 장착하는 고정구(8)의 하단에 시트판부(8f)를 형성하고, 곤로 기체내의 지지틀(5)에 형성한 시트받침부(5f) 상면에 시트판부(8f)를 올려놓는다. 상기 지지틀(5)에 시트받침부(5f)에서 기립하는 돌기부(5g)를 형성하고, 돌기부(5g)에 끼움/이탈이 자유로운 스프링부재(9)로 시트받침부(5f)에 시트판부(8f)를 누름고정시킨다.

Description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본 발명은, 곤로에 장착하는 환형상 버너의 내경부에 끼워통하게 설치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냄비바닥 온도센서는, 곤로의 삼발이에 놓여지는 냄비등의 조리기구 바닥면에 맞닿아서 그 온도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너(a)의 내경부 하측으로 연장된 냄비바닥 온도센서(b)의 로드부(c)에 장착한 고정구(d)를 곤로의 기체내에 설치한 지지틀(e)에 부착하였다.
고정구(d)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드부(c)가 끼워진 2개의 금속구(金屬具:d1, d2)를 나사(d3)로 결합함으로써 로드부(c)에 고정구(d)를 장착하였다. 그리고, 고정구(d)를 상측에서 버너(a)의 내경부로 삽입하여 고정구(d)의 일측 금속구(d1) 상단에 굽힘형성된 시트판부(d4)를 지지틀(e)에 형성된 기립부(起立部) 상단의 시트받침부(e1)에 올려놓고, 버너(a)의 내경부 상측에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시트받침부(e1)에 시트판부(d4)를 나사(f)고정하였다.
버너(a)의 내경치수가 작아서 내경부에 드라이버를 넣을 수 없는 경우에는, 시트받침부(e1)에 시트판부(d4)를 나사고정시킨 후에 버너(a)를 곤로기체에 부착하였다.
그런데, 시스템 키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에서 조리대(A)의 하부공간으로 삽입이 자유로운 캐비닛(B)에, 오븐(C)과 그 윗면에 결합된 곤로(D)로 이루어지는 도킹타입 가스기구를 상하움직임이 자유롭도록 조립하여 캐비닛(B)을 조리대(A)의 하부공간으로 삽입한 후, 조리대(A)의 곤로용 트인구멍에 상측틀(E)을 장착함과 아울러 가스기구를 끌어올려서 상측틀(E)에 곤로(D)기체를 볼트(F)고정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캐비닛(B)의 하부공간에는 배관부재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캐비닛(B)을 조리대(A)의 하부공간으로 삽입할 때 가스기구의 위치를 많이 내릴 수 없으므로, 곤로에 냄비바닥 온도센서가 부착되어 있으면 냄비바닥 온도센서가 조리대(A)에 간섭하게 된다. 그 때문에,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일단 분해하여 캐비닛(B)을 조리대(A)의 하부공간으로 삽입한 후,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종래예와 같이 고정구(d) 상단의 시트판부(d4)를 지지틀(e)의 시트받침부(e1) 상측에서 나사(f)고정시키는 부착구조에 있어서는, 버너의 내경치수가 작을 경우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버너도 분해할 필요가 있으므로 시공성이 나쁘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버너의 내경치수가 작은 경우에도 버너를 분해하지 않고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시스템 키친의 도킹타입 가스기구의 부착작업상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재단측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 재단면도
도 4a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부착부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부착부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5a, 도 5b는 도 4b의 화살표 Ⅴ방향에서 본 봉상스프링의 조작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부착부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 6b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센서부착부 조립상태의 사시도
도 7은 종래예의 재단측면도
도 8은 종래예에 있어서 센서부착부 분해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버너 5 : 지지틀
5f: 시트받침부 5g, 5h, 5i : 돌기부
6 : 냄비바닥 온도센서 6b : 로드부
8 : 고정구 8f : 시트판부
9 : 봉상스프링 9a : 걸어맞춤부
9b, 9c : 다리부 9d : 레버부
10 : 걸어맞춤홈 10a : 수평홈부
10b : 수직홈부 11 : 'V'자형상 스프링
11a : 되접음부 11b : 측변부
11c : 만곡부 12 : 걸어맞춤구멍
13 : 걸어맞춤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곤로에 장착하는 환형상 버너의 내경부에 끼워통하게 설치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로서, 버너의 내경부 하측으로 연장된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로드부에 장착한 고정구를 곤로의 기체내에 설치한 지지틀에 부착함에 있어서, 고정구 하단에 지지틀에 형성한 고정구용 시트받침부 상면에 올려놓는 시트판부를 형성하고, 지지틀에 시트받침부에서 기립하는 돌기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돌기부에 끼움/이탈이 자유롭고 시트받침부로 시트판부를 누름고정시키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한다.
이에 의하면, 곤로기체 내부로 버너의 외측에서 손을 넣어 스프링부재를 돌기부에서 이탈시킴으로써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버너의 내경부 치수가 작더라도 버너를 분해하지 않고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시스템 키친에 도킹타입 가스기구를 조립할 때 시공성이 향상된다.
스프링부재에 의한 냄비비닥 온도센서 부착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돌기부를 1쌍으로 형성하고, 양 돌기부의 대향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스프링부재를 좌우방향으로 긴 봉상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양 돌기부에 봉상스프링을 전후방향으로 끼움/이탈이 자유롭도록 앞쪽으로 개구된 수평홈부와 수평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홈부를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걸어맞춤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봉상스프링에 양 돌기부의 걸어맞춤홈에 대한 1쌍의 걸어맞춤부에 연속하는 굴곡을 이룬 1쌍의 다리부와, 봉상스프링을 좌우방향의 축선주위로 회동시킬 수 있는 레버부를 형성하고, 봉상스프링의 양 걸어맞춤부를 양 돌기부 걸어맞춤홈의 수직홈부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봉상스프링을 레버부의 조작으로 양 다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동시켰을 때, 양 다리부의 상측이 상기 시트판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시트받침부에 상기 시트판부가 누름고정되도록 한 것이 있다.
이에 의하면, 봉상스프링의 걸어맞춤부가 다리부에 작용하는 시트판부에서의 맞닿음반력으로 걸어맞춤홈의 수직홈부 상단에서 누름접촉되므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홈의 수평홈부로 이행하여 봉상스프링이 돌기부에서 뜻하지 않게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봉상스프링을 다리부가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회동시키면, 걸어맞춤부를 수평홈부로 이행시켜 봉상스프링을 돌기부에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봉상스프링의 회동에는 상당한 토크(torque)가 필요하지만, 레버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서 가벼운 힘으로 봉상스프링을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봉상스프링을 시트판부의 누름고정상태로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봉상스프링을 다리부가 똑바로 아래를 향하는 사점(死点)위치보다도 조금 더 회동한 사점초월위치에서 제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시트판부에 사점초월위치에서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스토퍼부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면 시트판부에 스토퍼부를 위한 가공이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든다. 이에 대해서, 상기 양 다리부를 양 다리부가 좌우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도차이를 가지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시키면, 봉상스프링을 일측의 다리부가 똑바로 아래를 향하는 사점위치보다 더 회동시키면 타측의 다리부가 시트판부에 맞닿게 되므로 봉상스프링이 사점초월위치로 제지된다. 따라서, 시트판부에 특별한 가공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상기 돌기부를 1쌍으로 형성하고, 양 돌기부의 대향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스프링부재를, 전후방향 일측단의 되접음부와, 되접음부에서 전후방향 타측으로 연장된 좌우 1쌍의 측변부를 가지는 'V'자형상 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전후방향 일측의 돌기부에 'V'자형상 스프링의 되접음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걸어맞춤구멍과, 전후방향 타측의 돌기부에 'V'자형상 스프링의 양 측변부를 좌우방향 외측 및 상측에서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양 돌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V'자형상 스프링의 양 측변부의 중간부분에 좌우방향 외측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그 만곡부의 상측이 상기 시트판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시트받침부에 상기 시트판부가 누름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도킹타입 가스기구의 곤로(D)에 장착한 버너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곤로(D)는 상기 상측틀(E)에 장착하는 글라스 톱 플레이트(1)를 구비하고 있고, 글라스 톱 플레이트(1)에 형성한 창틀(2)의 트인구멍 가장자리부에 보호링(3)을 부착하고, 그 보호링(3) 내에 버너(4)를 설치하였다.
버너(4)는, 곤로의 기체내에 설치한 지지틀(5)에 부착되는 전후방향으로 긴 혼합관(4a)과, 그 혼합관(4a)의 전단부 윗면에 부착되는 버너보디(4b)와, 그 버너보디(4b) 위에 놓여지는 버너헤드(4c)로 구성되어 있고, 버너보디(4b)를 보호링(3)내를 통해서 글라스 톱 플레이트(1) 위로 돌출시키고 있다. 버너보디(4b) 및 버너헤드(4c)는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버너헤드(4c)의 하면 외주부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외향으로 개방된 불꽃구멍(4d)을 형성하고 있다. 또, 버너헤드(4c)의 앞쪽부분 하면에 그 하측의 점화전극(4e)에 대향하는 타겟(4f)을 형성하고, 타겟(4f)의 내측에 형성된 점화용 불꽃구멍(4g)으로부터의 가스에 점화전극(4e)과 타겟(4f) 사이의 불꽃방전으로 점화시키고, 불꽃구멍(4d)에서 분사하는 가스로 불꽃을 옮겨 점화시키도록 하고 있다.
버너보디(4b) 및 버너헤드(4c)의 내주공간인 버너(4)의 내경부에 냄비바닥 온도센서(6)를 설치하여, 글라스 톱 플레이트(1) 위의 삼발이(7)에 놓여지는 냄비등의 조리기구 바닥면의 온도를 냄비바닥 온도센서(6)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냄비바닥 온도센서(6)는, 상단의 감열헤드부(6a)와 그 하측의 중공(中空)의 로드부(6b)로 구성되어 있고, 로드부(6b)에 감열헤드부(6a)를 상측으로 탄지하여 고정함으로써 그 탄성력으로 조리기구 바닥면에 감열헤드부(6a)를 탄성접촉시키고, 또 감열헤드부(6a)에 접속한 리드선(6c)을 로드부(6b)를 통해서 하측으로 도출시키고 있다.
냄비바닥 온도센서(6)는, 로드부(6b)에 장착한 고정구(8)를 통해서 상기 지지틀(5)에 부착되어 있다. 고정구(8)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1쌍의 금속구(8a, 8b)로 구성되어 있고, 양 금속구(8a, 8b)에 로드부(6b)를 끼우고 이 상태에서 양 금속구(8a, 8b)를 좌우 1쌍의 나사(8c, 8c)로 결합하여 로드부(6b)에 고정구(8)를 장착하고 있다. 뒷쪽 금속구(8b)의 하부에는 가로길이의 슬릿(8d;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8d)에 로드부(6b) 하부의 플랜지(6d)를 걸어맞춤으로써 로드부(6b)를 고정구(8)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위치결정하고 있다.
지지틀(5)의 앞쪽에는, 고정구(8)의 뒷쪽 금속구(8b)의 형상에 따라서 기립시킨 볼록형상의 위치결정부(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쪽 금속구(8b)의 상단에 형성된 좌우 1쌍의 돌기부(8e, 8e)를 위치결정부(5a)의 좌우양측 어깨부(5b, 5b)에 걸어맞춤으로써, 고정구(8)를 지지틀(5)에 대해서 위치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위치결정부(5a)에는 로드부(6b)의 플랜지(6d)에 대한 슬릿형상의 구멍(5d)과, 나사(8c, 8c)에 대한 좌우 1쌍의 구멍(5e, 5e)이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틀(5)에는 위치결정부(5a) 양옆으로 앞쪽을 향하여 연장된 좌우 1쌍의 시트받침부(5f, 5f)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구(8)에는 뒷쪽 금속구(8b)의 하단에서 앞쪽으로 시트판부(8f)가 굴곡형성되어 있고, 좌우의 시트받침부(5f, 5f) 상면에 시트판부(8f)의 좌우 양측부를 올려놓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시트받침부(5f, 5f)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좌우 1쌍의 돌기부(5g, 5g)가 기립형성되어 있고, 그 양측 돌기부(5g, 5g)를 시트판부(8f)에 형성된 좌우 1쌍의 관통구멍(8g, 8g)을 통해서 시트판부(8f)의 상측으로 돌출시키고, 양 돌기부(5g, 5g)에 끼움/이탈이 자유로운 스프링부재로 시트받침부(5f, 5f)에 시트판부(8f)를 윗쪽에서 누름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프링부재는 좌우방향으로 긴 봉상스프링(9)으로 구성되어 있다. 봉상스프링(9)에는, 양 돌기부(5g, 5g)에 대한 좌우 1쌍의 걸어맞춤부(9a, 9a)와, 일측 걸어맞춤부(9a)에 연속하여 굴곡형성된 다리부(9b)와, 타측 걸어맞춤부(9a)에 연속하여 굴곡형성된 다리부(9c)와, 일측 다리부(9b)에서 되접음형성된 레버부(9d)가 있다. 여기에서, 양 다리부(9b, 9c)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다리부(9b, 9c)를 좌우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도차이가 나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상기 양 돌기부(5g, 5g)에는, 앞쪽으로 개구된 수평홈부(10a)와, 수평홈부(10a)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홈부(10b)를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걸어맞춤홈(10)이 형성되어 있고, 봉상스프링(9)의 각 걸어맞춤부(9a)를 각 돌기부(5g) 걸어맞춤홈(10)의 수평홈부(10a) 앞쪽에서 끼움/이탈이 자유롭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걸어맞춤부(9a)를 수평홈부(10a)로 압입한 상태에서 레버부(9d)를 손으로 들어올려 봉상스프링(9)을 도 5a의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각 다리편부(9b, 9c)가 하측을 향하면서 시트판부(8f)에 맞닿아 시트받침부(5f)가 시트판부(8f)에 의해서 눌려짐으로써 고정구(8)가 지지틀(5)에 고정된다. 이 경우, 봉상스프링(9)을 일측 다리부(9b)가 똑바로 아래를 향하는 사점위치를 조금 넘는 위치까지 회동시키면, 일측 다리부(9b)의 시트판부(8f)에 대한 맞닿음 반력으로 봉상스프링(9)이 스스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타측의 다리부(9c)가 시트판부(8f)에 맞닿는 도 5b의 위치에서 봉상스프링(9)의 회동이 제지되어 이 위치에서 셀프로크된다. 이 상태에서는, 다리부(9b, 9c)의 시트판부(8f)에 대한 맞닿음 반력으로 봉상스프링(9)의 걸어맞춤부(9a)가 수직홈부(10b)로 이행하여 봉상스프링(9)이 돌기부(5g)에서 뜻하지 않게 이탈되는 경우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캐비닛(B)을 조리대(A)의 하부공간으로 삽입하기 전에, 곤로(D)에 부착되어 있는 냄비바닥 온도센서(6)를 분해할 경우에는, 곤로의 기체내부로 버너(4)의 외측에서 손을 넣어 봉상스프링(9)의 레버부(9d)를 손으로 내려서 봉상스프링(9)을 도 5b의 위치에서 도 5a의 위치로 회동시킨 후 돌기부(5g)의 걸어맞춤홈(10)에서 봉상스프링(9)을 빼낸다. 다음으로, 고정구(8)를 들어올려 돌기부(8e)를 위치결정부(5a)의 어깨부(5b)에서 이탈시키고, 냄비바닥 온도센서(6)를 기울여 버너(4)의 내경부 하측으로 빼내어 곤로(D)기체 내의 적당한 곳에 냄비바닥 온도센서(6)를 놓는다.
이 상태에서 캐비닛(B)을 조리대(A)의 하부공간으로 삽입한 후, 글라스 톱 플레이트(1)를 장착하기 전에, 냄비바닥 온도센서(6)를 하측에서 버너(4)의 내경부로 삽입하여 고정구(8)의 돌기부(8e)를 위치결정부(5a)의 어깨부(5b)에 걸어맞추고, 다음으로 봉상스프링(9)을 돌기부(5g)의 걸어맞춤홈(10)으로 압입하여 레버부(9d)를 손으로 들어올려 봉상스프링을 도 5a의 위치에서 도 5b의 위치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고정구(8)가 지지틀(5)에 고정되어 냄비바닥 온도센서(6)의 부착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봉상스프링(9)의 중앙부분을 좌우의 걸어맞춤부(9a, 9a)를 지나는 축선에 대해서 일측 다리부(9b)의 굴곡방향으로 오프셋(offset)하였지만, 중앙부분을 상기 축선에 일치시켜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버너(4)용 지지틀(5)에 고정구(8)를 고정시켰지만, 고정구(8)를 고정시키는 전용의 지지틀을 설치해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지지틀(5)의 위치결정부(5a) 앞쪽으로 지지틀(5)의 전체폭에 걸쳐서 시트받침부(5f)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시트받침부(5f)의 전후 양 가장자리에 전후 1쌍의 돌기부(5h, 5i)를 기립형성하고, 앞쪽 돌기부(5h)를 고정구(8) 하단의 시트판부(8f) 앞가장자리에 걸어맞추고, 뒤가장자리의 돌기부(5i)를 시트판부(8f)에 형성된 관통구멍(8h)으로 끼워지게 하였다.
스프링부재는, 후단의 되접음부(11a)와, 되접음부(11a)에서 앞쪽으로 연장된 좌우 1쌍의 측변부(11b, 11b)를 가지는 대략 'V'자형상을 이루는 스프링(이하, 「'V'자형상 스프링」이라고 한다;11)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측변부(11b)의 중간부분에는 좌우방향 외측으로 만곡된 만곡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뒷쪽 돌기부(5i)에는 'V'자형상 스프링(11)의 되접음부(11a)를 끼워넣을 수 있는 걸어맞춤구멍(12)을 형성함과 아울러, 앞쪽 돌기부(5h)에는 'V'자형상 스프링(11)의 양 측변부(11b, 11b)를 좌우방향 외측 및 상측에서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걸어맞춤부(13)를 돌기부(5h)에 형성한 구멍으로 구성하고 'V'자형상 스프링(11)을 되접음부(11a)측부터 이 구멍으로 끼우도록 하였지만, 구멍 윗변의 중간부분을 제외하고 좌우로 분리된 1쌍의 돌기형상의 걸어맞춤부를 형성하여 이 돌기부 사이에 양 측변부(11b, 11b)를 상측에서 압입하도록 해도 된다.
뒷쪽 돌기부(5i)의 걸어맞춤구멍(12)에 되접음부(11a)를 삽입한 상태에서는, 만곡부(11c)가 양 돌기부(5h, 5i) 사이에 위치하여 만곡부(11c)의 후단부분에서 측변부(11b)가 걸어맞춤부(13)에 걸어맞춰지는 것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만곡부(11c)가 스토퍼 역할을 하여 'V'자형상 스프링(11)이 양 돌기부(5h, 5i)에 대하여 빠짐방지된다. 그리고, 만곡부(11c)가 시트판부(8f)에 맞닿음으로써 시트받침부(5f)를 시트판부(8f)가 누름으로써 고정구(8)가 지지틀(5)에 고정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시트판부(8f)에 상측으로 돌출된 가로길이의 비드(8i)를 형성하였으므로, 이 비드(8i)에 만곡부(11c)가 맞닿도록 되어 있다.
곤로의 기체내부로 버너 앞쪽에서 손을 넣어 'V'자형상 스프링(11)의 양 측변부(11b, 11b) 선단에 굽힘형성된 손잡이부(11d, 11d)를 손가락으로 쥐고 'V'자형상 스프링(11)을 좌우방향으로 눌러 압축하면, 양 돌기부(5h, 5i)에서 'V'자형상 스프링(11)이 이탈되므로 냄비바닥 온도센서(6)를 분해할 수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V'자형상 스프링(11)을 봉상재료를 접어구부림으로써 형성하였지만, 상하방향의 폭을 가진 스프링판을 접어구부려 'V'자형상 스프링을 형성해도 되고, 이것에 의하면 시트판부(8f)를 시트받침부(5f)로 더 강하게 누름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곤로의 기체내부로 버너 외측에서 손을 넣어 스프링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버너의 내경치수가 작더라도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착탈을 위해서 버너를 분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시스템 키친에 도킹타입 가스기구를 조립할 때 시공성이 향상된다.

Claims (4)

  1. 곤로에 장착하는 환형상 버너의 내경부에 끼워통하게 설치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로서, 버너의 내경부 하측으로 연장된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로드부에 장착한 고정구를 곤로의 기체내에 설치한 지지틀에 부착함에 있어서, 고정구 하단에, 지지틀에 형성한 고정구용 시트받침부 상면에 올려놓는 시트판부를 형성하고, 지지틀에, 시트받침부에서 기립하는 돌기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돌기부에 끼움/이탈이 자유롭고, 시트받침부로 시트판부를 누름고정시키는 스프링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1쌍으로 형성하고, 양 돌기부의 대향방향을 좌우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스프링부재를 좌우방향으로 긴 봉상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양 돌기부에, 봉상스프링을 전후방향으로 끼움/이탈이 자유롭도록 앞쪽으로 개구된 수평홈부와, 수평홈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홈부를 가지는 대략 'L'자 형상의 걸어맞춤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봉상스프링에, 양 돌기부의 걸어맞춤홈에 대한 1쌍의 걸어맞춤부에 연속하는 굴곡을 이룬 1쌍의 다리부와, 봉상스프링을 좌우방향의 축선주위로 회동시킬 수 있는 레버부를 굴곡형성하고, 봉상스프링의 양 걸어맞춤부를 양 돌기부 걸어맞춤홈의 수직홈부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봉상스프링을 레버부의 조작으로 양 다리부가 하측을 향하도록 회동시켰을 때, 양 다리부의 상측이 상기 시트판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시트받침부에 상기 시트판부가 누름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양 다리부를, 양 다리부가 좌우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도차이를 가지도록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1쌍으로 형성하고, 양 돌기부의 대향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할 때, 상기 스프링부재를 전후방향 일측단의 되접음부와, 되접음부에서 전후방향 타측으로 연장된 좌우 1쌍의 측변부를 가지는 'V'자형상 스프링으로 구성하고, 전후방향 일측의 돌기부에 'V'자형상 스프링의 되접음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걸어맞춤구멍과, 전후방향 타측의 돌기부에 'V'자형상 스프링의 양 측변부를 좌우방향 외측 및 상측에서 걸어맞출 수 있는 걸어맞춤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양 돌기부 사이에 위치하는 'V'자형상 스프링의 양 측변부의 중간부분에 좌우방향 외측으로 만곡된 만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만곡부의 상측이 상기 시트판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시트받침부에 상기 시트판부가 누름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바닥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KR1019980016116A 1997-05-21 1998-05-06 냄비바닥온도센서의부착구조 KR1002801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096097A JP3419647B2 (ja) 1997-05-21 1997-05-21 鍋底温度センサの取付構造
JP97-130960 1997-05-21
JP130960 1997-05-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785A true KR19980086785A (ko) 1998-12-05
KR100280109B1 KR100280109B1 (ko) 2001-02-01

Family

ID=1504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116A KR100280109B1 (ko) 1997-05-21 1998-05-06 냄비바닥온도센서의부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19647B2 (ko)
KR (1) KR1002801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27B1 (ko) * 2012-05-31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장치용 과열방지 온도 센서의 안전 강화 구조
KR101301724B1 (ko) * 2012-05-31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장치의 안전 강화 구조
KR101358734B1 (ko) * 2012-10-31 2014-02-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과열방지센서 고정구조
KR101381267B1 (ko) * 2012-12-17 2014-04-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온도검지유닛의 고정브라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2575B2 (ja) * 2014-08-05 2018-09-19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用バーナ
CN105605577B (zh) * 2016-03-11 2018-04-10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温度传感器固定支架、燃烧器和燃气灶
CN108826368A (zh) * 2018-06-19 2018-11-1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燃烧器和燃气灶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727B1 (ko) * 2012-05-31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장치용 과열방지 온도 센서의 안전 강화 구조
KR101301724B1 (ko) * 2012-05-31 2013-08-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조리장치의 안전 강화 구조
KR101358734B1 (ko) * 2012-10-31 2014-02-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렌지용 과열방지센서 고정구조
KR101381267B1 (ko) * 2012-12-17 2014-04-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용 온도검지유닛의 고정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19647B2 (ja) 2003-06-23
JPH10314031A (ja) 1998-12-02
KR100280109B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429B1 (ko) 냄비바닥 온도센서를 가지는 가스 레인지
JP4945284B2 (ja) ガスコンロ
KR100280109B1 (ko) 냄비바닥온도센서의부착구조
US6173708B1 (en) Gas burner mounting assembly for appliance with ceramic based cooktop
JP2007218498A (ja) ガスコンロ
JP3348393B2 (ja) ガスこんろ
JP2014020646A (ja) ガスコンロ用の五徳及びガスコンロ
KR20060134709A (ko) 가스레인지용 그레이트 패킹구조
CA2606741A1 (en) Water heater igniter bracket and bracket assembly
KR100232563B1 (ko) 온도센서의 부착구조
KR200428072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열차단장치
KR200289759Y1 (ko) 가스버너를 이용한 요리기의 불꽃 확인기
US2024455A (en) Lighting device for gas burners
JP3694903B2 (ja) ガス調理機器
KR200253012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노브링 회전 방지 구조
JP7306621B2 (ja) 補助五徳
KR980008902U (ko) 가스레인지의 점화플러그 고정장치
KR200159705Y1 (ko) 가스버너의 버너바디
KR200217707Y1 (ko) 조리용기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버너
KR100469267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 구조
KR880002787Y1 (ko) 난방기
JPH0743621Y2 (ja) 熱電対の取付具
JPH0424279Y2 (ko)
KR200148710Y1 (ko) 가스오븐렌지용 스토퍼
KR900004253Y1 (ko) 휴대용 버너의 받침대겸용 바람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