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298A -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298A
KR19980078298A KR1019970015813A KR19970015813A KR19980078298A KR 19980078298 A KR19980078298 A KR 19980078298A KR 1019970015813 A KR1019970015813 A KR 1019970015813A KR 19970015813 A KR19970015813 A KR 19970015813A KR 19980078298 A KR19980078298 A KR 19980078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facsimile
image data
reading unit
volta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8298A/ko
Publication of KR1998007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298A/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팩시밀리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것을 검출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팩시밀리에서 원고가 로딩될 때 화이트 롤러를 독취하여 화상 데이터의 출력 레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낮은 경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과, 이물질이 묻은 상기 독취부에 대한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에서 표시부로 출력되는 메시지로 상기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Description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것을 검출하여 청소를 요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팩시밀리에서 화상 데이터를 독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원고를 송신하거나 복사하기 위해 화상 데이터를 독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팩시밀리에서 화상 데이터를 독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송신하거나 복사하기 위한 원고를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넣으면, 팩시밀리의 원고 검출 센서에서 상기 원고가 검출한다(101단계). 상기 독취부는 상기 원고에서 순차적으로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고(102단계) 상기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기준 레벨을 메모리에 저장한다(103단계). 팩시밀리의 이송롤러는 원고를 이송하여(104단계) 상기 독취부의 센서에서 상기 원고를 검출(105단계)될 때까지 상기 원고를 이송한다. 상기 독취부의 센서에서 상기 원고가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원고의 이송이 종료(106단계)된 것으로 판단하고, 독취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107단계). 이때 팩시밀리에서는 원고를 독취부까지 이송하는 동안 상기 원고가 상기 독취부까지 도달하기 전에 먼저 상기 독취부에 상기 원고를 밀착시키고, 화이트 롤러나 화이트 바 등의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독취하여 화이트와 블랙을 구분하기 위한 기준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을 갖는다. 상기 팩시밀리는 원고에 대한 복사 또는 송신을 요구받으면(108단계), 상기 원고를 독취하여(109단계) 복사 또는 송신 기능을 수행한다.(110단계)
상기와 같이 팩시밀리에서 원고를 독취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원고를 독취하기 위한 독취부에서 상기 원고를 밀착시키는 부위(일반적으로 유리면)에 이물질등이 묻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 원고를 정확하게 독취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경우 복사하거나 송신하는 화상 데이터의 화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으므로 인해 화질이 나빠지는 경우 사용자가 직접 팩시밀리의 독취부를 청소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원고를 복사하여 사용자가 직접 상기 복사된 원고의 화질이 나쁜 것을 보고 상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것인지를 쉽게 알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를 요구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것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서 원고가 로딩될 때 화이트 롤러를 독취하여 화상 데이터의 출력 레벨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의 출력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낮은 경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과, 이물질이 묻은 상기 독취부에 대한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팩시밀리에서 화상 데이터를 독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독취부의 청소 상태를 검출하는 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팩시밀리에서 독취된 정상적인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311: 제1센서312: 제2센서
321: 제1원고 이송 롤러322: 제2원고 이송 롤러
330: 원고 밀착 롤러340: 독취부
P: 원고의 이송 경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도로서, CPU200과 메모리210과 조작판넬220과 스캐너230과 프린터240과 모뎀250과 라인인터페이스부260으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팩시밀리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CPU200은 메모리2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10은 CPU2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 제어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CPU20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조작판넬220은 다수의 숫자키 및 기능키들로 구성된 키입력부와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터를 CPU200에 인가하고 CPU200의 제어하에 팩시밀리의 각종 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로 출력한다. 스캐너230은 화상 독취부로서, 원고를 스캐닝하여 상기 원고 화상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CPU200으로 출력한다. 스캐너230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는 CPU200에 의해 처리되어 메모리210에 저장되며 모뎀250으로 전송되거나 프린터240에 의해 프린트된다. 프린터240은 CPU200의 제어하에 스캐닝된 상기 화상 데이터 프린트하고, 팩시밀리의 각종 상태에 따른 상세 메시지를 프린트한다. 모뎀250은 CPU200의 출력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라인인터페이스부260을 통해 전송로 송신하며, 라인인터페이스부260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복조한다. 라인인터페이스부260는 상기 전송로와 모뎀250간의 라인을 인터페이싱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캐너230의 단면도로서, 제1센서311과 제2센서312와 제1이송 롤러321과 제2이송 롤러322와 원고 밀착 롤러330과 독취부340으로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센서311는 독취부340으로 공급되는 원고의 유무를 검출하고, 제2센서312는 독취부340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고의 위치를 검출한다. 제1이송롤러321은 제1센서311에서 검출된 원고가 제2센서312에서 검출될 때까지 상기 원고를 이송하고, 복사 또는 송신시 상기 원고를 독취부340으로 이송한다. 제2이송 롤러322은 제1이송롤러321이 상기 원고를 이송할 때 이를 보조한다. 원고 밀착 롤러330은 독취부340에 상기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독취시 화이트 기준 레벨을 잡기 위한 장치로서, 화이트 롤러나 화이트 바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독취부340에 상기 원고를 밀착시킨다. 독취부340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 등으로서 이송되는 원고를 독취한다. 원고의 이송 경로P는 독취부340으로 상기 원고가 공급되는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팩시밀리에서 독취된 정상적인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원고에서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전압 레벨이 일정하면 독취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이와 달리 도 4b는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경우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원고에서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전압 레벨이 낮은 경우 상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를 검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전압 레벨을 기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은 것을 검출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의 독취부340에 이물질이 묻은 것을 검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510단계에서 CPU200은 제1센서311로부터 원고가 독취부340에 넣어지는 것에 대한 감지신호를 인가받고, 원고 밀착 롤러(white roller)330를 통하여 독취 소자340으로부터 상기 원고의 화이트 화상 데이터가 독취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원고의 화이트 화상 데이터가 독취된 경우 520단계에서 CPU200은 상기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전압 레벨과 미리 정해진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한다. 즉, CPU200은 독취부340으로부터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전달받고, 수평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첫 번째 수평 화소의 출력 전압 레벨에서부터 마지막 수평 화소의 출력 전압 레베을 기준 전압 레벨과 비교한다. 530단계에서 CPU200은 상기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전압 레벨이 상기 정해진 기준 전압 레벨보다 같거나 낮은지를 판단한다. 상기 화이트 기준 레벨을 잡기 위하여 화이트 롤러나 화이트 바등을 독취하여 화이트 화상 데이터를 독취할 때 독취부340에 이물질등이 묻어 있으면, 독취 소자340에서 상기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전압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낮게 나타난다. 상기 독취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전압 레벨이 상기 정해진 기준 전압 레벨보다 낮은 경우 540단계에서 CPU200은 독취부340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독취부340의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즉, CPU200은 조작판넬220을 제어하여 독취부340의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조작판넬220의 표시부로 출력한다. 또한, CPU200은 프린터240을 제어하여 독취부340의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기록지에 프린트하고, 독취부340를 청소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 메시지를 기록지에 프린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것을 검출하고, 독취부의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독취부의 청소 시기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팩시밀리에서 상기 독취부를 청소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프린트하여 사용자가 쉽게 상기 독취부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것을 메시지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독취부를 청소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독취부가 지저분해서 발생되는 독취 화질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에 있어서,
    독취부에 원고가 로딩될 때 화이트 롤러를 독취하여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과 기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과 상기 기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의 비교 결과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화이트 화상 데이터의 출력 전압 레벨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 전압 레벨보다 낮은 경우 상기 독취부에 이물질이 묻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독취부의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로서, 표시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독취부의 청소를 요구하는 메시지로서, 기록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지에 상기 독취부를 청소하는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KR1019970015813A 1997-04-28 1997-04-28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KR19980078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13A KR19980078298A (ko) 1997-04-28 1997-04-28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13A KR19980078298A (ko) 1997-04-28 1997-04-28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298A true KR19980078298A (ko) 1998-11-16

Family

ID=6598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813A KR19980078298A (ko) 1997-04-28 1997-04-28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829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85746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US5930463A (en) Technique for embodying self-diagnosis in a facsimile machine
US6188468B1 (en) Image reading-out apparatus provided with automatic document conveying apparatus
US6313928B1 (en) Document siz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a facsimile apparatus
EP1271925B1 (en) Method for detecting an abnormal portion such as a black line in an image
KR19980078298A (ko) 팩시밀리에서 독취부의 청소 상태 검출 방법
JP4577032B2 (ja) 原稿読み取り又は画像記録用の用紙搬送装置
JP2867927B2 (ja) 記録装置
KR100193805B1 (ko) 팩시밀리와 컴퓨터 및 프린터를 이용한 복합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14306B1 (ko) 팩시밀리에서 원고 크기 감지장치 및 방법
JPH0983703A (ja) ダーティアラーム機能を備えた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470714B1 (ko) 원고스캔기기의 스캔부에 부착된 이물인식방법
KR960014302B1 (ko) 팩시밀리의 송신 원고 매수 표시 방법
KR100547098B1 (ko) 화이트 참조부의 오염 자동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274627B1 (ko) 팩시밀리원고송신방법
KR0181131B1 (ko) 일반용지 팩시밀리의 원고복사방법
KR100229040B1 (ko) 팩시밀리를 이용한 문자 원고의 송,수신 방법
KR100268343B1 (ko) 복합기의 팩스데이터의 메모리 수신방법
KR19980076376A (ko) 양면 독취 기능을 수행하는 팩시밀리 및 그 운용방법
KR19980072344A (ko) 팩스의 원고전체페이지수 송수신방법
KR100229019B1 (ko) 팩시밀리의 원고 화상 부분 스캔방법
JPH1023387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読取画像の異常判別方法
KR19990079242A (ko) 팩시밀리시스템의 광학계 오염감지방법
KR20040013646A (ko) 원고의 선단 감지가 가능한 화상 스캐닝 유니트 및 그 방법
JP2000332936A (ja) 原稿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