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709A -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709A
KR19980079709A KR1019980004013A KR19980004013A KR19980079709A KR 19980079709 A KR19980079709 A KR 19980079709A KR 1019980004013 A KR1019980004013 A KR 1019980004013A KR 19980004013 A KR19980004013 A KR 19980004013A KR 19980079709 A KR19980079709 A KR 199800797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lectronic switch
diode
boost converter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트 비스마흐
로란트 샤에어
알렉산더 나흐바우어
Original Assignee
쉬라이버 베 에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뵐러 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라이버 베 에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뵐러 에 filed Critical 쉬라이버 베 에프
Publication of KR19980079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7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electronic equip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5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single converter stage both for correction of AC input power factor and generation of a regulated and galvanically isolated DC output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for the generation of a regulated current to a load whose impedance is substantially inducti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부스트 변환기에 의해 회로망 기본 진동의 조파를 액티브 필터링함으로써 정류기를 통한 유도성 부하의 작동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부스트 변환기에 필요한 초크의 기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도성 부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로에서 부스트 변환기의 기능이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브리지 및 모터내에 통합되고, 적어도 하나의 모터 권선은 그것이 종래 방식에 따라 필요한 초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하도록 결선된다.

Description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부스트 변환기에 의해 회로망 기본 진동의 조파를 액티브 필터링함으로써 정류기를 통한 유도성 부하의 작동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한 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전자 장치, 특히 파워 서플라이 장치, 초크, 모든 방식의 구동 제어 수단 등에서, 라인 교류 전압은 정류되며 예컨대 캐패시터에 의해 평활화된다. 그러나, 얻어진 직류 전압을 소비재를 통해 가하면, 이 직류 전압은 다소 파형이 되는데, 그 이유는 라인 전류가 사인파형을 벗어나는 파형을 가지며 비교적 높은 조파 성분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소위 라인 전류에 대한 영향은 부하의 종류 및 그것의 전류 소비에 의존한다. 표준 규정 VDE 0838 및 EN 60555-2은 동작 전류에 따른 허용 조파 성분에 대한 한계치 또는 한계치 곡선을 제시한다.
이러한 라인 전류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또는 가급적 없애기 위해, 특히 라인 정류기와 부하 사이에 삽입된 액티브 필터 회로가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액티브 필터 회로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소위 부스트 변환기 및 도시되지 않은 파워 팩터 제어 회로(PFC= Power Factor contol)에 의해, 허용 파워 한계내에서 가급적 가변 부하와 무관하게 거의 사인파형의 라인 전류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부스트 변환기는 라인 정류기(6)의 출력과 평활 캐패시터(4) 사이에 직렬로 접속된 초크(1), 이것에 대해 직렬로 접속된 다이오드(3) 및 출력 분기에 부가의 평활 캐패시터(5)를 포함한다. 초크(1)와 다이오드(3)의 애노드 사이에는 전자 스위치(2)를 가진 부가의 분기가 제공된다. 상기 분기는 파워 팩터 제어 회로(PFC)에 의해 작동된다. 부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 정류기(6) 앞에 패시브 예비 필터(7)가 배치된다. 도 6에 따른 액티브 및 패시브 필터 회로는 예컨대 M. Herfurth의 논문 Active Harmonic Filtering for Line Rectifiers of Higher Output Power, Siemens Component Ⅰ/86, 페이지 9 내지 13에 기술된다.
공지된 필터는 조립 공간이 좁은 경우에 문제가 되며, 특히 높은 라인 소비 전력에 대해서는 초크 코어가 비교적 크고 무겁게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에, 수동 공구 기계에서 가급적 적은 장치 중량이 중요한 경우에는 문제가 된다. 도 6에 도시된 회로에서는 초크(1)가 정류된 라인 전류를 흘린다. 즉, 초크는 자기적으로 전류의 최대값, 즉 최대 진폭과 중첩된 파형을 합한 값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류기를 통한 유도성 부하의 작동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필터 장치와 관련해서 기술적 비용 및 중량면에서 공지된 방법 및 액티브 필터 회로에 비해 현저한 장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초크의 기능이 모터 권선에 의해 수행되는, 정류기 회로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부스트 변환기를 가진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
도 2는 초크의 기능이 2개의 모터 권선에 의해 수행되는, 정류기 회로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부스트 변환기를 가진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
도 3은 초크의 기능이 부분적으로 모터 권선에 의해 수행되는, 정류기 회로,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보조 초크를 가진 부스트 변환기를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
도 4는 초크의 기능이 부분적으로 2개의 모터 권선에 의해 수행되는, 정류기 회로,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보조 초크를 가진 부스트 변환기를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
도 5는 초크의 기능이 부분적으로 2개의 모터 권선에 의해 수행되는, 정류기 회로,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보조 초크를 가진 부스트 변환기를 포함하는 간소화된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
도 6은 정류기 회로, 부스트 변환기 및 예비 필터를 포함하는 종래의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D1, D2, Dh1, Dh2 : 다이오드 5 : 캐패시터
Dr1 : 초크 MW1, MW2 : 모터 권선
T1, T2, Th1, Th2, TB : 스위치
본 발명에 기초가 되는 기술적 사상은 도 6에 따른 회로의 액티브 필터에서 초크(1)의 기능이 유동성 부하에 의해, 예컨대 모터에서 모터 권선에 의해 그 기능의 저하 없이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부스트 변환기에 의해 회로망 기본 진동의 조파를 액티브 필터링함으로써 정류기를 통한 유도성 부하의 작동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부스트 변환기에 필요한 인덕터의 적어도 부분적인 대체물로서 유도성 부하 자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칭 브리지를 통해 작동되는 유도성 부하인 모터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모터 권선이 부스트 변환기용 인덕터의 기능을 수행한다. 필수적인 제어 수단은 스위칭 브리지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또다른 실시예는 방법 청구범위 종속항에 제시된다.
상이한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 부스트 변환기는 장치 청구범위 독립항에 제시된다.
본 발명 및 바람직한 세부 사항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은 정류기 회로(6)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부스트 변환기를 가진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초크의 기능은 모터 권선(MW1)에 의해 수행된다.
모터 권선(MW1)은 스위칭 브리지를 통해 구동된다. 스위칭 브리지는 제 1 분기로서 제 1 다이오드(D1), 및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에미터가 접속된 제 1 트랜지스터(T1)로 이루어진 직렬회로를 포함한다.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는 접지에 접속되며, 제 1 트랜지스터(T1)의 콜렉터는 공급 전압에 접속된다. 제 1 트랜지스터(T1)의 베이스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회로에 접속된다. 스위칭 브리지는 제 2 분기로서 제 2 다이오드(D2),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콜렉터가 접속된 제 2 트랜지스터(T2)로 이루어진 직렬회로를 포함한다. 제 2 다이오드(D2)의 캐소드는 트랜지스터(TB)의 콜렉터-에미터 구간을 통해 공급 전압에 접속되고 제 2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된다. 제 2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회로에 접속된다. 모터 권선(MW1)은 제 1 트랜지스터(T1)와 제 1 다이오드(D1)의 접속점과 제 2 트랜지스터(T2)와 제 2 다이오드(D2)의 접속점 사이에 놓인 브리지 전압을 탭한다. 트랜지스터(TB)는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베이스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부스트 변환기는 재차 캐패시터(5)를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5)는 제 2 다이오드(D2) 및 제 2 트랜지스터(T2)로 이루어진 스위칭 브리지의 분기에 대해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모터 권선(MW1)은 제 1 단계에서 제 1 트랜지스터(T1), 제 2 트랜지스터(T2) 및 부스터 변환기(TB)의 트랜지스터를 통해 캐패시터(5)의 높은 전압으로 자화된다. 자화의 종료시 제 2 단계에서 부스트 변환기의 트랜지스터(TB)가 차단되는 한편, 제 2 트랜지스터(T2)가 제어회로에 의해 펄스폭 변조되어 클록 제어되고 제 1 트랜지스터(T1)는 도통된다. 이 단계에서 모터 권선(MW1)은 파워 팩터 보정을 위해 사용된다. 자기 소거를 위해, 3개의 트랜지스터가 차단됨으로써, 모터 권선(MW1)의 전류가 제 3 단계에서 2개의 다이오드(D1) 및 (D2) 및 캐패시터(5)를 통해 프리 러닝(free running)될 수 있고, 그 결과 모터 권선(MW1)의 자기 소거가 이루어진다. 제 1 트랜지스터(T1), 제 2 트랜지스터(T2) 및 트랜지스터(TB)의 제어는 제어회로를 통해 직접 이루어진다.
도 2는 정류기 회로(6)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부스트 변환기를 가진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초크의 기능이 2개의 모터 권선(MW1), (MW2)에 의해 수행된다.
도 1 과는 달리, 모터 권선(MW1), (MW2)은 2개의 병렬 접속된 제 2 분기를 포함하는 스위칭 브리지를 통해 구동된다. 모터 권선(MW1), (MW2)은 각각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1 다이오드(D1)의 접속점과 제 2 트랜지스터(T2), (T2*)와 제 2 다이오드(D2), (D2*)의 접속점 사이에 놓인 브리지 전압을 탭한다. 제 2 트랜지스터(T2*)는 다른 제 2 트랜지스터(T2)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베이스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터 권선(MW1)이 제 1 트랜지스터(T1), 제 2 트랜지스터(T2) 및 트랜지스터(TB)를 통해 캐패시터(5)의 높은 전압으로 자화되는 한편, 모터 권선(MW2)내의 전류가 트랜지스터(T1), 다이오드(D2*) 및 트랜지스터(TB)를 통해 프리 러닝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권선(MW2)의 자기 소거가 이루어진다. 상응하게 모터 권선(MW2)가 제 1 트랜지스터(T1), 다른 제 2 트랜지스터(T2*) 및 부스트 변환기(TB)의 트랜지스터를 통해 캐패시터(5)의 높은 전압으로 자화되는 한편, 모터 권선(MW1)의 전류는 트랜지스터(T1), 다이오드(D2) 및 트랜지스터(TB)를 통해 프리 러닝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권선(MW1)의 자기 소거가 이루어진다. 제 2 트랜지스터(T2) 및 (T2*)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권선(MW1), (MW2)이 자화되면, 제 2 트랜지스터(T2) 및 (T2*)가 교대로 펄스폭 변조되어 클록 제어됨으로써, 모터 권선(MW1), (MW2)이 파워 팩터 보정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2개의 회로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로의 설계가 부가의 큰 제어 기술적 비용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3은 정류기 회로(6)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부스트 변환기를 가진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초크의 기능이 모터 권선(MW1) 및 보조 초크(Dr1)에 의해 수행된다.
도 1에 도시된 회로 실시예에 부가해서, 이 회로에는 공급 전압과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브리지 사이에 도통 방향으로 직렬로 접속된 제 3 다이오드(3), 및 보조 초크(Dr1)에 의해 탭되는 브리지 전압을 가진 스위칭 브리지가 제공된다. 상기 스위칭 브리지는 제 1 분기로서 제 4 다이오드(Dh1) 및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에미터가 접속된 제 4 트랜지스터(Th1)로 이루어진 직렬회로를 포함한다. 제 4 다이오드(Dh1)의 애노드는 접지에 접속되고, 제 4 트랜지스터(Th1)의 콜렉터는 공급 전압과 제 3 다이오드(3)의 애노드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스위칭 브리지는 제 2 분기로서 제 5 다이오드(Dh2)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콜렉터가 접속된 제 5 트랜지스터(Th2)로 이루어진 직렬회로를 포함한다. 제 5 다이오드(Dh5)의 캐소드는 부스트 변환기의 제 3 트랜지스터(TB)의 콜렉터-에미터 구간을 통해 공급 전압에 접속되고, 제 5 트랜지스터(Th2)의 에미터는 접지에 접속된다. 보조 초크(Dr1)는 제 4 트랜지스터(Th1)와 제 4 다이오드(Dh1)의 접속점과 제 5 트랜지스터(Th2)와 제 5 다이오드(Dh2)의 접속점 사이에 놓인 브리지 전압을 탭한다. 제 4 트랜지스터(Th1) 및 제 5 트랜지스터(Th2)는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와 마찬가지로 그것의 베이스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모터 권선(MW1)은 도 1에 따른 회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속된다. 모터 전류의 펄스 포우즈 동안, 보조 초크(Dr1)가 제 4 트랜지스터(Th1), 및 펄스폭 변조되어 클록 제어되는 제 5 트랜지스터(Th2)를 통해 자화된다.
파워 팩터 제어 기능을 모터 권선(MW1) 및 보조 초크(Dr1)로 분할함으로써, 보조 초크(Dr1)가 종래의 부스트 변환기의 초크에 비해 약 30% 정도 더 작은 전류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필요한 예비 필터가 전술한 보조 초크(Dr1) 없는 해결책에서 보다 작게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정류기 회로(6) 및 본 발명에 따른 모터용 보조 초크(Dr1)를 가진 부스트 변환기를 포함하는 파워 서플라이 회로의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초크의 기능이 대부분 모터 권선(MW1), (MW2)에 의해 수행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모터 권선(MW1)를 구동시키기 위한 스위칭 브리지 및 제 3 트랜지스터(TB)와 병렬로, 제 2 모터 권선(MW2)을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스위칭 브리지 및 부가의 제 3 트랜지스터(TB*)가 접속된다. 2개의 모터 권선(MW1) 및 (MW2)은 동일하게 접속된다. 제 2 스위칭 브리지의 트랜지스터(T1*) 및 (T2*) 및 부가의 제 3 트랜지스터(TB*)는 각각 대응하는 트랜지스터(T1), (T2) 및 (TB)에 상응하게 제어된다.
모터 권선(MW1) 및 (MW2)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접속된다. 모터 권선(MW1) 및 (MW2)의 자화 동안, 보조 초크(Dr1)는 제 4 트랜지스터(Th1), 및 펄스폭 변조되어 클록 제어되는 제 5 트랜지스터(Th2)를 통해 마찬가지로 자화된다.
모터 권선(MW1)이 제 1 트랜지스터(T1), 제 2 트랜지스터(T2) 및 트랜지스터(TB)를 통해 캐패시터(5)의 높은 전압으로 자화되는 동안, 모터 권선(MW2)내의 전류는 트랜지스터(T1*), 다이오드(D2*) 및 트랜지스터(TB)를 통해 서서히 프리 러닝될 수 있거나, 또는 모터 권선(MW2)이 다이오드(D1*), (D2*) 및 캐패시터(5)를 통해 신속히 자기 소거될 수 있다. 상응하게 모터 권선(MW1)내의 전류가 트랜지스터(T1), 다이오드(D2) 및 트랜지스터(TB*)를 통해 프리 러닝될 수 있거나 또는 모터 권선(MW1)이 다이오드(D1), (D2) 및 캐패시터(5)를 통해 신속히 자기 소거될 수 있는 한편, 모터 권선(MW2)이 제 2 스위칭 브리지의 제 1 트랜지스터(T1*) 및 제 2 트랜지스터(T2*) 및 트랜지스터(TB*)를 통해 캐패시터(5)의 높은 전압으로 자화된다.
파워 팩터 제어 기능을 모터 권선(MW1) 및 (MW2) 및 보조 초크(Dr1)로 분할함으로써, 보조 초크(Dr1)가 종래의 부스트 변환기의 초크에 비해 약 70% 정도 더 작은 전류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필요한 예비 필터가 전술한 보조 초크(Dr1) 없는 해결책에서 보다 현저히 작게 설계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실시예는 부가의 전자 스위치(TB* 및 T1*)에 의해 도 4에 따른 실시예에 상응하게 접속됨으로써, 자기 소거를 위한 트랜지스터(TB)의 접속시(또는 도통시)에도 각각의 모터 권선이 트랜지스터(TB)를 통해 프리 러닝되지 않고 캐패시터(5)를 통해 신속히 자기 소거될 수 있다.
전술한 회로 실시예는 제 4 트랜지스터(Th1)가 단락으로 그리고 제 4 다이오드(Dh1)가 무부하 동작으로 대체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변형예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모든 전술한 회로 실시예에서 제 1 다이오드(D1; D1, D1*)가 무부하 동작으로 대체되는 방식으로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회로는 유도성 부하의 작동시 정류기에 의한 회로망에서 빼낸 전류의 파형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필터 장치와 함께 기술적 비용 및 중량면에서 공지된 방법 및 액티브 회로망 영향 필터에 비해 현저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9)

  1. 부스트 변환기에 의해 회로망 기본 진동의 조파를 액티브 필터링함으로써 정류기를 통한 유도성 부하의 작동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부스트 변환기에 필요한 인덕터의 적어도 부분적인 대체물로서 유도성 부하 자체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부하가 스위칭 브리지를 통해 구동되는 모터이고, 적어도 하나의 모터 권선(MW1; MW1, MW2)이 부스트 변환기에 대한 인덕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부스트 변환기의 기능이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브리지 및 모터내에 통합되고, 모터 권선(MW1)이 부스트 변환기에 대한 인덕터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모터 권선(MW1)이 제 1 단계에서 캐패시터(5)의 전압으로 자화되고, 제 2 단계에서 전자 스위치(T2)를 통해 파워 팩터 보정에 사용되며, 제 3 단계에서 자기 소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부스트 변환기의 기능이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브리지 및 모터내에 통합되고, 적어도 2개의 모터 권선(MW1, MW2)이 인덕터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모터 권선(MW1)이 제 1 단계에서 캐패시터(5)의 전압으로 자화되는 한편, 모든 다른 모터 권선(MW2)은 프리 러닝되고, 계속해서 다른 모터 권선(MW2, MW1)이 다음 단계에서 캐패시터(5)의 전압으로 자화되는 한편, 모든 다른 권선(MW1, MW2)은 재차 프리 러닝되며, 모터 권선(MW1, MW2)이 자화되면, 그것은 각각 하나의 전자 스위치(T2, T2*)를 통해 교대로 파워 팩터 보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부스트 변환기의 기능이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브리지 및 모터내에 통합되며, 모터 권선(MW1) 및 보조 초크(Dr1)가 인덕터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모터 권선(MW1)이 제 1 단계에서 캐패시터(5)의 전압으로 자화되고, 제 2 단계에서 하나의 전자 스위치(T2)를 통해 파워 팩터 보정에 사용되며, 제 3 단계에서 자기 소거되고, 모터 전류의 펄스 포우즈 동안 보조 초크(Dr1)가 펄스폭 변조되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부스트 변환기의 기능이 모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브리지 및 모터내에 통합되고, 적어도 2개의 모터 권선(MW1, MW2) 및 보조 초크(Dr1)가 인덕터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모터 권선(MW1)이 제 1 단계에서 캐패시터(5)의 전압으로 자화되는 한편, 모든 다른 모터 권선(MW2)은 프리 러닝될 수 있고, 계속해서 다른 모터 권선(MW2, MW1)이 다음 단계에서 캐패시터(5)의 전압으로 자화되는 한편, 재차 모든 다른 권선(MW1, MW2)이 프리 러닝될 수 있으며, 모터 권선(MW1, MW2)이 자화되면, 그것은 각각 하나의 전자 스위치(T2, T2*)를 통해 교대로 파워 팩터 보정을 위해 사용되고, 모터 권선(MW1, MW2)의 자화 동안 보조 초크(Dr1)가 펄스폭 변조되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4 항, 6 항, 8 항 또는 10 항에 있어서, 모터 권선(MW1, MW2)이 캐패시터(5)를 통해 프리 러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4 항, 6 항, 8 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모터 권선(MW1, MW2)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스위치(TB, TB*)를 통해 프리 러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모터 권선(MW1; MW1, MW2)이 스위칭 브리지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스위칭 브리지의 제 1 분기가 공급 전압과 모터 권선(MW1; MW1, MW2)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자 스위치(T1)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스위치(T1)의 제어 단자는 제어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브리지는 모터 권선에 대한 제 2 분기로서 제 2 다이오드(D2; D2, D2*),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속된 제 1 스위칭 단자를 가진 제 2 전자 스위치(T2; T2, T2*)의 직렬회로를 포함하며, 제 2 다이오드(D2; D2, D2*)의 캐소드는 공급 전압에 접속되고, 제 2 전자 스위치(T2; T2, T2*)의 제 2 스위칭 단자는 접지에 접속되며, 제 2 전자 스위치(T2; T2, T2*)의 제어 단자는 제어회로에 접속되고, 모터 권선(MW1; MW1, MW2)은 각각 제 1 전자 스위치(T1)와, 제 2 전자 스위치(T2; T2, T2*)와 제 2 다이오드(D2; D2, D2*)의 접속점 사이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파워 팩터 제어된 모터 작동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스트 변환기에 있어서, 공급 전압을 스위칭 브리지의 제 2 다이오드(D2; D2, D2*)의 캐소드에 연결시키며 그 제어단자가 제어 회로에 접속된 제 3 전자 스위치(TB), 및 스위칭 브리지의 제 2 분기와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변환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부스트 변환기가
    제 1 전자 스위치(T1)를 공급 전압에 접속시키는 제 3 다이오드, 및
    제 5 다이오드(Dh2)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속된 제 1 스위칭 단자를 가진 제 5 전자 스위치(Th2)로 이루어진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공급 전압 사이에 접속된 보조 초크(Dr1)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다이오드(Dh2)의 캐소드가 제 2 다이오드(D2; D2, D2*)의 캐소드에 접속되며, 제 5 전자 스위치(Th2)의 제 2 스위칭 단자는 접지에 접속되고, 제 5 전자 스위치(Th2)의 제어 단자는 제어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변환기.
  15. 모터 권선(MW1; MW1, MW2)이 스위칭 브리지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스위칭 브리지의 제 1 분기가 공급 전압과 모터 권선(MW1; MW2) 사이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자 스위치(T1, T1*)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스위치(T1)의 제어 단자는 제어회로에 접속되고, 상기 스위칭 브리지는 제 2 분기로서 제 2 다이오드(D2, D2*),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속된 제 1 스위칭 단자를 가진 제 2 전자 스위치(T2, T2*)로 이루어진 직렬회로를 포함하며, 제 2 다이오드(D2, D2*)의 캐소드는 공급 전압에 접속되고, 제 2 전자 스위치(T2, T2*)의 제 2 스위칭 단자는 접지에 접속되며, 제 2 전자 스위치(T2, T2*)의 제어 단자는 제어 회로에 접속되고, 모터 권선(MW1, MW2)은 제 2 전자 스위치(T2, T2*)와 제 2 다이오드(D2, D2*)의 접속점과 제 1 전자 스위치(T1, T1*) 사이에 접속되도록 구성된, 파워 팩터 제어된 모터 작동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부스트 변환기에 있어서,
    제 1 전자 스위치(T1, T1*)를 공급 전압에 접속시키는 제 3 다이오드(3),
    제 3 다이오드(3)를 통해 공급 전압을 각각의 스위칭 브리지의 제 2 다이오드(D2, D2*)의 캐소드에 연결시키며 그 제어단자가 제어 회로에 접속된, 모터 권선용 제 3 전자 스위치(TB, TB*),
    제 2 다이오드(D2, D2*) 및 제 2 전자 스위치(T2, T2*)로 이루어진 각각의 스위칭 브리지의 분기와 병렬로 접속된 캐패시터(5),및
    제 5 다이오드(Dh2) 및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접속된 제 1 스위칭 단자를 가진 제 5 전자 스위치(Th2)로 이루어진 직렬회로의 접속점과 공급 전압 사이에 접속된 보조 초크(Dr1)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다이오드(Dh2)의 캐소드가 제 2 다이오드(D2, D2*)의 캐소드에 접속되고, 제 5 전자 스위치(Th2)의 제 2 스위칭 단자가 접지에 접속되며, 제 5 전자 스위치(Th2)의 제어 단자가 제어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변환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보조 초크(Dr1)가 제어 회로에 접속된 제어 단자를 가진 제 4 전자 스위치(Th1)를 통해 공급 전압에 접속되며,
    제 4 다이오드(Dh1)의 애노드가 접지에 접속되고 그 캐소드가 제 4 전자 스위치(Th1)와 보조 초크(Dr1)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변환기.
  17. 제 13 항, 제 14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제 1 다이오드(D1; D1, D1*)가 제공되며, 그 캐소드는 제 1 트랜지스터(T1; T1, T1*)와 모터 권선(MW1; MW1, MW1*)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그 애노드는 접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변환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보조 초크(Dr1)가 제어 회로에 접속된 제어 단자를 가진 제 4 전자 스위치(Th1)를 통해 공급 전압에 접속되며,
    제 4 다이오드(Dh1)의 애노드가 접지에 접속되고 그 캐소드가 제 4 전자 스위치(Th1)와 보조 초크(Dr1)의 접속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변환기.
  19. 제 15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제 1 다이오드(D1; D1, D1*)가 제공되며, 그 캐소드는 제 1 트랜지스터(T1; T1, T1*)와 모터 권선(MW1; MW1, MW1*)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그 애노드는 접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트 변환기.
KR1019980004013A 1997-03-06 1998-02-11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KR199800797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9264.0 1997-03-06
DE19709264A DE19709264A1 (de) 1997-03-06 1997-03-06 Verfahren zur Reduzierung von Rückwirkungen auf den Verlauf des einem Netz entnommenen Stroms bei induktiven Lasten und Vorrichtung zum Antreiben von Motoren nach diesem 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709A true KR19980079709A (ko) 1998-11-25

Family

ID=782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013A KR19980079709A (ko) 1997-03-06 1998-02-11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69810A (ko)
EP (1) EP0869605B1 (ko)
JP (1) JP4188444B2 (ko)
KR (1) KR19980079709A (ko)
DE (2) DE197092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14426D1 (de) * 1998-12-31 2003-06-12 St Microelectronics Srl Schaltung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r elektrischen Wechselstromlast
GB9906716D0 (en) * 1999-03-23 1999-05-19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Operation of a switched reluctance machine from dual supply voltages
DE10021785A1 (de) * 2000-05-04 2001-12-06 Hilti Ag Gleichstromspeiseschaltung für Induktivitäten
US6469485B2 (en) 2000-07-07 2002-10-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tive filter and method for suppressing current harmonics
DE10040275A1 (de) 2000-08-14 2002-02-28 Braun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Elektrogerät mit einem Elektromotor und einem Drosselwandler
DE102004003974A1 (de) * 2004-01-27 2005-08-11 Robert Bosch Gmbh Modul und Verfahren zum Verändern der Drehzahl eines Motors
KR100704482B1 (ko) * 2005-04-01 2007-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속 영역과 고속 영역에서의 발전 효율이 개선된 에스알발전기
DE102007001414B3 (de) * 2007-01-09 2008-05-08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induktiven Last
WO2009099342A2 (en) * 2008-02-08 2009-08-13 Restech Limited Electromagnetic field energy recycling
GB2467551B (en) * 2009-02-05 2011-05-18 Restech Ltd Electromagnetic field energy recycling
DE102008043043A1 (de) * 2008-10-22 2010-04-29 Robert Bosch Gmbh Leistungsendstufe für einen Pulswechselrichter
DE102008053679B3 (de) * 2008-10-29 2010-01-28 Forschungszentrum Karlsruhe Gmbh Stromversorgung und Verfahren für eine gepulst betriebene induktive Last
EP2267882A1 (de) * 2009-06-24 2010-12-29 ebm-papst Mulfingen GmbH & Co. KG "Verfahren und Steuersystem zum Ansteuern eines bürstenlosen Elektromotors"
WO2011016734A1 (en) * 2009-08-05 2011-02-10 Restech Limited Electromagnetic field energy recycling
KR101069140B1 (ko) * 2011-05-26 2011-09-30 주식회사 자이벡 권선형 유도 전동기의 전력 회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4784A1 (fr) * 1979-12-20 1981-07-31 Alsthom Atlantique Dispositif electronique de commande d'une machine a courant continu a excitation separee
EP0178615A3 (en) * 1984-10-19 1987-08-05 Kollmorgen Corporation Power supply systems for inductive elements
JPH03293993A (ja) * 1990-04-06 1991-12-25 Fanuc Ltd 可変リラクタンスモータの駆動方式
US5115181A (en) * 1990-10-05 1992-05-19 Emerson Electric Co. Power converter for a switched reluctance motor
US5146398A (en) * 1991-08-20 1992-09-08 Led Corporation N.V. Power factor correction device provided with a frequency and amplitude modulated boost converter
US5224025A (en) * 1992-04-21 1993-06-29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Forward converter with two active switches and unity power factor capability
GB9225090D0 (en) * 1992-12-01 1993-01-20 Univ Cardiff Performance enhancement of single phase switched motor by d c link voltage
GB9408056D0 (en) * 1994-04-22 1994-06-15 Switched Reluctance Drives Ltd A control circuit for an inductive load
DE4428682C2 (de) * 1994-08-12 1997-01-23 Robert Seuffer Gmbh & Co Verfahren zur Versorgung einer induktiven Last mit sinusförmigem Wechselstrom und Wechselstromsteller hierfür
FR2743955B1 (fr) * 1996-01-22 1998-04-10 Moulinex Sa Procede pour alimenter un moteur a reluctance variable a commutation electronique et circuit d'alimentation pour sa mise en oeuv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9605B1 (de) 2001-11-21
DE59802191D1 (de) 2002-01-03
JP4188444B2 (ja) 2008-11-26
US6069810A (en) 2000-05-30
JPH10257772A (ja) 1998-09-25
DE19709264A1 (de) 1998-09-10
EP0869605A2 (de) 1998-10-07
EP0869605A3 (de) 199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9709A (ko) 유도성 부하에서 라인 전류의 파형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
Trzynadlowski et al. A hybrid, current-source/voltage-source power inverter circuit
KR950035037A (ko) 유도부하에 대한 제어회로
JPH10341575A (ja) 改善された波形率と低減した電磁干渉を有する部分共振直列コンバータ
US9344029B2 (en) Asynchronous motor unit comprising a frequency converter with electrical isolation in the DC voltage intermediate circuit
GB2473598A (en) Switching regulator for a DC power supply having a current limiting mode for transient or over current protection
JP2799410B2 (ja) 直流コンバータ装置
JP4019047B2 (ja) 三相電源並列フィードフォワード補償型力率補正回路
JP3493273B2 (ja) 三相整流器の力率改善回路
CN218276471U (zh) 一种双线pfc电路和装置
JP3163655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283890B1 (ko) 전동기 구동회로
JPH08317657A (ja) 共振型コンバータ装置
KR100316635B1 (ko) 고조파전류 방지회로
KR20030095130A (ko)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JP3067292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20000042629A (ko) 병렬구동 역률제어용 승압형 컨버터
KR20050117379A (ko) 스위칭모드 전원 공급장치의 출력 전압 스위칭 장치
KR0162569B1 (ko) 고역률 전원회로
JPH0722244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CN114552993A (zh) 一种双线pfc电路和装置
JP200034194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2254972A (ja) Dc―dcコンバータ
EP0392963A2 (en) Preprocessor auxiliary power supply
JPH0731145A (ja) 力率改善型コンバ−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