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925A -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925A
KR19980075925A KR1019970012346A KR19970012346A KR19980075925A KR 19980075925 A KR19980075925 A KR 19980075925A KR 1019970012346 A KR1019970012346 A KR 1019970012346A KR 19970012346 A KR19970012346 A KR 19970012346A KR 19980075925 A KR19980075925 A KR 19980075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ster
hydroxy
ester compound
halobutyric
genera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7163B1 (ko
Inventor
송충의
김인호
이재균
Original Assignee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원훈
Priority to KR1019970012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16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3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an ester group with a hydroxy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675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of saturated hydrox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식( II )의 옥세탄온화합물 또는 일반식( III )의 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이들을 수소화하여 광학적으로 순수한 일반식( I )의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또는 일반식( IV )의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화합물은 지방산 대사를 촉진시키는 카르니틴 제조에 유용한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 I ), (III) 및 (IV)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다. 일반식( I ), (II), (III) 및 (IV)화합물은 각각 광학 이성체인 (R)-/(S)-형 화합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반식( II )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을 출발물질로 또는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역시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이들을 수소화 반응조건에 따라 반응시켜 광학적으로 순수한 일반식( I )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또는 일반식( IV )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제조하는 새롭고도 진보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는 아래에 자세히 기술하겠으나 지방산 대사를 촉진하는 카르니틴(Carnitine) 제조에 유용한 중간체이다.
일반식(I)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다.
일반식(III)에 있어서, R은 탄소수 1 ~ 18의 알킬기이다.
일반식(IV)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및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아래와 같이 각각 광학이성체를 나타낸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광학 이성체로서 다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로 표시할 수 있는 바, 이들 화합물의 구조식은 아래와 같다.
일반식(I) 화합물의 이성체 :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일반식(II) 화합물 이성체 :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
(S)-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 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광학 이성체로서, (R)-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S)-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로 표시할 수 있다.
일반식(III) 화합물의 이성체 :
(R)-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S)-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한편,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도 광학 이성체로서 다시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로 표시할 수 있는 바, 이들 화합물의 구조식은 아래와 같다.
일반식(IV) 화합물의 이성체 :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에 있어서, 특히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자료[Jpn. Kokai Tokkyo Koho, 37, 5172 (1962) ; Jpn., Kokai Tokky Koho, 60, 161953 (1985)]에서와 같이 카르니틴(Carnitine : 비타민 BT)제조의 핵심 중간체로 사용되는 물질인 바, (R)-카르니틴은 지방산 대사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각종 심장질환 치료에 이용되는 유용한 화합물이다. 이와는 반대로 광학 이성체인 (S)-카르니틴은 (R)-카르니틴 아실트랜스퍼라아제의 지방산 대사 촉진을 억제한다. 따라서 광학적으로 순수한 (R)-카르니틴을 제조하는 것이 필수적이기에 이 분야에 종사하는 관련자들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당연하다고 하겠다.
또한, 자료[M.E. Jung, J. Am. Chem. Soc., 102, 6304 (1980) ; B. E. Rossiter, J. Org, Chem., 49, 3707 (1984)]에서와 같이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간질병 또는 저혈압 치료제로 널리 이용되는 (R)-3-히드록시-4-아미노부티르산(GABOB) 제조에 매우 중요한 핵심 중간체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및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새롭고도 진보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I) 또는 일반식(IV)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화합물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용성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한 예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방법[J. Am. Chem. Soc., 107, 2993 (1985)]에서는 4-클로로-3-옥소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이스트 등의 효소를 이용하여 환원시키거나 (S)-BINAP-Ru와 같은 광학활성 촉매[Tetrahedron Lett., 29, 1555 (1988)]를 이용하여 100기압, 100℃에서 수소화 반응을 시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 공지방법은 일반적으로 반응조건이 매우 까다롭고 무엇보다도 생성물인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가 광학적으로 순수하지 않다는 점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공지방법에서 내포하고 있는 여러 단점을 개선하고자 부단히 연구를 계속하던 차, 기대 이상으로 제조가 간편함은 물론, 광학적으로 순수하고 높은 수득률로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공지의 제조방법과는 달리 광학적으로 순수한 R-형태의 이성체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일반식(II)의 옥세탄온 중에서도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을 출발물질로 사용하고 이를 해당 지방족 알코올 내에서 과량의 염기 존재하에 팔라듐( Pd ), 백금( Pt ) 혹은 니켈( Ni )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함으로써 높은 수율은 물론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일반식(I)로 표시되는 두 가지 광학이성체 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와 일반식(IV)로 표시되는 두 개의 광학 이성체 중에서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간단하게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S-형태의 이성체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 일반식(I)로 표시되는 두 가지 광학 이성체 중에서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와 일반식(IV)로 표시되는 두 가지 광학 이성체 중에서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역시 상기 조건과 같이 출발물질로 일반식(II)의 옥세탄온 중에서, 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을 사용하고 이를 해당 지방족 알코올과 과량의 염기 존재하에 팔라듐( Pd ), 백금( Pt ) 혹은 니켈( Ni ) 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함으로써 높은 수득률과 광학적으로 순수한 형태의 일반식(I)로 표시되는 두 개의 광학이성체 중에서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와 일반식(IV)로 표시되는 두 개의 광학 이성체 중에서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간단하게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출발물질로 사용되는 옥세탄온 유도체 중에서도 일반식(II)로 표시되는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은 공지문헌[J. Am. Chem. Soc., 104 166 (1982) ; J. Org. Chem., 50, 1977 (1985). ; C. E. Song, Tetrahedron : Asymmetry 5, 1215 (1994)]에서와 같이, 케텐과 클로랄을 퀴니딘이나 신코닌과 같은 알칼로이드 촉매하에 톨루엔 용매내에서 반응시켜 94% 이상의 화학적 수득률과 98%의 광학적 순도로 제조되어진다. 또한 광학 이성체인 (S)-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 화합물 역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 화합물 제조에 사용되는 퀴니딘이나 또는 신코닌 촉매 대신 퀴닌이나 신코니딘을 촉매로 사용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일반식(II)의 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 화합물은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용매를 이용한 단순 재결정 정제방법에 의하여 쉽고도 광학적으로 순수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출발물질인 일반식(II)로 표시되는 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로부터 일반식(I)의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와 일반식(IV)의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코올 용매내에서 과량의 무기염기나 트리알킬아민과 같은 상용의 유기염기 존재하에 금속 촉매를 이용하여 상압과 상온범위인 15 ~ 30 ℃ 온도에서 수소화 함으로써 간단히 목적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반응 종결후 일반식(I)의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와 일반식(IV)의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용매에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용매를 감압하에 증류하고 잔류물은 직접 분별증류하여 정제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소수 1 ~ 18의 지방족 알코올 용매라 함은 탄소수 18 이하의 직쇄 또는 측쇄의 어떠한 알코올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생성물을 보다 낮은 온도에서 증류분리할 수 있다는 면에서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염기라 함은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칼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비카르보네이트, 칼륨 비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상용의 무기염기,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등의 트리알킬아민을 포함한 유기염기를 말한다. 이때에 염기의 첨가량은 4 ~ 12당량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금속촉매라 함은 Pd-C, PtO2혹은 라니 니켈(Raney Nickel) 등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소화 조건은 상온에서 15시간 내지 20시간에서 반응시키면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가 생성되며 계속 70시간 내지 80시간 반응시키면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가 생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증류시의 감압조건은 0.1 ~ 5 mmHg 범위이나 바람직한 것은 0.3 ~ 1.0 mmHg이며, 증류온도는 40 ~ 80℃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증류시간은 40분 ~ 1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반응촉매와 반응용매는 본 발명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다소 선택성을 보이고 있는 바, 예컨대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팔라듐( Pd ) 촉매가 백금 또는 라니 니켈 보다 훨씬 부반응이 적고 반응속도가 빨라 효율적이며,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에서도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백금과 라니 니켈이 팔라듐 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또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제조하고자 할 때에는 어떠한 염기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가 다른 염기에 비해 선택적이었다.
본 발명은 아래 실시 예에서 자세히 예증하여 주는 바와 같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발물질인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 중에서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을 에탄올 용매내에서 Pd-C 촉매와 약 4당량의 칼륨 아세테이트 염기존재하에 약 20시간 교반하여 15 ~ 30℃ 온도와 상압하에 수소화 하면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에서도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이 정량적으로 생성되며 수소화 반응을 계속 약 80시간 진행시키면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수득률 약 88%의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특기할 만한 것은 이때 염기의 양을 12당량으로 가하여도 반응속도나 생성물의 수득률에는 거의 변화가 없다. 같은 반응을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등의 트리알킬아민을 염기로 사용하여 약 20시간 반응을 진행시키면 역시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이 거의 정량적으로 생성되며 수소화 반응을 계속 약 80시간 진행시키면 각각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약 20%의 수득률)과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약 80%의 수득률)이 선택적으로 생성되어진다.
또한 촉매로 PtO2나 라니(Raney) Ni 촉매하에 칼륨 아세테이트나 나트륨 아세테이트 염기를 사용하여 15 ~ 30℃ 온도와 상압하에 약 80시간을 수소화하면 수득률 80 ~ 100%의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이 생성되는 반면에 수득률 0 ~ 20%의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이 생성된다.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도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역시 상기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출발물질인 일반식(II)로 표시되는 R-형 또는 S-형의 3-히드록시-4-(클로로메틸)옥세탄-2-온 화합물에 환원촉매를 가하지 않고 지방족 알코올용매내에서 칼륨아세테이트와 같은 염기 존재하에 상온에서 약 3 시간 교반하면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R-형 또는 S-형의 3-히드록시-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가 정량적으로 얻어진다.
때문에,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 대신,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R-형 또는 S-형의 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역시 출발물질로 이용하여 이들을 탄소수 1 ~ 18의 지방족 알코올 내에서 과량의 유기 혹은 무기염기 존재하에 Pd, Pt 혹은 Raney-Ni등의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화 하여도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였을때와 거의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의 출발물질인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로부터 수소화반응을 통해 일반식(I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이나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제조하는 과정은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트리클로라이드 화합물 및 일반식(IV)로 표시되는 디클로라이드를 통해 일반식(I)로 표시되는 모노클로라이드 화합물이 단계적으로 제조되어지는 반응이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일반식(II)의 옥세탄 화합물의 환원반응은 반응 중간중간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피분석을 통해 잘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 대신,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R-형 또는 S-형의 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음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예증하여 줄 것이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한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레이트의 제조
3g의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을 90ml의 에탄올에 용해한 후 여기에 9g의 칼륨 아세테이트와 3g의 Pd-C을 차례로 넣고 수소기류하에서 반응시켰다. 약 20시간 반응을 시킨 후 여과하여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농축한 뒤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상온에서 가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제거한 결과 2.9g의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bp : 75℃ / 0.5 mmHg
[α]D 23= + 27.1(c 1. 14, CHCl3)
[실시예 2]
에틸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레이트의 제조
3g의 (S)-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을 90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여기에 12g의 트리에틸아민과 3g의 Pd-C을 차례로 넣고 수소기류하에서 반응시켰다. 약 20시간 반응을시킨 후 여과하여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농축한 뒤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상온에서 가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제거한 결과 3.0g의 생성물을 얻었다.
bp : 75℃ / 0.5 mmHg
[α]D 23= - 26.9(c 3. 51, CHCl3)
[실시예 3]
에틸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레이트의 제조
1g의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을 30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여기에 1.5g의 칼륨 아세테이트와 1g의 PtO2을 차례로 넣고 수소기류하에서 반응시켰다. 약 20시간 반응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농축한 다음 2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상온에서 가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제거한 결과 0.9g의 생성물을 얻었다.
bp : 75℃ / 0.5 mmHg
[α]D 23= + 27.2(c 4. 57, CHCl3)
[실시예 4]
에틸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레이트의 제조
1.5g의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을 45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여기에 4.5g의 칼륨 아세테이트와 1.5g의 Pd-C을 차례로 넣고 수소기류하에서 반응시켰다. 약 80시간 반응시킨 후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농축한 뒤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상온에서 가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제거한다. 잔류물을 0.5mmHg 감압하에 57℃에서 증류한 결과 0.8g의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bp : 57℃ / 0.5 mmHg
[α]D 23= + 22.4(c 4. 57, CHCl3)
[실시예 5]
에틸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레이트의 제조
1g의 (S)-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화합물을 30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여기에 3g의 칼륨 아세테이트와 1g의 Pd-C을 차례로 넣고 수소기류하에서 반응시켰다. 약 80시간 반응시킨 다음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농축한 뒤 10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상온에서 가하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제거하였다. 잔류물을 0.5mmHg 감압하에 57℃에서 증류한 결과 0.6g의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bp : 57℃ / 0.5 mmHg
[α]D 23= - 22.4(c 3. 34, CHCl3)
[실시예 6]
메틸 (R)-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레이트의 제조
10g의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 화합물을 250ml의 메탄올에 녹인 후 여기에 26g의 칼륨 아세테이트를 넣고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약 2시간 30분 반응시킨 후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농축한 뒤 15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150ml의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제거한 다음 100ml의 노르막-헥산을 가하여 냉각하고 생성된 결정을 여과·건조하여 흰색 고체인 11.1g의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mp : 64℃
[α]D= + 29.8(c 1. 00, CHCl3)
[실시예 7]
에틸 (R)-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레이트의 제조
10g의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 화합물을 250ml의 에탄올에 녹인 후 여기에 26g의 칼륨 아세테이트를 넣고 실온에서 반응시켰다. 약 3시간 반응시킨 후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농축한 뒤 150ml의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150ml의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뒤 여과하고 용매를 30mmHg의 감압하에 50℃에서 증류·제거한 결과 11.2g의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bp : 87℃/0.5 mmHg
[α]D= + 26.9(c 5. 66, CHCl3)

Claims (32)

  1.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을 지방족 알코올 용매와 과량의 염기 및 촉매존재하에 수소화하여 광학적으로 순수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또는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일반식(I)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며,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포함하며, 일반식(II)의 옥세탄온은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과 (S)-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을 포함하고, 일반식(IV)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며,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포함한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 18 범위의 알코올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염기가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칼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비카르보네이트, 칼륨 비카르보네이트, 트리메틸아민, 및 트리에틸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염기의 사용량이 4 ~ 12당량인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촉매가 Pd-C, PtO2및 라니 니켈(Raney Nickel)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이 15 ~ 30℃에서 15 ~ 20시간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을 15 ~ 30℃에서 70 ~ 80시간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 중에서 (R)-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을 지방족 알코올 용매와 과량의 염기 및 촉매존재하에 수소화하여 광학적으로 순수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이나 또는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 18 범위의 알코올이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염기가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칼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비카르보네이트, 칼륨 비카르보네이트, 트리메틸아민, 및 트리에틸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염기의 사용량이 4 ~ 12당량인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금속촉매가 Pd-C, PtO2및 라니 니켈(Raney Nicke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이 15 ~ 30℃에서 15 ~ 20시간으로 반응시켜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중에서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이 15 ~ 30℃에서 70 ~ 80시간으로 반응시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옥세탄온화합물 중에서 (S)-4-(트리클로로메틸)옥세탄-2-온이 지방족 알코올 용매와 과량의 염기 및 촉매존재하에 수소화하여 광학적으로 순수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또는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중에서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 18 범위의 알코올인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염기가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칼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비카르보네이트, 칼륨 비카르보네이트,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염기의 사용량이 4 ~ 12당량인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금속촉매로서 Pd-C, PtO2및 라니 니켈(Raney Nicke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이 15 ~ 30℃에서 15 ~ 20시간으로 반응시켜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중에서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4. 제 17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이 15 ~ 30℃에서 70 ~ 80시간으로 반응시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중에서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5.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를 지방족 알코올 용매와 과량의 염기 및 촉매존재하에 수소화하여 광학적으로 순수한 일반식(I)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 또는 일반식(IV)로 표시되는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일반식(I)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며, 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R)-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S)-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포함하며, 일반식(III)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며, 3-히드록시-4, 4, 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은 (R)-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과 (S)-3-히드록시-4, 4, 4-트리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포함하며, 일반식(IV)에 있어서, R은 탄소수가 1 ~ 18의 지방족 알킬기이며, 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화합물은 (R)-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 화합물과 (S)-3-히드록시-4, 4-디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화합물을 포함한다.
  26. 제 25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직쇄 또는 측쇄의 탄소수 1 ~ 18 범위의 알코올인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지방족 알코올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8. 제 25 항에 있어서, 염기가 나트륨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칼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비카르보네이트, 칼륨 비카르보네이트,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9. 제 25 항에 있어서, 염기의 사용량이 4 ~ 12당량인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30. 제 25 항에 있어서, 금속 촉매가 Pd-C, PtO2및 라니 니켈(Raney Nickel)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하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31. 제 25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이 15 ~ 30℃에서 15 ~ 20시간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32. 제 25 항에 있어서, 수소화시 반응조건이 15 ~ 30℃에서 70 ~ 80시간으로 반응시키는 것이 특징인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19970012346A 1997-04-03 1997-04-03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019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46A KR100197163B1 (ko) 1997-04-03 1997-04-03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46A KR100197163B1 (ko) 1997-04-03 1997-04-03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925A true KR19980075925A (ko) 1998-11-16
KR100197163B1 KR100197163B1 (ko) 1999-06-15

Family

ID=1950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346A KR100197163B1 (ko) 1997-04-03 1997-04-03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1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7163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4544B2 (ja) 光学活性アルコ−ルの製造方法
JP3171931B2 (ja) (R)−(−)−4−シアノ−3−ヒドロキシ酪酸t−ブチル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EP0385733B1 (en) Process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6-t-butoxy-3,5-dihydroxyhexanoic esters
JP2691442B2 (ja) 新規なプロリン誘導体
JPH0569818B2 (ko)
EP1008590B1 (en) Process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oxazolidinone derivatives
KR100197163B1 (ko) 광학적으로 순수한 할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KR100614545B1 (ko) R-(-)-카르니틴의 제조 방법
KR100472806B1 (ko) 4-시아노-3-히드록시 부탄오일 히드라지드, 그 유도체 및 제조방법
KR0163770B1 (ko) 3,4-에폭시부티레이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중간체
JPS62126164A (ja) 4−アルコキシ−2−オキソ−ピロリジン−1−酢酸アルキルエステルおよびその製法
JPH0791223B2 (ja) 光学活性6―t―ブトキシ―3,5―ジヒドロキシヘキサン酸エステルの製造法
Dore et al. Synthesis, reactivity and conformational stability of an l-phenylalanine derived oxadiazinanone
JP2652027B2 (ja) (r)−2−ヒドロキシフェニル酪酸及びエステル類の調製及び単離法
KR0162869B1 (ko) (알)-3-히드록시-4-클로로부티르산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JPH0119376B2 (ko)
Liu et al. Selective reduction of N-protected-α-amino lactones to lactols with lithium tri-tert-butoxyaluminohydride
EP0042794A1 (fr) 4-méthyl 3-formyl penten-1-oates d'alcoyle, leur préparation, leur application à la préparation de l'acide 4-méthyl 3-formyl pen-3-èn-1-oique et les nouveaux intermédiaires obtenus
CN113943240A (zh) 一种布瓦西坦的新制备方法
JPH07228549A (ja) 新規な4−アリール−2,3−ジヒドロキシ酪酸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197115A (zh) 一种手性5-氧代吡咯烷-3-甲酸的制备方法与应用
KR100524145B1 (ko) 고순도의 키랄 3-하이드록시-γ-부티로락톤의 제조방법
KR20110087977A (ko) 광학활성 1,4-디데옥시-1,4-이미노-아라비니톨의 제조방법
JPS5967252A (ja) 光学活性β−アミノイソ酪酸及びその誘導体の製造法
JPH0259545A (ja) α―ヒドロキシ―β―アミノ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