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885A - Dedicated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device - Google Patents

Dedicated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885A
KR19980078885A KR1019970016516A KR19970016516A KR19980078885A KR 19980078885 A KR19980078885 A KR 19980078885A KR 1019970016516 A KR1019970016516 A KR 1019970016516A KR 19970016516 A KR19970016516 A KR 19970016516A KR 19980078885 A KR19980078885 A KR 1998007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issuing
issuing device
board
horizontal support
dedicated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5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27498B1 (en
Inventor
전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1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498B1/en
Publication of KR1998007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4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 G07B5/0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for, ticket-issuing machines for avoiding incorrect action of the mach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의 단위장치인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전용시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dicated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a ticket issuing device (TIU), which is a unit of the AFC system equipment.

이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방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수리를 위하여 그 이상여부를 시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승차권발행장치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승차권발행장치의 제어보드와 PNL보드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보드받침수단과; 표면에 상기 TIU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일단에 형성되고 이와 병렬로 다른 일단에 보드받침수단이 형성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가 지면에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하며, 수평지지대 상에 놓이는 장치들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상기 수평지지대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다리와; 외부의 교류전원을 변환하여 승차권발행장치의 제어보드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edicated test apparatus for the ticket issuing device relates to a device for testing whether or not the ticket issuing device is repaired or more, comprising: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cket issuing device frame; Board support means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control board and the PNL boar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 horizontal support formed of a shelf hav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U frame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board support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end thereof in parallel thereto; A plurality of legs such that the horizontal support ha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has strength sufficient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s placed on the horizontal support, and which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the DC power required to convert the external AC power to the control boar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승차권발행장치의 각 구성부분들을 한눈에 바라보며 이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그 기능의 점검 및 수리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component part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can be seen at a glanc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t is easy to check the function and repair work.

Description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 및 방법Dedicated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device

본 발명은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전용시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승차권발행장치의 내부 단위장치들을 한눈에 바라보며 이상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dicated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a ticket issuing device (TIU), which is a station automation system (AFC) system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a ticket for diagnosing abnormalities while looking at the internal unit devices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t a glance. It relates to a dedicated test device for the issuing device.

일반적으로 많은 이용자를 처리해야 하는 지하철에는 매표, 개찰, 집찰, 정선 등의 역무가 모두 무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이 구축되어 다수의 승객을 신속히 처리하고 있다. 역무자동화 시스템은 개,집표기와 보통권발매기, 정액권발매기, 요금정산기 그리고 자동발권기 및 이 밖의 여러 장비들로 구성되고 있다. 이들 중 승차권의 발행과 관련되는 여러가지 발매기나 정산기 그리고 발권기 등을 구성하는 단위장치에는 반드시 승차권발행장치(TIU)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이 승차권발행장치는 입력된 발권정보에 따라 소정 정보, 예컨대 구입장소, 구입일시, 구간정보 등을 인쇄하고 자기바코드에 소정정보를 기록하여 이용자에게 승차권을 발생하는 단위장치이다.In general, the subway, which has to deal with a large number of users, is equipped with an AFC system that allows all the tasks such as ticketing, ticketing, bidding, and electoral service to be done unattended. The automated service system consists of a dog, ticket vending machine, ordinary ticket machine, fixed price ticket machine, fare checker and automatic ticket machine and many other equipment. Among these, the unit device constituting various ticket vending machines, payment machines, ticketing machines, etc. related to issuance of a ticket must include a ticket issuing device (TIU). The ticket issuing device is a unit device that prints predetermined information, such as a place of purchase, a date and time of purchase, section information, etc. in accordance with the entered ticketing information, and records predetermined information in its own barcode to generate a ticket for the user.

도 1에 일반적은 승차권발행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나 있지 않는 면은 도 2에서 나타나고 있다. 도 2는 일반적은 승차권발행장치의 기계적인 구성의 배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A general ticket issuing apparatus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Surfaces not shown in FIG. 1 are shown in FIG. 2. 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a general ticket issuing devic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은 승차권발행장치(TIU)는 전체형태를 규정하고 부품을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TIU틀(30)과, 이 TIU틀(30)의 한쪽 옆에 돌출된 승차권발행장치(40)와, 이에 대항하는 면에 설치되어 내장된 자체 시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체시험조작키(22) 및 7선분표시장치(24)와, 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보드(TQS)(10)와, 상기 자체시험조작키(22)와 7선분표시장치(24)를 고정하고 제어하는 PNL보드(20)를 포함한다. 이 밖에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지구동부(52), 급송부(54), 절단부(56), 인쇄부(58), 자기기록부(62) 및 판독부(64) 그리고 반송부(66) 등을 구비하여 소정정보를 인쇄하고 자기바코드에 자기기록을 기록한 승차권을 방출하기 위한 기계적인 각부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ticket issuing device (TIU) is a TIU frame 30 that defines the overall form and mechanically supports a part, and a ticket issuing device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TIU frame 30. (40), a self test operation key 22 and a 7-line display device 24 installed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uilt-in self test, and a control board (TQS) for controlling each part (10). And a PNL board 20 for fixing and controlling the self-test operation key 22 and the seven-line display device 24.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roll paper driving unit 52, the feeding unit 54, the cutting unit 56, the printing unit 58, the magnetic recording unit 62, the reading unit 64, and the conveying unit 66. And a mechanical part for printing a predetermined information and releasing a ticket having recorded a magnetic record on a magnetic barcode.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승차권발행장치에 있어서, 이상유무를 점검하는 경우에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는 자체시험조작키(22)를 조작하여 PNL보드(20) 내장된 시험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그 결과로서 7선분표시장치(24)에 표시되는 기호를 읽어 승차권발행장치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였다. 즉, 승차권발행장치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고자 하는 작업자는 예컨대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3개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키(22)를 차례로 조작하여 점검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도록 명령한다. 이 명령은 PNL보드(20)에 입력되고 이 PNL보드(20)는 해당 기능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알려주도록 하는 신호를 승차권발행장치제어보드(TQS)(10)에 송출한다.Conventionally, in the ticket issu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checking for abnormality, the self-test operation key 22 provided at one en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is operated to drive the test program embedded in the PNL board 20. As a result, the sign displayed on the seven-line display device 24 was read to check for abnormality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hat is, the operator who wants to check the abnormality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instructs the operator to perform a test for the function to be checked by sequentially operating the operation keys 22 composed of three switches as shown, for example. This command is input to the PNL board 20 and the PNL board 20 sends a signal to the ticket issuing device control board (TQS) 10 to check the function and inform the result.

통상적인 승차권발행장치의 연결상태가 도 3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다. PNL보드(20)와 TQS보드(10)는 데이터버스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신호를 수신한 TQS보드(10)는 해당 기능, 예컨대 인쇄부(58)의 부품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제어선(14)을 통하여 구동하여 점검하고 그 결과를 PNL(20)에 송출한다. PNL(20)은 이 결과를 7선분표시장치(24)를 통하여 작업자에게 표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작업자는 해당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아니면 구성부품에 문제가 일어났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The connection state of a conventional ticket issuing device is shown by FIG. The PNL board 20 and the TQS board 10 are connected by a data bus, and the TQS board 10 having received this signal controls whether the corresponding function, for example, a part of the printing unit 58, operates properly. Drive through to check and send the result to the PNL (20). The PNL 20 displays this result to the worker through the seven-segment display device 24. This allows the operator to get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function is working properly or whether a component has a problem.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점검방법에 있어서는, 별도의 전용수리장치가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롭고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승차권발행장치의 자체시험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점검하였다 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각 부품을 뜯어내어 일일이 점검하고 수리하여야 했다. 또한 자체시험프로그램은 승차권발행장치의 특정 기능의 이상유무를 손쉽게 점검할 수는 있었으나, 하드웨어적인 수리를 위한 것은 아니라는 제한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spe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is cumbersome and complicated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dedicated repair apparatus. That is, even if the inspection was carried out by executing the self-test program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in the event of a problem, each part had to be removed and inspected and repaired. In addition, the self-test program could easily check for the abnormality of a specific function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but it was not intended for hardware repair.

따라서, 본 발명은 수리하고자 하는 승차권발행장치를 해체하여 점검하기 쉽도록 배치할 수 있어 시험 및 수리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dicated test apparatus and method for a ticket issuing device that can be easily dismantled and inspected for the ticket issuing device to be repaired.

도 1은 일반적은 승차권발행장치(TIU)의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ticket issuing device (TIU).

도 2는 일반적인 TIU의 기계적인 구동부를 예시하고 있는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chanical drive of a typical TIU.

도 3은 일반적인 TIU를 구성하는 각부의 연결상태를 도식적으로 예시하고 있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each part constituting a general TIU.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dicated test apparatus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를 사용하는 모습을 도식적으로 예시하는 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appearance of us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방법의 일실시예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process of one embodiment of a dedicated test metho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TIU제어보드(TQS)12 : 전원선 및 통신선10: TIU control board (TQS) 12: power line and communication line

14 : 제어선20 : PNL보드14: control line 20: PNL board

22 : 자체시험조작키24 : 7선분표시장치22: Self test operation key 24: 7-segment display device

30 : TIU틀40 : 승차권방출부30: TIU frame 40: ticket release unit

52 : 롤지구동부54 : 급송부52: roll paper driving unit 54: feeding unit

56 : 절단부58 : 인쇄부56: cutting portion 58: printing portion

62 : 자기기록부64 : 기록판독부62: magnetic recording unit 64: recording reading unit

66 : 반송부100, 200 : TIU 전용시험장치66: transfer unit 100, 200: TIU dedicated test device

110 : 홈112 : 잠금장치110: groove 112: locking device

120 : 보드받침130 : 전원공급장치120: board support 130: power supply

140 : 다리150 : 수평지지대140: leg 150: horizontal support

210 : 고정부재220 : 보드받침돌기210: fixing member 220: board support protrus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수리를 위하여 그 이상여부를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 승차권발행장치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승차권발행장치의 제어보드(TQS보드)와 PNL보드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보드받침수단과; 표면에 상기 TIU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일단에 형성되고 이와 병렬로 다른 일단에 보드받침수단이 형성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가 지면에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하며, 수평지지대 상에 놓이는 장치들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상기 수평지지대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다리와; 외부의 교류전원을 변환하여 승차권발행장치의 제어보드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testing whether or not for the repair of a ticket issuing device (TIU) that is a station automation system (AFC) system equipment, compris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cket issuing frame; Board support means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control board (TQS board) and the PNL boar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 horizontal support formed of a shelf hav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U frame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board support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end thereof in parallel thereto; A plurality of legs such that the horizontal support ha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nd has strength sufficient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s placed on the horizontal support, and which is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rizontal support; Provides a dedicated test device for a ticket issu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converting the external AC power to supply the DC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 boar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수평지지대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은, 수평지지대에 형성되는 소정형태의 홈과 이 홈에 배치되는 TIU틀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홈의 일단에 형성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수평지지대에 복수개의 돌출된 고정부재가 소정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for the ticket issuing device to b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xing means formed on the horizontal support is a groove of a predetermined form formed in the horizontal support and TIU frame disposed in the groove The locking devic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groove to be fixed, or a plurality of protruding fixing members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a horizontal support.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는,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수평지지대에 형성되는 보드받침수단은, 수평지지대에 복수개의 돌출된 고무재질의 보드받침돌기가 소정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수평지지대에 복수개의 돌출된 돌기가 소정형태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o b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oard support means formed on the horizontal support, a plurality of rubber board suppor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horizontal support in a predetermined form It may be formed, or may be made by attaching a plate of a rubber material formed in a predetermined form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jections on the horizontal support.

또한 본 발명은,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수리를 위하여, 고정수단, 보드받침수단, 그리고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전용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용시험장치의 고정수단에 승차권발행장치를 고정, 배치하는 단계와; 승차권발행장치의 TQS보드와 PNL보드를 분리하여 상기 전용시험장치의 보드받침수단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TQS보드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승차권발행장치의 자체시험조작키를 조작하여 임의의 기능에 대한 시험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및 승차권발행장치의 7선분표시장치에 나타난 표시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것이 나타난 경우에는 해당 문제점에 대응하는 수리를 실시하고,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기능을 시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repair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IU), which is a station automation system (AFC) system equipment, using a dedicated test device having a fixing means, a board support means, and a power supply device dedicated test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 method, comprising: fixing and arranging a ticket issuing device to a fixing means of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Separating the TQS board and the PNL boar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nd placing them on the board support means of the dedicated test device; Supplying power to the TQS board; Operating a self test operation key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o input a command instructing to perform a test for any function; And performing a repair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when the abnormality is displayed from the display shown on the seven-segment display device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nd when the abnormality does not occur, testing the following function. Provide a dedicated test method for a ticket issuing syste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와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의 일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용시험장치의 일실시예(100)는 고정수단으로 홈(110)과 잠금장치(112), 보드받침수단으로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고무재질의 판(120), 고정수단과 보드받침수단이 형성되는 수평지지대(150), 복수개의 다리(140), 그리고 전원공급장치(130)로 구성되어 있다.4 and 5 illustrate one embodiment of a dedicated test apparatus for a ticket issu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one embodiment of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of rubber material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in the groove 110 and the locking device 112, the board support means as a fixing means 120, the horizontal support 150 is formed with the fixing means and the board support means, a plurality of legs 140, and the power supply 130 is composed of.

상기 홈(110)과 잠금장치(11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승차권발행장치를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승차권발행장치틀(30)의 크기에 맞추어서 제작되어야만 한다. 홈(110)의 깊이는 얕아도 되며 단지 승차권발행장치가 밀려나거나 하지만 않으면 된다. 이러한 고정수단에 의하여 승차권발행장치(TIU)의 밑면이 상기 홈(110)에 끼워져셔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되며 상기 잠금장치(112)는 홈(110)에 끼워지는 승차권발행장치틀(30)이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The groove 110 and the locking device 112 should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frame 30 so that the ticket issuing device as shown in FIG. The depth of the groove 110 may be shallow, but only if the ticket issuing device is pushed out. The lower surface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IU)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so as not to be shaken by the groove 110, and the locking device 112 is fixed so that the ticket issuing device frame 30 fitted into the groove 110 is fixed. It serves as an assistant.

이 고정수단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고정부재(210)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승차권발행장치틀(30)의 네 개의 아래 모서리에 맞추어져 상기 틀(3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부재(210)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에 한하지 않으며, 그 높이나 폭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The fixing means may be formed of a fixing member 210 as shown in FIG. That is, it may be formed by fitting the four lower edges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frame 30 so that the frame 30 can be fitted and fixed. The fixing member 210 of this type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5,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height and width thereof.

상기 보드받침수단(120)은 그 위에 배치되는 PNL보드(20)나 TQS보드(10)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소자나 칩 등이 다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드러운 고무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치되는 보드(10, 20)의 형태에 따라 적당한 돌출부위가 형성됨으로써 보드상에 장착되어 있는 소자들이 보호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ard support means 120 serves to protect various devices or chips mounted on the PNL board 20 or the TQS board 10 disposed thereon from being injur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made of a soft rubber material, it is desirable to ensure a space in which the elements mounted on the board can be protected by forming an appropriate protrus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ard (10, 20) is arranged.

상기 전원공급장치(130)는 외부전원, 예컨대 AC 220V를 공급받아 승차권발행장치가 필요로 하는 형태의 전원 예컨대 DC 5V, 24V로 변환하여 TQS(10)로 개공한다. 따라서, 전원공급장치(130)는 외부입력단자 TQS보드(10)로의 공급단자를 구비하며, 또한 변환기를 포함한다. 이 전원공급장치(130)는 TQS보드(10)가 높여지는 쪽으로 상기 수평지지대(150)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device 13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example, AC 220V, and converts the power supply into a form of power required by the ticket issuing device, such as DC 5V and 24V, and opens the TQS 10. Thus, the power supply device 130 has a supply terminal to the external input terminal TQS board 10, and also includes a converter. The power supply device 13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rizontal support 150 toward the TQS board 10 is raised.

복수개의 다리(1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수평지지대(150)는 고정수단 및 받침수단이 그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며, 크기는 승차권발행장치의 크기와 비슷한 직사각형의 평판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horizontal support 150 i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legs 140, the fixing means and the supporting means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power supply is provided at the bottom, the size is a rectangular flat plate similar to the size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It is preferable.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의 다른 일실시예가 (200)에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제어보드(10, 20)가 분리되어 배치된 모습이 예시되어 있다. 이 전용시험장치(200)는 대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100)와 동일하며 다만, 고정수단이 복수개의 고정부재(210)로 이루어지며, 보드받침수단이 수평지지대(150)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무재질의 돌기(220)로 이루어지는 것이 다르다.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for the ticke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trol boards 10 and 20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IU)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is dedicated test apparatus 200 is gener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100 a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fixing mean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210, the board support means is form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50 Wha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ubber protrusions 220 is different.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점검이 필요한 승차권발행장치(TIU)를 고정수단(210)에 고정한 후, TQS보드(10)와 PNL보드(20)를 분리하여 보드받침수단(220)에 배치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작업자는 승차권발행장치에 내장된 자체시험프로그램을 구동하면서 문제가 발생되는 부품을 수리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5, the operator fixes the ticket issuing device (TIU) that needs to be inspected to the fixing means 210, and then separates the TQS board 10 and the PNL board 20 to support the board. Will be placed in. In this situation, the operator runs a self-test program built in the ticket issuing device and repairs the troubled part.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전용시험방법이 진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용시험장치(100)의 고정수단(110)에 승차권발행장치를 고정, 배치한다(T1단계). 승차권발행장치의 외형을 규정하는 승차권발행장치틀(30)의 밑부분을 고정하는 것으로 고정, 배치작업은 완료된다. 이때, 승차권발행장치의 양면 중 제어보드(10)가 달려 있는 면이 보드받침수단(120)이 있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승차권발행장치의 TQS보드(10)와 PNL보드(20)를 분리하여 상기 전용시험장치(100)의 보드받침수단(120)에 배치한다(T2단계). 각 보드(10, 20)는 나사 등으로 승차권발행장치틀(30)의 내부격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분리시에는 이러한 고정나사를 풀어 보드받침수단에 놓으면 된다. 보드받침수단은 각 보드상에 장착되어 있는 소자들이나 칩이 돌출되어 있는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이때 각 보드는 승차권발행장치의 각 구성부와 연결되는 제어선(14) 등이 연결된 상태 그대로이다. 각 보드의 분리배치가 완료되면 승차권발행장치 제어보드(10)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선(12)을 전원공급장치(130)에 연결된다. 이 전원공급장치(130)에서는 예컨대 DC 5V, 24V 등과 같이 승차권발행장치가 구동되는데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것으로써, 승차권발행장치의 시험과 수리를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6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 of the dedicated test metho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IU)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operator fixes and arranges the ticket issuing device to the fixing means 110 of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4 (T1 step). The fixing and arranging work is completed by fixing the bottom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frame 30 which defines the appearance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t this time, the surface on which the control board 10 rests on both sides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ard support means 120 is located. Then, the TQS board 10 and the PNL board 20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re separated and placed on the board support means 120 of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100 (T2 step). Each board (10, 20) is fixed to the inner plate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frame 30 with a screw or the like, so when removing it, you can loosen these fixing screws and put them on the board support means. The board support means secures a space for protecting the elements or chips protruding from the boards. At this time, each board is left as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line 14 and the like connected to each component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When the separate arrangement of each board is completed, the power supply line 12 connected to the ticket issuing device control board 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device 130. The power supply device 130 supplies power required for driving the ticket issuing device such as DC 5V, 24V, and the like. This completes the preparation for testing and repairing the ticket issuing device.

이와 같이 시험준비가 완료된 후, 승차권발행장치의 자체시험조작키(22)를 조작하여 임의의 기능에 대한 시험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입력한다(T4). 자체시험조작키(22)로부터 입력된 명령은 PNL보드(20)를 거쳐 TQS보드(10)로 제공되고 TQS보드(10)는 해당 기능을 가진 구성부, 예컨대 인쇄부(58)을 점검하고 그 결과를 PNL보드(20)로 송출한다. PNL보드(20)는 이 점검결과를 7선분표시장치(24)로 표시한다. 이렇게 점검결과가 표시되어 작업자는 해당 기능을 가진 부품에 이상이 생겼는지 아닌지를 인지하게 된다(T5단계).After the test preparation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a command for instructing to perform a test for any function is input by operating the self-test operation key 22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4). The command input from the self test operation key 22 is provided to the TQS board 10 via the PNL board 20, and the TQS board 10 checks a component having a corresponding function, such as a printing unit 58, The result is sent to the PNL board 20. The PNL board 20 displays this check result by the 7-line display device 24. In this way, the inspection result is displayed and the operator recognizes whether or not a problem occurs in the part hav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step T5).

임의의 기능에 대한 점검결과가 표시된 경우,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을 때에는 다른 기능을 시험하는 단계로 넘어가며, 이상이 발견된 경우에는 작업자는 오실스코프나 테스터기와 같은 별도의 점검 및 수리장치를 사용하여 해당 부품을 정밀진단하여 적절한 수리조치를 취하게 된다(T6단계). 이렇게 하여 작업자는 소망하는 기능을 점검하면서 해당 부품을 수리할 수 있어 이상유무의 파악과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If a result of any function is displayed, if no abnormality is found, the test proceeds to another function. If an abnormality is found, the operator may use a separate inspection and repair device such as an oscilloscope or tester. The parts are precisely diagnosed and appropriate repairs taken (step T6). In this way, the operator can repair the corresponding parts while checking the desired function, thereby making it easier to identify and repair the abnormalit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승차권발행장치의 각 단위장치들을 해체한 후 검사자가 일일이 각각의 장치들을 점검하여야 했던 것에 비하여, 수리하고자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각 기능을 자체 점검하는 동시에 문제가 발생하는 부위를 수리할 수 있도록 승차권발행장치의 각 제어보드를 분리 배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험및 수리작업이 번거롭지 않으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for the ticket issu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disassembling each unit of the conventional ticket issuing device, the inspector must check each device individually, and issue a ticket to be repaired. Each control boar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can be separately arranged so that each function of the device can be repaired at the same time, and the problem area can be repaired. There is.

본 발명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invention can be modified and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know.

Claims (6)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수리를 위하여 그 이상여부를 시험하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device for testing whether or not to repair the ticket issuing device (TIU), which is a station automation system (AFC) system equipment, 승차권발행장치틀(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과;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cket issuing device frame 30; 승차권발행장치의 제어보드(10)와 PNL보드(20)를 보호하고 지지하는 보드받침수단과;Board support means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control board 10 and the PNL board 20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표면에 상기 TIU틀(30)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일단에 형성되고 이와 병렬로 다른 일단에 보드받침수단이 형성되는 선반으로 이루어지는 수평지지대(150)와;A horizontal support 150 formed of a shelf hav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TIU frame 30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board support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end thereof in parallel thereto; 상기 수평지지대(150)가 지면에서부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하며, 수평지지대 상에 놓이는 장치들의 중량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상기 수평지지대(150)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수단(140)과;The horizontal support 150 ha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has a strength sufficient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evices placed on the horizontal support, the support means 140 is formed vertically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150 and; 외부의 교류전원을 변환하여 승차권발행장치의 제어보드(10)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3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장치.A dedicated test apparatus for a ticket issuing device, comprising: a power supply device 130 for converting an external AC power to supply a DC power required for the control board 10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0)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은, 수평지지대(150)에 형성되는 소정형태의 홈(110)과 이 홈(110)에 배치되는 TIU틀(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홈(110)의 일단에 형성되는 잠금장치(11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시험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form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50, the groove 110 of the predetermined shape formed in the horizontal support 150 and the TIU frame 30 disposed in the groove 110 is fixed Dedicated te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ocking device 112 is formed on one end of the groove 110 to 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0)에 형성되는 고정수단은, 수평지지대(150)에 복수개의 돌출된 고정부재(210)가 소정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시험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ans form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50, the dedicated tes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truding fixing member 21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horizontal support (1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0)에 형성되는 보드받침수단은, 수평지지대(150)에 복수개의 돌출된 고무재질의 보드받침돌기(210)가 소정형태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시험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ard support means form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50, a plurality of protruding rubber support board 21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hape on the horizontal support 150 Dedicated tes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50)에 형성되는 보드받침수단은, 수평지지대(150)에 복수개의 돌출된 돌기(210)가 소정형태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판을 부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용시험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ard support means formed on the horizontal support 150, characterized in that the horizontal support 150 is formed by attaching a plate of rubber material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210 in a predetermined form Dedicated test equipment. 역무자동화(AFC) 시스템장비인 승차권발행장치(TIU)의 수리를 위하여, 고정수단(110), 보드받침수단(120), 그리고 전원공급장치(130)를 구비하는 전용시험장치(100)를 사용하여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방법에 있어서,For the repair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IU), which is an AFC system equipment, a dedicated test device 100 having a fixing means 110, a board support means 120, and a power supply device 130 is used. In the dedicated test method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상기 전용시험장치(100)의 고정수단에 승차권발행장치를 고정, 배치하는 단계와;Fixing and arranging a ticket issuing device to the fixing means of the dedicated test apparatus 100; 승차권발행장치의 TQS보드(10)와 PNL보드(20)를 분리하여 상기 전용시험장치(100)의 보드받침수단에 배치하는 단계와;Separating the TQS board (10) and the PNL board (20)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and placing them on the board support means of the dedicated test device (100); 상기 TQS보드(1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Supplying power to the TQS board (10); 승차권발행장치의 자체시험조작키(22)를 조작하여 임의의 기능에 대한 시험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및Operating a self-test operation key 22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to input a command instructing to perform a test for any function; And 승차권발행장치의 7선분표시장치에 나타난 표시로부터 이상이 발생된 것이 나타난 경우에는 해당 문제점에 대응하는 수리를 실시하고, 이상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 기능을 시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발행장치의 전용시험방법.If an abnormality is indicated from the display shown on the seven-line display device of the ticket issuing device, repair is performed corresponding to the problem, and if the abnormality does not occur, the following function is tested. A dedicated test method for a ticket issuing device.
KR1019970016516A 1997-04-30 1997-04-30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machine KR1002274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16A KR100227498B1 (en) 1997-04-30 1997-04-30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516A KR100227498B1 (en) 1997-04-30 1997-04-30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885A true KR19980078885A (en) 1998-11-25
KR100227498B1 KR100227498B1 (en) 1999-11-01

Family

ID=1950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516A KR100227498B1 (en) 1997-04-30 1997-04-30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49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498B1 (en)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008B2 (en) Alternator and starter tester with bar code functionality and method
US4141078A (en) Library circulation control system
US7538571B2 (en) Starter zero current test apparatus and method
US8095339B2 (en) Integrated portable electronics tester
KR100227498B1 (en) Test device and method of ticket issuing machine
Mark Module Description
CN218567539U (en) Keyboard button test machine
KR19980075376A (en) Dedicated Test Equipment and Method of TQM
JPH05298473A (en) Device for testing bar code reader
CN219553221U (en) Display module testing system
KR19980075371A (en) Comprehensive test device and method of ordinary ticket machine and payment machine
JPH0257472B2 (en)
KR19980075375A (en) Device and method for exclusive testing of control panel
KR19980075373A (en) Test device and method exclusively for front panel part of ticket machine
KR19980075377A (en) Dedicated test device and method of automatic ticketing machine
KR19980075374A (en) Dedicated testing device and method of station attendant panel part of ticket machine
KR100271104B1 (en) Tester of semiconductor logic circuit substrate
GB2035646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evenue recording and processing systems and apparatus therefor
KR19980075372A (en) Dedicated Test Equipment and Method of Securities Ticket Machine
JP2006092459A (en) Commodity sales data processor
JPH05111855A (en) Display device for production control
JPS62163967A (en) Apparatus for recording operation state of automatic analyser
JPS60253238A (en) Integrated circuit selecting device
JPH10320029A (en) Restoration confirming method after maintenance work
JPS6089771A (en) Board chec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