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130A -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 Google Patents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130A
KR20030095130A KR1020020032661A KR20020032661A KR20030095130A KR 20030095130 A KR20030095130 A KR 20030095130A KR 1020020032661 A KR1020020032661 A KR 1020020032661A KR 20020032661 A KR20020032661 A KR 20020032661A KR 20030095130 A KR20030095130 A KR 20030095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phase
harmonic reduction
diode rectifier
harm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식
최세완
원충연
김동욱
Original Assignee
김규식
최세완
원충연
김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식, 최세완, 원충연, 김동욱 filed Critical 김규식
Priority to KR1020020032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5130A/ko
Publication of KR20030095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2Arrangements for reducing harmonics from ac input 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오드 정류기에 단상인버터와 변압기를 이용하여 영상고조파 전류를 주입함으로서 순수한 정현파 입력전류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고조파 저감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주 전력의 흐름에 직렬로 스위칭 소자가 연결되지 않아 전력손실이 적으며 보조회로로서 사용된 변압기의 턴비를 조정하면 인버터 스위치의 전류정격을 작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 저감방식{A New Harmonic Reduction Method of Diode Rectifier by Zero-Sequence Current Injection}
세계적으로 전기에너지의 소비가 늘어나고 있고 IGBT등 고속스위칭 소자기술의 발달로 전력전자기기의 보급이 급격히 증가하여 전력계통 내의 고조파 문제가 심각히 대두됨에 따라 IEC-555-2 및 IEEE-519와 같은 고조파 규제에 관한 지침이 출현하게 되었다. IEEE학회의 Industry Application Society와 Power Electronics Society에서 Electric Machine & Drive 분과나 Power Conversion 분과와는 개별적으로 Utility Interface분과가 설치된 것은 고조파 저감기술의 중요성과 비중을 나타내는 일례라 할 수 있다. 기존의 고조파 저감기술은 주로 수동필터, 능동전력필터, 다중화기술, 전류주입법 및 Active Wave Shaping등에 의한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위 기술중 전류주입에 의한 고조파 저감법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한 것이다.
도 1과 같은 기존의 전류주입에 의한 고조파 저감기술은 순시보상능력이나 입력전류의 고조파특성이 능동전력필터나 PWM 정류기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측면이 이 있다. 그러나, 응용분야에 따라 저가격으로 실용화할 수 있으며 수동형의 방식이나 컨버터로 전류를 주입하는 일부 능동형의 방식은 100kW 이상의 중,대전력급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기존의 도 1과 같은 전류 주입에 의한 고조파저감 회로에서 전류는 주입할 전류를 발생시키는 부분이고 이는 분배회로에 의해 입력측에 주입된다. 이 때 부하전류를 리플 없는 직류전류로 가정하면 전류 주입전()의 입력전류에는 5차, 7차, 11차 및 13차 등 다수의 저차 고조파를 포함하게 된다. 이는 3상의 상전압중 가장 놓은 상에 연결된 상측다이오드와 가장 낮은 상에 연결된 하측 다이오드 두 개만이 각각 120°동안 도통하기 때문에 가장 높지도 낮지도 않은 상에 연결된 다이오드가 도통하지 않아 불연속 구간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상에 전류를 주입하여 이 불연속구간은 메꿔줌으로써 입력전류의 파형을 개선하는 것이 전류주입방식이다. 도 2는 기존의 3차 고조파 주입방식을 나타내며, 주입전류는
이 된다. 입력전류의 고조파왜율(THD)이 최적이 되기 위해서는 k=0.74, φ=0°이 되며, 이때 이 3차 고조파 전류 주입 후에 입력전류의 THD는 5.1%로 개선된다. 그러나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이러한 3차 고조파의 주입만으로는 입력파형의 개선에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차 뿐만 아니라 9차, 15차, 2차등 영상고조파를 포함하는 전류를 주입하면, 입력전류는 순수한 정현파로 개선된다. 본 발명은 이 방법으로 고조파를 저감한다.
도 1은 기존의 영상전류 주입 회로도
도 2는 기존의 3고조파 주입에 대한 전류파형
도 3은 제안하는 영상고조파 주입방식의 전류파형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고조파 주입방식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령전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에 의한 영상고조파 주입방식의 전류파형
본 발명에 따른 영상전류 주입방식의 주회로도는 도 4이다. 이는 6펄스 다이오드 정류기에 두 대의 단상 반파 인버터, 두 대의 단상 변압기 Tr1, Tr2 및 주입전류 분배를 위한 zigzag 변압기 Trz등의 보조회로를 추가하여 구성한다. 두 대의 단상 인버터로 각각의 인덕터 전류 i_L1과 i_L2를 제어하며 이들 전류는 단상변압기 Tr1과 Tr2를 통하여 정류기의 상측과 하측에 주입되고 주입된 전류 i_j가 zigzag 변압기를 통하여 입력측 각상에 분배되어 입력전류를 정현파로 개선한다. 이때 각 입력선간 전압에 대한 Heaviside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면,
h(v)= {0, for v<0
{1, for v>0
각 인버터의 지령전류 i_L1*와 i_L2*는 위 식에서 정의된 Heaviside 함수를 이용하여 각각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V_LL은 입력선간전압의 실효값, I_0는 부하전류의 평균값이다.
도 5는 이와 같은 지령전류를 구현하기 위한 회로를 나타낸다. a점에서는 지령전류의 파형에 관한 정보가 얻어지며 b점에서는 이를 단위화 한다. 이 신호의 직류성분을 제거하면 c점에서는 지령전류의 파형이 얻어지며 이를 부하전류로부터 계산된 d점의 크기를 곱하여 최종의 지령전류를 얻게된다. 또한 계산된 기준전류 i_L1*와 i_L2*는 인버터 출력전류의 제어를 위하여 지령되며, 두 개의 직류링크 커패시터의 균등제어를 포함하는 전체 고조파저감 장치의 제어블록도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두 개의 커패시터 전압을 검출하여 이들의 오차신호는 P-Regulator를 거쳐 각각의 기준신호 i_L1*와 i_L2*에 더해진다. 이후 전류제어를 위하여 Hysteresis 제어를 행한 후 게이트 구동부에 인가된다.
이 발명에서 사용되는 변압기의 용량 및 소자의 정격을 살펴보면 아래 표1과 같다. 인버터 스위치의 정격은 스위치의 피크 전류와 피크 전압의 곱으로 나타내는데 본 발명의 인버터 스위치에는 직류링크전압이 걸리므로 최대전압 정격은 입력선간전압의 최대값과 같다. 또한, 인버터 스위치의 전류정격은 인버터 출력측에 있는 변압기 Tr1과 Tr2의 턴비 n에 의해 결정되는데 n을 증가시킬수록 전류정격이 감소한다. 변압기의 주 회로측 권선에는 다이오드정류기 출력의 작은 리플전압이 걸리므로 턴비 n = 5 를 사용하더라도 스위치 전류의 최대값은 0.184I_0 로 매우 작아진다.
제안하는 영상고조파 주입다이오드 정류기
IGBT Vpeak / V_LL 1.400
Ipeak / I_0 0.824 / n
Irms / I_0 0.346 / n
변압기 Tr1 Vrms / V_LL 0.168
Irms / I_0 0.891
VA(%) / V_LL isa 8.587
zigzag 변압기 Vrms / V_LL 0.334
Irms / I_0 0.317
VA(%) / V_LL isa 24.15
한편, 변압기 VA(%)용량은 다음 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Vrms
Irms
는 각 권선의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이며,
Isa
는 입력전류의 실효값이다. 변압기 Tr1과 Tr2의 주 회로측 권선에는 다이오드 정류기의 출력 리플전압과 직류링크전압의 차가 걸려서 전압정격은 0.168로 작기 때문에 변압기 Tr1의 VA용량은 입력용량의 약 8.6%이다. 그리고 zigzag 변압기의 VA용량은 입력용량의 24.15%로 된다.
위 발명을 증명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3kVA급으로 실험을 해보았다. 실험에서 사용한 정수는 다음과 같다.
입력선간전압= 70V
변압기 Tr1, Tr2의 권선비 n = 1
직류커패시터 Cp,Cq = 3300uF
필터 인덕터= 8mH
출력전류= 2A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파형(1A/div, 2ms/div, 100Hz/div)을 나타낸다. 도5와 같은 지령전류에 의해 발생된 단상인버터의 인덕터 전류를 도7의 가.와 나.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전류는 도7의 다., 라.와 같이 변압기 Tr1과 Tr2에 의해서 부하전류와 더해져서 다이오드 정류기 상측과 하측으로 주입된다. 이 전류의 교류 성분은 커패시터로 흐르고 직류성분은 부하측으로 흐른다. 도 7의 마.는 주입전류로서 zigzag 변압기에 의해서 각 상에 주입된다. 도 7의 바.는 다이오드 정류기의 입력전류를 나타낸다. 도 7의 사.는 입력전류를 나타내는데, THD3.02%로 거의 정현파가 된다.
본 발명을 사용하면 기존의 능력전력필터에 비해 인버터의 구성이 간단하고 용량이 작을뿐더러 기존의 전류주입에 의한 고조파 저감방식에 비해 더욱 순수한 정현파를 얻을 수 있게된다.
본 발명의 방식으로는 주 전력의 흐름에 스위칭소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 전력손실이 적다. 또한 보조회로에서 사용한 변압기의 권수비 n을 증가시키므로서 인버터의 전류용량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1)

  1.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 저감 방식
KR1020020032661A 2002-06-11 2002-06-11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KR20030095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661A KR20030095130A (ko) 2002-06-11 2002-06-11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661A KR20030095130A (ko) 2002-06-11 2002-06-11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130A true KR20030095130A (ko) 2003-12-18

Family

ID=3238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661A KR20030095130A (ko) 2002-06-11 2002-06-11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51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2841A (zh) * 2014-12-02 2015-02-18 中国矿业大学 一种18脉波整流系统谐波抑制系统及方法
CN105162350A (zh) * 2015-08-03 2015-12-16 中南大学 一种高效率宽负载范围的三相微逆变器及其控制方法
CN113300619A (zh) * 2021-05-31 2021-08-24 哈尔滨工程大学 带辅助无源脉波倍增电路的串联型24脉波整流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024A (ja) * 1987-12-02 1989-06-09 Toyo Electric Mfg Co Ltd 高調波補償装置
US5345375A (en) * 1991-12-16 1994-09-0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harmonic currents by current injection
US5499178A (en) * 1991-12-16 1996-03-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ystem for reducing harmonics by harmonic current injection
KR19990036603U (ko) * 1998-02-25 1999-09-27 이종수 다이오드 정류회로의 고조파 저감장치
KR20020021740A (ko) * 2000-09-16 2002-03-22 이종수 직렬 연결형 다이오드 정류기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8024A (ja) * 1987-12-02 1989-06-09 Toyo Electric Mfg Co Ltd 高調波補償装置
US5345375A (en) * 1991-12-16 1994-09-0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harmonic currents by current injection
US5499178A (en) * 1991-12-16 1996-03-1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ystem for reducing harmonics by harmonic current injection
KR19990036603U (ko) * 1998-02-25 1999-09-27 이종수 다이오드 정류회로의 고조파 저감장치
KR20020021740A (ko) * 2000-09-16 2002-03-22 이종수 직렬 연결형 다이오드 정류기 회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62841A (zh) * 2014-12-02 2015-02-18 中国矿业大学 一种18脉波整流系统谐波抑制系统及方法
CN105162350A (zh) * 2015-08-03 2015-12-16 中南大学 一种高效率宽负载范围的三相微逆变器及其控制方法
CN113300619A (zh) * 2021-05-31 2021-08-24 哈尔滨工程大学 带辅助无源脉波倍增电路的串联型24脉波整流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6855A (en) Harmonic correction of 3-phase rectifiers and converters
Suryawanshi et al. Unity-power-factor operation of three-phase AC–DC soft switched converter based on boost active clamp topology in modular approach
Peng et al. Z-source inverter for adjustable speed drives
Ertl et al. A constant output current three-phase diode bridge rectifier employing a novel" Electronic Smoothing Inductor"
US9871462B2 (en) Regenerative variable frequency drive with auxiliary power supply
Peng Z-source inverter for motor drives
JP3393617B2 (ja) 三相正弦波入力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Siwakoti et al. Power electronics converters—An overview
Silva Component-minimized voltage sag compensators
Rabkowski The bidirectional Z-source inverter for energy storage application
Choi et al. A new three-phase harmonic-free rectification scheme based on zero-sequence current injection
Lee et al. Design of a GAN totem-pole PFC converter using DC-link voltage control strategy for data center applications
KR20030095130A (ko) 새로운 영상전류 주입법에 의한 다이오드 정류기의 고조파저감방식
Wijekoon et al. Implementation of a hybrid AC/AC direct power converter with unity voltage transfer ratio
JP3509495B2 (ja) 整流回路
Baharom et al. A high power factor three-phase AC-DC current injection hybrid resonant converter
Das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Z–source inverter based ASD system with reduced harmonics
Ohnuma et al. Novel control strategy for single-phase to three-phase power converter using an active buffer
Park et al. Development of a high performance single-phase voltage regulator composed of 3 arms bridge
JP4939819B2 (ja) 三相整流装置
Liu et al. 6 kV/1800 kVA medium voltage drive with three-level NPC inverter using IGCTs
Pahariya et al. Control Strategy of SRM Converters for Power Quality Improvement
JPH03277180A (ja) 電圧形インバータ
Lopatkin et al. Inverter Asynchronous Electric Drive System with PAM and PWM Control
CN212305166U (zh) 使用直流侧混合谐波抑制方法的串联型48脉波整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