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712A -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 Google Patents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712A
KR19980078712A KR1019970016307A KR19970016307A KR19980078712A KR 19980078712 A KR19980078712 A KR 19980078712A KR 1019970016307 A KR1019970016307 A KR 1019970016307A KR 19970016307 A KR19970016307 A KR 19970016307A KR 19980078712 A KR19980078712 A KR 19980078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leaner
filtration efficiency
clean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일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1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8712A/ko
Publication of KR19980078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712A/ko

Links

Landscapes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크리너에 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관로의 급격한 단면적 변화를 방지하므로써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 주는 에어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어 크리너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 물질을 제거해 주는 에어 크리너에 있어서, 에어 크리너의 여과 필터로 유입되는 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유출구를 넓게 형성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 소음 감소를 위하여 보조 파이프가 연결된 에어 유도용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는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 주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본 발명은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크리너에 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에어관로의 급격한 단면적 변화를 방지하므로써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 주는 에어 크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시키는 에어 크리너(air cleaner/ 공기여과장치)는 공기 청정기, 에어필터 또는 에어스트레이너라고도 불리며 엔진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및 이 물질 등을 제거하는 필터로 흡기음을 적게 하는 역할도 하며, 상기 에어 크리너에 내장된 엘리먼트(element/여과필터)에는 종이나 섬유를 이용한 건식과 오일을 사용한 습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건식이지만 설치 장소나 서비스상의 문제 등으로 엘리먼트의 교환이 어려울 경우에 습식이 쓰인다.
이러한 엘리먼트가 내장된 에어 크리너는 엔진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를 여과시킨 후 유입되도록 상기 에어 크리너의 케이스 일측에 흡기덕트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 크리너의 케이스 상부가 덮어지는 커버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이 엔진의 인테이크 매니풀트에 연결 고정되게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에어 크리너는 공기 여과기능 및 소음방지를 위하여 내부에 엘리먼트가 내장되고 일정공간이 구비된 케이스와 커버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및 커버가 상호 결합되게 형성되어 체결요소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 크리너의 전형적인 일예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1에서 부재번호 1은 에어 크리너, 2는 흡기덕트, 3은 엘리먼트, 각각 가리킨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에어 크리너는 상부가 커버로 덮어지며 일정공간을 형성한 에어 크리너 케이스(1)의 일측에 흡기덕트(2)가 연결되고 상기 흡기덕트(2)를 통하여 엔진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하여 에어 크리너 케이스(1) 상부에 엘리먼트(3)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 에어 크리너는 흡입 공기의 소음 감소 및 공기량 저장 효과를 갖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부피를 갖는다. 하지만 에어 크리너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FAD, Fresh Air Duct)를 거쳐 들어오는 공기는 유입 통로의 급격한 단면적의 변화로 인하여 에너지 손실을 크게 입는다. 또한, 와류를 유발하여 앞서 들어와 여과되어 에어 크리너의 바닥에 가라앉아 있던 먼지 등을 다시 분산시켜 여과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여과 효율 즉,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여과 면적의 전체 여과 면적의 약 6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에어 크리너에 공기를 유입시켜 주는 덕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 주는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 크리너의 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에 사용되는 에어 유도용 덕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에어 크리너20 : 상부 케이스
30 : 여과필터40 : 에어 유도용 덕트
41 : 유출구42 : 유입구
43 : 보조 파이프50 : FAD
60 : 하부 케이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 물질을 제거해 주는 에어 크리너에 있어서, 에어 크리너의 여과필터로 유입되는 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유출구를 넓게 형성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 소음 감소를 위하여 보조 파이프가 연결된 에어 유도용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는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 주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에 사용되는 에어 유도용 덕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가 형성된 상부 케이스(20)와; 상기한 상부 케이스(20)에 에어필터(30)가 장착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과 같은 이 물질을 여과시켜 준다.
상기한 여과필터(30)저면에 그 유출구(41)가 폭넓게 밀착되어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필터(30)에 공급해 주도록 개구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그 유입구(42) 쪽에는 소음 감소를 위한 보조 파이프(43)가 부설되어 있는 에어 유도용 덕트(40)를 형성한다.
상기한 에어 유도용 덕트(40)가 상기한 여과필터(30)에 밀착되도록 지지해 주고, 상기한 에어 유도용 덕트(40)의 유입구(42)가 삽입되는 프레쉬 에어 덕트(FAD, 50)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하부 케이스(6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는 차량 외부로부터 엔진룸으로 유입되어, FAD(50)를 거쳐, 에어 유도용 덕트(40)의 유입구(42) 쪽으로 들어온다.
이렇게 에어 유도용 덕트(40)의 유입구(42)로 들어온 공기는 그 구경이 크게 형성된 유출구(41)를 통하여 여과필터(30)를 통과하게 된다.
이 때,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먼지 등과 같은 이 물질은 여과필터(30)에 의하여 여과되어 깨끗한 공기만 상부 케이스(20)의 통로를 통하여 엔진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에어 유도용 덕트(40)의 유입구(42) 쪽에 부설된 보조 파이프(43)는 하부 케이스(60)를 리조넌스 챔버(Resonance Chamber)와 같은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 파이프(43)의 길이(L)와 입구 면적(A)의 관계에 의하여 발생되는 소음의 주파수(f)가 결정되는데, 이 주파수 f는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여기서, V는 하부 케이스(60)의 볼륨을 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는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면서 소음 발생을 줄여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 물질을 제거해 주는 에어 크리너에 있어서,
    에어 크리너의 여과필터로 유입되는 공기를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유출구를 넓게 형성하고,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측에 소음 감소를 위하여 보조 파이프가 연결된 에어 유도용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KR1019970016307A 1997-04-29 1997-04-29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KR19980078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307A KR19980078712A (ko) 1997-04-29 1997-04-29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307A KR19980078712A (ko) 1997-04-29 1997-04-29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712A true KR19980078712A (ko) 1998-11-25

Family

ID=6598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307A KR19980078712A (ko) 1997-04-29 1997-04-29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871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0721D1 (de) Staubsammelanordnung in einem Staubsauger und Hauptgehäuse für einen Staubsauger mit solcher Anordnuung
KR19980078712A (ko) 여과 효율을 향상시켜 주는 에어 크리너
JPH0557121A (ja) 空気清浄機
KR940002805Y1 (ko) 자동차용 침적식 에어크리너
KR970005214A (ko) 진공청소기용 2차집진장치 및 그 방법
RU93009576A (ru) Фильтр
KR19980024208U (ko) 자동차의 에어클리너 장치
KR100228092B1 (ko) 공기 청정기
KR200203270Y1 (ko) 오일운반팬이구비된습식에어크리너
KR200248299Y1 (ko) 2중 쐐기형 스월윙 에어크리너
CN212958895U (zh) 远程二级空滤器
KR100528203B1 (ko) 에어 클리너의 여과 엘리먼트
JP2003181232A (ja) 集塵機
CN2264036Y (zh) 侧向进水旋流自清洗净水器
KR19980062759U (ko) 차량용 에어크리너
KR19980036736U (ko) 이물질 포집 장치가 구비된 사이클론 에어 클리너
KR930002434Y1 (ko) 연료 여과기
KR910003535Y1 (ko)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청정기
CN2580129Y (zh) 干湿复合式空气滤清器
KR790001060Y1 (ko) 공기 정화기
KR0129307Y1 (ko) 이물질 유입방지용 여과장치가 부착된 차량용 공기흡입파이프
JP2005155452A (ja) エアクリーナ
KR0172169B1 (ko) 공기청청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공명기
KR20010004820A (ko) 리어 엔진 버스의 에어 크리너 장착 구조
KR19980013359U (ko) 자동차용 공기 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