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641A - 미진동 치료기 - Google Patents

미진동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641A
KR19980085641A KR1019970021779A KR19970021779A KR19980085641A KR 19980085641 A KR19980085641 A KR 19980085641A KR 1019970021779 A KR1019970021779 A KR 1019970021779A KR 19970021779 A KR19970021779 A KR 19970021779A KR 19980085641 A KR19980085641 A KR 19980085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bed
eccentric shaft
eccentric
trea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수
Original Assignee
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수 filed Critical 박민수
Priority to KR1019970021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5641A/ko
Publication of KR1998008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641A/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고진동수의 미세한 진동을 주어 상처나 질병을 외과수술이나 투약에 의존하지 않고 신속하게 치료하는 미진동 치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미진동 치료기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환자를 지지하는 진동베드와, 상기 테이블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중앙부에 편심캠을 구비하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진동베드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상기 진동베드의 저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편심축의 편심캠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된 커넥팅로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미진동 치료기
본 발명은 미진동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에 고진동수의 미세한 진동을 주어 상처나 질병을 외과수술이나 투약에 의존하지 않고 신속하게 치료하는 미진동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열상, 자상 등의 상처가 발생하면 피부조직을 복구하기 위해 외과수술로 봉합하여 치료하거나 상처가 크지 않을 경우에는 환부에 단순히 치료제를 도포하여 치료하고 있다. 또한, 상처의 치유속도를 높이고 세균의 감염으로 인한 화농을 억제하기 위하여 항생제를 경구투여하는 것이 의료계의 일반적인 관행이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상처치료방법은 환자가 치료를 받기 위하여 병원을 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치료비가 많이 들고 치료기간도 길 뿐만 아니라 치료후 상처부위에 심한 흉터가 남게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다. 더욱이, 치료기간중에는 간이나 위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다량의 항생제를 투여하기 때문에 인체의 자연치유력을 도리어 악화시켜 버리며, 약물의 남용으로 인해 부작용이 생기는 일도 있다.
현대의학에서는 상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질병을 약물요법에 의해서 치료하고 있다. 특히, 암, 결핵, 심장병, 고혈압, 신장병등과 같은 난치병의 치료시에는 대량약물요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치료효과는 미미한 반면 심각한 약물부작용이 수반되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리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장기간 약물을 복용하는 것은 환자에게 심한 고통을 주게되며, 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현대의학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의학에 의존하지 않는 서의학 건강법』(와타나베쇼저, 김기준역, 1976년 초판발행, 1995년 개정 증보판 발행)이라는 책자에서는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질병을 치유하는 새로운 개념의 질병치료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인체의 세포는 어떠한 장애상태에 있을 때 영양을 거부하며 또한 혈액이 불순할 경우에도 이를 거부하도록 되어 있다. 모세혈관에는 세포로의 통로가 나있어 그 통로를 통하여 세포는 영양과 산소를 공급받고 그 대신에 노폐물과 탄산가스를 모세혈관으로 내보낸다. 인체에 미세한 진동을 부여하면 모세혈관의 주위에 분포해 있는 루우제씨 세포의 자극에 의하여 모세혈관이 수축되며, 모세혈관내의 혈액은 환부세포를 거치지 않고 글로뫼를 통하여 소동맥으로 직접 흘러간다. 따라서, 환부세포로의 혈류가 차단되어 세포가 단식상태로 되기 때문에 세균도 번식할 수 없고 화농하는 일도 없이 상처나 질병이 나아버리는 것이다.
상기한 『서의학 건강법』에는 미진동에 의해 모세혈관을 수축운동시켜서 상처 또는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으나, 이러한 미진동을 행하는 장치에 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서의학 건강법』의 이론을 응용하여 상처 또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최적진동수의 미진동을 유발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를 높은 진동수로 미세하게 진동시켜서 상처를 간편,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는 미진동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체를 최적의 진동수로 미세하게 진동시켜서 혈액의 순환을 촉진함으로써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미진동 치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미세한 진동을 주어 상처 또는 질병을 치료하는 미진동 치료기에 있어서, 테이블과, 이 테이블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환자를 지지하는 진동베드와, 상기 테이블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중앙부에 편심캠을 구비하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진동베드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치료기에 의해서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상기 진동베드의 저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편심축의 편심캠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된 커넥팅로드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진동 치료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미진동 치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 확대단면도로서, 편심축의 동력전달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 확대단면도로서, 편심축의 구동에 의한 베드의 횡방 향 왕복이동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Ⅴ-Ⅴ선 확대단면도로서, 진동베드의 횡방향 왕복이동시 가이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진동베드가 횡방향 외에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규제장치를 상세히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진동베드가 수평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 전 규제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테이블 16: 진동베드
18: 직선운동 가이드장치 20: 자동조심축
22: 가이드바 24: 가이드블록
34: 편심축 38: 편심캠
40: 전기모터 42: 구동풀리
44: 종동풀리 46: 타이밍벨트
48: 운동변환장치 50: 지지대
52: 커넥팅로드 76,78,80: 규제장치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진동 치료기는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테이블(10)을 구비하며, 이 테이블(10)은 4개의 코너부에서 지지다리(12)로 받쳐지지되고, 각 지지다리(12)의 하단부에는 에어마운트(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에어마운트(14)는 고중량의 재료, 예를 들면, 주물로 제작된 받침대(15)의 상면에 부착되며, 받침대(15)는 다시 지지다리(15a) 및 에어마운트 (15b)에 의해서 바닥에 지지되어 있다.
에어마운트(14)는 예를 들면 엘라스토머(Elastomer)등과 같은 방진재로 제조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테이블(10)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바닥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테이블(10)에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진동베드(16)가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횡방향이라 함은 진동베드(16)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의미하고, 종방향이라 함은 진동베드(16)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는 진동베드(16)를 횡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진동베드(16)를 종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구성을 취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진동베드(16)는 평판상의 몸통지지부(16a)와 이 몸통지지부(16a)에 비해 높게 위치하는 다리지지부(16b)로 구성된다. 그러나 환자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어떠한 형상의 베드든지 본 발명의 미진동 치료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후에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미진동 치료기는 그 작동중에 높은 진동수의 미세한 진동을 발생하므로, 환자는 고정벨트(도시하지 않음)등으로 진동베드(16)에 묶어서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베드(16)는 직선운동 가이드장치(18)에 의해서 테이블(10)에 장착된다. 이 직선운동 가이드장치(18)는 진동베드(16)의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테이블(10)을 관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자동조심축(20)과, 자동조심축(20)의 상단을 관통하여 진동베드(16)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고정된 가이드바(22)와, 진동베드(16)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각 가이드바(22)의 양끝단부가 삽입되어 진동베드(16)의 직선운동시 가이드바(22)를 따라 안내되어지는 4개의 가이드블록(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조심축(20)은 자동조심베어링(26)을 개재하여 테이블(10)에 고정되며, 자동조심베어링(26)은 진동베드(16)의 왕복운동시 힘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자동조심축(20)이 기울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작용하던 힘이 제거되는 경우 자동조심축(20)은 다시 원위치하여 항상 일정한 중심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조심축(20)의 하단부에는 가이드롤러(28)가 설치되고, 테이블(10)의 저면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30a)이 상기 가이드롤러(28)를 지지하여 자동조심축(20)의 종방향 기울어짐을 억제함과 동시에 자동조심축(20)의 횡방향 기울어짐은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가이드블록(24) 내에는 축방향 미끄럼베어링(32)이 구비되어 이에 삽입되는 가이드바(22)의 양끝단과 접촉하여 가이드블록(24)의 직선이동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원활하게 한다.
도 2 및 도 4에 명료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블(10)은 그 중앙에 대략 사각형의 관통공(10a)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 관통공(10a)의 하부에 편심축(34)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편심축(34)은 양단이 테이블(10)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브라켓(36a)(36b)에 설치되고, 중앙에 편심캠(38)이 구비되며, 이 편심캠(38)은 한 쌍의 고정브라켓(36a)(36b) 사이에 위치되고 고정브라켓(36a)(36b)의 사이 간격보다 적어도 짧은 길이를 갖는다.
상기 편심캠(38)에 의한 편심량은 상기 진동베드(16)의 진동폭을 좌우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 1㎜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캠(38)의 편심량이 1㎜일 경우 진동베드(16)의 진동폭은 그 두배인 2㎜로 되는데, 그 원리는 아래의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편심축(34)은 테이블(10)의 하부에 설치된 전기모터(40)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40)는 테이블(10) 저면에 고정된 한 쪽의 고정브라켓(36a)에 설치되고, 전기모터(40)의 회전력은 동력전달장치, 예를 들면, 한 쌍의 구동 및 종동풀리(42)(44)와 이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46)에 의해서 편심축(34)에 전달된다. 즉 상기 구동풀리(42)는 전기모터(40)의 축에 고정하고, 상기 종동풀리(44)는 편심축(34)의 일단에 고정함으로써 전기모터(40)의 회전력이 편심축(34)으로 전달되며, 구동풀리(42)의 직경보다 종동풀리(44)의 직경을 작게함으로써 편심축(34)의 회전속도가 증가되도록 하고, 구동풀리(42)와 종동풀리(44)의 직경비로서 편심캠(38)의 회전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축(34)과 진동베드(16) 사이에는 상기 편심축(34)의 회전운동을 진동베드(16)의 횡방향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변환장치(4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운동변환장치(40)는, 상기 진동베드(16)의 저면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50)와, 일단이 상기 편심축(34)의 편심캠(38)에 베어링(49)을 개재하여 끼워맞춤되어 회전자유롭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50)에 회전자유롭게 축으로 연결된 커넥팅로드(5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운동변환장치(48)는 편심축(34)의 회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축(34)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길이가 긴 편심캠면이 실선 및 가상선(a)위치에 반복적으로 위치됨으로써 커넥팅로드(52)로 연결된 한 쌍의 지지대(50)가 실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 즉 진동베드(16)의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진동베드(16)를 소정의 진동수로 진동시키게 된다.
상기 편심캠(38) 및 커넥팅로드(52)에 의한 진동베드(16)의 왕복운동스트로크는, 즉 진동폭은 약 2㎜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진동수는 1800회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진동수라 함은 진동베드(16)가 1분간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진동베드(16)의 진동폭은 편심축(34)의 편심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고, 진동수는 전기모터(40)의 회전수를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운동변환장치(48)쪽으로 윤활유를 순환시킬 수 있는 수단을 테이블(10)의 하부에 구비하여 편심캠(38), 커넥팅로드(52) 및 한 쌍의 지지대(50) 등의 가동부품을 강제로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테이블(10)과 진동베드(16) 사이에는 진동베드(16)의 횡방향 왕복운동 이 외에 다른 방향, 즉 진동베드(16)에 대한 수직방향 왕복운동 및 수평방향 회전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저지하는 다수개의 규제장치를 구비한다.
각각의 규제장치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규제장치는 외주연에 너트(56)가 나사맞춤되어 이 너트(56)에 의해 고정대상물(66)에 고정되는 몸체(58)를 구비하고, 지지봉(60)이 몸체(58)의 중심을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몸체(58)를 관통한 지지봉(60)의 일단에는 받침체(62)가 고정되고, 이 받침체(62)에 롤러(64)가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규제대상물(68)(70)과 접촉되도록 하며, 또한 몸체(58)와 받침체(62) 사이에는 규제대상물(68)(70)로부터의 가압력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반발하도록 하는 코일스프링(72)을 개재하고 지지봉(60)의 타단에 너트(74)를 나사맞춤시켜 롤러(64) 및 지지봉(60)을 몸체(58)에 탄력설치한다. 이때 지지봉(60)에 나사맞춤된 너트(74)의 조절로 코일스프링(72)의 반발력을 증감시킬 수 있고, 롤러(64)는 진동베드(16)의 횡방향 왕복운동시 마찰구름되도록 하여 왕복운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규제장치를 이용한 수직방향 왕복운동의 규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64)를 위로 향하게하여 진동베드(16)의 규제대상물(68)에 접촉시키고 몸체(58)를 테이블(10)의 고정대상물(66)에 고정시킨 제 1 규제장치(76)와, 롤러(64)를 하방으로 향하게하여 진동베드(16)의 규제대상물(70)에 접촉시키고 몸체(58)를 진동베드(16)의 고정대상물(66)에 고정시킨 제 2 규제장치(78)로 이루어지며, 제 1 규제장치(76)로는 진동베드(16)의 하방이동을 저지하도록 하고, 제 2 규제장치(78)로는 진동베드(16)의 상방이동을 저지하도록 한다. 제 1 및 제 2 규제장치(76)(78)는 테이블(10) 및 진동베드(16) 사이의 네모서리부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진동베드(16)를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규제장치(76)(78)에 의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캠(38)의 회전시 중심으로부터 가장 긴 쪽의 편심캠면이 실선 및 가상선(a) 뿐만아니라 가상선(b)(c) 위치에도 오게 되므로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방향, 즉 진동베드(16)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도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진동베드(16)가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려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또한 수평방향의 회전운동 규제는, 제 3의 규제장치, 예를 들면, 볼 캐스터 (8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 캐스터(80)는 테이블(10)과 진동베드(16) 사이의 네모서리부에 각각 설치하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각선방향에 설치된 볼 캐스터(80)를 한 쌍으로 하여 진동베드(16)가 실선 또는 점선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미진동 치료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40)가 회전하면 그 회전력은 구동 및 종동풀리(42)(44)와 이에 연결된 타이밍벨트(46)를 통해서 증속되어 편심축(34)으로 전달된다. 이때 전기모터(40)의 회전속도는 편심축(34)의 회전속도가 1800rpm 이상으로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심축(34)이 회전함에 따라 편심축(34)의 편심캠(38)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축(34)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긴쪽의 편심캠면이 편심축(34)을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게 되고, 커넥팅로드(52)는 이러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지지대(50)를 실선의 화살표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므로 진동베드(16)는 직선운동 가이드장치(18)에 의해 가이드되어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때 커넥팅로드(52)가 편심캠(38)의 회전운동을 진동베드(16)의 횡방향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편심캠(38)의 도 4의 가상선(b) 및 (c)위치에서 진동베드(16)는 수직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받게 되지만, 이 힘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10)과 진동베드(16) 사이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규제장치(76)(78)의 반발력에 의해 상쇄되어 진동베드(16)의 수직방향 이동이 저지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규제장치(76)(78)에 의해 진동베드(16)의 수직방향 왕복이동이 완전히 저지되는 것이 아니고 코일스프링(72)에 의한 반발력으로 완화시켜 저지하는 것이므로 진동베드(16)의 횡방향 왕복운동이 완전한 직선방향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미세하게 원호를 그리게 되며, 이러한 미세한 원호운동은 진동베드(16)의 왕복운동에 의한 진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편심캠(38)의 회전운동이 커넥팅로드(52)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되어 진동베드(16)가 횡방향 왕복운동하는 과정에서 진동베드(16)가 수평방향으로 회전운동하려는 힘을 받을 수 있고, 이러한 힘은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규제장치(80)의 반발력으로 상쇄시켜 진동베드(16)의 회전운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진동베드(16)는 편심축(34)이 1회전할 때 마다 스트로크에 상당하는 거리를 1회 왕복하게 되고, 이와 같은 진동베드(16)의 왕복운동, 즉 진동은 미리 정해진 진동수, 예를 들면 1800cycle/min로 필요한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행하여 진다. 진동베드(16)가 높은 진동수로 미세하게 진동하면, 그 위에 놓여진 환자의 모세혈관이 수축하고, 환부의 세포가 단식상태로 되어 상처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진동베드(16)의 진동이 행하여지는 동안, 에어마운트(14)는 충격이나 진동이 바닥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진동 치료기는 환자의 신체에 높은 진동수의 미진동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결과 각종 질병을 앓고 있거나 외상을 입은 환자를 외과수술이나 약물에 거의 의존하지 않고도 단시간내에 치료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체에 미세한 진동을 주어 상처 또는 질병을 치료하는 미진동 치료기에 있어서, 테이블과, 이 테이블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환자를 지지하는 진동베드와, 상기 테이블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끝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중앙부에 편심캠을 구비하는 편심축과, 상기 편심축을 회전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편심축의 회전운동을 진동베드의 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변환수단은, 상기 진동베드의 저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대와, 일단이 상기 편심축의 편심캠에 끼워져 회전자유롭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지지대에 회전자유롭게 연결된 커넥팅로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치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베드의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테이블을 관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자동조심축과, 자동조심축의 상단을 관통하여 진동베드의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각각 고정된 가이드바와, 진동베드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각 가이드바의 양끝단부가 삽입되어 진동베드의 직선운동시 가이드바를 따라 안내되어지는 4개의 가이드블록으로 이루어진 직선운동 가이드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치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베드가 설정된 한 방향으로만 왕복운동하도록 가이드하고, 다른 방향운동은 저지하는 다수개의 규제장치를 테이블과 진동베드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치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테이블에 장착되는 전기모터와, 상기 전기모터의 축에 고정된 구동풀리와, 상기 편심축의 일단에 고정된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타이밍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진동 치료기.
KR1019970021779A 1997-05-29 1997-05-29 미진동 치료기 KR199800856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779A KR19980085641A (ko) 1997-05-29 1997-05-29 미진동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779A KR19980085641A (ko) 1997-05-29 1997-05-29 미진동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641A true KR19980085641A (ko) 1998-12-05

Family

ID=6598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779A KR19980085641A (ko) 1997-05-29 1997-05-29 미진동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564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0885A (ko) * 2001-11-24 2002-02-06 황용안 태세교정 및 마사지치료기
KR100336413B1 (ko) * 1999-09-02 2002-05-17 정원하 물리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413B1 (ko) * 1999-09-02 2002-05-17 정원하 물리치료기
KR20020010885A (ko) * 2001-11-24 2002-02-06 황용안 태세교정 및 마사지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20137A (zh) 便携式按摩装置
EP1009354A1 (de) Massagegerät
CN106473911A (zh) 一种骨科护理按摩康复器
KR19980085641A (ko) 미진동 치료기
EP1541112B1 (de) Muskelstimulations- und Massagegerät
KR100194906B1 (ko) 미진동 치료기
KR100237820B1 (ko) 미진동 치료기
US5097823A (en) Mechanical device to physically massage an individual
US6611970B2 (en) Bath for generating water vibration wave
US20050049528A1 (en) System and device for massage, pressure-treatment and heat-treatment of skin and parts of the body
KR100513967B1 (ko) 척추 경혈점 자극장치
KR200250827Y1 (ko) 온열치료매트
CN210812427U (zh) 一种中医智能振腹仪
KR200217862Y1 (ko) 척추 치료기용 구동장치
CN106038186B (zh) 一种用于医疗脑外科的脑部按摩机器人
CN109363882A (zh) 一种膝关节功能康复治疗机
KR102638619B1 (ko) 진동형 발 마사지 장치
US11877972B2 (en) Programmable multi-therapy inversion table
US20240180768A1 (en) Programmable multi-therapy inversion table
KR100499528B1 (ko) 다리관절 물리치료기
JP3524047B2 (ja) シーソー療法装置
CN113995636B (zh) 一种膝关节韧带康复辅助训练装置
KR200233762Y1 (ko) 온열치료용 매트
RU22043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CN219307251U (zh) 一种瘫痪肢体关节康复治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