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6664A -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 Google Patents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6664A
KR19980076664A KR1019970013468A KR19970013468A KR19980076664A KR 19980076664 A KR19980076664 A KR 19980076664A KR 1019970013468 A KR1019970013468 A KR 1019970013468A KR 19970013468 A KR19970013468 A KR 19970013468A KR 19980076664 A KR19980076664 A KR 19980076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bonding
box
holes
car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6004B1 (ko
Inventor
금영각
Original Assignee
금영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영각 filed Critical 금영각
Priority to KR1019970013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0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0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22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 closures formed by inward folding of flaps and securing them by heat-sealing, by applying adhesive to the flaps or by sta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각각의 측부접착면과 상부 및 하부의 접착면에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접착제가 그 접착용 구멍으로 침투되어 판지의 표면과 각각 골지에 골고루 스며들고 접촉제의 중앙에는 심재 또는 못의 기능을 갖게 되도록 응고됨으로써, 종래의 스템플 이상으로 강화된 접착력으로 극대화되고 상자에 들어가는 물품을 보호할 목적으로 끼우던 스치로폴 또는 기포포장재 등이 필요치 않게 되어 마무리 공정이 간소화되며, 제품의 원가를 절감을 할 수가 있고, 재활용시에 접착면이 쉽게 풀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재활용된 골판지로 제작하는 것으로서, 그 골판지는 중앙의 골지와 그 골지의 상하측에는 얇은 판지를 접착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재활용되어 형성된 골판지를 포장용 상자로 제조하기 위하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장용 상자를 제단하여 전개한 사시도로서, 직사각형의 상자 몸체(100)의 내부면적을 복수의 회수로 절곡하여 일측단의 가장자리에는 측부접착면(101)을 형성하고 상자몸체(10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접착면으로 되어 있다. 상기 상부와 하부의 접착면은 대응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상부의 접착면(102)(103)(104)(105)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에 측부접착면(101)을 타측단의 내측면으로 절곡하여 스텐플(106)로 접착하여 직사각형의 상자를 형성하고, 상자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먼저 상부접착면(102)(104)을 내측을 향하여 절곡시킨 후에 상향을 향하여 노출된 표면일부에 적당량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면(103)의 역시 내측을 향하여 절곡시켜 접착면(102)(104)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접착시킨다.
이어서 외부로 노출된 접착면(103)의 상부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접착면(105)을 내측을 향하여 절곡시켜 접착면(103)에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접착하여 상자를 밀폐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자는 접착제가 소량 사용되면 중량의 물건에 의해 접착부위가 분리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였다. 그와 같은 이유가 재발되는 이유중의 하나가 최초의 종이보다 재활용된 판지는 섬유성분의 다량이 증발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 능력이 감소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착 능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과다하게 도포하게 되면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종래와 같이 스텐플로 접착한 상자를 사용할 때에는 상자의 내부에 제품에 맞는 스치로폴 또는 기포포장재 등을 끼워 금속의 스텐플로부터 제품을 보호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 상자 이외에 불필요한 포장재 등이 추가되어 마무리 공정이 신속하지 못하며, 제품의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과 소비자에게는 쓰레기로 버리게 되어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있고, 재활용 하는 경우에는 재생하는 공정에 있어서는 스텐플로 접착된 부분이 제대로 풀어지지 못하고 뭉치로 남게 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각각의 측부접착면과 상부 및 하부의 접착면에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으로, 접착제가 그 접착용 구멍으로 침투되어 판지의 표면과 각각 골지에 골고루 스며들고 접착제의 중앙에는 심재 또는 못의 기능을 갖게 되도록 응고 됨으로써, 종래의 스텐플 이상으로 강화된 접착력이 형성되고 상자에 들어가는 물품을 보호할 목적으로 끼워던 스치로폴 또는 기포포장재 등이 필요치 않게 되어 마무리 공정이 간소화되며, 제품의 원가를 절감을 할 수가 있고, 재활용시에 접착면이 쉽게 풀어지게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
도 2는 종래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자몸체20, 21 : 측부접착면
30 : 상부접착면40 : 하부접착면
20', 21' : 판지22, 23, 32a, 32b, 34' : 접착공
31 : 좌측접착면33 : 우측접착면
31', 33' : 접착공32 : 전면접착면
34 : 후면접착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접착면에 일정한 간격의 접착공을 천공한 전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용 상자의 측면이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의 확대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직사각형의 상자 몸체(10)의 내부면적을 복수의 회수로 절곡하여 양측단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측부접착면(20)(21)을 형성하고 상자몸체(1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접착면(30)(40)으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부접착면(20)(21)의 판지(20')(2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접착공(22)(23)을 천공하고 상기 상부접착면(30) 및 하부접착면(40)은 동일한 크기에 상호 대응되는 것으로서, 여기에서는 편의상 상부접착면(30)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부접착면(30)중에 좌, 우측의 접착면(31)(33)의 외향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접착공(31')(33')을 천공하고 전, 후면측의 접착면(32)(34)의 중에 전면측의 접착면(32)의 내, 외향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접착공(32a)(32b)이 천공되며, 후면측의 접착면(34)의 내향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접착공(34')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골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자(10) 양측단의 측부접착면(20)(21)에 접착제를 도포하면 접착제가 복수개의 접착공(22)(23)으로 침투되어 중앙의 골지(40)와 골지(40)를 감싸는 판지(20)(21')에 스며들게 된 후에 접착제가 응고되어 직사각형의 상자를 형성한 다음 상자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부접착면(30)중에 먼저 좌, 우측의 접착면(31)(33)을 내향 절곡한 다음 좌, 우측의 접착면(31)(33)의 노출된 표면 일부에 천공된 접착공(31')(33')에는 적당량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전면측의 접착면(32)의 역시 내측을 향하여 절곡시켜 상기 좌, 우의 접착면(31)(33)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접착시킨다. 이어서 외부로 노출된 전면측의 접착면(32)의 상부 표면에 천공된 접착공(32b)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에 후면측의 접착면(34)을 내측을 향하여 절곡시켜 상기 전면측의 접착면(32)의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과 접착하여 상자를 밀폐하는 것이다.
이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접착공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자를 형성하게 되면 판지의 표면과 각각 골지에 골고루 스며들고 접착제의 중앙에는 심재 또는 못의 기능을 갖게 되도록 응고됨으로써, 강화된 접착력이 극대화 되고, 상자에 들어가는 물품을 보호할 목적으로 끼우던 스치로폴 또는 기포포장재 등이 필요치 않게 되어 마무리 공정이 간소화되며, 제품의 원가를 절감을 할 수가 있고, 재활용시에 접착면이 쉽게 풀어지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착제가 도포되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면에 복수개의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그 구멍으로 접착제가 골고루 침투되어 경화되도록 구성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직사각형의 상자 몸체의 내부면적을 복수의 회수로 절곡하여 양측단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측부접착면을 형성하고 상자몸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접착면으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부접착면의 판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접착공을 천공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접착면의 좌, 우측의 접착면이 외향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의 접착공을 천공하고 전면측의 접착면의 내, 외향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접착공이 천공되며, 후면측의 접착면의 내향면에는 일정한 간격의 접착공이 천공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KR1019970013468A 1997-04-11 1997-04-11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KR10019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468A KR100196004B1 (ko) 1997-04-11 1997-04-11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468A KR100196004B1 (ko) 1997-04-11 1997-04-11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664A true KR19980076664A (ko) 1998-11-16
KR100196004B1 KR100196004B1 (ko) 1999-06-15

Family

ID=1950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68A KR100196004B1 (ko) 1997-04-11 1997-04-11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0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9142A1 (en) * 2005-11-14 2007-05-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lded box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734436B1 (ko) 2006-02-28 2007-07-03 두선산업 주식회사 비대칭 포장용지와 이의 제조 장치 및 포장 용지 제조방법
KR20220022186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미래홈팩 친환경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9142A1 (en) * 2005-11-14 2007-05-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lded box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7896793B2 (en) 2005-11-14 2011-03-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olded box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0734436B1 (ko) 2006-02-28 2007-07-03 두선산업 주식회사 비대칭 포장용지와 이의 제조 장치 및 포장 용지 제조방법
KR20220022186A (ko) *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미래홈팩 친환경 보온 및 보냉 기능을 갖는 포장용 박스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6004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2648C (en) Carton, carton blank and method for forming the carton
US5632402A (en) Carton blank and method for forming it
KR860003154A (ko) 열 수축성 필름을 사용한 포장체 및 그 포장 방법
JP2630564B2 (ja) 複数の開封手段を有するたばこのパッケージ
KR19980076664A (ko) 접착용 구멍을 갖는 포장용 상자의 접착방법
US5338590A (en) Encapsulated liquid adhesive carrier
JPH1072063A (ja) 包装作業性を改善したプラスチック気泡シート
JP3841884B2 (ja) カートン
EP0894621A1 (en) Water-retardant film-lamina
KR100899190B1 (ko) 방수지관
US2153144A (en) Method of forming labels
DE69907020D1 (de) Verpackungsmaterial mit guter bedruckbarkeit und wiedergewinnbarkei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KR101601686B1 (ko) 해리식 재활용 종이팩
JP3150680B2 (ja) 段ボール製気密容器
KR102384095B1 (ko) 재활용이 용이한 비닐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5047535A (ja) 紙容器と紙容器ブランクの製造方法
JP6010351B2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の製造方法及び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KR0156420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포장박스 접착부위 접착력 향상방법
JPS6181963A (ja) 厚紙製パツケ−ジ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16642Y1 (ko) 종이상자
JP2006282185A (ja) 段ボール紙製品の接着構造
JP3561526B2 (ja) パッケージ
KR20000006485U (ko) 골판지
JP2002002806A (ja) 包装材
JPH0732514A (ja) 吊下げ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20326

Effective date: 2003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