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120A -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120A
KR19980079120A KR1019970016795A KR19970016795A KR19980079120A KR 19980079120 A KR19980079120 A KR 19980079120A KR 1019970016795 A KR1019970016795 A KR 1019970016795A KR 19970016795 A KR19970016795 A KR 19970016795A KR 19980079120 A KR19980079120 A KR 19980079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flange member
guide roller
upper flange
roll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도영
신현성
김영철
조영호
이관규
최형석
이현호
이종찬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9120A/ko
Publication of KR19980079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120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더의 폴베이스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는 지지축에 압입되는 상측플렌지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홈과 지지축과의 사이에 지지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부품의 허용오차에 의해 상측플렌지부재와 지지축간의 압입고정력이 다소 약화되더라도, 상측플렌지부재와 지지축과의 사이에는 접촉부에 의해 증대된 접촉면적에 비례하여 충분한 마찰력이 확보되어, 상측플렌지부재가 지지축으로부터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본 발명은 테이프레코더의 폴베이스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레코더의 데크에는 테이프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헤드드럼에 감아붙이는 테이프로딩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로딩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드럼(20)이 설치된 데크(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베이스(20)와, 이 폴베이스(20)에 결합되는 가이드롤러 조립체(40)를 구비하고 있다. 괄호 내의 참조부호 50은 본 발명의 가이드롤러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하여 부여해둔 부호이다.
가이드롤러 조립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41)에 압입고정된 상측플렌지부재(43) 및 하측플렌지부재(44)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지지축(4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플렌지부재들(43,44) 사이에 위치된 가이드롤러(42)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롤러 조립체(40)가 폴베이스(4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롤러(42)는 테이프(1)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테이프(1)의 주행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테이프(1)의 주행경로에 맞추어 가이드롤러(42)의 높이(가이드롤러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지지축(41)은 그 지지축(41)에 고정된 나사부재(45)를 통해 폴베이스(30)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지지축(41)을 회전시키게 되면 그 회전방향에 따라 지지축(41)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롤러(42)의 높이가 조절된다. 지지축(41)을 회전시키기 위하여는 그 지지축(41)에 압입고정된 상측플렌지부재(43)를 회전시키면 되며, 그 상측플렌지부재(43)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회전용 공구(9)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도 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복수의 홈(431)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측플렌지부재와 지지축의 접촉면적은 상기 홈들로 인하여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부품의 허용오차에 의해 상측플렌지부재와 지지축간의 압입고정력이 다소 약화되게 되면, 상측플렌지부재가 지지축에 압입된 상태에서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그 지지축으로부터 쉽게 빠지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축과 상측플렌지부재와의 압입시에 접촉면적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상측플렌지부재의 구조가 개선된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테이프레코더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종래 가이드롤러 조립체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측플렌지부재 부위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 조립체를 보이는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측플렌지부재 부위의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폴베이스 50...가이드롤러 조립체
51...지지축 52...가이드롤러
53...상측플렌지부재 531...홈
532...접촉부 54...하측플렌지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는, 테이프레코더의 폴베이스에 설치되어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폴베이스에 나사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외주면에 상기 테이프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압입고정되는 상측플렌지부재 및 하측플렌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플렌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렌지부재에는, 상기 각 홈의 상기 지지축에 인접된 부위와 그 지지축과의 사이에 지지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롤러 조립체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상측플렌지부재 부위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상기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 조립체(50)는 지지축(51)과, 테이프(1)의 외주면에 접촉되며 지지축(5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롤러(52)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롤러 조립체(50)는 또한 지지축(51)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상측플렌지부재(53)와 하측플렌지부재(54) 및 나사부재(55)를 구비하고 있다. 상측플렌지부재(53)와 하측플렌지부재(54)는 가이드롤러(52)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여 가이드롤러(52)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높이를 한정하며 또한 가이드롤러(52)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주행되는 테이프(1)의 상하유동폭을 한정하게 된다. 지지축(51)은 상기 나사부재(55)를 통해 폴베이스(50)에 나사결합되는데, 그 나사결합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지지축(51)에 압입고정된 상측플렌지부재(53)의 상면에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회전용공구가 삽입되는 홈(531)이 복수개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측플렌지부재(53)에는, 상기 각 홈(531)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51)에 인접된 부위와 그 지지축(51)과의 사이에 접촉부(53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촉부(532)는 지지축(51)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이드롤러 조립체(50)에 있어서, 테이프의 로딩시에 테이프카세트로부터 테이프(1)를 인출하여 헤드드럼(20)에 감아붙이고 테이프(1)의 주행시에 그 주행을 가이드하는 점과 지지축(51)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롤러(52)의 높이가 조절되는 점은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가이드롤러 조립체(40)에 있어서와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롤러 조립체(50)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측플렌지부재(53)에는 각 홈(531)과 지지축(31)과의 사이에 그 지지축(51)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접촉부(53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그만큼 상측플렌지부재(53)와 지지축과(51)의 접촉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측플렌지부재(53)의 내경의 허용오차 및 지지축이 외경의 허용오차에 의해 상측플렌지부재(53)와 지지축(51)간의 압입고정력이 다소 약화되더라도, 상측플렌지부재(53)와 지지축(51)과의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대된 접촉면적에 비례하는 마찰력이 확보되므로 상측플렌지부재(53)가 지지축(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측플렌지부재(53)에 4개의 홈(532)이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예를 들어 상측플렌지부재의 상면에 2개의 홈이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는 지지축에 압입되는 상측플렌지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홈과 지지축과의 사이에 지지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부품의 허용오차에 의해 상측플렌지부재와 지지축간의 압입고정력이 다소 약화되더라도, 상측플렌지부재와 지지축과의 사이에는 접촉부에 의해 증대된 접촉면적에 비례하여 충분한 마찰력이 확보되어, 상측플렌지부재가 지지축으로부터 작은 외력에 의해서도 쉽게 이탈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Claims (1)

  1. 테이프레코더의 폴베이스에 설치되어 테이프의 주행을 가이드하는 것으로, 상기 폴베이스에 나사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외주면에 상기 테이프가 접촉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상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축에 압입고정되는 상측플렌지부재 및 하측플렌지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측플렌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상측플렌지부재에는, 상기 각 홈의 상기 지지축에 인접된 부위와 그 지지축과의 사이에 지지축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KR1019970016795A 1997-04-30 1997-04-30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KR19980079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795A KR19980079120A (ko) 1997-04-30 1997-04-30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795A KR19980079120A (ko) 1997-04-30 1997-04-30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120A true KR19980079120A (ko) 1998-11-25

Family

ID=65989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795A KR19980079120A (ko) 1997-04-30 1997-04-30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912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188B1 (ko) 스핀들 축용 베어링 구조
KR100333593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자동조심장치
KR018109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19980079120A (ko)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롤러 조립체
KR970001838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테이프 가이드 롤러
KR018109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200236176Y1 (ko) 캡스턴 샤프트 고정장치
KR10031666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폴베이스 조립체
US5769356A (en) Tape guide structure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KR20015201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 롤러 조립체
JP2618043B2 (ja) 磁気テープ装置
JP2522503Y2 (ja) Vtr用テ−プガイドロ−ラ装置
JPS6040994Y2 (ja) テ−プ案内装置
KR200159910Y1 (ko) 브이씨알용 헤드 드럼 조립체의 와셔 지지구조
JPH0329150A (ja) テープ速度検出装置
JPS5847565Y2 (ja) テ−プガイド装置
KR200339958Y1 (ko) 테이프레코더의암텐션조립체
KR0133185Y1 (ko) 헤드 드럼의 벌지구조
KR0119121Y1 (ko) 비디오 카세트의 리프스프링
KR200146660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트러스트베어링
KR950007758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 주행 안내 로울러구조
JPS61196457A (ja) 回転ヘツドアセンブリ
KR0174458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200187149Y1 (ko) 테이프레코더의 릴테이블 조립체
KR0133879Y1 (ko) 기록/재생장치의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