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125A - 문서관리시스템 및 문서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문서관리시스템 및 문서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125A
KR19980080125A KR1019980008080A KR19980008080A KR19980080125A KR 19980080125 A KR19980080125 A KR 19980080125A KR 1019980008080 A KR1019980008080 A KR 1019980008080A KR 19980008080 A KR19980008080 A KR 19980008080A KR 19980080125 A KR19980080125 A KR 1998008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failure
speed
subordinat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히로세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치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치, 마츠시타 덴키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8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7Tagging; Marking up; Designating a block; Setting of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3Storage fac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부전을 이용한 문서관리 시스템으로서 복합적인 문서검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문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부전속 관리수단(4)이 적어도 1종류의 부전속(60)을 시각인식가능한 속성에 의거하여 관리하도록 해두고, 상기 부전속 관리수단(4)이 관리하는 부전속(60)을 부전속 표시수단(5)으로 상기 속성에 의거하여 표시한다. 유저는 이와같이 표시된 부전속으로부터 부전을 1매씩 벗겨서 목적으로 하는 문서의 목적페이지에 첩부한다. 이와같이 첩부된 부전(61)은 부전관리수단(7)에 의하여 관리되고, 상기 부전속 표시수단(5)이 표시하고 있는 부전속(60)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면,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8)에 의하여 상기 부전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속(60)의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부전속(60)으로부터 벗겨진 부전(61)을 전부 검색하고, 또, 부전부착 문서검색수단(9)이 상기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8)이 검색한 부전(61)이 첩부된 문서를 상기 부전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61)의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표시한다. 또, 이와같이 표시된 부전부착 문서의 부전중 어느 것을 지시함에 따라서, 대상부전속 변환수단(50)이 이 지시된 부전과 이 부전이 속하는 부전속의 속성과의 변환, 대응하는 문서를 표시한다.

Description

문서관리 시스템 및 문서관리방법
본 발명은 문서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전을 이용한 문서관리 시스템과 문서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서의 양과 종류가 증대함에 따라서 그 관리방법이 문서의 검색효율에 현저하게 반영되도록 되어 있다. 문서관리 시스템에서는 텍스트 데이터 혹은 화상데이터의 상태에서의 문서를 다수 기억장치에 수납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거하여 목적하는 문서를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은 문서관리 시스템에서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문서를 추출하는 문서관리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에 자유도가 없기 때문에 최근에는 MACOS(애플사의OS)나 WINDOWS 95(마이크로소프트사의 OS)에도 사용되고 있는 폴더에 의한 문서의 분류관리가 시각적으로도 알기 쉽고 사용하기 쉬우므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폴더에 의한 관리에서 유저는 복수의 다른 명칭을 가진 폴더에 문서를 분류하여 보관하여 둘 수가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의 사용상황에 따른 상기 명칭을 선택함에 따라서 현실세계의 파일과 같이 문서를 분류정리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현실의 문서관리에서는 부전을 표지로 이용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으며, 이점에 착안하여 전자적인 문서관리에서도, 이 부전을 표지로 이용하는 것이 예를들어 일본특개소 59-8345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즉, 문서축적시에는 상기 문서의 명칭대신에 또는 명칭이나 코멘트에 더하여 표지가 되는 부전을 붙여두고, 문서취출시에는 상기 부전 혹은 명칭중 어느 하나로 목적하는 문서를 특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이한 종류(예컨대 색이 다른 부전, 형상이 다른 부전)의 부전을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특개평 6-13928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즉 동일종류의 서표의 부가매수에 따른 중복첨부를 이용하여 문서등록을 해두고, 문서취출시에는 상기 중복첨부에 따라서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특개평 6-162108호 공보에는 문서등록시에 부전의 매수가 아니라 수자로 표현한 순서를 붙여서 등록하고, 문서취출시에 이 순서에 따라서 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폴더에 의한 문서관리에서는 현실세계의 파일과 마찬가지로, 하나의문서를 하나의 폴더에 밖에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하나의 문서를 복수의 장르로 분류해 둘 수가 없다고 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저는 복수의 장르에 속하는 문서 혹은 장르가 불명확한 문서를 어느 폴더에 보관하면 좋은가의 판단이 안될때가 있고, 더욱이 일단 보관한 문서라 해도 장르가 불명확하면 어느 폴더에 보관했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더욱이, 부전을 이용한 상기 종래의 문서관리 방법에 있어서의 부전의 역할은 단순히 표지(예컨대 일본특개소 59-83455호 공보의 내용)이고, 부전 특정의 요소, 예컨대 이 부전을 첩부한 문서가 속하는 장르(특히 하나의 문서가 복수의 장르에 속하는 경우에, 이 복수의 장르)와 관련시켜서 계통화된 검색을 행할 수가 없었다.
일본특개평 6-139281호, 일본특개평 6-162108호 공보에서는 동일 종류의 부전에 중복첨부하여 적어도 동일 종류의 부전을 부착한 문서(동일 장르의 문서)간에는 계통화를 이루었지만, 다른 장르에 걸쳐 있는 문서간에, 혹은 동일 문서내에서의 계통화는 전혀 실현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고, 폴더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문서에 대하여 부전속으로 부터 부전을 벗겨 첩부하는 간단한 조작을 행하는 것으로, 하나의 문서에 대하여 복수의 장르로 분류할 수 있는 문서관리 시스템과 문서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동일의 장르는 물론, 다른 장르에 걸쳐서 자유롭게 검색이 가능한 문서관리 시스템과 문서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수단을 채용하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은 기억수단에 격납된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문서 관리수단(1)과, 이 전자문서를 특정하는 사항을 입력하므로써 목적하는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 표시수단(2)을 구비한 문서관리 시스템을 전제로 하고 있다.
상기 문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부전속 관리수단(4)이 적어도 1종류의 부전속(60)을 시각인식 가능한 속성에 의거하여 관리하도록 해두고, 상기 부전속 관리수단(4)이 관리하는 부전속(60)을 부전속 표시수단(5)으로 상기 속성에 의거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부전 첩부수단(6)이 부전속 표시수단(5)이 표시하고 있는 특정의 부전속(60)으로부터 1매의 부전(61)을 벗기고, 상기 문서 표시수단(2)이 표시하고 있는 문서에 첩부하는 조작을 유저에게 제공하고, 이에 따라 유저는 컴퓨터의 화면을 보면서 통상 손으로 부전을 첩부하는 작업과 마찬가지 수순으로 문서에 부전(61)에 첩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첩부된 부전(61)은 부전 관리수단(7)에 의하여 관리되고, 상기 부전속 표시수단(5)이 표시하고 있는 부전속(60)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면,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8)에 의하여 상기 부전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속(60)의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부전속(60)으로부터 벗겨진 부전(61)을 전부 검색하고, 더욱이 부전부착 문서 검색수단(9)은 상기 부전속별 부전 검색수단(8)이 검색한 부전(61)을 첩부한 문서를 상기 부전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61)의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폴더로 문서를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부전속(60)으로 문서를 관리할 수가 있게 된다. 더욱이, 이 관리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부전속(60)이나 부전(61)에 명칭을 붙이거나 혹은 부전(61)을 첩부한 위치(페이지)도 관리한다면, 더욱 자세한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부전관리수단(7)은, 상기 부전속별 부전 검색수단(8) 및 부전부착 문서 검색수단(9)이 부전(61) 및 문서의 검색시 참조 가능하도록, 부전이 벗겨진 부전속(60), 첩부된 문서의 적어도 2개의 정보를 관리한다. 또, 상기 부전관리수단(7)은 첩부된 위치의 정보(첩부페이지)를 관리하고, 상기 부전 부착문서 검색수단(9)이 부전(61)이 첩부되어 있는 문서를 검색할때에, 첩부되어 있는 위치도 검색하도록 하고, 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문서표시수단(2)이 유저로 부터의 지시가 있으면 부전(61)을 첩부한 위치, 예컨대 특정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부전속 관리수단(4)은 관리하는 부전속(60)의 속성정보의 하나로서 부전속명을 관리하고 부전속명 검색수단(10)이 상기 부전속명으로 부전속(60)을 검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문서내 부전 검색수단(11)은 상기 부전 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하나의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을 모두 검색할 수가 있고, 이 결과 얻어진 부전(61)을 그 부전속(60)의 속성 정보와 함께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12)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문서에 어떠한 부전(61)이 첩부되어 있는가, 즉 어떠한 장르(복수인 경우는 복수의 장르)를 갖는가를 판별하게 된다. 상기는 모든 문서내 부전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일정한 룰에 의거하여 결정된 혹은 유저에 의한 지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대표부전(61)의 부전속(60)의 속성정보를 문서와 동시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표시영역이 좁은 경우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전명 설정수단(13)은 상기 부전첩부수단(6)에 의하여 문서에 첩부되는 부전(61)에 명칭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같이, 설정된 부전명을 부전 관리수단(7)이 부전(61)의 속성의 하나로서 관리하고, 이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내 부전정보표시수단(12)이 상기 부전속(60)의 속성과 함께 부전명을 문서와 동시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서, 부전속(60), 부전속명, 부전명의 각 장르에서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상기 부전명 설정수단(13)은 예컨대 날짜등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자동생성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부전부착 문서 검색수단(9)이 검색하여, 일람표시된 부전부착 문서는 아래와 같이 복합적인 검색에 사용할 수가 있다. 즉, 우선 상기 일람표시된 부전부착 문서중의 특정문서를 지정하므로써, 문서내 부전 검색수단(11)이 이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을 모두 검색하여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12)에 의하여, 상기 모든 부전을 대응되는 문서(정확하게는 대응되는 문서의 대응되는 페이지)와 동시에 확대표시해 둔다.
이 상태에서, 상기 표시된 부전중의 특정부전을 지시함에 따라서, 대상부전속 변환수단(50)은 이 지시된 부전과 이 부전이 속하는 부전속의 속성에 의가하여 상기 부전부착 문서 검색수단(9)과 상기 문서내 부전검색수단(11)을 기동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부전속→부전→문서라고 하는 한방향으로의 검색뿐만 아니라, 표시된 문서로부터 다른 부전이 첩부된 문서로의 검색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동작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동작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동작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동작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동작설명도,
도 12는 부전테이블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3은 부전속 테이블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4는 문서테이블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하는 화면의 개념도,
도 16은 부전속 작성시의 화면의 개념도,
도 17은 부전첩부시의 화면의 개념도,
도 18은 확대표시한 화면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19는 부전속명(부전명)검색시의 화면의 개념도,
도 20은 문서내 부전명 검색에 따른 검색결과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1은 문서내 부전명 검색에 따른 검색결과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를 도시하는 기능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의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사용하는 화면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문서 관리수단 2:문서 표시수단
3:부전속 작성수단 4:부전속 관리수단
5:부전속 표시수단 6:부전첩부수단
7:부전관리수단 8: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
9: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 10:부전속명 검색수단
11:문서내 부전검색수단 12: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
13:부전명 설정수단 14:부전명 자동생성수단
40:문서 60:부전속
61:부전 62:부전속명
63:부전명 100:표시화면
111:문서일람 표시필드 111a:인크리먼트키
111b:디크리먼트키 112:페이지 표시틀
113a:페이지 업키 113b:페이지 다운키
114a:다음문서 순차표시 키 114b:전문서순차표시키
120:부전명 설정용 팝업화면 121:부전명 틀
140:검색화면 141:입력틀
170:문서확대필드 SP:스톱키
T10:문서테이블 T40:부전속 테이블
T70:부전테이블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2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전을 이용한 문서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그 동작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을 그 동작수순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문서관리수단(1)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문서를 특정하는 문서 ID외에 필요한 속성을 문서테이블(T10)에 등록하여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 문서 관리수단(1)이 관리하는 전자문서는 유저의 지시에 의거하여 일람으로 문서표시수단(2)에 의해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화면(100)상의 문서일람 표시필드(111)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전속 작성수단(3)은 이하의 수순으로 부전속을 작성한다. 먼저, 유저의 지시(메뉴 페이지의 부전속작성을 지시하든가 혹은 화면구석에 표시된 New의 키를 지시한다)에 의거하여 도 16에 도시된 부전속 작성틀(130)을 표시화면에 표시하고, 작성틀(130)내에 표시되어 있는 다수의 직사각형의 색견본(30a,30b…)중에서 적당한 색의 색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서, 유저가 소정의 색의 색지를 선택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적당한 명칭 예컨대 장르에 따른 명칭을 상부의 틀(131)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부전속명의 입력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예에서는 색이 이 부전속의 속성이 되고, 또 명칭을 붙였을 때에는 색과 명칭이 부전속의 속성이 된다(도 2, 스텝 A1).
상기와 같이 부전속 작성수단(3)으로 작성된 부전속은 부전속 관리수단(4)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관리된다. 즉, 각 부전속에는 각 부전속을 특정하기 위한 부전속 ID를 붙이고, 각 부전속의 속성으로서의 색이나 명칭을 병합하여 부전속 테이블(T40)에 등록하므로써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스텝 A2).
부전속 표시수단(5)은 상기와 같이 부전속 관리수단(4)이 관리하는 부전속(60)을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표시화면(100)의 부전속 표시필드(110)에 일람표시하여, 유저가 부전속(60)을 선택가능한 상태가 된다(스텝 B1). 이 표시는 상기 부전속(60)의 속성(색, 명칭)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일람표시란, 검색된 부전속(60) 전부를 평면적으로 배열하는 것, 혹은 도시하지 않은 스크롤 바를 사용하여 유저가 표시내용을 갱신할 수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문서 표시수단(2)은 상기한 바와같이 문서관리수단(1)이 관리하는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40)를 표시화면(100)의 문서일람 표시필드(111)에 일람표시해서, 유저가 선택가능한 상태가 된다(스텝 C1). 또한, 이 문서 일람표시필드(111)에 표시되어 있는 상단좌 3개의 화면위에 표시되어 있는 부전(61)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전 첩부처리가 실행된 문서에 관한 것만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문서 일람표시란, 검색된 문서를 평면적으로 일람표시하는 경우, 혹은 표시틀이 작은 경우에는 유저의 지시(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스크롤바의 인크리먼트키 또는 디크리먼트키를 클릭)에 의거하여 순차로 그 내용을 갱신하는 경우를 말한다.
부전 첩부수단(6)은 상기와 같이 부전속 표시수단(5)이 부전속(60)을, 또 문서표시수단(2)이 문서(40)를 표시화면(100)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로 특정의 부전속(60)을 지정하여, 이 부전속(60)으로부터 1매의 부전(61)을 벗겨내고, 상기 문서표시수단(2)이 표시하고 있는 특정의 문서(40)에 붙이는 조작을 유저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구체적인 첩부방법은 여러가지 고려할 수 있지만, 예컨대 도 17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전속 표시수단(5)이 표시하고 있는 복수의 부전속중 특정의 부전속(60)을 커서로 지시하여 드래그·앤드·드롭 방식으로 목적하는 문서(40)에 첩부하도록 한다. 여기서, 더욱이, 팝업 화면(120)이 표시되어, 이 팝업 화면(120)내의 부전명 입력틀(121)에 부전명이 입력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부전명의 입력에 관하여는 후에 설명한다.
이와같이, 표시되어 있는 문서(40) 하나에 특정의 부전속(60)에서 벗겨진 부전(61)이 첩부되면, 이 첩부된 부전(61)의 속성(부전속(60), 문서(40))이 이하에 설명하는 부전 관리수단(7)이 관리하는 부전 테이블(T40)에 신규로 등록된다(스텝 B2).
상기 부전 관리수단(7)은 상기와 같이 문서(40)에 첩부된 부전(61)의 정보를 도 12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전 ID와 함께 부전속 ID, 부전이 첩부된 문서(40)의 문서 ID, 또한, 필요에 따라서 후에 설명하는 부전(61)의 첩부위치(페이지), 부전명을 부전 테이블(T70)에 등록시켜,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하여 부전(61)을 첩부한 문서(40)는 이하와 같이 부전속별 검색수단(8)에 의하여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전속 표시수단(5)은 부전속 관리수단(4)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하여 작성된 부전속(60)을 부전속 표시필드(110)에 표시한 상태로 되어 있다(스텝 D1).
여기서 유저가 도시되지 않은 검색키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문서검색의 처리로 이행된다. 즉, 상기와 같이 표시된 부전속(60) 하나를 유저가 선택(커서로 지시)하면,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8)은 부전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61)의 정보(여기서는 부전속 ID)를 참조하여, 선택된 부전속(상기 지시된 부전속)(60)으로 부터 벗겨진 부전(61)을 모두 검색해서, 그 결과를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9)으로 넘긴다(스텝 D2).
상기와 같이 부전 부착문서 검색수단(9)이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8)의 검색결과를 수취하면, 이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9)은 상기와 같이 부번속별 부전검색수단(8)이 검색한 부전(61)이 첩부되어 있는 문서(40)를 도 12에 도시하는 부전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테이블(T10)을 참조하여 검색한다(스텝 D3). 이 결과는 문서표시수단(2)으로 넘겨지고 화면의 문서일람표시필드(111)에 표시된다.
(제 2실시예)
상기 부전관리수단(7)은 부전(61)의 속성정보로서 상기의 벗겨진 부전속(60), 첩부된 문서(40)에 더하여 첩부된 위치(예컨대 페이지)의 정보를 관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부전 부착문서 검색수단(9)이 부전(61)을 첩부하고 있는 문서(40)를 검색할 때에 첩부되어 있는 위치도 검색하도록 하고, 더욱이 그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표시수단(2)이 지시가 있으면, 부전(61)을 첩부한 위치의 주변을 표시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제 1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전 첩부처리(스텝 B2)로서, 첩부대상문서(40)의 페이지를 목적 페이지로 펴놓는다. 이 조작은 도 15에 도시하는 예의 경우, 각 문서(40)의 아래측에 표시된 페이지 표시틀(112) 양측의 키(113a,113b)(:페이지업, :페이지다운)에 의하여 행하지만, 여하한 방법을 취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부전(61)을 부전속(60)으로부터 벗겨, 특정의 문서(40)의 특정의 페이지에 첩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부전(61)의 첩부가 완료되면(도 17에서 상기 팝업 화면(120)내의 OK키를 클릭하면), 여기서, 지정된 위치정보는 부전관리수단(7)이 상기 벗겨진 부전속(60), 첩부된 문서(40)와 함께 관리한다.
계속해서, 부전 부착문서 검색수단(9)은 문서검색처리(스텝 D3)에 있어서, 부전검색(스텝 D2)에서 검색된 부전(61)이 첩부되어 있는 문서(40)를 검색하여, 문서표시수단(2)으로 이 문서(40)를 일람 표시한다. 이와같이 일람표시된 복수의 문서중에, 특정의 문서를 유저가 지시(예컨대 마우스의 좌측버튼을 2회 클릭)하면, 이 문서표시수단(2)은 상기 부전첩부 처리에서 지정된 위치(페이지)정보(부전관리수단(7)이 관리)를 참조하고, 이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각 부전의 위치도 검색하여 상기 지시된 문서를 확대 표시한다.
예컨대, 도 18에 도시한 바와같이 확대표시된 문서의 근방에 이 문서에 첩부된 부전(61)이 대응하는 페이지수(P0)와 함께 표시되고, 현재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에 대응하는 부전(61)이 하일라이트등 시각인식 가능한 방법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여기서, 표시페이지를 변경(상기 키(113a)또는 키(113b)를 클릭)하면 상기 하일라이트 표시되는 부전(61)도 변경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부전(61)을 첩부할 때에 첩부위치를 지정하고, 부전(61)의 첩부되어 있는 문서(40)를 검색표시할때에 그 위치를 검색하여 그 주변을 표시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폴더에 의한 문서관리에서는 문서단위로의 분류관리 밖에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 문제를 해결하고, 문서내의 특정위치(페이지)를 대상으로하여 문서(40)를 분류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전(61)을 이용한 문서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점은 부전속 관리수단(4)이 관리하는 부전속(60)의 속성정보의 하나로서 부전속(60)의 명칭을 관리하고 있다는 점과, 부전속(60)의 명칭으로 부전속(60)을 검색하는 부전속명 검색수단(10)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제 1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전속(60)의 작성처리(스텝 A2)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표시화면(100)에 표시되는 부전속 작성틀(130)의 부전속명 입력틀(131)에 도 16의 부전속명(62)을 입력하고, 이어서 OK를 지시하면, 이 부전속명(62)이 도 13에 도시하는 부전속 테이블(T40)에 등록(갱신, 혹은 신규등록)됨과 동시에 부전속 표시수단(5)에 색과 함께 부전속명(62)도 표시된다.
계속해서, 유저의 지시에 의거하여 도 19에 도시되는 부전속명(부전명)검색화면(140)을 표시하고,이 검색화면(140)의 입력틀(141)을 표시한다.
여기서 유저가 목적으로 하는 부전속명(62)을 입력하고, 실행키를 클릭하면, 부전속명 검색수단(10)이 기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전속(60)의 표시, 부전속(60)의 선택·부전(61)의 검색처리(D1,D2)에 대신하여 유저가 지시한 조건에 해당하는 명칭이 설정되어 있는 부전속(60)을 부전관리수단(7)을 참조하면 검색하고, 이 명칭의 부전속으로부터 벗겨진 부전(61)을 검색한다(스텝 D4). 여기서 부전속명 검색수단(10)의 검색방법으로서 전방일치, 후방일치, 혹은 부분일치가 취해질 수 있게하면 검색기능은 향상되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검색된 결과는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9)으로 넘겨지고, 이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9)이 부전관리수단(7)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문서(40)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문서표시수단(2)에 넘기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전속(60)에 명칭을 설정해 두고 이 부전속명(62)으로 검색할 수가 있다. 폴더에 의한 문서관리에서는 폴더의 명칭으로 거기에 포함되어 있는 문서(40)를 검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 문제를 해결하고 부전속명(62)으로 부전속(60)을 검색하여 거기로부터 벗겨진 부전(61)이 첩부된 문서(40)를 검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제 4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전(61)을 이용한 문서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부전관리수단(7)이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특정의 문서(40)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을 모두 검색하는 문서내 부전검색수단(11)과, 상기 문서내 부전검색수단(11)의 검색결과에 의거하여 이 문서(40)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을 그 속성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12)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제 1실시예와 상이한 점만을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유저의 지시에 의거하여 문서표시수단(2)이 문서표시를 할때, 문서내 부전 검색수단(11)도 기동되어, 해당문서(40)에 첩부된 부전(61) 전부가 검색된다(스텝 E1). 이 검색결과는 문서내 부전표시수단(12)에 넘겨져, 예컨대 지정된 문서(40)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이 도 20(a),(b)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부 일람형식으로 페이지마다 표시되도록 한다(스텝 E2). 이 도 20에서는 상기 표시의 예로서, 예컨대 표시되어 있는 문서의 페이지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이 경우 1페이지째에 첩부된 대표 부전(A))을 제일 위에, 기타의 페이지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B,C)을 차례대로 그 아래에 일부 포개지도록하고, 각 부전(61)에 첩부되어 있는 페이지(P1,P2)가 좌단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도 21은 검색결과의 다른 표시예이고, 검색된 부전이 모두 첩부되어 있는 페이지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40)를 표시할 때에, 문서(40)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이 벗겨진 부전속(60)의 속성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수가 있다. 폴더에 의한 문서관리에서는 폴더를 하나하나 체크하지 않으면 문서(40)가 어떤 폴더에 있는가를 조사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 문제를 해결하여 문서(40)를 일람하면서 동시에 각문서(40)에 어느 부전속(60)에서 벗겨진 부전(61)이 첩부되어 있는가를 목시할 수가 있어서 문서(40)의 목시 검색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5실시예)
상기 문서내 부전 표시수단(12)에 의한 표시는 일정의 룰, 유저에 의한 지정 등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대표부전(61)이 속하는 부전속(60)의 속성정보(예컨대 부전속명(62))를 문서와 동시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즉, 상기 문서표시처리(스텝 E2)에 있어서, 검색된 부전(61)이 벗겨진 부전속(60)을 문서(40)와 동시에 표시할때에, 검색된 부전(61)이 복수존재하는 경우라해도, 일정의 룰 예컨대 1페이지째에 첩부된 부전, 혹은 유저에 의한 지정등의 방법으로 결정되는 대표부전에 관하여만 부전속 속성정보를 표시한다.
상기의 상태는 예컨대 도 15의 각문서(40)의 상부에 나타나 있고, 유저의 지시(각 부전(61)의 양측의 키, 키를 클릭)에 의하여 상기 대표 부전 이외의 부전의 표시를 순차로 표시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도 15의 좌상의 문서(40)에 있어서 부전(61) 상부의 인사 표시는 부전속 관리수단(4)이 관리하는 부전속명(62)이고, 부전(61)내의 조직변경 표시는 이하에 설명하는 부전명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40)의 표시와 동시에 문서(40)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이 벗겨진 부전속(60)의 속성정보를 동시에 표시할 때에 대표부전(61)에 관하여만 부전속 속성을 표시할 수가 있으므로, 표시 스페이스가 없는 경우에도 문서(40)의 목시검색을 살려 정보를 표시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제 6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전(61)을 이용한 문서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와 다른 점은, 부전첩부수단(6)에 의하여 문서(40)에 첩부되는 부전(61)에 명칭을 설정하는 부전명 설정수단(13)을 구비하여 설정된 부전(61)의 명칭을 부전 관리수단(7)이 부전(61)의 속성의 하나로서 관리하도록 한점과,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12)이 부전속(60)의 속성과 함께 부전명(63)을 문서(40)와 동시에 표시하도록 한점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의 동작 수순에 관하여, 제 4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전첩부처리(스텝 B2)에 있어서, 부전속(60)으로부터 부전(61)을 벗겨문서(40)에 첩부할 때에, 상기 도 17에 도시한 바와같이 팝업 화면(120)이 표시되어, 유저가 소정의 부전명을 이 팝업 화면(120)내의 부전명틀(121)에 입력지시하면, 부전명 설정수단(13)이 이 부전명을 부전관리수단(7)에 등록한다.
이어서, 유저의 지시에 의거하여, 도 19에 도시하는 부전명(부전속명)검색화면(140)을 표시하고, 이 검색화면(140)의 입력틀(141)의 목적으로 하는 부전명을 입력하고, 실행키를 클릭하면, 문서내 부전 검색수단(11)이 기동하여, 상기 입력된 부전(61)이 검색된다(스텝 E1).
계속해서, 검색된 문서(40)의 표시처리(스텝 E2)에 있어서, 문서(40)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 및 부전명(63)을 이 부전의 벗겨진 부전속(60)의 속성정보 및 문서(40)와 함께, 동시에 표시한다. 도 15의 문서일람표시 필드(111)의 좌상의 문서(40)를 예로하여 설명하면, 부전(61)내에 표시되어 있는 조직변경이 부전명으로 된다.
이 검색도, 상기 부전속명 검색처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방일치, 후방일치, 부분일치 등의 검색기능을 갖게하면, 검색능력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40)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61)이 벗겨진 부전속(60)의 속성정보에 덧붙여, 부전명(63)을 문서(40)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부전속(60)의 속성정보만으로는 문서(40)의 구별이 곤란한 장면에 있어서도 문서(40)를 용이하게 목시검색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부전명(63)을 키워드로 하여 문자검색을 행하고 부전(61)을 검색하여 그 부전(61)이 첩부되어 있는 문서(40)를 검색표시할 수 있다고 하는 별도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예컨대 도 19에 있어서, 부전속명의 입력후에 부전명을 입력하므로서 부전속명(62)의 문자검색과 부전명(63)의 문자검색을 조합한 부전검색을 행하고, 그 부전(61)이 첩부되어 있는 문서(40)를 검색하는 것도 할 수 있게 된다.
또, 특정의 부전속(60)으로부터 부전(61)을 1매씩 벗겨내어 문서에 첩부하면 그 부전이 대표부전이 되는 특별한 부전속을 준비하고, 첩부처리후에 이 대표부전의 부전명 즉 문서명을 입력함에 따라서, 문서명을 설정할 수가 있게 되고, 더구나, 문서명(대표부전명)과 그 이외의 부전의 부전명 쌍방을 대상으로 상기의 문자검색을 행할 수도 있게 된다.
(제 7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전(61)을 이용한 문서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표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와 다른 것은 부전명 설정수단(13)이 설정하는 부전명(63)을 날짜나 문서(40)의 속성등을 참조하여 자동생성하는 부전명 자동생성수단(14)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경우의 동작에 관하여 제 6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부전 첩부처리(스텝 B2)에 있어서, 첩부하는 부전명(63)을 설정할때에, 유저로 부터의 지시가 없는 경우, 부전명 자동생성수단(14)이 작성일, 문서속성(문서 ID, 페이지수등)을 이용하여 부전명(63)을 자동적으로 작성한다. 예컨대 도 14에 도시하는 문서데이터 테이블(T10)의 날짜를 참조하여 작성일이 97년 10월 31일이면 부전명(63)을 91/10/31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전명(63)을 자동생성하는 수단을 유저가 이용할 수 있으므로, 문서(40)의 목시검색을 돕는 부전명(63)을 품을 들이지 않고 설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8실시예)
이상과 같이 부전이 첩부되어 등록된 문서는 아래와 같이하여 복합적인 검색처리(이하 내비게이션)에 이용할 수가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검색시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23은 그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또한 도 24는 복합검색시에 사용되는 화면의 예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같이, 초기의 표시상태로서 부전속 관리수단(4)이 부전속 테이블(T40)을 검색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부전속(60) 전부를 추출해서 부전속 표시수단(5)으로 표시화면(100)의 부전속 표시필드(110)에 그 속성(예컨대 색, 부전속명(62))과 함께 리스트로서 표시한다(도 23, 스텝 D1).
여기서 유저가 내비게이션을 지시하면 이하의 복합 검색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유저가 마우스등의 지시구를 사용하여 상기와 같이 표시된 부전속(60)중 어느 하나를 지시(이예에서는 마우스의 좌측버튼을 2회 클릭)하면,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8)이, 부전관리수단(2)이 관리하는 부전테이블(T70)을 참조하여 상기 선택된 부전속(60)에 속하는 부전(61)의 부전 ID를 전부추출한다(도 23, 스텝 D2).
이와같이 추출된 부전 ID는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9)에 통지되고, 여기서, 상기 지시된 부전속(60)으로부터 벗겨진 부전(61)이 첩부된 문서 ID를 부전 테이블(T70)에서 추출하여 문서표시수단(2)에 통지한다. 문서표시수단(2)은 문서관리수단(1)이 관리하는 문서테이블(T10)을 참조하여 대응하는 문서를 문서일람표시필드(111)에 일람형식으로 표시한다(도 23, 스텝 D3). 이때, 도 24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문서에 대하여 해당하는 부전(61)이 첩부되어있는 페이지가 축소되어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부전(61)이 그 위에 그 부전명(63)과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상기 일람형식으로의 표시는 상기 문서 일람표시필드(111)에 검색된 문서전부를 축소표시하도록 해도 좋고, 혹은 문서일람표시필드(111)에 1문서(혹은 복수문서)를 표시하고 이 틀(111)의 구석부분에 표시된 스크롤바의 인크리먼트키(111a)(디크리먼트키(111b))를 사용하여 내용을 갱신하도록 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시된 부전속(60)은 틀로 에워싸거나, 혹은 높은 명도로 표시하여, 선택되지 않은 다른 부전속(60)과 구별이 되도록 한다.
이어서 유저가 문서일람표시필드(111)에 표시되어 있는 부전부착문서일람중에서 목적하는 부전(61)의 첩부된 페이지(문서(40))를 지시(마우스의 좌측버튼을 2회 클릭)했을때, 문서표시수단(2)은 해당문서의 페이지를 도 24에 도시한 바와같이 문서표시필드(170)에 확대표시한다(도 23, 스텝 F1→F2).
그와 함께 상기 문서내 부전검색수단(11)이 기동하여 상기 지정된 문서에 첩부된 모든 부전을 추출하고, 그 결과를 받아서 문서내 부전정보표시수단(12)이 이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모든 부전(61)을 그 속성(이 다른 부전이 첩부되어 있는 페이지(P10,P20), 부전명(63))과 함께 일람표시한다. 그때, 각 부전(61)이 속하는 부전속(60)을 그 부전속명(62)과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확대 문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부전부착 문서일람중의 상기와 다른 문서를 지시한 경우에는 이 다른 문서에 대응하는 페이지의 확대 표시와 이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모든 부전이 이미 표시되어 있는 확대문서와 부전을 대신하여 표시된다. 또한 이때 예컨대 도 24에 도시하는 커(114a)(혹은 키(114b))를 지시함에 따라서, 문서일람상에서 현재 확대표시대상이 되고 있는 문서의 앞문서(혹은 뒷문서)가 확대표시의 대상이 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키(114a)(혹은 키(114b))를 지시하므로써, 문서일람상에서 현재 확대표시 대상이 되고 있는 문서보다 앞 방향의 문서(뒷 방향의 문서)로 일정시간 간격으로 순차 확대표시의 대상을 변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유저가 스톱키(SP)를 지시한 시점에 상기 표시의 변경이 중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유저는 같은 부전속내에서의 상이한 부전에 대응하는 문서를 순차 열람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부전속→부전→문서 순서의 검색에 더하여, 유저는 현재 표시되어 있는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상기 부전(61)의 일람에 의거하여 이하의 검색이 가능하다.
즉, 유저가 현재 문서표시필드(170)에 표시되어 있는 문서의 다른 부전(61)중의 특정 부전(61)을 지시하면, 대상 부전속 변환수단(50)이 먼저 부전속 표시수단(5)을 기동시키고 부전속 표시필드(110)에서의 표시내용을 상기 지시된 부전(61)이 속하는 부전속(60)이 지시된 때와 마찬가지로 표시(예컨대 지시된 부전속(60)에 틀이 표시된다)한다(도 23, 스텝 F3→F4).
또, 대상 부전속 변환수단(50)이,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8)까지도 기동시켜, 문서일람표시필드(111)의 표시내용을 이 지시된 부전속(60)에 속하는 부전(61)이 첩부된 문서일람으로 한다. 더욱이, 문서표시수단(2)은 문서표시필드(170)에 표시되어 있는 문서로서, 상기 지시된 부전(61)이 첩부된 페이지를 표시함과 동시에,문서내 부전 정보표시수단(12)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이 문서에 첩부된 부전을 일람표시하고 이 지시된 부전(61)의 부분을 틀로 에워싸는 등 다른 부전(61)과 구별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유저는 같은 부전속내에서의 상이한 부전에 대응하는 문서를 순차 열람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특정의 문서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톱키를 다시 누르면, 재차 자동변경 상태로 이행한다.
이상 제 1 내지 제 8실시예는 CPU와 이 CPU를 기동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실행할 수가 있고, 이 프로그램은 이동식 기록매체에 기입된 상태의 것 혹은 하드디스크 등의 고정식 기록매체에 기입된 것이 고려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를 분류하기 위해 작성된 부전속으로부터 부전을 1매 벗겨 문서에 첩부하는 사람의 손에 의하여 행하는 작업과 같은 작업을 컴퓨터의 화면상에서 행할 수가 있다.
더구나, 부전 관리수단으로 상기 첩부한 부전의 관리를 행하므로, 부전속을 지시하면, 이 부전속에 속하는 부전이 첩부된 문서를 모두 즉시 일람표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문서의 일람표시에서 특정의 문서를 지시하므로써 이 문서의 확대표시가 가능함과 동시에, 이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다른 부전의 표시를 할 수 있고, 더구나 이 다른 부전중 어느 것인가를 지시하므로써 이 부전이 첩부된 문서(페이지)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하나의 문서를 많은 종류의 장르로 분류(다종류의 부전을 첩부)해 두어도 자유롭게 검색이 가능해 지고, 아주 자세한 문서관리가 가능해 진다.

Claims (23)

  1. 기억수단에 격납된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과, 이 전자문서를 특정하는 사항을 입력하므로써 목적하는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표시수단을 구비한 문서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부전의 종류를 시각 인식가능한 속성에 의거하여 나타낸 부전속을 이 속성에 의거하여 관리하는 부전속 관리수단과, 상기 부전속 관리수단이 관리하는 부전속을 상기 속성에 의거하여 일람표시하는 부전속 표시수단과, 상기 부전속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특정의 부전속으로부터 1매의 부전을 벗겨 상기 문서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특정의 문서에 첩부하는 조작을 유저에게 제공하는 부전첩부수단과, 상기 부전첩부수단을 이용하여 유저가 첩부한 부전의 속성정보를 관리하는 부전 관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속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부전속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면 상기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속의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부전속으로부터 벗겨진 부전을 전부검색하는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과, 상기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이 검색한 부전이 첩부된 문서를 상기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의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하고 일람표시하는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속을 작성하는 부전속 작성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관리수단은 관리하는 부전의 속성정보로서 부전이 벗겨진 부전속, 첩부된 문서의 적어도 2개의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 및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이 부전 및 문서의 검색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관리수단은 관리하는 부전의 속성정보로서 부전이 벗겨진 부전속과 상기 벗겨진 부전을 첩부한 문서에 더하여 첩부된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이 부전이 첩부되어 있는 문서를 검색할때에 첩부되어 있는 위치도 검색하도록 하고, 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문서 표시수단이 부전을 첩부한 위치의 주변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속 관리수단은 관리하는 부전속의 속성정보의 하나로서 부전속의 명칭을 관리하고, 이 부전속의 명칭으로 부전속을 검색하는 부전속명 검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을 모두 검색하는 문서내 부전검색수단과, 상기 문서내 부전검색수단에 의하여 검색된 부전에 대하여, 이 부전이 벗겨진 부전속과 그 속성정보를 문서와 동시에 표시하는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이, 일정한 룰에 의거하여 결정된 혹은 유저에 의한 지정에 의거하여 결정된 대표부전의 부전속 속성정보를 문서와 동시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첩부수단에 의하여 문서에 첩부되는 부전에 명칭을 설정하는 부전명 설정수단을 구비하고, 설정된 부전의 명칭을 부전관리수단이 부전의 속성의 하나로서 관리하도록하고, 이 정보를 참조하여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이 상기 부전속의 속성과 함께 부전의 명칭을 문서와 동시에 표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부전명 설정수단이 설정하는 부전의 명칭을 소정의 룰에 의거하여 자동생성하는 부전명 자동생성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1. 문서를 식별하기 위해 부전을 첩부하여 기억수단에 격납된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문서관리수단과, 이 전자문서를 특정하는 부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함에 따라서 목적하는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 표시수단을 구비한 문서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부전의 종류를 시각인식가능한 속성에 의거하여 나타낸 부전속을 이 속성에 의거하여 관리하는 부전속 관리수단과, 상기 부전속 관리수단이 관리하는 부전속을 상기 속성에 의거하여 일람표시하는 부전속 표시수단과, 상기 특정의 문서에 첩부된 특정의 부전속에 속하는 부전의 속성정보를 관리하는 부전관리수단과, 상기 부전속 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부전속의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면 상기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속의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부전속에 속하는 부전을 전부검색하는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과, 상기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이 검색한 부전이 첩부된 문서를 상기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의 정보를 참조하여 검색하고 일람표시하는 부전부착 문서검색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표시된 부전부착 문서중의 선택된 문서에 관하여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속성정보를 참조하여, 이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을 모두 검색하는 문서내 부전 검색수단과, 상기 문서내 부전 검색수단에 의하여 검색된 모든 부전을 대응하는 문서와 동시에 표시하는 문서내 부전 정보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문서내 부전정보표시수단은 표시된 각 부전에 대응하여 이 부전이 속하는 부전속의 속성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4.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관리수단은 관리하는 부전의 속성정보로서 각 부전이 속하는 부전속, 각 부전이 첩부된 문서의 적어도 2개의 정보를 관리하여, 상기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 및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이 부전 및 문서의 검색시에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관리수단은 관리하는 부전의 속성정보로서 부전속과 첩부한 문서에 더하여 첩부된 페이지의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이 부전이 첩부되어 있는 문서를 검색할 때에 첩부되어 있는 페이지도 검색하도록 하고, 그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문서표시수단이 첩부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내 부전검색수단이 현지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에 첩부된 부전만을 검색하여, 문서내 부전정보표시수단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7.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내 부전정보 표시수단이 표시하는 부전중의 특정의 부전을 지시하므로써, 이 지시된 부전과 이 부전이 속하는 부전속의 속성에 의거하여, 상기 부전속별 부전검색수단, 상기 부전부착문서 검색수단 및 상기 문서내 부전검색수단을 기동시키는 대상 부전속 변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표시수단이 상기 부전부착 문서검색수단의 검색한 문서를 그 문서내 부전과 함께 표시할때에, 유저의 스타트 지시에 의거하여 소정시간 간격을 두고 대상으로 하는 부전부착문서를 변환시키고, 또한 유저의 스톱지시에 의거하여 선택된 문서와 문서내 부전의 표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시스템.
  19. 문서관리 수단으로 기억수단에 격납된 전자문서를 관리함과 동시에 이 전자문서를 특정하는 사항을 입력하므로써 문서표시수단으로 목적하는 문서를 표시하는 문서관리방법에 있어서, 시각 인식가능한 속성에 의거하여 부전속 관리수단에서 관리되는 적어도 1종류의 부전속을 일람표시하는 표시처리와, 상기 표시된 부전속 중의 특정의 부전속으로부터 1매의 부전을 벗겨 상기 문서표시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특정의 문서에 첩부하는 첩부처리와, 상기 특정의 문서에 첩부된 부전의 속성정보를 부전관리수단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전속 표시처리에 의하여 표시되고 있는 부전속 일람에서 특정의 부전속을 지정하면, 이 부전속에 속하는 부전과 이 부전이 첩부된 문서를 검색표시 하는 문서표시처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방법.
  21. 문서를 식별하기 위하여 부전을 첩부하고 기억수단에 격납된 전자문서를 문서관리수단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이 전자문서를 특정하는 부전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므로써 목적하는 문서를 문서표시수단으로 표시하는 문서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전의 종류를 나타낸 부전속을 시각인식가능한 속성에 의거하여 부전속 관리수단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상기 특정의 문서에 첩부된 특정의 부전속에 속하는 부전의 속성정보를 부전관리수단으로 관리하는 상태에서, 상기한 부전속을 상기 속성에 의거하여 표시하는 부전속 표시처리와, 상기 표시되어 있는 부전속의 하나를 유저가 선택하면 상기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부전의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된 부전속에 속하는 부전을 전부검색함과 동시에, 여기서 검색된 부전이 첩부된 문서를 일람표시하는 문서일람표시처리와, 상기 표시된 문서일람에서 유저가 선택한 소정의 문서에 관하여 부전관리수단이 관리하고 있는 속성정보를 참조하여 이 문서에 첩부되어 있는 부전의 일람을 대응하는 문서와 함께 표시하는 문서표시처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표시처리에 의하여 표시된 부전 일람중의 특정의 부전을 선택함에 따라서 이 부전이 속하는 부전속이 선택되고, 다시 이 선택된 부전속에 대응하는 상기 문서일람 표시처리 및 문서표시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방법.
  23. 상기 제 19 항 내지 제 22 항에 기재된 각 수순을 프로그램으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
KR1019980008080A 1997-03-11 1998-03-11 문서관리시스템 및 문서관리방법 KR199800801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582097 1997-03-11
JP97-55820 1997-03-11
JP97-308753 1997-11-11
JP30875397 1997-11-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125A true KR19980080125A (ko) 1998-11-25

Family

ID=2639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080A KR19980080125A (ko) 1997-03-11 1998-03-11 문서관리시스템 및 문서관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864988A1 (ko)
KR (1) KR19980080125A (ko)
CN (1) CN1193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723A (ko) * 2000-08-26 2002-03-06 이재천 인터넷을 통한 전자결재 시스템에서의 개인문서의 구성 및운영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2029B1 (en) * 1996-10-28 2001-01-30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extraction and encoding utilizing the parsing of text data in accordance with domain parameters
US7617190B2 (en) 2005-11-29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Data feeds for management systems
US7912933B2 (en) 2005-11-29 2011-03-22 Microsoft Corporation Tags for management systems
JP5043748B2 (ja) * 2008-05-19 2012-10-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2385630B (zh) * 2011-11-19 2017-09-29 上海量明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在文件夹中进行文件标记的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1038A (ja) * 1991-10-03 1993-04-23 Nec Corp 栞機能付きワードプロセツサ
JPH06139281A (ja) * 1992-10-29 1994-05-20 Ricoh Co Ltd 電子ファイル装置
JPH06162108A (ja) * 1992-11-25 1994-06-10 Ricoh Co Ltd 文書検索装置
US5596700A (en) * 1993-02-17 1997-01-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annotating software windows
JPH08106471A (ja) * 1994-10-03 1996-04-23 Toshiba Corp 情報記憶検索装置
JPH08249155A (ja) * 1995-03-14 1996-09-27 Hitachi Ltd メニュー画面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723A (ko) * 2000-08-26 2002-03-06 이재천 인터넷을 통한 전자결재 시스템에서의 개인문서의 구성 및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4988A1 (en) 1998-09-16
CN1193146A (zh) 1998-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1908B1 (en) Extraction rule determination based on user-selected text
US20210209080A1 (en) Column-based contextual menu with form element to add commands to a search query
US11741086B2 (en) Queries based on selected subsets of textual representations of events
US10896175B2 (en) Extending data processing pipelines using dependent queries
US10877963B2 (en) Command entry list for modifying a search query
US20190012304A1 (en) Cell-based table manipulation of event data
US7797638B2 (en) Application of metadata to documents and document objects via a software application user interface
US20180157705A1 (en) Events Sets In A Visually Distinct Display Format
KR101319742B1 (ko) 메타데이터의 문서 적용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8689137B2 (en) Command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selectable functionality controls in a database application
US5430839A (en) Data entry screen method
US20100306171A1 (en) Timeline Experience for Restore User Interface
US20040056903A1 (en) Directory management program, object display program, directory management method, and directory management apparatus
US20090031239A1 (en) Asset browser for computing environment
US20060195426A1 (en)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KR19980080125A (ko) 문서관리시스템 및 문서관리방법
JP2004192355A (ja) 情報の検索方法およびその装置および情報検索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H11203276A (ja) 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文書管理方法
WO20200821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searching of stored data
JPH11328174A (ja) リンク機能を備えた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文書管理方法
Van De Vanter Designing BiblioText: An Experiment in User Interface Design
JPH10301764A (ja) イベント駆動型プログラム開発支援装置
Cooke et al. DiscoverPro™: The Bibliographic-Multimedia Database
JPH0895980A (ja) 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および図面検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